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674A -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674A
KR20100058674A KR1020107009302A KR20107009302A KR20100058674A KR 20100058674 A KR20100058674 A KR 20100058674A KR 1020107009302 A KR1020107009302 A KR 1020107009302A KR 20107009302 A KR20107009302 A KR 20107009302A KR 20100058674 A KR20100058674 A KR 20100058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data
scrambled data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사하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1/00Secr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04L25/03866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using scram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1Reduction thereof using phase offsets between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28Inverse Fourier transform modulators, e.g.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생성하는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와,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지국측 기억부와, 통신 상대인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와, 서브채널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기지국측 기억부를 제어하는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와,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와,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에 의한 제어하에, 기지국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측 스크램블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10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7-281690 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멀티캐리어 통신이 차세대의 브로드밴드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예컨대, OFDMA란, 직교 관계에 있는 서브캐리어를 복수의 단말에서 공유하여, 임의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서브채널로서 위치를 부여하여, 기지국이 임의의 통신 타이밍(TDMA를 채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이 통신 타이밍은 슬롯 등에 상당함)에 각 단말에 서브채널을 적응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다원 접속을 실현하는 기술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상기와 같은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주파수 방향의 심볼열(복수의 캐리어 신호)에 스크램블을 거는 것에 의해, 송신 신호의 피크 대 평균값 파워비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7-129755 호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서브채널마다 스크램블을 거는 경우, 서브채널 내에서는 주파수 방향으로 데이터가 랜덤화되지만, 서브채널 사이에서는 동일한 스크램블이 걸리게 되어, 피크 팩터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서브채널 사이의 데이터를 랜덤화하기 위해, 각각의 서브채널마다 데이터에 곱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어떻게 변경시킬지가 중요해진다.
예컨대, TDD/TDMA 방식을 채용하는 PHS의 ARIB 규격에서는, 기지국 식별자의 일부를 초기값으로 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스크램블 데이터로서 데이터에 곱함으로써, 데이터의 랜덤화를 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것을 OFDM이나 OFDMA 등의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여, 서브채널마다 다른 초기값을 사용하여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서브채널 사이의 데이터를 랜덤화하는 수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수법에서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서브채널의 수만큼 준비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을 행할 때마다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수법에서는 통신 속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 비용의 증대 및 통신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서브채널 사이의 데이터를 랜덤화하여 피크 팩터를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 1 해결 수단으로서,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하고, 기지국과 단말이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자기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생성하는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지국측 기억부와, 통신 상대인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와,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를 제어하는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와, 상기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에 의한 제어하에,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와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측 스크램블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 확립시에 있어서,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취득한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과 동일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말측 기억부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의 송신 데이터와, 당해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측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단말측 기억부를 제어하는 단말측 하위 제어부와, 상기 단말측 상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와, 상기 단말측 하위 제어부에 의한 제어하에, 상기 단말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와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단말측 스크램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 2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와, 상기 단말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단말측 디스크램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 3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는, 서브채널의 수 Ns, 서브캐리어의 수 Nc, 비트수 B로 이루어지는 2B-1≥Ns×Nc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비트수 B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한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최종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다른 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소정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입력단과 접속된 논리합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에 따른 제 1 해결 수단으로서,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하고,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으로서, 기동시에 있어서, 자기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다른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생성하는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지국측 기억부와, 통신 상대인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와,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를 제어하는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와, 상기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에 의한 제어하에,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와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측 스크램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에 따른 제 2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에 따른 제 3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는, 서브채널의 수 Ns, 서브캐리어의 수 Nc, 비트수 B로 이루어지는 