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426A - 분리가능한 온수조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온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426A
KR20100058426A KR1020100028689A KR20100028689A KR20100058426A KR 20100058426 A KR20100058426 A KR 20100058426A KR 1020100028689 A KR1020100028689 A KR 1020100028689A KR 20100028689 A KR20100028689 A KR 20100028689A KR 20100058426 A KR20100058426 A KR 20100058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cover
lock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545B1 (ko
Inventor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필 filed Critical 최상필
Priority to KR102010002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5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조의 일측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온수조 내부의 세척이 용이한 분리가능한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물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며, 상,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된 몸체부; 몸체부의 개방 쪽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부; 몸체부의 개방 쪽에 결합되는 덮개부; 덮개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에 상, 하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일측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날개체로 이루어져 덮개부가 몸체부에 압착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게 하는 결착부; 및 몸체부와 덮개부의 결합면 사이에 개재되어 몸체부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분리가능한 온수조 {Separable water heating bath}
본 발명은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조의 일측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온수조 내부의 세척이 용이한 분리가능한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식수를 급랭하여 배출하는 냉수조와 내부로 유입되는 식수를 급탕가열하여 배출하는 온수조가 구비된다.
전술한 온수조는 장기간 사용시 그 내벽에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고 물때와 같은 이물질이 침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온수조 내부를 세척해 주어야 하는데, 현재 대부분의 온수조의 구조는 내부가 수밀된 상태로 밀폐 고정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온수조 내부를 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온수조 자체를 교체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교체에 따른 불편이나 비용 부담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온수조의 일측이 분리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현재 일반 수요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온수조는 일측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일측의 분리과정이 매우 복잡하거나 힘이 많이 드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또한 구조의 복잡성이나 제조비용 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다만, 근래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등록특허 제10-334940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367665호의 온수조가 제시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334940호의 발명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온수조의 몸체에 덮개가 볼트에 의해 분리장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몸체가 상부 및 하부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볼트에 의해 분리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367665호의 발명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덮개(20)를 포함하는 온수조에 있어서, 덮개(20)가 몸체(1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수단으로 압착고정부재(3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온수조 내부의 세척 문제와 관련하여 종래 온수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현재 대부분의 온수조는 덮개가 따로 구비되지 않는 일체로 형성된 밀폐형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몸체의 일측이 개방되고 이러한 개방부위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덮개는 몸체를 밀폐시키면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는 등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온수조의 일측을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결과 온수조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장기간 온수조 히터를 끈 후 재사용시 냄새가 나는 등 사용에 따라 위생상태가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온수조 자체를 교체할 수 밖에 없어서 교체에 따른 불편과 교체비용 부담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전술한 등록특허 및 등록실용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부족한 점이 없지만,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제조시간 및 제조편의성 면에서 좀더 유리하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온수조의 일측을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온수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전술한 등록특허 및 등록실용신안에서 보다 더 개선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덮개가 몸체에 결합될 때 견고한 결합력을 가지면서도 몸체에 대한 덮개의 분리결합이 매우 용이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뿐만 아니라 온수조의 실링(sealing)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는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온수조의 분리 청소시 온수조에 장착된 파이프히터와 온도센서에 연결된 전기선을 빼거나 다시 연결할 필요가 없이 온수조의 세척이 이뤄질 수 있게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파이프히터와 온도센서의 전기적 연결 상태에 물이 접하지 않게 하여 누전이나 기타 화재의 염려가 없는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온수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물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며, 상,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된 몸체부; 몸체부의 개방 쪽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부; 몸체부의 개방 쪽에 결합되는 덮개부; 덮개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에 상, 하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일측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날개체로 이루어져 덮개부가 몸체부에 압착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게 하는 결착부; 및 몸체부와 덮개부의 결합면 사이에 개재되어 몸체부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물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하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된 상부 몸체부; 상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 쪽이 상부 몸체부의 개방 쪽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 상, 하부 몸체부 중 어느 하나의 개방 쪽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부; 상, 하부 몸체부 중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개방 쪽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에 상, 하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일측면에 걸림홈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날개체로 이루어져 상, 하부 몸체부가 서로 압착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게 하는 결착부; 및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의 결합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 하부 몸체부의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에 