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437U - 분리가능한 온수조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온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437U
KR20100005437U KR2020080015370U KR20080015370U KR20100005437U KR 20100005437 U KR20100005437 U KR 20100005437U KR 2020080015370 U KR2020080015370 U KR 2020080015370U KR 20080015370 U KR20080015370 U KR 20080015370U KR 20100005437 U KR20100005437 U KR 201000054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coupling
detachab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필 filed Critical 최상필
Priority to KR2020080015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437U/ko
Publication of KR201000054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조의 일측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온수조 내부의 세척이 용이한 분리가능한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상,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되며, 개방 측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구비된 몸체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개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호 결합 쪽 각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온수조, 몸체부, 덮개부, 실링부

Description

분리가능한 온수조 {Hot-water tank possible to be Separable}
본 고안은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조의 일측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온수조 내부의 세척이 용이한 분리가능한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식수를 급랭하여 배출하는 냉수조와 내부로 유입되는 식수를 급탕가열하여 배출하는 온수조가 구비된다.
전술한 온수조는 장기간 사용시 그 내벽에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고 물때와 같은 이물질이 침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온수조 내부를 세척해 주어야 하는데, 현재 대부분의 온수조의 구조는 내부가 수밀된 상태로 밀폐 고정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온수조 내부를 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온수조 자체를 교체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교체 에 따른 불편이나 비용 부담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온수조의 일측이 분리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현재 일반 수요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온수조는 일측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일측의 분리과정이 매우 복잡하거나 힘이 많이 드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또한 구조의 복잡성이나 제조비용 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온수조 내부의 세척 문제와 관련하여 종래 온수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현재 대부분의 온수조는 덮개가 따로 구비되지 않는 일체로 형성된 밀폐형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몸체의 일측이 개방되고 이러한 개방부위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덮개는 몸체를 밀폐시키면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는 등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온수조의 일측을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결과 온수조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장기간 온수조 히터를 끈 후 재사용하게 되면 냄새가 나는 등 사용에 따라 위생상태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온수조 자체를 교체할 수 밖에 없어서 교체에 따른 불편과 교체비용 부담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온수조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온수조의 실링(sealing)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는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온수조의 분리 청소시 온수조에 장착된 파이프히터와 온도센서에 연결된 전기선을 빼거나 다시 연결할 필요가 없이 온수조의 세척이 이뤄질 수 있는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온수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상,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되며, 개방 측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구비된 몸체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개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호 결합 쪽 각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하측이 개방되며, 개방 측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구비된 상부 몸체;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상측이 개방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개방 측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 상기 상, 하부 몸체의 상호 결합 쪽 각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 하부 몸체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에 의하면, 체결수단에 의해 덮개부와 몸체부의 결합 및 분리가 아주 손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이뤄지는 이점이 있으며, 그 결과 보다 편하고 신속한 온수조의 세척이 이뤄지게 된다.
또한, 체결수단에 의해 덮개부 및 몸체부 또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견고하게 압착되어 상호 결합되며, 이 사이에 실링부가 개재됨으로써 온수조의 밀폐성이 한층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 제2결합부는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별개로 제작되어 덮개부 및 몸체부 또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알루미늄 또는 스텐레스 스틸 등의 소재로 제작되는 경우에 강제압입 또는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덮개부 및 몸체부 또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 고정함으로써 온수조의 제작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더불어, 온수조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온수조의 세척시 온도 센서 및 파이프히터에 연결된 전기선을 전원에서 빼거나 다시 연결하지 않아도 되어 온수조의 관리 사용상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며, 온수조 세척시 온도센서 및 파이프히터가 물과 접하지 않게 됨으로써 누전이나 기타 화재의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냉·온수기, 정 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상,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되며, 개방 측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구비된 몸체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개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호 결합 쪽 각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너트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너트홈에 고정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볼트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재와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의 다른 예로 양 단부가 볼트부재에 의해 볼트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제2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 가압하는 밴드부로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의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턱과, 상기 제2결합부의 외측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상기 끼움턱에 걸려지는 다수의 끼움돌기로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내벽체 및 이 내벽체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배치되고 이 공간부가 밀폐되도록 단부가 상기 내벽체의 단부와 접합 일체화된 외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공간부는 진공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파이프히터가 고정되고, 상기 파이프히터에 간섭되지 않는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는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호 결합 쪽 단부에는 상기 실링부가 가압될 수 있게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제2결합부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지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Pack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의 내측에는 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출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는,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하측이 개방되며, 개방 측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구비된 상부 몸체; 내 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상측이 개방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개방 측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 상기 상, 하부 몸체의 상호 결합 쪽 각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 하부 몸체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너트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너트홈에 고정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볼트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재와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의 다른 예로 양 단부가 볼트부재에 의해 볼트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제2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 가압하는 밴드부로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의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돌기와, 상기 제2결합부의 외측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걸려지는 다수의 끼움턱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상, 하부 몸체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파이프히터가 고정되고, 상기 파이프히터에 간섭되지 않는 상기 상부 몸체의 상측에는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 몸체의 상호 결합 쪽 단부에는 상기 실링부가 가압될 수 있게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 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제2결합부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지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Pack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의 내측에는 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도리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출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때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 또는 동일한 형상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수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수조의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몸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다른 예가 제시된 온수조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온수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온수조의 단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몸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또 다른 예가 제시된 온수조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온수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온수조의 단면도이며, 도 14 및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몸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온수조 몸체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다른 예가 제시된 온수조의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또 다른 예가 제시된 온수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1´)는 몸체부(100), 덮개부(200) 및 실링부(6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몸체부(100)는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는 원통, 타원통, 사각통, 육각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0)가 원통 형상을 갖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 몸체부(100)는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되며, 이 개방된 일측에는 덮개부(200)가 결합된다.