2B-1≥Ns×Nc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비트수 B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한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최종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다른 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소정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입력단과 접속된 논리합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에 따른 제 1 해결 수단으로서,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하고, 기지국과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단말로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 확립시에 있어서,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취득한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과 동일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말측 기억부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의 송신 데이터와, 당해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측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단말측 기억부를 제어하는 단말측 하위 제어부와, 상기 단말측 상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와, 상기 단말측 하위 제어부에 의한 제어하에, 상기 단말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와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단말측 스크램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에 따른 제 2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와, 상기 단말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단말측 디스크램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에 따른 제 3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는, 서브채널의 수 Ns, 서브캐리어의 수 Nc, 비트수 B로 이루어지는 2B-1≥Ns×Nc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비트수 B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한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최종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다른 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소정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입력단과 접속된 논리합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방법에 따른 해결 수단으로서,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하고, 기지국과 단말이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기동시에 있어서, 자기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다른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 단계와,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단계에서 기억된 스크램블 데이터 중에서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판독한 스크램블 데이터와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제 4 단계를 갖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 확립시에 있어서,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취득한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과 동일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6 단계에서 기억된 스크램블 데이터 중에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7 단계에서 판독한 스크램블 데이터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의 송신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제 8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서브채널의 수만큼 준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측에서는 기동시, 단말측에서는 통신 상대인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 확립시에 생성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억해 두고, 이후의 통신에서는 그 기억부에 기억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브채널 사이의 데이터의 랜덤화(스크램블)를 행하므로, 데이터 송신을 행할 때마다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법과 같이 통신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 비용의 증대 및 통신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서브채널 사이의 데이터를 랜덤화하여 피크 팩터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슬롯 및 서브채널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CS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의 상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PS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이들 실시예의 구성 요소끼리 적절히 조합하더라도 좋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멀티캐리어 통신으로서 OFDMA 방식을 채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CS와 단말 PS 및 도시하지 않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진다. 기지국 CS와 단말 PS는, 예컨대,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TDMA), 시분할 복신 방식(TDD)에 더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OFDMA)을 다원 접속 기술로서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기지국 CS는,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단말 PS와 다중 접속을 행하여, 무선 통신을 행한다.
주지와 같이 OFDMA 방식에 있어서는, 직교 관계에 있는 모든 서브캐리어를 전체 단말 PS에서 공유한다. OFDM 방식에서는, 임의의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모임을 하나의 그룹으로서 위치를 부여한다. 각 단말 PS에 하나 또는 복수의 그룹을 적응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다원 접속을 실현한다.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한 OFDMA 방식에, TDMA 방식 및 TDD 방식을 더 조합하고 있다. 다시 말해, 각 그룹을 TDD로서 시간축 방향으로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으로 나누고, 또한 이들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을 각각 4개의 TDMA 슬롯으로 분할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그룹이 시간축 방향으로 각각 TDMA 슬롯으로서 분할된 하나의 단위를 서브채널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2에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주파수와 TDMA 슬롯과 서브채널의 관계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 방향 28개, 시간축 방향 4개(4슬롯)를 곱한 112개의 서브채널이 상향 회선용과 하향 회선용으로 각각 할당된다.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 서브채널 중 주파수 방향의 가장 끝의 서브채널(도 2에서는 1번)을 제어 채널(CCH)로서 사용한다. 나머지의 서브채널을 트래픽 채널(TCH)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 트래픽 채널을 트래픽 서브채널이라고 한다. 그리고,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CS와 단말 PS에는,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의 각각에 속하는 전체 트래픽 서브채널(이 경우, CCH를 제외한 27×4슬롯의 108 서브채널) 중에서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트래픽 서브채널이 할당된다. 또, 통신 채널로서의 상향 회선용 및 하향 회선용의 트래픽 서브채널에는, 같은 트래픽 채널이 할당된다.
이어서, 기지국 CS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기지국 CS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 CS는, OFDM 신호 송신부(1), OFDM 신호 수신부(2),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 기지국측 메모리(기지국측 기억부)(5) 및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기지국측 하위 제어부)(6)를 구비하고 있다.
OFDM 신호 송신부(1)는, CRC 부호 부가부(1a), 기지국측 스크램블부(1b), 오류 정정 부호 부가부(1c), 직렬/병렬 변환부(1d), 서브캐리어 변조부(1e), 역 푸리에 변환부(1f), 가드 인터벌 삽입부(1g) 및 무선 신호 송신부(1h)로 구성되고, OFDM 신호 수신부(2)는, 무선 신호 수신부(2a), 가드 인터벌 제거부(2b), 푸리에 변환부(2c), 서브캐리어 복조부(2d), 병렬/직렬 변환부(2e), 오류 정정부(2f),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2g) 및 CRC 연산부(2h)로 구성되어 있다.
