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948A -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 - Google Patents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948A
KR20100058948A KR1020080117545A KR20080117545A KR20100058948A KR 20100058948 A KR20100058948 A KR 20100058948A KR 1020080117545 A KR1020080117545 A KR 1020080117545A KR 20080117545 A KR20080117545 A KR 20080117545A KR 20100058948 A KR20100058948 A KR 20100058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quantity
air cleaning
detected
detected physical
outdoor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167B1 (ko
Inventor
강병일
김도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1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 구비된 공기청정기가 실외의 환경에 따라 연동하도록 하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은, 실외의 먼지의 양 또는 습도를 포함하는 물리량을 감지하는 환경센서모듈; 및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인식하고, 상기 감지된 물리량에 따라 공기청정동작의 강약을 조절하여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청정기, 환경센서모듈, 먼지, 습도, 온도

Description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Outdoor circumstance coupled smart air cleaning system and air clean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 구비된 공기청정기가 실외의 환경에 따라 연동하도록 하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air cleaner)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거나 필터링할 뿐만 아니라, 생활냄새나 담배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공기청정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면 판넬(30)에 형성된 조작부(40)의 버튼들을 조작하여 청정기능을 작동시키면, 공기청정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팬(미도시)이 회전을 시작하면서 전면 판넬(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흡입 그릴(20)을 통해 외부(즉, 실내)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한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그릴(20) 뒷쪽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 어셈블리(미도시)를 통과하면서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냄새가 필터링되면서 깨끗한 공기로 변화한다. 이렇게 청정공기로 변화한 공기는 팬(미도시)의 회전력에 의해 토출 그릴(50)로 유도된 후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 외부(즉,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검은색 화살표는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흰색 화살표는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청정기는 구비된 곳에서 일률적인 공기청정동작만을 하기 때문에, 실외의 먼지의 양, 습도와 같은 환경에 연동하여 실내에서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먼지의 양, 습도, 기압의 크기, 온도, 자외선의 양과 같은 실외환경의 상태를 감지하여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외의 먼지의 양, 습도와 같은 환경에 연동하여 실내에서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의 양, 습도, 기압의 크기, 온도, 자외선의 양과 같은 실외환경의 상태를 감지하여 신속히 알려줄 수 있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외의 먼지의 양 또는 습도를 포함하는 물리량을 감지하는 환경센서모듈; 및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인식하고, 상기 감지된 물리량에 따라 공기청정동작의 강약을 조절하여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경센서모듈은 기압의 크기, 온도, 자외선의 양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다수의 기 설정된 물리량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을 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 는 공기청정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실외의 먼지의 양 또는 습도를 포함하는 물리량을 감지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인식하고, 상기 감지된 물리량에 따라 공기청정동작의 강약을 조절하여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다수의 기 설정된 물리량(제1 물리량, 제2 물리량, 제3 물리량, … )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을 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을 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1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1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제1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정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1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제2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 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2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제2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2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제3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의 먼지의 양, 습도와 같은 환경에 연동하여 실내에서 공기청정동작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실외환경에 맞는 적절한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의 양, 습도, 기압의 크기, 온도, 자외선의 양과 같은 실외환경의 상태를 감지하여 신속히 알려줄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실외환경에 신속히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 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은 크게 환경센서모듈(100), RF(Radio Frequency) 송신모듈(200), 공기청정기 (300)로 구성된다.
환경센서모듈(100)은 실외의 먼지의 양, 습도, 기압의 크기, 온도, 자외선의 양과 같은 물리량을 감지하는데, 환경센서모듈(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지센서(110), 습도센서(120), 기압센서(130), 온도센서(140), 자외선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센서(110)는 실외의 먼지의 양을 측정하고, 습도센서(120)는 실외의 습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기압센서(130)는 실외의 기압의 크기를 측정하고, 온도센서(140)는 실외의 온도를 측정한다. 또한, 자외선센서(150)는 실외의 자외선의 양을 측정한다.