의하면, 날개체의 상, 하 회동에 의해 걸림편이 걸림부에 걸려지거나 걸림해제되는 간편한 과정을 통해 덮개부와 몸체부의 결합 및 분리가 아주 손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이뤄지는 이점이 있으며, 그 결과 보다 편하고 신속한 온수조의 세척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가 결착부에 의해 견고하게 압착되어 몸체부에 결합되며, 이 사이에 실링부가 개재됨으로써 온수조의 밀폐성이 한층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결착부, 걸림부가 플래스틱 소재 등으로 별개로 제작되고 덮개부와, 몸체부가 알루미늄 또는 스텐레스 스틸 등의 소재로 제작되는 경우에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결착부, 걸림부를 덮개부, 몸체부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온수조의 제작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더불어, 온수조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온수조의 세척시 온도 센서 및 파이프히터에 연결된 전기선을 전원에서 빼거나 다시 연결하지 않아도 되어 온수조의 관리 사용상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며, 온수조 세척시 온도센서 및 파이프히터가 물과 접하지 않게 되어 누전이나 기타 화재의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온수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온수조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온수조 걸림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온수조 몸체부의 하측이 개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온수조 결착부, 걸림부 및 실링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물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며, 상,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된 몸체부; 몸체부의 개방 쪽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부; 몸체부의 개방 쪽에 결합되는 덮개부; 덮개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에 상, 하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일측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날개체로 이루어져 덮개부가 몸체부에 압착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게 하는 결착부; 및 몸체부와 덮개부의 결합면 사이에 개재되어 몸체부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물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하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된 상부 몸체부; 상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 쪽이 상부 몸체부의 개방 쪽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 상, 하부 몸체부 중 어느 하나의 개방 쪽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부; 상, 하부 몸체부 중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개방 쪽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에 상, 하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일측면에 걸림홈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날개체로 이루어져 상, 하부 몸체부가 서로 압착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게 하는 결착부; 및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의 결합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 하부 몸체부의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온수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온수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온수조 걸림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온수조 몸체부의 하측이 개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온수조 결착부, 걸림부 및 실링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1´)는 몸체부(100)와, 덮개부(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몸체부(100) 내부의 청소가 용이한 온수조를 제공하게 된다.
몸체부(100)는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고,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몸체부(100)는 원통, 타원통, 사각통, 육각통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일 예로서 몸체부(100) 상측이 개방된 예, 그리고 몸체부(100)가 원통 형상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몸체부(100)의 개방 쪽, 즉 상부 외측면에는 후술할 결착부(210)가 걸려 결합될 수 있는 걸림부(110)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110)는 몸체부(100) 외측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만, 몸체부(100)의 형상이 원통인 예에서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후술할 덮개부(200)가 원주상의 결합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결합될 수 있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걸림부(110)의 일측, 구체적으로 몸체부(100)의 상측이 개방된 경우에는 걸림부(110)의 저부 내측에는 걸림홈(111)이 형성된다. 이 걸림홈(111)이 형성됨에 의해 상대적으로 걸림부(110)의 저부 바깥쪽에는 후술할 결착부(210)의 걸림편(213)이 걸려질 수 있는 돌기(112)가 형성된다.
몸체부(100)는 알루미늄 또는 스텐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거나, 유리, 도자기, 법랑(琺瑯) 등의 재질인 세라믹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온수조에 저수된 물의 고온의 온도에 내열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부(100)가 알루미늄 또는 스텐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걸림부(110)의 형상 제작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걸림부(110)는 플래스틱 등의 재질로 되게 하고 몸체부(100)와는 인서트 사출 방식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이 걸림부(110)의 상, 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에는 걸림부(1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0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가 세라믹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10)는 몸체부(100)의 개방 쪽 외측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게 제작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개방 쪽에는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몸체부(100)의 상측이 개방되고,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의 상측을 덮게 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의 형상, 즉 원통, 타원통, 사각통, 육각통 등의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대략의 원형, 타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덮개부(200)의 외측면에는 결착부(210)가 구비되며, 결착부(210)는 덮개부(20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211)와, 이 고정체(2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 하 회동될 수 있는 날개체(21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고정체(211)와 날개체(212)의 연결은 힌지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등의 다양한 연결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결착부(210)가 플래스틱 소재로 될 수 있되, 고정체(211)와 날개체(212)가 그 연결부위에서 아주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절첩될 수 있게 일체로 연결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날개체(212)의 일측면, 구체적으로는 날개체(212)가 상, 하 회동될 때 몸체부(100)를 향하는 일측면에는 걸림편(213)이 돌출 형성되며, 이 걸림편(213)은 날개체(212)의 몸체부(100) 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 전술한 걸림홈(111)에 삽입 또는 안착되면서 걸림부(110)의 저부 바깥쪽에 형성되는 돌기(112)에 걸려지거나 또는 몸체부(100)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고정체(211)와 날개체(212)의 연결지점에서 걸림편(213)까지의 직선 거리는 같은 지점의 수평선상에서 걸림부(110)의 저부 바깥쪽에 형성되는 돌기(112)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다소 짧아서 걸림편(213)은 이 돌기(112)의 하단을 타고 넘으면서 걸리게 된다. 이처럼 걸림편(213)이 걸림부(110)에 걸려지게 되면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에 압착되면서 결합하게 된다.
