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284A - 액상 수지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상 수지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284A
KR20100059284A KR1020080118007A KR20080118007A KR20100059284A KR 20100059284 A KR20100059284 A KR 20100059284A KR 1020080118007 A KR1020080118007 A KR 1020080118007A KR 20080118007 A KR20080118007 A KR 20080118007A KR 20100059284 A KR20100059284 A KR 20100059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ixed resin
mixed
defoam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720B1 (ko
Inventor
엄문광
이상복
이상관
이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7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4Venting or degassing ; Removing liquids, e.g. by evaporating components
    • B29B7/845Venting, degassing or removing evaporated components in devices with rotary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2013/005Degassing undesirable residual components, e.g. gases, unreacted monomers, from material to be moulded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resin) 내부의 기포를 연속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탈포수단과, 복합재료 성형용 금형 내부에 공급되는 수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액상 수지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는, 액상수지 또는 첨가제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조(120)와, 상기 액상수지와 첨가제가 혼합되는 혼합조(140)와, 상기 혼합조(140)에서 혼합된 혼합수지를 유동시켜 진공 상태에서 기포를 분리하는 탈포수단(150)과, 상기 탈포수단(150)으로부터 혼합수지를 공급받아 내부에 장입된 강화재(182)에 함침하는 함침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포수단(150)과 함침수단(180) 사이에는,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 혼합수지의 충진량에 따라 혼합수지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17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포 시간 및 수지 함침 시간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량율이 감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탈포, 압력, 주입, 복합재료, 장치

Description

액상 수지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A liquid resin infu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s of using the sam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주입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 중 일 단계인 수지탈포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의 일 단계인 수지유동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에서 일 구성인 압력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에서 일 구성인 압력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액상 수지 주입장치 120. 저장조
140. 혼합조 150. 탈포수단
151. 경사부 152. 보관조
153. 가열수단 154. 탈포용기
155. 진공형성기 160. 이송강제펌프
165. 공급관 166. 제1공급관
167. 제2공급관 168. 유동제어밸브
169. 체크밸브 170. 압력조절수단
171. 압축팩 172. 유체안내구
173. 구획박스 174. 진공펌프
176. 가압수단 178. 감지수단
180. 함침수단 182. 강화재
S200. 재료준비단계 S300. 재료혼합단계
S400. 수지탈포단계 S420. 수지이송과정
S440. 수지탈포과정 S460. 수지보관과정
S600. 수지유동단계 S620. 수지유동과정
S640. 압력조절과정 S660. 수지공급과정
S800. 수지함침단계
본 발명은 수지(resin) 내부의 기포를 연속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탈포수단과, 복합재료 성형용 금형 내부에 공급되는 수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액상 수지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란 두 가지 이상 구성물질의 혼합체로써 서로 화학적으로 구분되는 구성물질들이 각각의 특성을 유지한 채로 결합되어 있으면서 각 구성물질의 독특한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개개의 구성물질이 분리 되어 있을 때 보다 좋은 특성을 얻고자 인위적으로 구성된 물질을 일컫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 재료용 복합재료의 구성물질은 기지와 강화재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기지는 강화재를 서로 결합시키고 강화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복합재료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복합재료 내에서 연속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강화재는 외부응력을 지탱하여 복합재료가 기지에 비해 좋은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게 하며 기지 내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 휘스커 또는 섬유 형태의 구성물질이다.
