KR20100059327A -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327A
KR20100059327A KR1020080118067A KR20080118067A KR20100059327A KR 20100059327 A KR20100059327 A KR 20100059327A KR 1020080118067 A KR1020080118067 A KR 1020080118067A KR 20080118067 A KR20080118067 A KR 20080118067A KR 20100059327 A KR20100059327 A KR 20100059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data
user
bundle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근
Original Assignee
최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근 filed Critical 최진근
Priority to KR102008011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9327A/ko
Publication of KR2010005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06F16/3323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using document space presentation or visualization, e.g. category, hierarchy or range presentation and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검색 단어의 조합을 선택받고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한 후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어와의 데이터 연관성을 정의한 그래픽 위상 구조의 번들 데이터를 제공한 후,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수단; 및 검색 수행을 통하여 얻어진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상의 검색 단어를 선택받아 검색을 요청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검색 키워드를 입력할 필요없이 검색 단어의 선택 조합을 이용한 상세 검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Search system for using bundle data defining data associ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검색어로부터 연관성을 갖는 관련 검색어들의 연관성 관계를 위상 그래프로 표현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번들 데이터에 존재하는 관련 검색어들의 선택 조합에 의하여 검색 대상을 구체화하면 대응하는 관련 검색어들이 포함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번들 데이터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24122의 "데이터의 연관성 구조를 저장하는 번들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서 창시한 것이다.
이 번들 데이터는 사용자의 검색어를 핵심 단어(parent)로 정의하고, 이 핵심 단어로부터 연관성에 따라서 파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 단어(child)를 나열하여 1차 구조의 그래프(1차 번들)를 생성하고, 1차 구조 그래프의 관련 단어가 핵심 단어로 하여 파생되는 관련 단어를 나열하여 2차 구조 그래프(2차 번들)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파생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의 검색어가 n차 구조의 연관성 관계를 정의한 위상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 번들 데이터이다.
정리하면, 번들 데이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검색어로부터 연관성 관계를 기반으로 파생(확장)될 수 있는 관련 검색어들의 연관성 관계 집합이며 그 집합의 표시 형태를 위상 그래프로 표시하여 그 연관성 관계를 n차 구조 그래프(n차 번들)를 형성한다. 그리고 동차 구조 그래프상에서 연관성 관계의 정도에 따라서 위치 순서를 달리한다.
이러한 번들 데이터로부터 사용자는 미처 생각치 못했던 검색 대상의 관련 키워드들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 대상을 대표하는 키워드 A를 입력하여 검색을 시도한 후 번들 데이터를 제공받아 A', A'', A+B, B, C 등의 관련 단어를 얻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히피"라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히피"로부터 파생되는 관련 단어 "사이키 델릭", "비틀즈", "모즈룩", "아르누보", "피터 맥스" 기타 등등의 연관성 키워드를 얻는 것이다. 전술한 종래 발명에서 사용자는 검색어를 연관성이 존재하는 검색어들로 확장하고 확장된 검색어에 대한 지식을 넓혀나갈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번들 데이터를 통하여 검색어와 연관성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조회한 후,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상에 존재하는 단어들을 선택 조합한 상세 검색을 요청받고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번들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어와의 데이터 연관성을 정의한 그래픽 위상 구조의 번들 데이터를 제공한 후, 번들 데이터에 포함되는 관련 단어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수단; 및 검색 수행을 통하여 얻어진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은, 사용자가 제공받은 번들 데이터의 그래픽 위상 구조상에서 특정 위치(노드 또는 링크)를 선택받는 경우, 당해 선택된 위치까지의 관련 단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은, 검색 요청이 복수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AND 연산자와 OR 연산자를 포함하는 검색식을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요청에 포함된 검색 단어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 데이터의 대표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를 대상으로 조회할 것인지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의 내용 데이터를 대상으로 조회할 것인지의 선택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받거나 또는 멀티플 셀렉션(multiple selection)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수단은, 검색 요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단어를 포함하는 번들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또는 검색 요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단어를 태그 데이터 또는 내용으로 포함하는 검색 결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어와의 데이터 연관성을 정의한 그래픽 위상 구조의 번들 데이터를 제공한 후, 번들 데이터에 포함되는 관련 단어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의 검색 방법에 있어서, (S21)검색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22)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 응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S23)검색 수행을 통하여 얻어진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와 연관성 관계에 따라서 파생된 관련단어의 데이터 연관성을 정의한 그래픽 위상 구조의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상의 검색 단어를 선택받아 검색을 요청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검색 키워드를 입력할 필요없이 검색 단어의 선택 조합을 이용한 상세 검색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1.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들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1)은 사용자에게 번들 데이터(200)를 제공한 후 사용자로부터 검색어 조합을 선택받아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2) 및 검색 서버(2)로부터 제공받은 번들 데이터(200)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조합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검색 서버(2)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번들 데이터(200)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검색 서버(2)는 웹 서버를 구축하여 사용자의 접속 을 수신하며 다양한 인터페이스(포털 홈페이지, 블로그, 게시판 기타 등등)를 통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3)은 사용자가 상기 검색 서버(2)에 접속하는 단말로서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여 번들 데이터(200)를 제공받는다. 사용자가 번들 데이터(200)를 제공받으면 자신이 입력한 검색 키워드로부터 파생되어 연관성 관계가 존재하는 복수의 단어들을 조회할 수 있다. 번들 데이터(200)는 단어 데이터들의 연관성에 따른 그래픽 위상 구조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번들 데이터(200)를 이용하여 단어, 연산식, 검색 대상을 선택하여 상세 검색을 요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들 데이터(200)를 예시한다.