CRC 부호 부가부(1a)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의 지시에 근거하여,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에 리던던시 정보인 오류 검출용의 CRC 부호를 부가하여 기지국측 스크램블부(1b)에 출력한다. 기지국측 스크램블부(1b)는, CRC 부호 부가부(1a)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와, 후술하는 기지국측 메모리(5)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고, 곱셈 처리 후의 송신 데이터를 오류 정정 부호 부가부(1c)에 출력한다. 또, 2진수 1비트의 곱셈 처리로서는 논리곱이나 배타적 논리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타적 논리합(XOR 처리)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오류 정정 부호 부가부(1c)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의 지시에 근거하여, 기지국측 스크램블부(1b)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의 비트열에 컨벌루션 부호 등의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고, 이 비트열을 직렬/병렬 변환부(1d)에 출력한다.
직렬/병렬 변환부(1d)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의 제어하에, 오류 정정 부호 부가부(1c)로부터 출력된 비트열을, 각 서브캐리어마다 비트 단위로 분할하여, 각 서브캐리어 변조부(1e)에 출력한다. 서브캐리어 변조부(1e)는, 서브캐리어와 같은 수로 마련되어 있다. 서브캐리어 변조부(1e)는, 서브캐리어마다 분할된 비트열을, 서브캐리어에 근거하여 디지털 변조하여, 변조 신호를 역 푸리에 변환부(1f)에 출력한다. 또, 각 서브캐리어 변조부(1e)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에 지시된 변조 방식, 예컨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등에 근거하여 디지털 변조를 행한다.
역 푸리에 변환부(1f)는, 각 서브캐리어 변조부(1e)로부터 입력되는 변조 신호를 역 푸리에 변환하여 직교 다중화함으로써 OFDM 신호를 생성하여, 이 OFDM 신호를 가드 인터벌 삽입부(1g)에 출력한다. 가드 인터벌 삽입부(1g)는, 역 푸리에 변환부(1f)로부터 입력된 OFDM 신호에 가드 인터벌을 삽입하여, 무선 신호 송신부(1h)에 출력한다. 무선 신호 송신부(1h)는, 가드 인터벌 삽입부(1g)로부터 입력된 OFDM 신호를 D/A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OFDM 신호를 IF 주파수대로부터 RF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 RF 주파수대로 변환된 OFDM 신호를 전력 증폭기 등에 의해 소정의 송신 출력 레벨까지 증폭시켜, 안테나를 통해 단말 PS에 송신한다.
무선 신호 수신부(2a)는, 단말 PS에서 안테나를 통해 OFDM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신호 수신부(2a)는, RF 주파수대의 신호로부터 IF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신호 수신부(2a)는, IF 주파수대의 OFDM 신호를 저잡음 증폭기 등에 의해 증폭한다. 무선 신호 수신부(2a)는, 이 증폭한 OFDM 신호를 A/D 컨버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가드 인터벌 제거부(2b)에 출력한다. 가드 인터벌 제거부(2b)는, 무선 신호 수신부(2a)로부터 입력된 OFDM 신호로부터 가드 인터벌을 제거하여, 푸리에 변환부(2c)에 출력한다. 푸리에 변환부(2c)는, 가드 인터벌 제거부(2b)로부터 입력된 OFDM 신호를 푸리에 변환함으로써 각 서브캐리어마다의 변조 신호로 변환하여, 이 변조 신호를 각 서브캐리어 복조부(2d)에 출력한다.
서브캐리어 복조부(2d)는, 서브캐리어와 같은 수로 마련되어 있다. 변조 신호를 위상 보정/주파수 보정/전력 보정함과 아울러 서브캐리어에 근거하여 디지털 복조함으로써 수신 데이터의 데이터열로 변환하여, 이 데이터열을 병렬/직렬 변환부(2e)에 출력한다. 병렬/직렬 변환부(2e)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의 지시에 근거하여, 각 서브캐리어 복조부(2d)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데이터열을 하나의 데이터열로 합성하여, 이 데이터열을 오류 정정부(2f)에 출력한다.