이러한 복합재료 및 제조 방법과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08-0066941호에는 "벌크 수지 주입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이하 상기 종래의 기술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주입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주입장치(10)는 강화재 역할을 하는 예비성형체(20)와 기지 역할을 하는 수지(36)가 내부에 장입되는 BRI장치(12)와, 상기 BRI장치(12)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6) 및 상기 BRI장치(12)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한 진공발생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BRI장치(12)는 예비성형체(14)에 수지(16)가 함침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내부에는 상기 예비성형체(14)와 수지(16)가 안착되는 굴대(1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굴대(18)는 외피(2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외피(20)는 진공발생기(22)가 동작시에 선택적으로 진공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지(16)는 외피(20)의 수축으로 인해 발생된 압력으로 상기 예비성형체(14)로 함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26)는 BRI장치(12)에 열을 공급하여 수지(16)를 용융시킴으로써 예비성형체(14)에 보다 용이하게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주입장치(10)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수지(16)는 예비성형체(14)에 함침될 수 있도록 히터(26)로부터 공급받은 열에 의해 용융된다. 이때 상기 수지(16) 내부에는 기포가 다수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기포는 예비성형체(14) 내부에 잔류하게 되어 복합재료의 내구성 및 물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외피(20)는 진공발생기(22)에 의해 제공된 압력으로 내부 공간이 축소되어 상기 수지(16) 및 예비성형체(14)를 가압하게 되는데, 상기 수지(16)의 양이 부정확하게 되면, 예비성형체(14) 내부에 모두 함침되지 못하고 남거나, 모자라는 등 제품 불량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지(16)의 용융상태가 고르지 못하면 예비성형체(14) 내부로의 함침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수지(16)의 충분한 용융 상태를 위해 상당한 시간(용융 시간)을 할애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진공발생기(22)에서 발생된 압력은 외피(20) 내부 공간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므로 수지(16)가 고르게 함침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resin) 내부의 기포를 연속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탈포수단을 구비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재료 성형용 금형 내부에 공급되는 수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포수단을 이용한 수지의 연속적인 수지탈포단계와, 탈포된 수지의 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주입하는 수지주입단계를 구비하여 생산성 및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는, 액상수지 또는 첨가제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조와, 상기 액상수지와 첨가제가 혼합되는 혼합조와, 상기 혼합조에서 혼합된 혼합수지를 유동시켜 진공 상태에서 기포를 분리하는 탈포수단과, 상기 탈포수단으로부터 혼합수지를 공급받아 내부에 장입된 강화재에 함침하는 함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포수단과 함침수단 사이에는, 상기 함침수단 내부 혼합수지의 충진량에 따라 혼합수지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혼합수지를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압축팩과; 상기 압축팩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며, 내부에는 유체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체안내구와; 상기 압축팩을 내부에 수용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박스와; 상기 구획박스 내부가 선택적으로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구획박스 내부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압축팩 내부의 유체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포수단은, 상기 혼합조에서 제공받은 혼합수지를 경사지게 안내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안내된 혼합수지를 보관하는 보관조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유동하는 혼합수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경사부, 보관조 및 가열수단을 내부에 수용하는 탈포용기와, 상기 탈포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형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부의 일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부는 지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포수단과 함침수단 사이에는, 상기 보관조에서 제공되는 혼합수지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급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보관조에서 제공되는 혼합수지의 일부를 상기 함침수단으로 안내하는 제1공급관과, 상기 보관조에서 제공되는 혼합수지의 나머지를 상기 함침수단으로 안내하는 제2공급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은, 상기 함침수단의 입구부에서 연통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혼합수지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동제어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은, 함침수단 내부에 강화재를 장입하고, 저장조에 액상의 수지를 저장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수지가 포함된 혼합수지를 가열 및 유동시켜 내부의 기포를 연속적으로 분리하는 수지탈포단계와, 탈포된 혼합수지를 함침수단 내부로 안내하는 수지유동단계와, 상기 함침수단 내부로 유입된 혼합수지를 강화재에 함침하는 수지함침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료준비단계와 수지탈포단계 사이에는, 상기 수지에 첨가제를 첨가하 여 혼합하는 재료혼합단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지탈포단계는, 상기 탈포수단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부 상면에 혼합수지를 공급하는 수지이송과정과, 상기 경사부를 따라 유동하는 혼합수지를 가열하여 탈포하는 수지탈포과정과, 탈포된 수지를 탈포수단 내부에 구비된 보관조에 보관하는 수지보관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지유동단계는, 상기 탈포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혼합수지를 공급관으로 안내하는 수지유동과정과, 상기 공급관의 내부로 유입된 혼합수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과정과, 상기 혼합수지를 함침수단 내부로 공급하는 수지공급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과정은, 상기 공급관 일측에 구비되어 진공도를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수지의 유량을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과정에서, 상기 함침수단 내부 공간에 혼합수지의 충진량이 증가할 때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혼합수지에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과정에서, 상기 함침수단 내부 공간에 혼합수지가 충진되는 시점에서는 혼합수지에 가하는 압력이 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탈포 시간 및 수지 함침 시간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량율이 감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100)의 구성 설명에 앞서, 혼합수 지의 최적화된 탈포 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위한 실험에서는, 에폭시 수지(BMI)에 첨가제(CYCOM 5250-4)를 소량 첨가한 혼합수지를 일정한 온도(100℃)의 진공 분위기에서 동일한 용기에 각각 다른 높이로 담은 후 탈포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혼합수지의 높이 수두(㎜)는 12㎜, 17㎜, 25㎜ 였다. 그 결과, 수두 높이가 변화함에 따른 탈포 시간은 각각 15분, 40분, 80분이 소요되었다.
