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195A -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195A
KR20100058195A KR1020080116923A KR20080116923A KR20100058195A KR 20100058195 A KR20100058195 A KR 20100058195A KR 1020080116923 A KR1020080116923 A KR 1020080116923A KR 20080116923 A KR20080116923 A KR 20080116923A KR 20100058195 A KR20100058195 A KR 20100058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ilm
negative
crystal displ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543B1 (ko
Inventor
박미경
이준호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5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판은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과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암 상태에서 패널의 대각방향 빛샘을 감소시키며, 콘트라스트비의 저하를 방지하며 시야각에 따른 색반전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에 비해 총 편광판의 부피 및 무게를 줄 일 수 있다.
수직전계, 보상필름, 이축성 필름

Description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retardation film}
본 발명은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인 CRT(cathode ray tube)는 TV를 비롯해서 계측기기, 정보단말기기 등의 모니터에 주로 이용되어 오고 있으나, CRT 자체의 큰 무게나 크기로 인하여 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의 요구에 적극 대응할 수 없었다.
이러한 CRT를 대체하기 위해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갖고 있는 액정표시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왔고, 최근에는 평판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발되어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화상구현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액정은 분자구조가 가늘고 길며 배열에 방향성을 갖는 이방성과 전기장 내에 놓일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분자배열의 방향이 변화되는 분극성질을 띤 다. 이에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전계생성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투명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며, 각 전계생성전극 사이의 전기장 변화를 통해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이때 변화되는 빛의 투과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액정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배향변화를 가시화 하는 편광판이 위치하게 되는데, 편광판은 투과축과 일치하는 편광성분의 빛을 투과시키게 되는데, 두 개의 편광판의 투과축의 배치와 액정의 배열 특성에 의해 빛의 투과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도 1은 보상필름을 갖는 일반적인 수직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기판(1, 3)과 두 기판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5) 그리고 제 1 및 제 2 기판(1, 3) 각각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편광판(20, 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편광판(20, 30)은 투과축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제 1 및 제 2 편광판(20, 30)은 각각 빛의 편광특성을 변화시키는 편광축이 형성된 편광층(21, 31)과, 편광층(21, 3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편광층(21, 31)을 보호 및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TAC 필름(tri-acetatecellulose film : 23a, 23b, 33a, 33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편광판(20, 30)은 각각 제 1 TAC 필름(23a, 33a) 상부 에 형성된 점착층(25, 35)에 의해 각각 제 1 및 제 2 기판(1, 3)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한편, 이러한 수직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정면을 기준으로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한 각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색이 반전되거나 영상이 왜곡되는 등의 시야각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제 1 및 제 2 편광판(20, 30)의 액정패널(10)에 인접한 제 1 TAC 필름(23a, 33a)을 음(-)의 일축성 성질을 갖는 즉 네거티브(negative) C-플레이트(plate)의 광학특성을 갖도록 하며, 액정층(5) 내부에서의 빛의 위상의 변화를 보상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편광판(20, 30)의 제 1 TAC 필름(23a, 23b, 33a, 33b)이 갖는 위상차값은 일반적인 보상필름(미도시)에 비해 매우 낮아 액정층(5)의 위상차를 보상할 수 있을 정도의 기능을 하지는 못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협소한 시야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상필름(미도시)을 사용해야 한다.