오류 정정부(2f)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의 제어하에, 병렬/직렬 변환부(2e)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열에 대하여 오류 정정을 행하여, 이 데이터열(수신 데이터)을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2g)에 출력한다.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2g)는, 오류 정정부(2f)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와, 기지국측 메모리(5)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 데이터의 XOR(배타적 논리합) 처리를 행하고, XOR 처리 후의 수신 데이터를 CRC 연산부(2h)에 출력한다. CRC 연산부(2h)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의 제어하에, 수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오류 검출용의 CRC 부호에 근거하여 CRC 연산을 행하여, CRC 연산의 결과와 함께 수신 데이터를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에 출력한다.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되는 내부 메모리 및 OFDM 신호 송신부(1) 및 OFDM 신호 수신부(2)와 각종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ROM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및 OFDM 신호 수신부(2)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에 근거하여 기지국 CS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는, 기지국 CS의 기동시에 있어서, 자기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생성하여, 기지국측 메모리(5)에 출력한다. 도 4에, 이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는, 시프트 레지스터(4a)와 논리합 회로(4b)로 구성된다. 시프트 레지스터(4a)는, 서브채널의 수 Ns, 서브캐리어의 수 Nc, 비트수 B로 이루어지는 2B-1≥Ns×Nc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비트수 B(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B=9로 함)의 시프트 레지스터이다. 논리합 회로(4b)는, 한쪽의 입력단이 시프트 레지스터(4a)에 있어서의 최종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다른 쪽의 입력단이 시프트 레지스터(4a)에 있어서의 소정단의 출력단(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7비트째의 출력단으로 함)과 접속되고, 출력단이 시프트 레지스터(4a)의 입력단과 접속된 논리합 회로이다. 시프트 레지스터(4a)에는, 9비트의 기지국 정보(예컨대, 기지국 ID)가 초기값으로서 세트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 데이터 생성부(4)에 있어서, 적어도 511개 이상의 스크램블 데이터가 생성된다.
기지국측 메모리(5)는,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기지국측 메모리(5)는,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6)에 의한 제어하에, 기억하고 있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지국측 스크램블부(1b) 및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2g)에 출력한다.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6)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상대인 단말 PS에 할당한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통신 상대인 단말 PS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기지국측 메모리(5)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6)는, 통신 상대인 단말 PS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할 곳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신호를 기지국측 메모리(5)에 출력한다. 이 어드레스 신호가 나타내는 선두 어드레스를 증가시킴(increment)으로써, 통신 상대인 단말 PS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1비트씩 순차적으로 출력시킨다.
이어서, 단말 PS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단말 PS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PS는, OFDM 신호 송신부(10), OFDM 신호 수신부(20), 단말측 상위 제어부(30),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40), 단말측 메모리(단말측 기억부)(50), 단말측 메모리 제어부(단말측 하위 제어부)(60), 조작부(70), 표시부(80) 및 음성 입출력부(90)를 구비하고 있다.
OFDM 신호 송신부(10)는, CRC 부호 부가부(10a), 단말측 스크램블부(10b), 오류 정정 부호 부가부(10c), 직렬/병렬 변환부(10d), 서브캐리어 변조부(10e), 역 푸리에 변환부(10f), 가드 인터벌 삽입부(10g) 및 무선 신호 송신부(10h)로 구성되고, OFDM 신호 수신부(20)는, 무선 신호 수신부(20a), 가드 인터벌 제거부(20b), 푸리에 변환부(20c), 서브캐리어 복조부(20d), 병렬/직렬 변환부(20e), 오류 정정부(20f), 단말측 디스크램블부(20g) 및 CRC 연산부(20h)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단말 PS의 OFDM 신호 송신부(10) 및 OFDM 신호 수신부(20)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은, 기지국 CS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되는 내부 메모리 및 OFDM 신호 송신부(10) 및 OFDM 신호 수신부(20)와 각종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는, 상기 ROM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및 OFDM 신호 수신부(20)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조작부(70)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 및, 음성 입출력부(9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 PS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40)는,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 확립시에 있어서,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로부터 취득한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와 동일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40)는,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도 4 참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40)는, 단말측 상위 제어부(30)에 의한 제어하에,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로부터 취득한 기지국 정보(기지국 ID)가 시프트 레지스터의 초기값로서 세트되고,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와 동일한 스크램블 데이터가 생성된다.