이것은, 동일한 온도, 진공도 및 혼합수지의 표면적일 때 높이 수두(㎜)가 증가함에 따라 탈포시간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100)의 요부 구성인 탈포수단(150)에서는 혼합수지의 높이 수두(㎜)를 낮추고 표면적을 넓게하여 탈포 시간이 감소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액상 수지 주입장치(100)는, 액상수지 또는 첨가제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조(120)와, 상기 액상수지와 첨가제가 혼합되는 혼합조(140)와, 상기 혼합조(140)에서 혼합된 혼합수지를 유동시켜 진공 상태에서 기포를 분리하는 탈포수단(150)과, 상기 탈포수단(150)으로부터 혼합수지를 공급받아 내부에 장입된 강화재(182)에 함침하는 함침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조(120)는 혼합수지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지 및 첨가제가 각각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혼합조(140)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조(140) 내부로 유입된 수지 및 첨가제는 혼합조(140) 내부에서 혼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조(140) 내부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지와 첨가제의 원활한 교반을 위하여 교반날개 및 교반모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조(140)의 우측에는 탈포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탈포수단(150)은 복합재료의 내부에 잔류시에 기공을 형성하여 복합재료의 내부 결함을 야기하는 기포를 수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복합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드시 요구된다.
상기 탈포수단(15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탈포수단(150)은 상기 혼합조(140)에서 제공받은 혼합수지를 경사지게 안내하는 경사부(151)와, 상기 경사부(151)를 따라 안내된 혼합수지를 보관하는 보관조(152)와, 상기 경사부(151)를 따라 유동하는 혼합수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수단(153)과, 상기 경사부(151), 보관조(152) 및 가열수단을 내부에 수용하는 탈포용기(154)와, 상기 탈포용기(154)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들기 위한 진공형성기(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151)는 혼합조(140)에서 빠져나와 관을 따라 유동한 혼합수지를 상면으로 제공받아 우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혼합수지와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평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51)는 지면에 대한 각도가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경사부(151)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는 수지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수지는 점성, 유동성이 서로 상이하여 탈포 시간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51)는 비교적 탈포가 용이한 수지를 안내하는 경우에는 지면에 대하여 급격한 경사를 갖게 되며, 탈포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수지를 안내하는 경우에는 지면에 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안내하게 될 수지의 종류에 적절한 각도로 상기 경사부(151)의 경사각을 변경함으로써 수지의 점도 및 기포 함량 변화에 따른 탈포 효율 및 탈포 시간이 충족될 수 있게 되며, 연속적인 탈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51)의 우측에는 보관조(152)가 구비된다. 상기 보관조(152)는 경사부(151)를 지나면서 탈포된 혼합수지가 저장되는 곳으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경사부(151)에 의해 안내되어 내부로 유입된 혼합수지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관조(152)의 좌측 벽면은 좌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51)의 우측 단부(보관조(152)의 좌측 벽면과 만나는 부위)는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51)의 상면을 따라 우측으로 안내된 혼합수지는 라운드진 단부와 경사진 보관조(152) 벽면에 의해 급격한 낙하가 방지되어 기포 발생이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 경사부(151)의 하면에는 가열수단(153)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수단(153)은 전원 공급시에 선택적으로 발열하여 상기 경사부(151)에 열을 제공함으로써 경사부(151) 상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는 혼합수지를 데우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153)으로부터 열을 제공받은 혼합수지는 점도가 낮아져 내부에 포함된 기포의 탈포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부(151)와 가열수단(153) 및 보관조(152)는 탈포용기(154)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탈포용기(154)는 외부와 격리되어 선택적으로 내부가 진공 분위기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탈포용기(154)의 우측 상부에는 진공형성기(155)가 구비된다.