보상필름(미도시)은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축성 필름은 제 1 및 제 2 편광판(20, 30)의 제 1 및 제 2 편광층(21, 31)의 내측으로 각각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이축성 필름에 디스코틱(discotic) 액정분자가 하이브리드(hybrid) 형태로 배열된 디스코틱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축성 필름의 총 두께는 약 90㎛를 갖게 된다. 이는 액정표시장치의 총 부피 및 무게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광판의 광특성을 향상시키면서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제 1 기판의 외면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접착층과 제 1 편광층 그리고 제 1 TAC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 1 편광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외면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접착층과 nz < nx = ny(nx, ny는 평면의 XY방향의 굴절율, nz는 법선 방향에서의 굴절율)의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보상필름과 제 2 편광층 그리고 제 2 TAC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 2 편광판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 보상필름은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 = [nz - (nx + ny)/2] × d)이 -120nm 내지 -38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합 보상필름은 nx> ny> nz(nx, ny는 평면의 XY방향의 굴절율, nz는 법선 방향에서의 굴절율)인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을 지지체로,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이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 상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 = [nz - (nx + ny)/2] × d)이 -150nm 내지 -23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 = [nz - (nx + ny)/2] × d)이 -70nm 내지 -15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합 보상필름은 nx > ny = nz(nx, ny는 평면의 XY방향의 굴절율, nz는 법선 방향에서의 굴절율)인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를 지지체로,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이 상기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 상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 = [nz - (nx + ny)/2] × d)이 -70nm 내지 -9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 보상필름의 두께는 42 ~ 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의 두께는 40 ~ 60㎛이며,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의 두께는 2 ~ 4㎛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의 두께는 30 ~ 50㎛이며,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의 두께는 2 ~ 4㎛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TAC 필름 상부에 표면처리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판이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과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보상필름을 포함하도록 하여, 암 상태에서 패널의 대각방향 빛샘을 감소시키며, 콘트라스트비의 저하를 방지하며 시야각에 따른 색반전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에 비해 총 편광판의 부피 및 무게를 줄 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을 투과하는 빛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10) 및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150)로 이루어지며, 이중 액정패널(110)은 액정층(105)을 사이에 두고 대면된 제 1 및 제 2 기판(101, 103) 그리고 제 1 및 제 2 기판(101, 103) 외면에 각각 부착된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기판(101) 내면에는 투명 화소전극이 형성된 다수의 화소와 이들 각 화소전극으로 전달되는 액정구동전압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박막트랜지스터가 마련되고, 제 2 기판(103) 내면에는 컬러구현을 위한 컬러필터와 공통전극이 구비된다.
또한 이들 양 기판(101, 103) 사이로 개재된 액정층(105)은 TN 모드로서, 전압의 오프(off)상태에서, 분자의 장축방향이 양 기판(101, 103)과 평행을 유지한 채 제 1 기판(101)에서 제 2 기판(103)에 이르기까지 90ㅀ의 방위각으로 꼬인 정렬상태를 나타내며,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의 편광축은 서로 직교한다.
그리고 백라이트(150)는 자연광에 가까운 산란광을 액정패널(110)로 공급한다.
이에 도 2a와 같은 전압이 오프(off) 상태일 때 백라이트(150)로부터 출사된 산란광은 제 1 편광판(120)에 의해 이의 편광축과 나란한 선형편광만이 투과되고 나머지는 흡수되며, 액정층(105)을 통과하는 동안 이의 방위각을 따라 90ㅀ로 회전됨으로써 제 2 편광판(130)을 투과해서 화이트(white)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2b와 같은 전압이 온(on) 상태일 때, 액정분자의 장축이 양 기판(101, 103)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어 90ㅀ의 선광성(optical rotatory power)을 상실하게 되어, 제 1 편광판(120)을 투과한 선형편광은 제 2 편광판(130)에서 차단되어 블랙(black)을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광학 보상필름이 포함된 편광판에 의해 시야각 특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편광판(120, 130)의 부피 및 무게가 기존에 비해 감 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및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110)의 하부에 제 1 편광판(120)이 위치하고 액정패널(110)의 상부에 제 2 편광판(130)이 위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정패널(110)은 하부의 제 1 기판(101)과, 상부의 제 2 기판(103) 그리고 제 1 및 제 2 기판(101, 103)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105)을 포함한다. 액정패널(110)은 수직전계 방식으로, 제 1 기판(101)의 안쪽면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기판(103)의 안쪽면에는 블랙매트릭스 및 컬러필터층 그리고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기판(103)의 안쪽면에는 블랙매트릭스 및 컬러필터층을 덮는 오버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편광판(120)은 빛의 편광특성을 변화시키는 편광축이 형성된 제 1 편광층(121)과 제 1 TAC 필름(123) 그리고 점착층(125)으로 이루어지는데, 제 1 편광층(121)은 제 1 TAC 필름(123)과 점착층(125)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TAC 필름(123)과 점착층(125)에 의해 보호 및 지지된다.