결착부(21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덮개부(20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이때 날개체(212)의 회동 편의성과 균형있는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하나의 결착부(210)에 대향되는 위치에 또 하나의 결착부(2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체(211)는 덮개부(200)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복수가 구비되는 고정체(211) 사이가 덮개부(200)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 서로 연장되어 연결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부(200) 또한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스틸 또는 세라믹 소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덮개부(200)가 알루미늄 또는 스텐레스 스틸 소재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결착부(210)가 플래스틱 소재로 되었을 때 고정체(211)를 덮개부(2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체(211)의 상, 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몸체부(100)에서와 마찬가지의 지지돌기(202)가 덮개부(20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0)와 몸체부(100)가 결합될 때 덮개부(200)와 몸체부(100)의 각 결합면, 즉 덮개부(200) 및 몸체부(100)의 상호 결합 쪽 가장자리 사이에는 실링부(300)가 개재된다.
이 실링부(300)는 고무 재질의 패킹(Packing)이 사용될 수 있으며, 패킹은 종단면이 "O" 형인 오링이 사용되거나, 대략 직사각형인 형상의 패킹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단면상 형상을 갖는 패킹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패킹의 횡단면 전체적 형상은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형상에 따라 그 결합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몸체부(100)가 원통형상이고, 덮개부(200)가 대략 원형으로 이뤄지면서 상호 결합면이 원형을 갖게 됨에 따라 패킹도 이에 대응하여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덮개부(200)와 몸체부(100)의 결합면 사이에 이처럼 실링부(300)가 개재됨으로써,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에 압착 결합되었을 때 덮개부(200)는 몸체부(100) 내부의 공간을 밀폐시키게 되며, 이때 이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패킹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돌기(30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00)의 몸체부(100)와의 결합면에 형성되는 실링홈(201)에 안착 결합되어 개재될 수 있으며, 이처럼 덮개부(200)의 실링홈(201)에 실링부(300)가 안착 결합된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개방 쪽 가장자리에는 이 실링부(300)를 가압하기 위하여 절곡부(120)가 외향으로 절곡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예는 걸림부(110)가 이 절곡부(120)의 역할도 겸하게 되는, 즉 걸림부(110) 및 절곡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예로 볼 수 있다.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에 결합될 때 이 절곡부(120)에 의하여 실링부(300)를 가압하는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온수조의 밀폐성이 보다 향상된다.
다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실링홈이 몸체부(100)의 개방 쪽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여기에 실링부(300)가 안착 결합되며, 덮개부(200)의 결합 방향의 가장자리에 외향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이 절곡부가 실링부(300)를 가압하는 구조로 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6에서는 몸체부(100)의 하측이 개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의 하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에서는 몸체부(100)의 상측이 개방된 예에서 결착부(210), 걸림부(110) 및 실링부(300)의 전술한 예와 다른 예가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결착부(210)의 날개체(212)에는 걸림편(214)이 적어도 2 이상이 돌출 형성되고, 걸림부(110)에는 이 걸림편(214)이 걸려져 결합되도록 적어도 2 이상의 걸림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체(212)의 단부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212a)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개방 쪽 가장자리에는 외향 절곡되면서 제1 절곡부(130)가 형성되며, 이 제1 절곡부(130)에는 제1 절곡부(130)의 상면을 덮으면서 그 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단면이 대략 "ㄷ" 형상의 실링부(300)가 결합된다. 이처럼 실링부(300)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됨으로써 온수조의 세척시 실링부(300)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덮개부(100)의 결합방향 쪽 가장자리에는 외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2 절곡부(230)에 의해 실링부(300)가 가압되는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온수조의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온수조의 밀폐성이 보다 더 향상되도록 실링부(300)의 온수조 내부 쪽 단부에는 상, 하로 연장되는 연장부(30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걸림부(110)가 플래스틱 등의 소재로 되어 알루미늄 또는 스텐레스 스틸 등의 소재로 제작되는 몸체부(100)에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걸림부(110)의 상, 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02)는 전술한 예처럼 걸림부(110) 하측의 몸체부(100)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걸림부(110)의 내측 중앙부 위치가 되는 몸체부(100)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돌기(102)에 의해 걸림부(110)와 몸체부(100)의 인서트 사출 시 걸림부(110)의 내측면에는 지지돌기(102)가 삽입 결합되는 홈(113)이 형성된다. 