상기 진공형성기(155)는 탈포용기(154)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진공형성기(155)가 작동시에 탈포용기(154) 내부는 진공 분위기가 되어 경사부(151) 상면을 유동하는 혼합수지의 탈포를 돕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수지는,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수지 두께가 낮아진 상태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부(151)와, 점도를 낮추기 위한 가열수단(153)과, 탈포용기(154) 및 진공형성기(155)에 의한 진공 분위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탈포수 단(150) 내부에서 연속적인 탈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탈포수단(150)과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압력조절수단(170) 사이에는 이송강제펌프(16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강제펌프(160)는 탈포수단(150) 내부의 혼합수지,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조(152) 내부의 혼합수지가 압력조절수단(170)으로 강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탈포용기(154) 내부는 혼합수지의 탈포를 위해 진공 분위기를 가지며,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게 될 압력조절수단(170)의 내부도 진공 분위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보관조(152) 내부의 혼합수지는 우측 방향으로 유동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이송강제펌프(160)는 혼합수지를 우측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킴으로써 압력조절수단(170)으로 혼합수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강제펌프(160) 우측에는 이송강제펌프(160)에서 펌핑된 혼합수지가 복합재료 성형용 금형인 함침수단(180)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공급관(165)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165)은 압력조절수단(170)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이송강재펌프(160)에서 펌핑된 혼합수지가 압력조절수단(1700) 내부를 경유한 후 상기 함침수단(180)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관(165) 일측에는 체크밸브(169)가 구비된다. 상기 체크밸브(169)는 혼합수지가 좌측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 혼합수지가 완전히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팩(171)이 수축될 때 혼합수지가 함침수단(180)으로만 유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상기 체크밸브(169)는 공급관(165)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혼합수지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공급관(165)의 일단부에는 압력조절수단(170)이 구비되어, 공급하고자 하는 혼합수지의 압력을 제어하면서 상기 함침수단(180)에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공급관(167)의 우측부에는 압력조절수단(170)이 구비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17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 공급되어질 혼합수지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강화재(182) 내부에 고르게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력조절수단(170)은 함침수단(180) 내부 혼합수지의 충진량의 변화시에 변화하는 압력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혼합수지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조절수단(170)은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로 혼합수지가 경유하는 압축팩(171)과, 상기 압축팩(171)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며, 내부에는 유체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체안내구(172)와, 상기 압축팩(171)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 공간과 구획하는 구획박스(173)와, 상기 구획박스(173) 내부가 선택적으로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174)와, 상기 구획박스(173) 내부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압축팩(171) 내부의 수지가 외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수단(176)과, 상기 압축팩(171) 내부의 수지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7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팩(171)은 구획박스(173)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었을 때 팽창하여 내부에 혼합수지가 유입 및 저장되며, 상기 이송강제펌프(160) 및/또는 가압수단(176)으로부터 압력을 제공받아 수축시에는 내부에 저장된 혼합수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팩(171)은 진공 분위기하에서 혼합수지를 가압할 때 찢어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팩(171) 내부에는 유체안내구(172)가 구비된다. 상기 유체안내구(172)는 압축팩(171)의 수축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유체안내구(172)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획박스(173)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었을 때 흡착되어 혼합수지의 유로가 막히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축팩(171)의 내부 공간 흡착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체안내구(172)는 외부의 압력에 대하여 일정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일정한 외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내부로는 혼합수지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통기성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유체안내구(172)는 내부에 다수 기공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망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외형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또는 봉재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팩(171)과 유체안내구(172)는 구획박스(173) 내부에 내장되며, 상 기 구획박스(173)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유지하도록 견고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박스(173) 내부 공간은 진공펌프(174) 및 가압수단(176)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이렇게 연통된 공간은 외부와 단절되게 폐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174)가 작동하여 구획박스(173) 내부 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면, 상기 압축팩(171)은 부피가 팽창하면서 흡입력을 발생하여 혼합수지를 비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가압수단(176)이 작동하여 구획박스(173) 내부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압축팩(171)은 부피가 축소되어 내부의 혼합수지를 외부(함침수단(180))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174)와 가압수단(176)은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진공펌프(174)는 압축팩(171) 내부에 혼합수지의 양이 감소할 때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진공형성기(160)에서 제공하는 혼합수지를 내부로 수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176)은 상기 진공펌프(174)의 작동으로 압축팩(171) 내부에 혼합수지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 혼합수지의 충진량이 증가할 때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구획박스(173) 내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압축팩(171) 내부의 혼합수지가 함침수단(180) 내부 공간에 완전히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 공급된 혼합수지의 충진량이 증가할 때 가압수단(176)은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아직 충진되지 않은 양만큼을 강제 공급하게 된 다.