그리고, 제 2 편광판(130)은 제 2 TAC 필름(133)과 제 2 편광층(131) 그리고 복합 보상필름(137)으로 이루어지는데, 제 2 편광층(131)은 일방향으로 투과축이 형성되어 투과축에 평행한 성분의 빛만이 투과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은 편광자인 요오드를 흡수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 PVA)을 강한 장력으로 연신하여 제작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 2 TAC 필름(133)은 제 2 편광층(131)의 일측에 형성되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atecellulose)로 이루어져, 제 2 편광층(131)의 연신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복합 보상필름(137)은 제 2 편광층(131)의 제 2 TAC 필름(133)과 대향되는 타측에 형성되며,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137a)을 기재로 이의 일면에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137b)이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137a)은 40 ~ 60㎛의 두께를 가지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137b)은 2 ~ 4㎛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2 편광층(131)은 제 2 TAC 필름(133)과 복합 보상필름(137) 사이에 위치하여, 제 2 TAC 필름(133)과 복합 보상필름(137)에 의해 보호 및 지지된다.
그리고, 제 2 편광판(130)은 복합 보상필름(137)의 제 2 편광층(131)과 대향하는 일측에 점착층(135)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점착층(135)은 제 2 편광판(130)을 기판(103)에 부착하기 위해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 PSA)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TAC 필름(133)의 일측에 표면처리층(139)을 더욱 포함하는데, 표면처리층(139)은 실리카비드(silica bead : 미도시)가 포함된 눈부심방지(anti-glare)층 이거나, 편광판(130) 표면의 손상 방지를 위한 하드 코팅(hard coating)층,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위한 스티킹(sticking) 방지층 일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의 점착층(125, 135)의 하부로는 별도의 보호층(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편광판(120, 130) 부착공정에서 탈착되어 점착층(125, 135)을 노출시키며, 운반 및 이송 등의 과정에서 점착층(125, 135)이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TAC 필름(123, 133)은 위상차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종래와 마찬가지로 네거티브(negative) C-플레이트(plate)의 광학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편광판(120, 130)은 제 2 편광판(130)에서 제 2 편광층(13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 기능과 광학 보상필름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복합 광학필름(137)을 포함함으로써, 줄어든 두께를 갖게 된다.
즉, 기존의 이축성 필름(미도시)의 총 두께는 약 90㎛이나, 본 발명의 복합 광학필름(137)의 총 두께(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137a)의 두께 +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137b)의 두께)는 최소 42에서 최대 64㎛밖에 되지 않는다.
특히, 기존의 이축성 필름(미도시)에 비해 총 두께가 줄어듬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복합 광학필름(137)은 기존의 이축성 필름(미도시)과 동일한 위상 지연값을 가짐으로써, 수직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에 필요한 위상차를 모두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137a)과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137b)은 공간좌표계에 따라 nx, ny, nz의 굴절율을 갖는데, 이의 관계는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137a) nx> ny> nz,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137b) nz < nx = ny의 관계를 갖는다.
굴절율 nx, ny는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137a)의 평면의 XY방향의 굴절율이고, nz는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137a)의 법선 방향에서의 굴절율이다.
이에,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137a)과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137b)은 광굴절율에 따라 입사된 광을 굴절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정의된 복합 보상필름(137)은 하기 수학식1과 하기 수학식 2로 나타내는 면내의 위상 지연값인 Re와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인 Rth로 나타낼 수 있다.
Re = (nx - ny) ×d (단, d는 복합 보상필름의 두께)....수학식1
Rth = [nz - (nx + ny)/2] × d (단, d는 복합 보상필름의 두께)....수학식2
여기서, 복합 보상필름(137)의 면내의 위상 지연값인 Re가 매우 작으며, 수학식2에 의하여 산출된 복합 보상필름(137)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0 ~ -250nm의 사이에 존재한다.
이때, 복합 보상필름(137)이 -250nm ~ -300nm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을 가질 때 시야각 및 휘도가 가장 높다.
이에,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137a)은 nx > ny > nz 의 굴절율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137a)의 위상차값은 -100nm ~ -300nm, 바람직하게는 -150nm ~ -230nm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137b)은 nx = ny > nz 의 굴절율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137b)은 -50nm ~ -200nm, 바람직하게는 -70nm ~ -150nm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보상필름(137)의 총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최소 -220 최대 -380 값을 갖게 된다.