지지돌기(102)가 이 홈(113)에 삽입된 채로 걸림부(110)와 몸체부(10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지지돌기(102)는 걸림부(110)를 상, 하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덮개부(200)에 형성되는 지지돌기(202)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지지돌기(202)는 고정체(211)의 내측 중앙부 위치가 되는 덮개부(200)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고정체(211)가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으로 덮개부(200)에 결합될 때, 덮개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홈(211a)을 통해 지지돌기(202)가 삽입된 채로 결합됨으로써 고정체(211)가 상, 하 방향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1´)에는 온수조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가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7에서는 이 가열수단으로 몸체부(100)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파이프히터(4)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7)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파이프히터(4)와 온도센서(7)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선으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온수조는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에서 고정 브라켓(5)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 몸체부(100)의 상측이 개방된 예에서는 덮개부(200)에 이 고정 브라켓(5)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전술한 온도센서(7)와 파이프히터(4)는 덮개부(20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조의 세척시 몸체부(100)만을 덮개부(200)로부터 이탈시켜 청소할 수 있게 되므로 고정 브라켓(5)을 굳이 해체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온도센서(7)나 파이프히터(4)에 연결된 전기선을 뽑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세척시 물이 사용되더라도 온도센서(7)와 파이프히터(4)에 연결된 전기선에 물이 접하지 않게 되어 누전 등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 중에서 몸체부(100)의 하측이 개방된 예에서, 그리고 이 몸체부(100)의 상측에 고정 브라켓(5)이 연결되는 경우에서는 위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몸체부(100)에 온도센서(7)와 파이프히터(4)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고정브라켓, 온도센서(7) 및 파이프히터(4)의 장착 위치는 위의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덮개부(200) 또는 몸체부(100)의 어느 일측에 장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1˝)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온수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온수조가 덮개부(200)와 몸체부(1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측이 개방되는 상부 몸체부(400)와 상측이 개방되는 하부 몸체부(5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걸림부는 상, 하부 몸체부(400,500)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결착부는 상부 몸체부(400) 또는 하부 몸체부(500) 중 걸림부가 구비된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도 7에서는 걸림부(510)가 하부 몸체부(500)에, 그리고 결착부(410)가 상부 몸체부(400)에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하부 몸체부(500)가 알루미늄 또는 스텐레스 스틸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이 걸림부(510)는 플래스틱 등의 소재로 되면서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하부 몸체부(5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 몸체부(500)의 외측면에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이 걸림부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부(500)가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 걸림부(510)가 하부 몸체부(500)의 개방 쪽 외측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510)는 하부 몸체부(500)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부(400)에 구비되는 결착부(410)는 플래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되, 상부 몸체부(400)가 알루미늄 또는 스텐레스 스틸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상부 몸체부(400)에 고정체(421)가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지지돌기(402)가 상부 몸체부(40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고정체(421)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실링부(3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실링부(300)와 다르지 않으며, 다만 실링홈은 상, 하부 몸체부(400,500) 중 어느 하나의 개방쪽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여기에 실링부(300)가 안착 결합되면서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 하부 몸체부(400,500) 중 실링홈이 형성된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개방 쪽 가장자리에는 이 실링홈에 결합된 실링부(300)를 가압할 수 있는 절곡부가 외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부 몸체부(400)에 실링홈(401)이 형성되고, 하부 몸체부(500)에 절곡부(530)가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다만 걸림부(510)가 절곡부(530)의 역할도 겸하는, 즉 걸림부(510)와 절곡부(5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도 7에 도시된 결착부, 걸림부, 지지돌기 및 실링부의 예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온수조에도 온도센서(7)와 파이프히터(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몸체부(400)에 고정 브라켓(5)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부 몸체부(400)에 온도센서(7)와 파이프히터(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여기서도 고정 브라켓(5), 온도센서(7) 및 파이프히터(4)의 장착 위치가 상기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부 몸체부(400) 또는 하부 몸체부(500) 중 적당한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여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와 3은 몸체부(100)(도 7에서는 상, 하부 몸체부(400,500)) 내부로 연결되도록 관통 결합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을 각각 나타낸 것이고, 5는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 일측에 온수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것이며, 6은 드레인관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1˝; 분리가능한 온수조 100; 몸체부
102; 지지돌기 110; 걸림부
111, 112; 걸림홈 120; 절곡부
130; 제1 절곡부
200; 덮개부 201; 실링홈
202; 지지돌기 210; 결착부
211; 고정체 212; 날개체
213, 214; 걸림편 230; 제2 절곡부
300; 실링부 301; 돌기
400; 상부 몸체부 401; 실링홈
402; 지지돌기 420; 결착부
421; 고정체 422; 날개체
423; 걸림편 500; 하부 몸체부
510; 걸림부 530; 절곡부

Claims (10)

  1. 물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며, 상,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방 쪽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부;