단말측 메모리(50)는,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40)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한다. 단말측 메모리(50)는, 단말측 메모리 제어부(60)에 의한 제어하에, 기억하고 있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단말측 스크램블부(10b) 및 단말측 디스크램블부(20g)에 출력한다. 단말측 메모리 제어부(60)는,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된,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단말측 메모리(50)를 제어한다.
조작부(70)는, 전원키나 기능키, 숫자키 등의 각종 조작키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조작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단말측 상위 제어부(30)에 출력한다. 표시부(80)는, 예컨대,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이며, 단말측 상위 제어부(30)에 의한 제어하에, 소정의 화상 등을 표시한다. 음성 입출력부(90)는,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을 음성 신호로 디지털 변환하여 단말측 상위 제어부(30)에 출력함과 아울러,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에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기지국 CS 및 단말 PS로부터 구성되는 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동작에 대하여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기지국 CS에서는, 기동시에 있어서,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에서 스크램블 데이터가 생성되고, 기지국측 메모리(5)에는 그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단말 PS의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는, 조작부(70)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지시하는 조작 신호가 출력된 경우, OFDM 신호 수신부(20)를 제어하여 기지국 CS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제어 채널(CCH)을 검색한다.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는, 포착에 성공하고 또한 수신 상태가 가장 좋은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기지국 CS와의 통신 접속의 확립 처리를 행한다(단계 S1). 이 통신 접속 확립 처리의 과정에서, 단말 PS의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는,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의 기지국 정보(기지국 ID)나 할당된 트래픽 서브채널의 정보(예컨대, 서브채널 번호) 등을, 제어 채널을 통해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 접속 확립 후, 단말 PS의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는,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로부터 취득한 기지국 정보(기지국 ID)를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40)에 있어서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초기값으로서 세트한다. 이에 따라,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40)에서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와 동일한 스크램블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는 단말측 메모리(50)에 기억된다(단계 S2).
이어서, 단말 PS의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는, 송신 데이터를 CRC 부호 부가부(10a)에 출력한다.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는,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의 정보를 단말측 메모리 제어부(60)에 출력한다. 단말측 메모리 제어부(60)는,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할 곳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신호를 단말측 메모리(50)에 출력한다. 단말측 메모리 제어부(60)는, 이 어드레스 신호가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증가시킴으로써,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1비트씩 순차적으로 출력시킨다.
단말측 스크램블부(10b)는, CRC 부호 부가부(10a)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와, 단말측 메모리(50)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 데이터의 XOR 처리를 행한다. 단말측 스크램블부(10b)는, XOR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의 스크램블 처리를 행한다(단계 S3). 여기서, 예컨대, 서브채널 번호 「1」에 대응하는 송신 데이터에는 서브채널 번호 「1」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가 주어지고, 서브채널 번호 「2」에 대응하는 송신 데이터에는 서브채널 번호 「2」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가 주어지므로, 서브채널 사이의 송신 데이터는 랜덤화된다. 또, 서브채널 사이의 송신 데이터의 랜덤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필요하다고 하는 조건이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채널의 수 Ns, 서브캐리어의 수 Nc, 비트수 B로 이루어지는 2B-1≥Ns×Nc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비트수 B의 시프트 레지스터(4a)를 이용하여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채널 사이의 송신 데이터의 랜덤성을 확보하고 있다.
스크램블 처리된 송신 데이터는, 오류 정정 부호 부가부(10c), 직렬/병렬 변환부(10d), 서브캐리어 변조부(10e), 역 푸리에 변환부(10f), 가드 인터벌 삽입부(10g) 및 무선 신호 송신부(10h)를 통해,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에 송신된다(단계 S4).