사용자가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 서버(2)로 검색을 요청하면, 검색 서버(2)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번들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가 b1 단어를 입력한 후 제공받은 1개의 번들 데이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 이해를 돕기 위하여 번들 데이터(200)에서 정의하는 용어를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용어 정의
1차 번들 1개의 핵심단어와 그 핵심단어와 연관성에 의하여 1차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단어로 구성되는 번들
ex) b1의 1차 번들 : b1(핵심단어), b2, b3, b4
b2의 1차 번들 : b2(핵심단어), b4, b5, b6, b7
b5의 1차 번들 : b5(핵심단어), b8, b9, b10
b7의 1차 번들 : b7(핵심단어), b11, b12
2차 번들 1차 번들을 구성하는 임의의 관련단어가 핵심단어가 되어 하위의 관련단어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번들
ex) b1의 2차 번들 : b2(핵심단어), b4, b5, b6, b7
b2의 2차 번들 : b5(핵심단어), b8, b9, b10
b7(핵심단어), b11, b12
3차 번들 2차 번들을 구성하는 임의의 관련단어가 핵심단어가 되어 하위의 관련 단어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번들
ex) b1의 3차 번들 : b5(핵심단어), b8, b9, b10
b7(핵심단어), b11, b12
n차 번들 전술한 1차 ~ 3차 번들 구조에 따라 확장되어 n차 연결관계로 구성되는 번들
n차원 번들 핵심단어가 나머지 전체 관련단어에 대하여 구성하는 전체 n차 관계의 번들
ex) b1 기준: b1 ~ b12는 3차원 번들
b2 기준: b2, b5 ~ b7, b8 ~ b10 및 b11 ~ b12는 2차원 번들
b5 기준: b5, b8 ~ b10은 1차원 번들
b7 기준: b7, b11 ~ b12는 1차원 번들
상기 표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한 번들 데이터(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핵심단어 b1은 전체적으로 3차원 번들을 구성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핵심단어 b1을 기준으로 3차 번들까지 확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3차원 번들 구조는 b1을 기준으로 b1 ~ b4로 이루어진 1차 번들, b2, b5 ~ b7로 이루어진 2차 번들, 그리고 b5, b8 ~ b10 및 b7, b11, b12로 이루어진 2개의 3차 번들로 세분할 수 있다.