이러한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137a)은 폴리에테르 술폰(polyether sulfone : PES) 또는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 COP)를 포함하며, PES와 COP는 고온 고습에서 신뢰성이 우수하고, 용융법에 의해 생산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137b)은 수직 배향된 액정 필름(homotropic aligned liquid crystal film), 이축 연신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bizxial stretched polycarbonate film),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TAC), 고리형 올레핀계(cyclo-olefin) 공중합 필름, UV 경화형 짧은 피치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UV curable short pitch cholesteric liquid crystal fil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은 제 1 및 제 2 TAC 필름(123, 133)에 의해 일부 잔류 위상 지연 값의 보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층(121, 131)의 보호역활을 위해 사용되는 TAC 필름(123, 133)은 면내의 위상 지연값(Re)이 2 ~ 5nm이며,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40 ~ -55nm의 범위를 포함한다.
이러한 TAC 필름(123, 133)의 위상 지연값과 복합 보상필름(137)의 위상 지연값으로 인해, 액정층(105)의 잔류 위상 지연값을 보상하고 광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TAC 필름(123, 133)의 위상 지연값을 조절하여 잔류 위상 지연값의 보상 효과를 더 크게 할 수도 있다. 일예로 TAC 필름(123, 133)의 연신조건을 조절하여 면내의 위상 지연값(Re) 또는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흑색 생태에서 액정층(105)의 잔류 위상 지연값을 보상하 고, 흑색 표시 상태에서의 광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 각 광학 소자를 통과한 빛의 편광상태를 나타내는 포앵카레 구(poincare sphere)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앵카레 구는 빛의 모든 편광 상태를 구면 상에 표현한 것으로, 광학 소자의 광축과 위상지연 값을 알면 포앵카레 구를 이용하여 편광상태를 쉽게 예측할 수 있어 보상필름 설계시 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포앵카레 구에서 적도는 직선 편광을 나타내고, 극점 S3인 지점은 좌원 편광(left handed circular polarization)을, -S3인 지점은 우원 편광(right handed circular polarization)을 나타내며, 나머지 영역의 상반구는 좌원 타원 편광(left handed elliptical polarization)을, 하반구는 우원 타원 편광(right handed elliptical polarization)을 나타낸다.
도 4에서, S1지점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편광판(도 3의 120)의 편광 상태를 나타내고, -S1인 지점은 제 2 편광판(도 3의 130)의 편광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편광판(도 3의 120, 130)의 편광 상태는 포앵카레 구의 중심(O)에 대해 대칭을 이루어, 서로 수직이 되므로 우수한 암 상태를 표시한다.
그런데, 액정표시장치를 비스듬히 바라볼 경우, 제 1 편광판(도 3의 120)의 편광 상태는 A지점으로 이동하고, 제 2 편광판(도 3의 130)의 편광 상태는 F지점으 로 이동한다. A지점과 F지점은 중심(O)에 대해 대칭을 이루지 않으므로, 제 1 및 제 2 편광판(도 3의 120, 130)의 편광 상태는 서로 수직하지 않다.
따라서, 보상필름을 이용하여 제 2 편광층(도 3의 131)에 도달하는 빛의 편광 상태를 제 2 편광층(도 3의 130) 의 편광 상태와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비스듬히 바라볼 경우, 각 광학 소자를 통과하는 빛의 편광 상태는, 복합 보상필름(도 3의 137)의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도 3의 137b)에 의해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고,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도 3의 137a)에 의해 B지점에서 C지점으로 이동한다.
이때,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도 3의 137b) 및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도 3의 137a)은 파장대 별로 위상지연이 다르기 때문에, 회전 정도가 달라 최종점 C에 도달하는데 있어 조금씩 차이가 난다.