    상기 몸체부의 개방 쪽에 결합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상, 하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일측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날개체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부가 상기 몸체부에 압착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게 하는 결착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덮개부의 결합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결착부는 플래스틱으로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몸체부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실링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외향 절곡된 제1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1 절곡부가 형성된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실링부가 가압되도록 외향 절곡된 제2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체의 일측이 지지되게 하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이 지지되게 하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덮개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파이프히터가 고정되고, 상기 파이프히터에 간섭되지 않는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는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6. 물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하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된 상부 몸체부;
    상측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 쪽이 상기 상부 몸체부의 개방 쪽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
    상기 상, 하부 몸체부 중 어느 하나의 개방 쪽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부;
    상기 상, 하부 몸체부 중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개방 쪽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상, 하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일측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날개체로 이루어져 상기 상, 하부 몸체부가 서로 압착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게 하는 결착부; 및
    상기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의 결합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 하부 몸체부의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결착부는 플래스틱으로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 하부 몸체부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실링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외향 절곡된 제1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 하부 몸체부 중 상기 제1 절곡부가 형성된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실링부가 가압되도록 외향 절곡된 제2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몸체부 중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이 지지되게 하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상, 하부 몸체부 중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상, 하부 몸체부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파이프히터가 고정되고, 상기 파이프히터에 간섭되지 않는 상기 상부 몸체부의 상측에는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0. 청구항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20100028689A 2010-03-30 2010-03-30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0977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689A KR100977545B1 (ko) 2010-03-30 2010-03-30 분리가능한 온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689A KR100977545B1 (ko) 2010-03-30 2010-03-30 분리가능한 온수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159U Division KR20100000582U (ko) 2008-04-18 2008-07-09 분리가능한 온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426A true KR20100058426A (ko) 2010-06-03
KR100977545B1 KR100977545B1 (ko) 2010-08-24

Family

ID=4236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689A KR100977545B1 (ko) 2010-03-30 2010-03-30 분리가능한 온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836A (ko) * 2018-02-28 2019-09-05 (주)원봉 직수형 정수기용 온수 탱크
CN116651533A (zh) * 2023-05-26 2023-08-29 苏建桦 一种提高端粒长度之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651533B (zh) * 2023-05-26 2024-06-11 苏建桦 一种提高端粒长度之组合物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71Y1 (ko) 2012-06-27 2014-04-11 우주보온공업주식회사 진공 단열 물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019B1 (ko) * 1996-12-24 1999-09-15 유기범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지정경로 통화방법
KR100334940B1 (ko) * 1999-09-16 2002-05-04 최상필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836A (ko) * 2018-02-28 2019-09-05 (주)원봉 직수형 정수기용 온수 탱크
CN116651533A (zh) * 2023-05-26 2023-08-29 苏建桦 一种提高端粒长度之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651533B (zh) * 2023-05-26 2024-06-11 苏建桦 一种提高端粒长度之组合物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545B1 (ko)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9788C (en) Double-walled liquid container
JP2009257729A (ja) 分離可能な温水槽
CN205568629U (zh) 一种锅盖可拆的炒菜机
KR100977545B1 (ko) 분리가능한 온수조
CN104627543A (zh) 一次性湿巾分配器系统
CN214258963U (zh) 盖板结构、盖体组件及烹饪器具
CN205410698U (zh) 一种带滤网的水杯
KR20100000582U (ko)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0921791B1 (ko)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1179234B1 (ko) 스팀타월 보관용 온장고
CN208837718U (zh) 一种保温壶及其壶盖
CN208481102U (zh) 一种咖啡机及酿造杯开合结构
KR20100058427A (ko) 분리가능한 단열 온수조
CN108851971A (zh) 一种带炖盅的养生壶
CN209421702U (zh) 一种带炖盅的养生壶
KR20100001379U (ko) 분리가능한 단열 온수조
CN201123696Y (zh) 易拆盖电饭锅
KR102010372B1 (ko)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다용도 선반
CN208318963U (zh) 一种带固定式水箱的电热锅
KR20100005437U (ko) 분리가능한 온수조
CN213371378U (zh) 一种烹饪器具
CN220937710U (zh) 一种使用可靠的锅具
KR100940904B1 (ko)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CN216416708U (zh) 一种壶盖和采用该壶盖的泡茶壶
CN205493607U (zh) 一种保温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