즉, 함침 초기단계에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압력이 진공압 수준으로 낮은 경우, 상기 압축팩(171)과 구획박스(173) 사이의 압력은 함침수단(180) 내부의 진공압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수단(176)을 작동시켜 압축팩(171)을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압축팩(171) 내부의 혼합수지가 함침수단(180) 내부로 충진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함침수단(180) 내부로 혼합수지가 충진됨에 따라 내부압력이 진공압 이상으로 증가하더라도 압축팩(171)과 구획박스(173) 사이의 압력을 함침수단(180) 내부압력 이상의 수준으로 제어하여 함침수단(180)에 혼합수지가 원활히 함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 혼합수지가 완전히 충진되면, 상기 가압수단(178)은 작동을 멈추어 더 이상 함침부 내부로 수지 유동을 강제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69)는 공급관(165)를 차폐하여 압축팩(171) 내부의 혼합수지가 좌측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상기 압축팩(171) 하측에는 감지수단(178)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수단(178)은 압축팩(171) 내부의 혼합수지량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감지수단(178)은 압축팩(171) 내부의 혼합수지량이 감소할 때 이를 감지하여 상기 진공펌프(174) 및 가압수단(176)과 연동함으로써 상기 압축팩(171) 내부에 혼합수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수단(178)은 혼합수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 양하게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감지수단(178)은 압축팩(171)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거리측정센서를 적용하여 압축팩(171)의 부피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압축팩(171) 내부의 혼합수지량을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수단(170)의 우측에는 함침수단(180)이 구비된다. 상기 함침수단(18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및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강화재(182)가 안착되며, 공간의 크기는 복합재료의 크기와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함침수단(180)의 내부 공간은 압축팩(171) 및 공급관(165)의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는 공급관(165)을 경유하여 유동한 혼합수지가 유입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 중 일 단계인 수지탈포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의 일 단계인 수지유동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복합재료를 구성하게 될 액상의 수지와 강화재(182) 및 첨가제 등의 부재료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200)가 실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재료준비단계(S200)에서 저장조(120)의 각각에는 주재료가 되는 수지, 경화제 또는 첨가제 등이 장입되어 보관되며,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는 강화재(182)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재료준비단계(S200) 중에는 아래의 수지탈포단계(S400)에서 탈포되어질 수지의 종류, 수지에 포함된 기포의 양, 점도 등의 변수에 따라 경사부(151)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지가 포함된 혼합수지를 가열 및 유동시켜 내부의 기포를 연속적으로 분리하는 수지탈포단계(S400)가 실시된다.
상기 수지탈포단계(S400)는 탈포수단(150) 내부를 경유시키는 과정 중에 완료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사부(151) 상면에 혼합수지를 공급하는 수지이송과정(S420)과, 상기 경사부(151)를 따라 유동하는 혼합수지를 가열하여 탈포하는 수지탈포과정(S440)과, 탈포된 수지를 보관조(152)에 보관하는 수지보관과정(S46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지이송과정(S420)과 수지탈포과정(S440)은 동시에 실시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수지의 점도는 가열에 의해 낮아지게 되며, 경사부(151) 상면을 따라 우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동하는 혼합수지는 결국 낮은 수두 높이를 가진 상태가 되므로 탈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지탈포과정(S440)과 수지이송과정(S420)이 동시에 실시될 때 상기 진공형성기(155)는 동작하여 탈포용기(154) 내부가 진공 분위기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혼합수지 내부의 기포 및 휘발성분은 제거되고, 탈포된 혼합수지는 자중에 의해 보관조(152)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관조(152)로 유입되는 과정중에 혼합수지는 경사부(151)의 라운드진 우측단부와 보관조(152)의 경사진 좌측벽면에 의해 급속한 낙하는 방지되므로 보관조(152) 내부에 보관되면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재료준비단계(S200)와 수지탈포단계(S400) 사이에는 재료혼합단계(S3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재료혼합단계(S300)는 재료준비단계(S200)에서 요구되는 재료, 특히 수지 및 첨가제가 다수인 경우 이를 혼합하기 위한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재료준비단계(S200)에서 재료가 단수인 경우에는 별도의 재료혼합단계가 실시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재료혼합단계(S300)는 재료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탈포단계(S400) 이후에는 수지유동단계(S600)가 실시된다. 상기 수지유동단계(S600)는 혼합수지를 함침수단(180)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과정이다.