환경센서모듈(100)은 먼지센서(110)나 습도센서(120) 중의 하나를 구비하여 일반 공기청정기나 가습공기청정기와 연동하여 사용되며, 설계에 따라 기압센서(130), 온도센서(140), 자외선센서(15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RF 송신모듈(200)은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공기청정기(300)는 RF 송신모듈(200)로부터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신 호를 수신하여 물리량을 인식하고, 인식한 물리량에 따라 공기청정동작의 강약을 조절하여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데, 공기청정기(300)는 RF 수신모듈(310), A/D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 320), 연산부(330) 및 공기청정동작부(340), 디스플레이부(350)를 포함한다.
RF 수신모듈(310)은 RF 송신모듈(200)이 발생시킨 신호를 수신하고, A/D 컨버터(320)는 RF 수신모듈(310)이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연산부(330)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물리량을 다수의 기 설정된 물리량과 비교하고, 디지털 신호의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을 정한다. 또한, 공기청정동작부(340)는 디지털 신호의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부(350)는 디지털 신호의 물리량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물리량의 구간설정에 따른 공기청정동작을 도식화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환경센서모듈(100)이 실외의 먼지의 양, 습도, 기압의 크기, 온도, 자외선의 양과 같은 물리량을 감지한다(S100). 이때,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신호는 RF 송신모듈(200) 및 RF 수신모듈(310)을 통하여 각각 RF 송신 및 RF 수신되고, A/D 컨버터(320)로 보내어져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연산부(330)로 전송된다.
이후에, 연산부(330)는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제1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S200).
이후에,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제1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연산부(330)는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제1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정하고(S300),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제1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연산부(330)는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제2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S400).
이후에,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제2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연산부(330)는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제2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정하고(S500),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제2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연산부(330)는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제3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정한다(S600).
이후에, 공기청정동작부(340)는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한다(S700). 이때, 디스플레이부(350)는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물리량을 공기청정기 외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실내의 사용자에게 신속히 알려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에 황사가 발생할 경우, 비가 오는 경우, 지대가 높은 곳에 위치한 경우, 더운 여름날씨인 경우 등에 각각 먼지센서, 습도센서, 기압센서, 온도센서가 감지한 먼지의 양, 습도, 기압, 온도를 공기청정기 외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이용한다면 사용자가 공기청정기 가 위치한 지역의 압력변화를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일기예보를 할 수 있고, 쾌적한 생활조건을 지수화하여 건강생활의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기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실외환경에 따라 물 온도 조절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S200 내지 S700 단계에서 물리량의 구간설정에 따른 공기청정동작을 상세히 설명해보도록 하자. 예를 들어, 환경센서모듈(100)이 감지한 신호가 먼지의 양이라고 하고, 감지한 먼지의 양이 각각 20dB, 40dB, 60dB인 3가지 경우를 설정하자. 그리고, 연산부(330)에 기 설정된 제1 물리량 및 제2 물리량을 각각 30dB, 50dB이라 하면, 먼지의 양이 20dB인 경우는 제1 구간에 해당되어 공기청정동작부(340)로 하여금 "약"에 해당하는 풍량을 발생시키게 하고, 먼지의 양이 40dB인 경우는 제2 구간에 해당되어 공기청정동작부(340)로 하여금 "중"에 해당하는 풍량을 발생시키게 하며, 먼지의 양이 60dB인 경우는 제3 구간에 해당되어 공기청정동작부(340)로 하여금 "강"에 해당하는 풍량을 발생시키게 한다.