핵심단어 b1은 1차 연결된 관련단어 b2 ~ b4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b5 ~ b7과는 관련단어이자 핵심단어인 b2를 매개로 하여 2차 연결 확장되는 연관성을 가진다. 이처럼 번들은 관련단어이자 핵심단어인 노드를 매개로 하여 연관성의 유기적 확장을 계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검색어 b1을 입력하여 검색 요청한 후 번들 데이터(200)를 제공받으면, 자신이 입력한 검색어로부터 연관성 관계에 의하여 파생되는 b2 내지 b12의 총 11개 단어를 조회한다. 때문에, 사용자는 미처 생각치 못했던 관련 단어의 정보를 접하고 개별 단어의 연관성에 대한 이유(연결 이유, 연관성 이유)를 검색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연관성에 대한 이유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은 번들 데이터(200) 입력 사용자가 단어를 입력할 때 왜 당해 단어를 연관시키고자 하는지를 정의하는 연관성 이유를 함께 등록하여 DB가 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6을 선택하면 b1으로부터 b2를 매개로하여 b6까지 이르게 된 연관성에 따른 정보를 조회하는 것이다. 이렇게 b1으로부터 연관성에 기초하여 파생되는 전체 단어들의 그래픽 위상 구조를 보고나면 사용자는 번들 데이터(200)상의 일부 단어들을 선택 조합하여 구체화된 검색을 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번들 데이터(200)상에 존재하는 단어들을 선택 조합함으로써 검색어를 입력할 필요없이 궁극적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대상에 대한 상세한 검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번들 데이터(200)상에서 선택하는 단어들의 선택 방식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선택의 편의와 통일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일정한 규칙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사용자가 번들 데이터(200)상에서 임의의 노드와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도 2에서는 사용자가 노드 b9를 선택하거나 또는 노드 b11과 b12 사이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각각 2개의 화살표를 표시하였다.
<가정 1 : 사용자가 b9를 선택하는 경우>
규칙 1 : b1, b9의 2개 단어를 검색 단어로 조합한다.
규칙 2 : b1, b9 사이의 핵심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단어(b1, b2, b5, b9)를 조합한다.
규칙 3 : b1, b9 사이에서 연관성 관계로 연결된 모든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단어(b1, b2, b5, b8, b9)를 조합한다.
<가정 2 : 사용자가 b11과 b12의 연결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소가정 : 연결 링크로 연결된 b12를 선택한 것으로 정의한다.
규칙 1 : b1, b12의 2개 단어를 검색 단어로 조합한다.
규칙 2 : b1, b12 사이의 핵심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단어(b1, b2, b7, b12)를 조합한다.
규칙 3 : b1 , b12 사이에서 연관성 관계로 연결된 모든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단어( b1 , b2 , b5 , b6 , b7 , b11 , b12 )를 조합한다.
이상의 가정과 규칙을 일반화하면, i)사용자는 번들 데이터(200)상에서 임의의 노드 또는 링크를 선택할 수 있고, ii)핵심단어(b1)로부터 사용자의 선택 위치에 따라서 결정된 특정 노드(가정 1은 b9, 가정 2는 b12)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 단어를 검색 단어로 하는 것이다. 참고로 가정 1의 규칙 2에서 노드 b8의 경우는 노드 b1에서 b9까지 이르는 연결 경로상에 존재하지만 핵심 단어가 아니므로 배제한다. 마찬가지로, 노드 b3의 경우는 연결 경로상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배제한다.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 옵션에 따라서 검색 단어가 결정되면 그 검색 단어들의 검색식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색 단어가 b1, b2, b5, b9일 경우 검색식 입력창을 제공하여 AND 연산 또는 OR 연산식을 입력받는 것이다. 예를 들면, (b1 and b9) or b2 and b9 등이다.
한편, 전술한 가정과 규칙은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하여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다양한 가정과 규칙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마우스 드래그를 통하여 특정 영역에 포함된 노드를 검색 단어로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직접 특정 노드를 멀티플 셀렉션(multiple selection, 복수 선택)하여 검색 단어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데이터의 구조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검색 결과는 사용자가 검색 요청하여 검색 결과로서 제공받는 데이터를 말한다. 물론, 검색 결과는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포맷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보다 정확하게, 검색 결과 데이터는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여 도 2의 번들 데이터(200)를 제공받은 후, 번들 데이터(200)에서 다시 사용자가 특정 검색어 조합을 선택하여 상세 검색 요청할 때 제공받는 검색 결과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검색 결과 데이터마다 각각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태그 데이터는 검색 결과 데이터를 대표하는 키워드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번들 데이터(200)를 구성하는 그래픽 위상 연결 구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태그 데이터는 노드 데이터에 대응한다. 