그리고, 상기 송신 데이터는,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의 무선 신호 수신부(2a)에 의해 수신되어, 가드 인터벌 제거부(2b), 푸리에 변환부(2c), 서브캐리어 복조부(2d), 병렬/직렬 변환부(2e), 오류 정정부(2f)를 통해 수신 데이터로서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2g)에 출력된다. 한편,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6)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통신 상대인 단말 PS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할 곳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신호를 기지국측 메모리(5)에 출력한다.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6)는, 이 어드레스 신호가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증가시킴으로써, 통신 상대인 단말 PS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1비트씩 순차적으로 출력시킨다.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2g)는, 오류 정정부(2f)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와, 기지국측 메모리(5)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 데이터의 XOR 처리를 행한다.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2g)는, 이 XOR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수신 데이터의 디스크램블 처리를 행한다(단계 S5). 여기서, 디스크램블 처리에 이용되는 스크램블 데이터는, 통신 상대끼리인 기지국 CS와 단말 PS에서 공통이므로, 수신 데이터를 문제없이 디스크램블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램블 처리된 수신 데이터는 CRC 연산부(2h)를 통해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에 출력되고,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는 이 수신 데이터를 기초로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이상, 단말 PS로부터 기지국 CS에 대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기지국 CS로부터 단말 PS에 대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경우도 같다. 다시 말해, 기지국 CS의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3)는, 송신 데이터를 CRC 부호 부가부(1a)에 출력함과 아울러, 통신 상대인 단말 PS에 할당한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6)에 출력한다.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6)는,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통신 상대인 단말 PS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할 곳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신호를 기지국측 메모리(5)에 출력한다.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6)는, 이 어드레스 신호가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증가시킴으로써,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1비트씩 순차적으로 출력시킨다.
기지국측 스크램블부(1b)는, CRC 부호 부가부(1a)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와, 기지국측 메모리(5)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 데이터의 XOR 처리를 행한다. 기지국측 스크램블부(1b)는, 이 XOR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의 스크램블 처리를 행한다(단계 S6). 스크램블 처리된 송신 데이터는, 오류 정정 부호 부가부(1c), 직렬/병렬 변환부(1d), 서브캐리어 변조부(1e), 역 푸리에 변환부(1f), 가드 인터벌 삽입부(1g) 및 무선 신호 송신부(1h)를 통해, 통신 상대인 단말 PS에 송신된다(단계 S7).
그리고, 상기 송신 데이터는, 통신 상대인 단말 PS의 무선 신호 수신부(20a)에 의해 수신되어, 가드 인터벌 제거부(20b), 푸리에 변환부(20c), 서브캐리어 복조부(20d), 병렬/직렬 변환부(20e), 오류 정정부(20f)를 통해 수신 데이터로서 단말측 디스크램블부(20g)에 출력된다. 한편, 단말측 메모리 제어부(60)는,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할 곳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신호를 단말측 메모리(50)에 출력한다. 단말측 메모리 제어부(60)는, 이 어드레스 신호가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증가시킴으로써,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1비트씩 순차적으로 출력시킨다.
단말측 디스크램블부(20g)는, 오류 정정부(20f)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와, 단말측 메모리(50)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 데이터의 XOR 처리를 행한다. 단말측 디스크램블부(20g)는, 이 XOR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수신 데이터의 디스크램블 처리를 행한다(단계 S8). 여기서, 디스크램블 처리에 이용되는 스크램블 데이터는, 통신 상대끼리인 기지국 CS와 단말 PS에서 공통이므로, 수신 데이터를 문제없이 디스크램블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램블 처리된 수신 데이터는 CRC 연산부(20h)를 통해 단말측 상위 제어부(30)에 출력되고, 단말측 상위 제어부(30)는 이 수신 데이터를 기초로 소정의 신호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기지국측 메모리(5), 단말측 메모리(50))를 서브채널의 수만큼 준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CS측에서는 기동시, 단말 PS측에서는 통신 상대인 기지국 CS와의 통신 접속 확립시에 생성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이후의 통신에서는 그 메모리에 기억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브채널 사이의 데이터의 랜덤화(스크램블)를 행한다. 이 때문에, 데이터 송신을 행할 때마다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종래의 수법과 같이 통신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 비용의 증대 및 통신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서브채널 사이의 데이터를 랜덤화하여 피크 팩터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 및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40)로서, 비트수 「9」의 시프트 레지스터(4a)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트수는 시스템 전체의 서브채널의 수 및 서브캐리어의 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더라도 좋다.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4a)에 세트하는 초기값으로서, 기지국 ID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이밖의 기지국 고유의 정보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4) 및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40)의 구성으로서, 반드시 시프트 레지스터(4a)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다른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생성할 수 있으면 다른 구성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OFDMA 방식을 채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말했지만, 본 발명은 OFDMA뿐만 아니라,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라,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비용의 증대 및 통신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피크 팩터를 저감할 수 있다.