즉, 상기 수지탈포단계(S400)에서 탈포된 혼합수지는 수지유동단계(S600)에서 공급관(165)을 따라 이동한 후 가압수단(170) 내부에 일시 보관되며, 이후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유동단계(S600)에서 함침수단(180)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수지의 양은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의 공간의 부피와 대응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지유동단계(S600)는 다수의 과정을 통해 혼합수지를 함침수단(180) 내부로 적정한 양만큼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수지유동단계(S600)는 도 5와 같이, 탈포수단(150)으로부터 제공받은 혼합수지를 공급관(165)으로 안내하는 수지유동과정(S620)과, 상기 공급관(165) 내부로 유입된 혼합수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과정(S640)과, 상기 혼합수지를 함침수단(180) 내부로 공급하는 수지공급과정(S660)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지유동과정(S620)에서 혼합수지는 이송강제펌프(160) 및 진공펌프(174)의 동시 작동에 의해 상기 공급관(165) 내부를 유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압수단(176)은 정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압축팩(171) 내부에 혼합수지가 충분하게 충진되면, 상기 진공펌프(174) 및 이송강제펌프(160)는 동작을 정지하게 되며, 상기 가압수단은 구획박스(173) 내부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압축팩(171)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팩(171) 내부의 혼합수지는 함침수단(180) 내부로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력조절과정(S640)과 수지공급과정(S660)은 선택적으로 그 실시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수지유동과정(S620)에서 공급관으로 유동한 혼합수지는 압축팩(171)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일정량만큼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수지공급과 정(S660)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174)와 이송강제펌프(160)는 동시에 작동하더라도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 공간에는 완전히 비어있는 상태에서는 압력이 크지 않으므로 혼합수지의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 혼합수지가 일정량 이상 충진되어 공간이 좁아지게 되면, 상기 압력조절과정(S640)을 실시하여 상기 혼합수지가 완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의 혼합수지가 일정량 이상 충진되면,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상기 이송강제펌프(160)의 펌핑력만으로는 수지 공급이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174)는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가압수단(176)을 동작시켜 상기 압축팩(171) 내부에 잔류한 혼합수지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함침수단(180) 내부로 강하게 공급하면 된다.
이후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로 혼합수지를 공급함에 따라 내부가 비워진 압축팩(171)은 상기 감지수단(178)에 의해 혼합수지의 양이 감지되며, 상기 감지수단(178)은 이송강제펌프(160) 및 진공펌프(174)와 연동하여 상기 압축팩(171) 내부에 혼합수지가 충진 및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액상 수지 주입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 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관(165)은 보관조(152)에서 빠져나온 혼합수지의 일부를 하측에서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관(166)과, 상기 제1공급관(166)에서 분지되어 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공급관(16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급관(166)과 제2공급관(167)은 함침수단(180)의 입구부에서 연통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관(166)과 제2공급관(167)을 통해 분지된 혼합수지는 함침수단(180)의 입구부에서 서로 섞여 함침수단(180)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174)는 제1공급관(166)이 차폐된 상태에서만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공급관(166)의 일측에는 유동제어밸브(168)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제어밸브(168)는 함침수단(180) 내부에 혼합수지를 급속하게 충진하고자 할 때 제1공급관(166)을 개방하며, 함침수단(180) 내부에 혼합수지의 충진량이 일정 수준이 되어 소량이 더 요구될 때에는 제1공급관(16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가압수단(176)은 작동하여 압축팩(171)을 수축시킴으로써 혼합수지가 제2공급관(167)과 제1공급관(166)의 우측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진공펌프(174)는 작동을 중지하여 상기 가압수단(176)이 압축팩(171)을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반대로 상기 압축팩(171) 내부에 혼합수지를 비축할 때에는 상기 진공펌프(174)가 작동하여 압축팩(171)을 팽창시킴으로써 혼합수지가 압축팩(171) 내부로 유입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강제수단(160)도 동시에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액상 수지 주입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 수지유동단계(S600)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상기 수지유동과정(S620)에서 제1공급관(166)과 제2공급관(167)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함침수단(180) 내부에 혼합수지를 장입하기 시작할 때 동시에 개방되어 신속한 혼합수지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압축팩(171)은 수축되지 않고 이완된 상태(구획박스(173)의 내부 압력이 최소인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이송강제펌프(160)에 의해 우측으로 강제 유동된 혼합수지는 제1공급관(166)과 제2공급관(167)으로 분지되어 함침수단(180)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 혼합수지가 일정량 이상 장입되어 함침수단(180) 내부 압력과 구획박스(173) 내부 압력의 차이가 작아지면, 상기 제1공급관(166)의 유동제어밸브(168)는 차폐되어 혼합수지의 유동을 제한하게 되며, 상기 진공펌프(174)는 작동을 멈추고 상기 가압수단(176)만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상기 압축팩(171)은 혼합수지에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키게 되며, 상기 혼합수지는 제2공급관(167)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팩(171)에서 압축된 혼합수지는 체크밸브(169)에 의해 좌 측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압력조절과정(S640)이 완료되면, 상기 제1공급관(166) 및 제2공급관(167)을 통해 우측방향으로 유동하는 혼합수지는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로 유입된다.(수지공급과정(S660)).