몸체부(100)와 덮개부(200)는 플라스틱 재질, 혹은 스텐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리, 법랑(琺瑯), 도자기 등의 소재가 되는 세라믹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덮개부(200) 및 몸체부(100)의 분리 가능한 결합 구조의 설명은 첨부된 각 도면을 구체적으로 참조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덮개부(200)와 몸체부(100)가 서로 결합될 때 몸체부(100)의 내부가 밀폐되기 위하여 덮개부(200)와 몸체부(100)가 상호 결합되는 부위에 실링(sealing)부(600)가 개재된다.
실링부(600)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소재로 된 패킹(Packing)이 사용될 수 있으며, 패킹의 종단면이 "ㅇ"형상인 오링(O-ring)이나, 종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패킹 등 다양한 형상의 패킹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00) 내부의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덮개부(200) 및 몸체부(100)의 상호 결합부위와 면접촉하는 실링부(600)의 외측면에는 실링부(6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돌출되는 돌출선(6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돌출선(620) 외측면에 소돌기(621)가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부(200) 및 몸체부(100)의 상호 결합 부위에 하나의 실링부(600)가 개재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밀폐성 향상을 위해 2 이상의 실링부(600)가 개재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몸체부(100)가 원통 형상을 가지면서 몸체부(100)의 상측이 개방된 예가 도시되고 있다.
몸체부(100)의 개방 측 외측면에는 제1결합부(110)가 구비된다. 몸체부(100) 가 세라믹 소재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이 제1결합부(110)가 동일 소재이면서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00)가 스텐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제1결합부(110)가 플라스틱 소재이면서 몸체부(100)의 외측면에 인서트 사출 또는 강제압입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덮개부(200)의 외측면에는 제2결합부(210)가 구비된다. 이 제2결합부(210)도 제1결합부(110)와 마찬가지로 덮개부(200)의 소재에 따라 덮개부(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덮개부(20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가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210)가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각 외측면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이 제1, 제2결합부(110,210)의 각 일측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또한 견고한 고정력이 유지되도록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6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210)가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에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제1, 제2결합부(110,210)는 체결수단(500)에 의해 체결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체결수단(500)의 일 예로 볼트부재(511) 및 너트부재(512)로 이루어진 체결수단(500)이 제시되고 있다.
제2결합부(210)에는 너트부재(512)가 안착 고정될 수 있는 너트홈(210a)이 형성되며, 제1결합부(110)에는 볼트부재(511)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구멍(110a)이 형성된다.
볼트부재(511)는 볼트구멍(110a)을 관통하여 너트부재(512)와 결합되며, 이때 제2결합부(210)에는 너트홈(210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부재(511)의 진행이 제한되지 않는다.
너트홈(210a) 및 볼트구멍(110a)의 형성은 전술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위와 반대로 제1결합부(110)에 너트홈이, 그리고 제2결합부(210)에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부(200)는 이 체결수단(500)에 의해 몸체부(1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의 상호 결합 쪽 각 단부에는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링부(600)는 이 플랜지부(50)의 사이에 개재되어 실링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실링부(600)가 몸체부(100)에서 형성된 플랜지부(50)에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 예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실링부(600)의 일측에 플랜지부(50)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도록 실링부(600)의 종단면 형상이 대략 "ㄷ" 형상(도 3에서 실링부(600)의 좌측 종단면 참조)을 갖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이때 실링부(600)의 내측에는 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장부(610)는 몸체부(100)와 덮개부(200)의 상호 결합 부위가 온수조 내부 쪽으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차단막 역할을 하게 되어 온수조의 밀폐성이 보다 더 향상된다.