상기 물리량의 구간설정에 따른 공기청정동작은 대표적으로 먼지의 양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습도, 기압의 크기, 온도, 자외선의 양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물리량은 제1 물리량과 제2 물리량의 2가지로 설정되었으나, 그 이상으로 설정하여 그에 따른 구간을 다양화시켜 공기청정동작을 세분화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물리량의 구간설정에 따른 공기청정동작을 도식화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환경센서모듈 110 : 먼지센서
120 : 습도센서 130 : 기압센서
140 : 온도센서 150 : 자외선센서
200 : RF 송신모듈 300 : 공기청정기
310 : RF 수신모듈 320 : A/D 컨버터
330 : 연산부 340 : 공기청정동작부
3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실외의 먼지의 양 또는 습도를 포함하는 물리량을 감지하는 환경센서모듈; 및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인식하고, 상기 감지된 물리량에 따라 공기청정동작의 강약을 조절하여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모듈은 기압의 크기, 온도, 자외선의 양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다수의 기 설정된 물리량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을 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청정동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5. 실외의 먼지의 양 또는 습도를 포함하는 물리량을 감지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인식하고, 상기 감지된 물리량에 따라 공기청정동작의 강약을 조절하여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다수의 기 설정된 물리량(제1 물리량, 제2 물리량, 제3 물리량, … )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을 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속하는 구간을 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1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1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제1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정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1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제2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2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제2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상기 제2 물리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감지된 물리량이 제3 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물리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방법.
KR1020080117545A 2008-11-25 2008-11-25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 KR10156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545A KR101560167B1 (ko) 2008-11-25 2008-11-25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545A KR101560167B1 (ko) 2008-11-25 2008-11-25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948A true KR20100058948A (ko) 2010-06-04
KR101560167B1 KR101560167B1 (ko) 2015-10-14

Family

ID=4236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545A KR101560167B1 (ko) 2008-11-25 2008-11-25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1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5721A (zh) * 2014-12-23 2015-04-2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空气质量数据显示方法及装置
KR20170014603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KR102165311B1 (ko) 2020-01-13 2020-10-13 양세연 공공시설, 주택, 기타 실내 공간의 공기질 스마트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질 스마트 관리방법
CN111853990A (zh) * 2020-07-27 2020-10-30 广州心蛙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写字楼空气净化系统
KR102398410B1 (ko) 2020-12-17 2022-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실 공기질 관리시스템
KR20230103176A (ko) *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디앤씨 고정형 제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균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801A (ko) 2022-02-08 2023-08-16 김현탁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5631B2 (ja) * 2003-08-13 2008-11-0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空調機の温度制御装置
KR100775616B1 (ko) * 2006-09-12 2007-11-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 운전모드를 갖는 에어컨의 운전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5721A (zh) * 2014-12-23 2015-04-2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空气质量数据显示方法及装置
CN104535721B (zh) * 2014-12-23 2017-04-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空气质量数据显示方法及装置
KR20170014603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KR101879335B1 (ko) * 2015-07-30 201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KR102165311B1 (ko) 2020-01-13 2020-10-13 양세연 공공시설, 주택, 기타 실내 공간의 공기질 스마트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질 스마트 관리방법
CN111853990A (zh) * 2020-07-27 2020-10-30 广州心蛙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写字楼空气净化系统
KR102398410B1 (ko) 2020-12-17 2022-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실 공기질 관리시스템
KR20230103176A (ko) *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디앤씨 고정형 제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균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167B1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8948A (ko) 실외환경에 따라 연동하는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
EP3159622B1 (en) Top cover of air treatment system
AU2009207189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808450B1 (ko) 입상활성탄필터를 갖는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실내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6011704A3 (en) Air conditioner
GB2539449A (en) Monitor for air quality
KR20110136382A (ko) 환경센서를 통한 가정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4289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80123382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636166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14322216A (zh) 一种全屋空气场的监测和交互系统和方法、空调器
KR101016244B1 (ko) 렌지후드 및 욕실 배기팬을 이용한 실내 환기 시스템
KR20180123381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782175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20034247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80123747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4374965B2 (ja) 換気送風装置
CN206017230U (zh) 有害气体自动排风扇
KR102504451B1 (ko)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KR102447165B1 (ko) 각 방 환기 제어시스템
JP3649919B2 (ja) 空気清浄装置
CN204421197U (zh) 家用分体式空调器
CN215062754U (zh) 一种控制器
KR20100058945A (ko) 문의 개폐동작에 의한 rf 신호 발생을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방법
KR10236881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