이러한 복합 보상필름(도 3의 137)에 의한 C지점은 중심(O)에 대해 F지점과 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제 2 편광층(도 3의 131)에 도달하는 빛의 편광 상태(C지점)는 제 2 편광판(도 3의 130)의 편광 상태와 수직이 되고, 빛을 차단하여 우수한 암 상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도 3의 137b)과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도 3의 137a)을 이용하여 편광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빛샘을 막고 콘트라스트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암 상태의 콘트라스트 특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 5a ~ 도 5b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 5a는 기존의 이축성 필름을 사용하여 액정층의 잔류 위상 지연값을 보상하였을 때의 암 상태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보상필름(도 3의 137)에 의해 액정층의 잔류 위상 지연값을 보상하였을 때의 암 상태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암 상태에서 액정패널의 대각 방향 빛샘이 기존의 이축성 필름을 사용하였을 때와 대비하여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존의 이축성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 비해 액정표시장치에서 보상필름이 차지하는 총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및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110)의 하부에 제 1 편광판(120)이 위치하고 액정패널(110)의 상부에 제 2 편광판(130)이 위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정패널(110)은 하부의 제 1 기판(101)과, 상부의 제 2 기판(103) 그리고 제 1 및 제 2 기판(101, 103)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105)을 포함한다. 액정패널(110)은 수직전계 방식으로, 제 1 기판(101)의 안쪽면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기판(103)의 안쪽면에는 블랙매트 릭스 및 컬러필터층 그리고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기판(103)의 안쪽면에는 블랙매트릭스 및 컬러필터층을 덮는 오버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편광판(120)은 빛의 편광특성을 변화시키는 편광축이 형성된 제 1 편광층(121)과 제 1 TAC 필름(123) 그리고 점착층(125)으로 이루어지는데, 제 1 편광층(121)은 제 1 TAC 필름(123)과 점착층(125)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TAC 필름(123)과 점착층(125)에 의해 보호 및 지지된다.
그리고, 제 2 편광판(130)은 제 2 TAC 필름(133)과 제 2 편광층(131) 그리고 복합 보상필름(237)으로 이루어지는데, 제 2 편광층(131)은 일방향으로 투과축이 형성되어 투과축에 평행한 성분의 빛만이 투과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은 편광자인 요오드를 흡수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 PVA)을 강한 장력으로 연신하여 제작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 2 TAC 필름(133)은 제 2 편광층(131)의 일측에 형성되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atecellulose)로 이루어져, 제 2 편광층(131)의 연신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복합 보상필름(237)은 제 2 편광층(131)의 제 2 TAC 필름(133)과 대향되는 타측에 형성되며,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237a)를 기재로 이의 일면에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237b)이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237a)는 30 ~ 50㎛의 두께를 가지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237b)은 2 ~ 4㎛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그리고,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237a)는 nx > ny = nz 의 굴절율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237a)의 위상차값은 -50nm ~ -130nm, 바람직하게는 -70nm ~ -90nm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237b)은 nx = ny > nz 의 굴절율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237b)은 -50nm ~ -200nm, 바람직하게는 -70nm ~ -150nm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보상필름(237)의 총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최소 -120 최대 -290 값을 갖게 된다.
그리고, 제 2 편광판(130)은 복합 보상필름(237)의 제 2 편광층(131)과 대향하는 일측에 점착층(135)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점착층(135)은 제 2 편광판(130)을 기판(103)에 부착하기 위해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 PSA)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TAC 필름(133)의 일측에 표면처리층(139)을 더욱 포함하는데, 표면처리층(139)은 실리카비드(silica bead : 미도시)가 포함된 눈부심방지(anti-glare)층 이거나, 편광판(10) 표면의 손상 방지를 위한 하드 코팅(hard coating)층,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위한 스티킹(sticking) 방지층 일 수 있다.
이때, 점착층(125, 135)의 하부로는 별도의 보호층(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 부착공정에서 탈착되어 점착층(125, 135)을 노출시키며, 운반 및 이송 등의 과정에서 점착층(125, 135)이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TAC 필름(123, 133)은 위상차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종래와 마찬가지로 네거티브(negative) C-플레이트(plate)의 광학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편광판(120, 130)은 제 2 편광판(130)에서 제 2 편광층(13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 기능과 광학 보상필름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복합 광학필름(237)을 포함함으로써, 줄어든 두께를 갖게 된다.
즉, 기존의 이축성 필름(미도시)의 총 두께는 약 90㎛이나, 본 발명의 복합 광학필름(237)의 총 두께(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237a)의 두께 +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237b)의 두께)는 최소 42에서 최대 64㎛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이축성 필름(미도시)에 비해 총 두께가 줄어듬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복합 광학필름(237)은 기존의 이축성 필름(미도시)과 동일한 위상 지연값을 가짐으로써, 수직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에 필요한 위상차를 모두 보상할 수 있다.