이 실링부(600)의 외측면,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50)와 맞닿는 상, 하측면과, 덮개부(200) 및 몸체부(100)의 내측면과 맞닿는 연장부(610)의 각 일측면에는 돌출선(620)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플랜지부(50)의 가압시 밀폐성이 보다 더 향상되며, 다만 도 3에서는 이 돌출선(620)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밀폐성 향상을 위해 플랜지부(50)에는 실링부(600)가 보다 더 가압되게 하는 돌출부(51)가 실링부(60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돌출부(51)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플랜지부(50) 또는 덮개부(200)에 형성된 플랜지부(50)에 형성될 수도 있고, 몸체부(100) 및 덮개부(200)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210)의 결합시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에 대하여 유동하지 않게 하는 동시에 볼트구멍(110a)과 너트홈(210a)이 쉽게 일치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110)에는 끼움홈(80)이 형성되고, 제2결합부(210)에는 이 끼움홈(80)에 끼워지도록 끼움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달리 제1결합부(110)에 끼움부(70)가, 그리고 제2결합부(210)에 끼움홈(8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분리가능한 온수조(1´)에는 온수조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가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가열수단의 일 예로 파이프히터(4)가 제시될 수 있다. 파이프히터(4)는 덮개부(200) 또는 몸체부(100)에 고정되며, 이때 몸체부(100) 내부로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고정된다. 파이프히터(4)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됨으로써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 파이프히터(4)에 더하여 온수조에는, 온수조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파이프히터(4)의 작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게 하는 온도센서(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파이프히터(4)와 온도센서(7)는 외부 전원과 하나의 전원공급라인 또는 개별적인 전원공급라인이 형성되도록 전기선(8)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러한 온수조는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에서 다양한 고정수단, 예컨대 고정 브라켓(5)에 의해 고정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예처럼 몸체부(100)의 상측이 개방된 예에서는 덮개부(200)에 이 고정 브라켓(5)이 고정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파이프히터(4)는 몸체부(100) 내부로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덮개부(2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센서(7)는 덮개부(200)의 상측에서 파이프히터(7)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조의 세척시 몸체부(100)만을 덮개부(200)로부터 이탈시켜 청소할 수 있게 되므로 고정 브라켓(5)을 굳이 분리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온도센서(7)나 파이프히터(4)에 연결된 전기선(8)을 뽑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세척시 물이 사용되더라도 온도센서(7)와 파이프히터(4)에 연결된 전기선(8)에 물이 접하지 않게 되어 누전 등에 의한 화재가 예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고정브라켓(5), 온도센서(7) 및 파이프히터(4)의 장착 위치는 위의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덮개부(200) 또는 몸체부(10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4에서는 본 실시예의 몸체부(100)가 하측이 개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의 하측을 덮으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몸체부(100)가 이처럼 하측이 개방된 예에서, 그리고 이 몸체부(100) 상측에 고정 브라켓(5)이 연결되는 경우에서는 위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몸체부(100)에 온도센서(7)와 파이프히터(4)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볼트구멍(210a)이 제2결합부(200)에, 그리고 너트홈(110a)이 제1결합부(110)에 형성되며, 끼움부(70)가 제1결합부(110)에, 그리고 끼움홈(80)이 제2결합부(210)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고 있다.
그리고, 실링부(600)는 덮개부(200)에 형성된 플랜지부(50)에 끼워져 결합된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4에서 표시된 도면 부호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에 관하여는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본 실시예의 몸체부(100)가 상, 하측이 개방된 상부 몸체(100a)와 상, 하측이 개방된 하부 몸체(100b)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고 있다.