상기 수지유동단계(S600)가 진행되는 과정 중에 상기 수지함침단계(S800)는 동시에 진행되며, 상기 수지함침단계(S800)에 의해 강화재(182) 내부에 혼합수지가 완전히 함침되면, 상기 진공펌프(174)는 다시 동작하고, 상기 가압수단(176)은 정지하여 상기 압축팩(171) 내부에는 혼합수지가 충진 된다.
이하 상기 압력조절수단(17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수지 주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과 같이, 상기 액상 수지 주입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구성은 유사하나 압력조절수단(170)의 구성이 변경 적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력조절수단(170)은 압축팩(171), 진공펌프(174), 유체안내구(172), 구획박스(173), 가압수단(176) 및 감지수단(17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공을 통해 혼합수지의 유동 압력이 제어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77)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혼합수지에 제공되는 압력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유동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압력조절수단(170)은 압력조절관(175)이 제1공급관(166)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압력조절관(175)의 내부에는 유량조절구(17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구(176)는 탄성부재(177)와 연결되며, 오리피스(178)의 우측단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관(175) 내부에 혼합수지가 유입될 때 함침수단(180) 내부로 많은 양의 혼합수지가 공급되어져야 한다면, 상기 탄성부재(177)는 유량조절구(176)와 혼합수지의 간섭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인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함침수단(180) 내부에 요구되는 혼합수지의 충진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압력조절관(175) 내부에 적은 압력이 발생되고, 상기 탄성부재(177)는 유량조절구(176)와 혼합수지의 간섭량이 줄어들어 우측 방향으로 인장되는 양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170)은 도 8과 같이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압력조절수단(17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력조절관(175)이 좌/우로 길게 위치하여 유량조절구(176)가 탄성부재(177)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의 압력조절수단(170)에서는 상기 압력조절관(175)이 세로로 길게 세워지고, 유량조절구(176)는 자중에 의해 오리피스(178)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혼합수지의 양의 변화에 대응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지(resin) 내부의 기포를 연속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탈포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탈포를 위한 공정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탈포 효율이 증대되어 고품질의 복합재료를 생산 가능하게 되므로 제조 원가 절감으로 인한 가격 경쟁력 향상이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함침수단 내부로 공급되는 혼합수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함침수단 내부로 혼합수지가 과충전되거나, 미충전되는 불량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액상수지 또는 첨가제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조와,
    상기 액상수지와 첨가제가 혼합되는 혼합조와,
    상기 혼합조에서 혼합된 혼합수지를 유동시켜 진공 상태에서 기포를 분리하는 탈포수단과,
    상기 탈포수단으로부터 혼합수지를 공급받아 내부에 장입된 강화재에 함침하는 함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포수단과 함침수단 사이에는,
    상기 함침수단 내부 혼합수지의 충진량에 따라 혼합수지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혼합수지를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압축팩과;
    상기 압축팩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며, 내부에는 유체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체안내구와;
    상기 압축팩을 내부에 수용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박스와;
    상기 구획박스 내부가 선택적으로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구획박스 내부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압축팩 내부의 유체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포수단은,
    상기 혼합조에서 제공받은 혼합수지를 경사지게 안내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안내된 혼합수지를 보관하는 보관조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유동하는 혼합수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경사부, 보관조 및 가열수단을 내부에 수용하는 탈포용기와,
    상기 탈포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형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일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
  5. 제 3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지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포수단과 함침수단 사이에는,
    상기 보관조에서 제공되는 혼합수지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급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보관조에서 제공되는 혼합수지를 선택적으로 상기 함침수단에 안내하는 제1공급관 및 제2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은,
    상기 함침수단의 입구부에서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혼합수지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동제어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