즉, 사용자는 문서, 동영상 및 기타 콘텐츠를 등록할 때 별도로 태그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으며 개별 태그 데이터에 대하여 연관성 이유를 등록할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번들 데이터(200)를 통하여 단어의 연관성 위상 구조와 더불어 개별 노드의 연관성 이유를 조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태그 데이터는 검색 결과 데이터의 내용에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서 A를 등록할 때 태그 데이터로서 A', B, C 등을 주제어(대표어, 키워드)로 등록하는 것이며, 여기서 A', B 또는 C의 키워드는 문서 A의 내용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다만, 문서 내용에 없는 경우라면 A', B 또는 C의 키워드는 문서 A의 내용으로부터 자명하게 파악될 수 있는 연관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물론, 태그 데이터가 없는 종래의 검색 결과 데이터도 본 발명의 범주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검색 결과 데이터가 태그 데이터를 보유하는 것은 검색 결과를 다양하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검색 서버(2)는 사용자의 검색어 조합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ㄱ)검색어 조합으로 검색되는 번들 데이터, ㄴ)검색어 조합으로 도 3의 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얻어지는 검색 결과 데이터 및 ㄷ)검색어 조합으로 도 3의 검색 결과 데이터의 내용을 검색하여 얻어지는 검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결과는 검색 서버(2)가 사용자 단말(3)로 응답한다. ㄱ)은 사용자가 검색어 조합을 통하여 다시 한번 검색 키워드를 확장한 번들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이다. ㄴ)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태그 데이터를 포함한 검색 결과 데이터에서만 가능하다. ㄷ)은 데이터의 내용을 검색하는 것이기에 기존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검색 결과 데이터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 그리고 ㄱ) 내지 ㄷ)의 검색 결과를 적절히 혼용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2)는 번들 데이터(200)상에서 사용자가 선택 조합한 단어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검색 요청 수신 수단(21),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어 조합으로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수행 수단(22), 검색 수행된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 수단(23)을 포함한다.
이상의 검색 서버(2)를 구성하는 개별 구성 요소들의 상세한 기능과 동작은 후술하는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방법을 통하여 설명한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방법은 전술한 시스템(1)의 구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들 데이터(200)를 이용한 검색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하면, 당해 키워드로 연관성이 존재하는 관련 단어가 위상학적으로 표시되는 그래프 구조의 번들 데이터(200)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사용자는 번들 데이터(200)를 통하여 확장된 검색어들을 얻게 되고, 그 연관성 관계에 의한 개별 단어별로 대응하는 연관성 이유와 검색 결과 데이터(예 :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를 조회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번들 데이터(200)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핵심단어 및 관련단어)의 조합에 대하여 상세 검색을 시도할 수 있다.
검색 서버(2)의 검색 요청 수신 수단(21)은 사용자가 번들 데이터(200)상에서 선택한 검색어 조합의 정보가 포함된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S21).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번들 데이터(200)상에서 특정 노드 또는 링크를 선택할 수 있고 나아가 영역 선택 또는 멀티플 셀렉션을 통한 단어의 조합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어 조합이 결정되면 사용자가 AND, OR 연산자를 이용하여 검색식을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번들 데이터(200)상에서 검색어 조합을 선택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가정 내지 규칙을 통하여 이미 충분히 설명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검색 요청은 사용자가 번들 데이터(200)를 이용하여 선택한 단어의 검색 연산식, 검색 대상(번들 데이터, 태그 데이터, 내용 등)등을 포함한다.
검색 수행 수단(22)은 사용자의 검색 요청으로부터 검색식을 추출하여 검색식을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한다(S22). 여기서, 검색 서버(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 대상에 따라서 ㄱ)번들 데이터, ㄴ)검색 결과 데이터의 태그 데이터 및 ㄷ)검색 결과 데이터의 내용을 대상으로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색 결과 제공 수단(23)은 검색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로 응답한다(S23). 사용자는 검색 결과를 번들 데이터 또는 검색 결과 리스트로 제공받는다. 물론, 양자를 모두 제공받을 수도 있다. 검색 결과 리스트의 개별 항목은 제목, 내용 일부, 등록일자 등을 포함하여 특정 웹 페이지를 링크하고 있다. 개별 항목은 사용자의 검색어 조합과 태그 데이터가 일치하거나 또는 글 내용이 일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링크된 웹 페이지는 사진, 동영상, 글 등을 게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들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들 데이터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데이터의 구조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의 내부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들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방법의 순서도.