상부 몸체(100a)의 상측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덮개부(200)가, 그리고 하부 몸체(100b)의 하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덮개부(2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에서는 상부 몸체(100a)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덮개부(200)에 형성된 제2결합부와, 하부 몸체(100b)의 하측에서 결합되는 덮개부(200)에 형성된 제2결합부가 공히 덮개부(200)에서 형성되는 점에서 동일한 도면부호 210을 붙여 설명되며, 또한 상, 하의 덮개부(200)가 각각 결합되는 상부 몸체(100a)의 상부 개방측 및 하부 몸체(100b)의 하부 개방측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부 역시 공히 동일한 도면부호인 110을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도면부호의 설명은 후술할 도 10 및 도 15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상부 몸체(100a)의 하부 개방 측 외측면에는 제3결합부(150)가 구비되며, 하부 몸체(100b)의 상부 개방 측 외측면에는 제4결합부(160)가 구비되어 제3, 제4결합부(150,160)가 체결수단(500)에 의해 결합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상부 몸체(100a)의 상측을 덮는 덮개부(200)에 고정 브라켓(5)이 고정되는 경우에는 파이프히터(4)는 몸체부(100) 내부로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상부 몸체(100a)를 덮는 덮개부(2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센서(7)는 상부 몸체(100a)를 덮는 덮개부(200)의 상측에서 파이프히터(7)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표시된 도면 부호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에 관하여는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전술한 체결수단(500)의 다른 예로 제1, 제2결합부(110,210)가 밴드부(520)에 의해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밴드부(520)는 제1, 제2결합부(110,210)의 외측면을 감싸 제1, 제2결합부(110,210)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제1, 제2결합부(110,210)가 서로 밀착 결합되게 한다.
이 밴드부(520)는 양 단부가 볼트부재(521)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양 단부에 볼트부재(521)가 관통 결합될 수 있는 볼트공(523)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재(521)가 밴드부(520) 양 단부의 각 볼트공(523)으로 관통 결합되면서 밴드부(520)의 양 단부는 서로 접근하게 되며, 이로써 제1, 제2결합부(110,210)의 외측면으로는 제1, 제2결합부(110,210)가 서로 밀착 결합되도록 가압력이 전달된다.
이때, 볼트부재(521)만의 결합으로 밴드부(520) 양 단부의 밀착고정이 가능하지만, 보다 더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볼트부재(521)는 볼트공(523)을 관통한 후 너트부재(522)와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밴드부(520)의 일측에는 밴드부(520)의 착탈시 벌어짐이 용이하도록 상, 하측에 절개홈(52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절개홈(524)이 밴드부(520) 양 단부와 대략 대향되는 한 곳의 위치에만 형성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밴드부(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의 절개홈(524)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밴드부(520)는 내열성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금속 재질의 철 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표시된 도면 부호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에 관하여는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9는 전술한 밴드부(520)에 의해 제1, 제2결합부(110,210)가 결합되는 예로서 몸체부(100)의 하측이 개방되고 이 하측으로 덮개부(2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에서 표시된 도면 부호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에 관하여는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제1, 제2결합부(110,210)와 제3, 제4결합부(150,160)가 전술한 밴드부(520)에 의해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에서 표시된 도면 부호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에 관하여도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전술한 체결수단(500)의 또 다른 예로 제1, 제2결합부(110,210)가 끼움턱(531) 및 끼움돌기(532)에 의해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끼움턱(531)은 제1결합부(110)의 바깥쪽 선단부에서 제1결합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본 예에서는 4개가 구비되고 있다)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1결합부(110)의 바깥쪽 선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때 끼움턱(531)의 내측에 후술할 끼움돌기(532)가 끼워질 수 있는 소정 높이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종단면상 "ㄷ"형상으로 접혀져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턱(531)은 후술할 끼움돌기(532)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끼움돌기(532)는 제2결합부(210)의 바깥쪽 선단부에서 제2결합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 형성되며, 끼움턱(531)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끼움돌기(532)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솟아 오른 요철부(532a)가 형성되어 끼움돌기(532)를 끼움턱(531)의 내측으로 끼워 넣게 되면 끼움돌기(532)가 끼움턱(531)에 강하게 밀착된다. 이로써 덮개부(200)는 실링부(600)에 의한 몸체부(100) 내부의 밀폐성을 확보하면서 몸체부(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끼움턱(531)과 끼움돌기(532)는 전술한 예와 달리, 제1결합부(110)에 끼움돌기가, 그리고 제2결합부(210)에 끼움턱이 형성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14는 전술한 끼움턱(531) 및 끼움돌기(532)에 의해 제1, 제2결합부 (110,210)가 결합되는 예로서 몸체부(100)의 하측이 개방되고 이 하측으로 덮개부(2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끼움턱(531)은 제2결합부(210)에, 그리고 끼움돌기(532)는 제1결합부(110)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14에서 표시된 도면 부호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에 관하여는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제1, 제2결합부(110,210)와 제3, 제4결합부(150,160)가 전술한 끼움턱(531) 및 끼움돌기(532)에 의해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5에서 표시된 도면 부호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에 관하여도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몸체부(100)의 또 다른 예로서 몸체부(100)의 외벽이 내벽체(180)와 외벽체(190)로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내벽체(180)와 외벽체(190)는 성형의 편의성이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스텐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성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 도자기, 법랑(琺瑯) 등의 재질인 세라믹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내벽체(180)는 몸체부(100) 외벽 중 내측에 배치되고, 외벽체(190)는 외측에 배치된다.