CS : 기지국 PS : 단말
1, 10 : OFDM 신호 송신부 2, 20 : OFDM 신호 수신부
3, 30 :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 4, 40 :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
5, 50 : 기지국측 메모리 6, 60 : 기지국측 메모리 제어부
1a, 10a : CRC 부호 부가부 1b : 기지국측 스크램블부
10b : 단말측 스크램블부 1c, 10c : 오류 정정 부호 부가부
1d, 10d : 직렬/병렬 변환부 1e, 10e : 서브캐리어 변조부
1f, 10f : 역 푸리에 변환부 1g, 10g : 가드 인터벌 삽입부
1h, 10h : 무선 신호 송신부 2a, 20a : 무선 신호 수신부
2b, 20b : 가드 인터벌 제거부 2c, 20c : 푸리에 변환부
2d, 20d : 서브캐리어 복조부 2e, 20e : 병렬/직렬 변환부
2f, 20f : 오류 정정부 2g :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
20g : 단말측 디스크램블부 2h, 20h : CRC 연산부

Claims (13)

  1. 제 1 장치와 제 2 장치의 사이에서,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장치는,
    소정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서로 다른 복수의 방법으로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크램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 중에서, 상기 제 2 장치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와,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되는 제 1 송신 데이터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제 1 스크램블부와,
    상기 연산 처리를 실시한 제 1 송신 데이터를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하는 제 1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와,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미리 수신한 상기 고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램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송신 데이터와, 상기 디스크램블 데이터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제 1 디스크램블부
    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와,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와,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제 2 디스크램블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제 1 장치에 송신되는 제 2 송신 데이터와, 상기 디스크램블 데이터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제 2 스크램블부와,
    상기 연산 처리를 실시한 제 2 송신 데이터를 상기 제 1 장치에 송신하는 제 2 송신부
    를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디스크램블 데이터 생성부는,
    서브채널의 수 Ns, 서브캐리어의 수 Nc, 비트수 B로 이루어지는 2B-1≥Ns×Nc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비트수 B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한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최종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다른 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소정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입력단과 접속된 논리합 회로
    를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하고, 기지국과 단말이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자기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생성하는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지국측 기억부와,
    통신 상대인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와,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를 제어하는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와,
    상기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에 의한 제어하에,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측 스크램블부
    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 확립시에 있어서,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취득한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과 동일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말측 기억부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의 송신 데이터와, 당해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측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단말측 기억부를 제어하는 단말측 하위 제어부와,
    상기 단말측 상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와, 상기 단말측 하위 제어부에 의한 제어하에, 상기 단말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단말측 스크램블부
    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와, 상기 단말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단말측 디스크램블부를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는,
    서브채널의 수 Ns, 서브캐리어의 수 Nc, 비트수 B로 이루어지는 2B-1≥Ns×Nc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비트수 B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한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최종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다른 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소정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입력단과 접속된 논리합 회로
    를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하고,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으로서,
    자기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생성하는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지국측 기억부와,
    통신 상대인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와,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를 제어하는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와,
    상기 기지국측 상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측 하위 제어부에 의한 제어하에,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측 스크램블부
    를 구비하는 기지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측 디스크램블부를 더 구비하는 기지국.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측 데이터 생성부는,
    서브채널의 수 Ns, 서브캐리어의 수 Nc, 비트수 B로 이루어지는 2B-1≥Ns×Nc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비트수 B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한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최종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다른 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소정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입력단과 접속된 논리합 회로
    를 구비하는 기지국.

  10.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하고,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단말로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 확립시에 있어서,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취득한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과 동일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말측 기억부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의 송신 데이터와, 당해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측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단말측 기억부를 제어하는 단말측 하위 제어부와,
    상기 단말측 상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와, 상기 단말측 하위 제어부에 의한 제어하에, 상기 단말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단말측 스크램블부
    를 구비하는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와, 상기 단말측 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크램블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단말측 디스크램블부를 더 구비하는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측 데이터 생성부는,
    서브채널의 수 Ns, 서브캐리어의 수 Nc, 비트수 B로 이루어지는 2B-1≥Ns×Nc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비트수 B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한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최종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다른 쪽의 입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의 소정단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출력단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입력단과 접속된 논리합 회로
    를 구비하는 단말.