  10. 함침수단 내부에 강화재를 장입하고, 저장조에 액상의 수지를 저장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수지가 포함된 혼합수지를 가열 및 유동시켜 내부의 기포를 연속적으로 분리하는 수지탈포단계와,
    탈포된 혼합수지를 함침수단 내부로 안내하는 수지유동단계와,
    상기 함침수단 내부로 유입된 혼합수지를 강화재에 함침하는 수지함침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준비단계와 수지탈포단계 사이에는,
    상기 수지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재료혼합단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탈포단계는,
    상기 탈포수단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부 상면에 혼합수지를 공급하는 수지이송과정과,
    상기 경사부를 따라 유동하는 혼합수지를 가열하여 탈포하는 수지탈포과정과,
    탈포된 수지를 탈포수단 내부에 구비된 보관조에 보관하는 수지보관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유동단계는,
    상기 탈포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혼합수지를 공급관으로 안내하는 수지유동과정과,
    상기 공급관의 내부로 유입된 혼합수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과정과,
    상기 혼합수지를 함침수단 내부로 공급하는 수지공급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과정은,
    상기 공급관 일측에 구비되어 진공도를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수지의 유량을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과정에서,
    상기 함침수단 내부 공간에 혼합수지의 충진량이 증가할 때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혼합수지에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과정에서,
    상기 함침수단 내부 공간에 혼합수지가 충진되는 시점에서는 혼합수지에 가하는 압력이 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
KR1020080118007A 2008-11-26 2008-11-26 액상 수지 주입장치 KR10105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07A KR101054720B1 (ko) 2008-11-26 2008-11-26 액상 수지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07A KR101054720B1 (ko) 2008-11-26 2008-11-26 액상 수지 주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345A Division KR101054719B1 (ko) 2010-10-18 2010-10-18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284A true KR20100059284A (ko) 2010-06-04
KR101054720B1 KR101054720B1 (ko) 2011-08-05

Family

ID=4236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007A KR101054720B1 (ko) 2008-11-26 2008-11-26 액상 수지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128B1 (ko) * 2020-11-24 2021-09-13 코오롱데크컴퍼지트 주식회사 수지 유동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0584A (ja) 1998-05-13 1999-11-24 Sekisui Chem Co Ltd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4170546B2 (ja) * 1999-12-27 2008-10-22 株式会社東芝 絶縁コイル、樹脂の含浸装置および樹脂の含浸方法
KR100759994B1 (ko) * 2006-09-29 2007-09-19 (주)서진라이트 기포제거장치기가 설치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720B1 (ko) 201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1482B2 (ja) 液体保持容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EP0317176A2 (en)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therefor and moldings produced thereby
US20080305205A1 (en) Liquid supply system
CN112912236A (zh) 用于生产纤维增强复合零件的灌注装置和方法
JPS62179927A (ja) 発泡プラスチツクから成形品を製造する装置
US6790020B2 (en) System for producing foamed article, a molten resin preparing apparatus and a molding apparatus for use in foamed article production system
US62184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as occlusion-free and void-free compounds and composites
KR101054720B1 (ko) 액상 수지 주입장치
KR101054719B1 (ko) 액상 수지 주입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 방법
JP4292971B2 (ja) Frp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1151837A1 (en) Method for producing gas occlusion-free and void-free compounds and composites
JPH04314509A (ja) 流体圧縮ユニットを利用する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方法および装置
US5795601A (en) Apparatus for supplying inorganic slurry to an injection mold
KR102316839B1 (ko) Rtm 성형장치
KR101926755B1 (ko) 일정한 유량제어가 가능한 열경화성 수지 주입 장치
KR20030050833A (ko) 초미세 발포 플라스틱 성형장치
KR100754277B1 (ko) 에폭시수지 진공가압 클램핑 머신(apg)용 성형장치
KR940003249B1 (ko) 폭발성분을 포함하는 유체의 주입운전 방법 및 그 장치
JP2005088426A (ja) 添加剤を添加可能な射出成形機
JP7058015B2 (ja) 速いサイクルタイムでの連続チャネル樹脂トランスファー成形法
JPH05507447A (ja) 合成材料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220001595A (ko) 주사기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30173384A (ko) 수지 탈포기, 이를 포함하는 vartm 공정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복합재료 성형 방법
KR101942018B1 (ko) 고점도 액체의 탈포장치
CN115716320A (zh) 软模注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