외벽체(190)는 내벽체(180)와의 사이에 공간부(185)가 마련되도록 배치되며, 이 공간부(185)가 밀폐될 수 있도록 외벽체(190)의 단부는 내벽체(180)의 단부와 접합 일체화된다. 접합 방식으로는 내벽체(180) 및 외벽체(190)가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된 경우에는 용접 등의 다양한 접합 방식 중 외벽체(190) 및 내벽체(180)의 소재에 따라 적절한 접합 방식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벽체(180) 및 외벽체(190)가 세라믹 재질로 된 경우에는 전술한 각 단부가 성형시 일체화된 채 제작될 수 있다.
내벽체(180)와 외벽체(190)의 사이에 공간부(185)이 마련되면서 밀폐된다. 이 밀폐된 공간부(185)의 공기층으로 인해 온수조 외벽은 열전도율이 낮아지며, 이로써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가열된 물은 보온되면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온수조의 열전도율을 최대한 낮추기 위하여 이 공간부(185)는 진공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공간부(185)가 진공 상태가 되도록 다양한 진공 형성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는 외벽체에 진공배기를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접합 일체화된 내벽체 및 외벽체를 진공가열로 내에 넣어 진공 가열 처리하며 소정의 진공도가 되었을 때 이 진공배기 구멍을 밀봉함으로써 진공 상태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진공배기 구멍에 진공배기 장치를 연결하여 진공배기하고, 소정의 진공도에 이르면 진공배기 구멍을 밀봉함으로써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온수조(1′)에 의하면 몸체부(100)가 이처럼 이중의 벽체로 이루어져 이 벽체 간 공간이 밀폐됨에 따라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보온 유지가 향상되는 분리가능한 단열 온수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체결수단으로 도 1에 도시된 체결수단(500)이 도시되고 있으나 도 6 내지 도 10 또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체결수단(500)이 적용된 온수조에 대해서도 몸체부(100)가 전술한 내벽체(180) 및 외벽체(190)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에서 표시된 도면 부호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에 관하여는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1˝)는 상부 몸체(300), 하부 몸체(400) 및 실링부(600)가 포함된다.
상부 몸체(300)는 내부에 저수공간이 마련되면서 하측이 개방되며, 하부 몸체(400)는 내부에 저수공간이 마련되면서 상측이 개방된다.
상부 몸체(300)의 개방 측 외측면에는 제1결합부(310)가 구비되며, 하부 몸체(400)의 개방 측 외측면에는 제2결합부(410)가 구비된다.
이 제1, 제2결합부(310,410)가 체결수단(500)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부 몸체(300)와 하부 몸체(40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링부(600), 플랜지부(50), 지지돌기(60), 끼움부(70) 및 끼움홈(80)에 관하여는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체결수단(500)으로 전술한 일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체결수단(500)이 도시되고 있으며, 도 18에서는 일 실시예의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체결수단(500)이 도시되고 있다. 그리고 도 19에서는 일 실시예의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체결수단(500)이 도시되고 있다. 이 체결수단(500)에 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설명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예처럼 상부 몸체(300)에 이 고정 브라켓(5)이 고정된 경우에는 파이프히터(4)는 상, 하부 몸체(300,400) 내부로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상부 몸체(3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센서(7)는 상부 몸체(300)의 상측에서 파이프히터(7)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7 내지 도 19에 표시된 도면 부호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에 관하여는 앞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단열성이 향상되도록 상, 하부 몸체(300,400)가 이중 벽체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부 몸체(300) 및 하부몸체(400) 각각의 외벽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경우처럼 내벽체 및 외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서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여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와 3은 온수조 내부로 연결되도록 관통 결합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을 각각 나타낸 것이고, 5는 냉·온정수기 등의 내부에 온수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6은 드레인관을 나타내는 것이며, 8은 전기선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수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수조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몸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다른 예가 제시된 온수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온수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온수조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몸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또 다른 예가 제시된 온수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온수조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온수조의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몸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온수조 몸체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다른 예가 제시된 온수조의 단면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또 다른 예가 제시된 온수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분리가능한 온수조 50; 플랜지부
51; 돌출부 60; 지지돌기
70; 끼움부 80; 끼움홈
100; 몸체부 100a; 상부 몸체
100b; 하부 몸체 110; 제1결합부
150; 제3결합부 160; 제4결합부
180; 내벽체 190; 외벽체
185; 공간부
200; 덮개부 210; 제2결합부
300; 상부 몸체 310; 제1결합부
400; 하부 몸체 410; 제2결합부
500; 체결수단 511; 볼트부재
512; 너트부재 520; 밴드부
521; 볼트부재 522; 너트부재
523; 볼트공 524; 절개홈
531; 끼움턱 532; 끼움돌기
600; 실링부 610; 연장부
620; 돌출선 621; 소돌기

Claims (20)