Claims (12)

  1.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어와의 데이터 연관성을 정의한 그래픽 위상 구조의 번들 데이터를 제공한 후, 번들 데이터에 포함되는 관련 단어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수단; 및
    검색 수행을 통하여 얻어진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은,
    사용자가 제공받은 번들 데이터의 그래픽 위상 구조상에서 특정 위치(노드 또는 링크)를 선택받는 경우, 당해 선택된 위치까지의 관련 단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은,
    검색 요청이 복수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AND 연산자와 OR 연산자를 포함하는 검색식을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요청에 포함된 검색 단어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 데이터의 대표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를 대상으로 조회할 것인지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의 내용 데이터를 대상으로 조회할 것인지의 선택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받거나 또는 멀티플 셀렉션(multiple selection)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시스템.
  6. 상기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수단은,
    검색 요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단어를 포함하는 번들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또는 검색 요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단어를 태그 데 이터 또는 내용으로 포함하는 검색 결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시스템.
  7.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어와의 데이터 연관성을 정의한 그래픽 위상 구조의 번들 데이터를 제공한 후, 번들 데이터에 포함되는 관련 단어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의 검색 방법에 있어서,
    (S21)검색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22)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S23)검색 수행을 통하여 얻어진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1)는,
    사용자가 제공받은 번들 데이터의 그래픽 위상 구조상에서 특정 위치(노드 또는 링크)를 선택받는 경우, 당해 선택된 위치까지의 관련 단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1)는,
    검색 요청이 복수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AND 연산자와 OR 연산자를 포함하는 검색식을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1)는,
    상기 검색 요청에 사용자로부터 검색 결과 데이터의 태그 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 단어를 조회할 것인지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의 내용 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 단어를 조회할 것인지의 선택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1)는,
    사용자로부터 번들 데이터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받거나 또는 멀티플 셀렉션(multiple selection)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12.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S23)는,
    검색 요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단어를 포함하는 번들 데이터 를 제공하거나 또는 검색 요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단어를 태그 데이터 또는 내용으로 포함하는 검색 결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KR1020080118067A 2008-11-26 2008-11-26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 KR20100059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67A KR20100059327A (ko) 2008-11-26 2008-11-26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67A KR20100059327A (ko) 2008-11-26 2008-11-26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327A true KR20100059327A (ko) 2010-06-04

Family

ID=4236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067A KR20100059327A (ko) 2008-11-26 2008-11-26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93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53B1 (ko) * 2011-08-10 2013-11-20 (주)다음소프트 연관어를 이용한 확장 키워드 검색 광고 방법
KR20220032194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해 전자 문서에 대한 상세 검색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53B1 (ko) * 2011-08-10 2013-11-20 (주)다음소프트 연관어를 이용한 확장 키워드 검색 광고 방법
KR20220032194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검색 키워드 분석을 통해 전자 문서에 대한 상세 검색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90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 hierarchical database and an unstructured database with a single search query
US6510422B1 (en) Cost based materialized view selection for query optimization
US7822734B2 (en) Selecting and presenting user search results based on an environment taxonomy
KR100724122B1 (ko) 데이터의 연관성 구조를 저장하는 번들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US20060206466A1 (en) Evaluating relevance of results in a semi-structured data-base system
US20080104024A1 (en) Highlighting results in the results page based on levels of trust
US20190243834A1 (en) Database hierarchy-independent data drilling
US8560525B2 (en) Query translation for searching complex structures of objects
JP2005267612A (ja) 暗黙の述部を使用する改良されたクエリ・オプティマイザ
JP2006092515A (ja) 索引キーを使用して検索を絞込む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90019077A1 (en) Accelerating value-based lookup of XML document in XQuery
US20140280358A1 (en) Machine for recognizing or generating jabba-type sequences
US200803069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arching of information resources
KR20070012891A (ko) 연상 키워드를 이용한 관계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CN106156171A (zh) 一种面向虚拟资产数据的查询优化方法
KR20100059327A (ko) 데이터의 연관성을 정의한 번들 데이터를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 검색 방법
JP2005056371A (ja) Web検索情報の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ム
KR100884200B1 (ko) 태그의 의미 식별자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37612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61799B1 (ko) 사용자 관심 컨텐츠에 대하여 퍼스널 히스토리 데이터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JP3892825B2 (ja) データベース検索支援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ベース検索支援方法
US20040201631A1 (en) Generating a list of addresses in an index page
JP4393498B2 (ja) 構造化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030145112A1 (en) Assisted entering of addresses
KR100284573B1 (ko) 인터넷상에서알*-티알이이의공간색인을이용한공간데이터베이스관리장치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