  13. 멀티캐리어 통신을 채용하고, 기지국과 단말이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서브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 자기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적어도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하는 서브채널의 수와 서브캐리어의 수의 승산값 이상의 수만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 단계와,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단계에서 기억된 스크램블 데이터 중에서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에 할당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판독한 스크램블 데이터와 상기 통신 상대인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단말에 있어서의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 확립시에 있어서,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취득한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과 동일한 스크램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생성된 스크램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6 단계에서 기억된 스크램블 데이터 중에서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서브채널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7 단계에서 판독한 스크램블 데이터와 상기 통신 상대인 기지국으로의 송신 데이터의 곱셈 처리를 행하는 제 8 단계
    를 갖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07009302A 2007-10-30 2008-10-29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100058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81690 2007-10-30
JPJP-P-2007-281690 2007-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674A true KR20100058674A (ko) 2010-06-03

Family

ID=4059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302A KR20100058674A (ko) 2007-10-30 2008-10-29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11860B2 (ko)
JP (1) JP5139442B2 (ko)
KR (1) KR20100058674A (ko)
CN (1) CN101843067A (ko)
WO (1) WO2009057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2241A4 (en) * 2008-11-21 2014-12-24 Fujitsu Ltd BASIC STATION, COMMUNICATION PROCEDURE, SUBSCRIPTION PROCEDURE AND SUBSCRIPTION PROGRAM
JP6500453B2 (ja) * 2015-01-22 2019-04-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装置、物理量検出装置、電子機器及び移動体
US9673965B2 (en) * 2015-09-10 2017-06-06 Blue Danube Systems, Inc. Calibrating a serial inter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35009T2 (de) * 1993-10-12 2008-04-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Einrichtung zur Verschlüsselung und Entschlüsselung von Audiosignalen
DE19737897C2 (de) * 1997-08-29 1999-07-22 Dirc Gmbh & Co Kg Datenübertragungssystem
CA2387812A1 (en) 1999-11-09 2001-05-17 Marcos C. Tzannes Par reduction by carriers phase randomization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KR100461547B1 (ko) * 2002-10-22 2004-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에스/시디엠에이 미모 안테나 시스템에서 보다 나은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한 전송 시스템
CN100461651C (zh) * 2003-01-31 2009-02-11 富士通株式会社 移动体无线终端装置
CN1552612A (zh) * 2003-05-30 2004-12-08 祥发金属工业股份有限公司 垃圾车的厨馀回收装置
JP2007028289A (ja) * 2005-07-19 2007-02-01 Sharp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7929549B1 (en) * 2006-03-06 2011-04-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rambling data for control of high-speed bidirectional signaling
CN101132517B (zh) * 2006-08-25 201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媒体数据实时加扰的方法及系统
US8126076B2 (en) * 2007-02-27 2012-02-2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with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1860B2 (en) 2013-04-02
CN101843067A (zh) 2010-09-22
US20100296650A1 (en) 2010-11-25
WO2009057631A1 (ja) 2009-05-07
JP5139442B2 (ja) 2013-02-06
JPWO2009057631A1 (ja)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81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scrambling to reduce the crest factor in an OFDM waveform
RU2554550C2 (ru) Базовая радиостанция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способы в них
US8670298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ignal generation and message transmiss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s
EP2590375A1 (en) Uplink baseband signal compression method, decompre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97122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eav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8886442B (zh) 发送设备、接收设备及其方法
JP5114566B2 (ja) 放送システム内でサービス受信を保証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513944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US72811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ely modulating systematic bits and parity bits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quality
EP3616378B1 (en) Generating an fsk signal comprised in an ofdm signal
JP4763046B2 (ja) 無線基地局装置
CN113572571B (zh) 数据传输方法及设备、芯片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065715B2 (en) OFDM communication system with fast frequency hops
JP2004254335A (ja) 無線基地局、無線端末
JP2004350326A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変復調回路
KR101302668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제어 세그먼트 정보를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EP11882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scrambling to reduce the crest factor in an ofdm waveform
WO20231687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 precoding state switching for a pusch
KR20180042789A (ko) 계층분할다중화 기반 이동통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004982B2 (ja)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方法
KR2008006288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JP2011199616A (ja) 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