  1.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상, 하측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되며, 개방 측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구비된 몸체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개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호 결합 쪽 각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너트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너트홈에 고정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볼트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재와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양 단부가 볼트부재에 의해 볼트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제2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 가압하는 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턱과, 상기 제2결합부의 외측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상기 끼움턱에 걸려지는 다수의 끼움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벽체 및 이 내벽체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배치되고 이 공간부가 밀폐되도록 단부가 상기 내벽체의 단부와 접합 일체화된 외벽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진공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7.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파이프히터가 고정되고,
    상기 파이프히터에 간섭되지 않는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는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8.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호 결합 쪽 단부에는 상기 실링부가 가압될 수 있게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9.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제2결합부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지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0.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하측이 개방되며, 개방 측 외측면에 제1결합부가 구비된 상부 몸체;
    내부에 저수 공간이 마련되면서 상측이 개방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개방 측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상, 하부 몸체의 상호 결합 쪽 각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 하부 몸체 내부가 밀폐되게 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너트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너트홈에 고정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볼트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재와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양 단부가 볼트부재에 의해 볼트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제2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 가압하는 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돌기와, 상기 제2결합부의 외측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걸려지는 다수의 끼움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4.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상, 하부 몸체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파이프히터가 고정되고,
    상기 파이프히터에 간섭되지 않는 상기 상부 몸체의 상측에는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5.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몸체의 상호 결합 쪽 단부에는 상기 실링부가 가압될 수 있게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6.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제2결합부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지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7. 청구항 2 내지 4,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8. 청구항 2 내지 4,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Packing)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내측에는 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온수조.
KR2020080015370U 2008-11-18 2008-11-18 분리가능한 온수조 KR201000054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370U KR20100005437U (ko) 2008-11-18 2008-11-18 분리가능한 온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370U KR20100005437U (ko) 2008-11-18 2008-11-18 분리가능한 온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37U true KR20100005437U (ko) 2010-05-27

Family

ID=4445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370U KR20100005437U (ko) 2008-11-18 2008-11-18 분리가능한 온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4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50B1 (ko) * 2011-01-14 2013-02-15 이병욱 조립식 전기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50B1 (ko) * 2011-01-14 2013-02-15 이병욱 조립식 전기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57729A (ja) 分離可能な温水槽
US20200297151A1 (en) Electric kettle
KR20100005437U (ko)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0977545B1 (ko)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0921791B1 (ko)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KR20100058427A (ko) 분리가능한 단열 온수조
KR20100001379U (ko) 분리가능한 단열 온수조
CA2590285A1 (en) Foam dam
CN207011623U (zh) 一种便携式酸奶杯
KR100940904B1 (ko)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0788797B1 (ko) 직물 건조장치
CN210179892U (zh) 电热水器
US20230060143A1 (en) Electric kettle
CN101561185A (zh) 可拆分式热水箱
KR101034680B1 (ko) 온수 역류방지장치를 갖는 분리형 온수통
KR200412473Y1 (ko) 냉,온수기의 온수역류방지장치
KR20100105173A (ko) 단열 온수조
KR200446236Y1 (ko) 냉온수기용 온수조
KR20120140040A (ko) 이중조리기구
US9250029B1 (en) Detachable article warmer
KR20100000582U (ko) 분리가능한 온수조
CN206531269U (zh) 一种自动清洗除垢的电磁开水器
CN214514693U (zh) 一种多孔的电热恒温水浴锅
KR20090005244U (ko) 냉온정수기용 온수탱크
KR200177518Y1 (ko) 용접공해가 없는 냉.온정수기용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