도 7는 도 6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 각 광학 소자를 통과한 빛의 편광상태를 나타내는 포앵카레 구(poincare spher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를 비스듬히 바라볼 경우, 각 광학 소자를 통과하는 빛의 편광 상태는, 복합 보상필름의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도 6의 237b)에 의해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고,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도 6의 237a)에 의해 B'지점에서 C'지점으로 이동한다.
이때,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도 6의 237b) 및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도 6의 237a)는 파장대 별로 위상지연이 다르기 때문에, 회전 정도가 달라 최종점 C에 도달하는데 있어 조금씩 차이가 난다.
이러한 복합 보상필름(도 6의 237)에 의한 C'지점은 중심(O)에 대해 F'지점과 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제 2 편광층(도 6의 131)에 도달하는 빛의 편광 상태(C지점)는 제 2 편광판(도 6의 130)의 편광 상태와 수직이 되고, 빛을 차단하여 우수한 암 상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도 6의 237b)과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도 6의 237a)을 이용하여 편광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빛샘을 막고 콘트라스트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암 상태의 콘트라스트 특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암 상태에서 패널의 대각 방향 빛샘이 기존의 이축성 필름(미도시)을 사용하였을 때와 대비하여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존의 이축성 필름(미도시)을 사용할 경우에 비해 액정표시장치에서 보상필름이 차지하는 총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보상필름을 갖는 일반적인 수직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을 투과하는 빛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및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 각 광학 소자를 통과한 빛의 편광상태를 나타내는 포앵카레 구(poincare sphere)를 도시한 도면.
도 5a ~ 5b는 암 상태의 콘트라스트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및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 각 광학 소자를 통과한 빛의 편광상태를 나타내는 포앵카레 구(poincare sphere)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암 상태의 콘트라스트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Claims (11)

  1. 제 1 및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제 1 기판의 외면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접착층과 제 1 편광층 그리고 제 1 TAC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 1 편광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외면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접착층과 nz < nx = ny(nx, ny는 평면의 XY방향의 굴절율, nz는 법선 방향에서의 굴절율)의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보상필름과 제 2 편광층 그리고 제 2 TAC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 2 편광판
    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보상필름은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 = [nz - (nx + ny)/2] × d)이 -120nm 내지 -38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보상필름은 nx> ny> nz(nx, ny는 평면의 XY방향의 굴절율, nz는 법선 방향에서의 굴절율)인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을 지지체로,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이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 상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 = [nz - (nx + ny)/2] × d)이 -150nm 내지 -23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 = [nz - (nx + ny)/2] × d)이 -70nm 내지 -15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보상필름은 nx > ny = nz(nx, ny는 평면의 XY방향의 굴절율, nz는 법선 방향에서의 굴절율)인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를 지지체로,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이 상기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 상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 = [nz - (nx + ny)/2] × d)이 -70nm 내지 -9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보상필름의 두께는 42 ~ 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의 두께는 40 ~ 60㎛이 며,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의 두께는 2 ~ 4㎛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plate)의 두께는 30 ~ 50㎛이며, 상기 네거티브(negative) C 성분의 두께는 2 ~ 4㎛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TAC 필름 상부에 표면처리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20080116923A 2008-11-24 2008-11-24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150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923A KR101508543B1 (ko) 2008-11-24 2008-11-24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923A KR101508543B1 (ko) 2008-11-24 2008-11-24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195A true KR20100058195A (ko) 2010-06-03
KR101508543B1 KR101508543B1 (ko) 2015-04-08

Family

ID=4235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923A KR101508543B1 (ko) 2008-11-24 2008-11-24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3329B2 (en) 2013-12-18 2017-09-05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09416482A (zh) * 2017-06-15 2019-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边缘场驱动液晶显示面板和确定边缘场驱动液晶显示面板中玻璃层的光轴方向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4230B (en) * 2002-05-17 2007-07-21 Merck Patent Gmbh Compensator comprising a positive and a negative birefringent retardation film and use thereof
KR100498267B1 (ko) * 2003-01-28 2005-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지티브 보상필름을 갖는 수직배향 액정표시장치
KR100561066B1 (ko) * 2004-01-08 2006-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야각이 개선된 수직 배향 액정 표시장치
KR100767210B1 (ko) * 2005-07-29 2007-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순화된 구조를 갖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3329B2 (en) 2013-12-18 2017-09-05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09416482A (zh) * 2017-06-15 2019-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边缘场驱动液晶显示面板和确定边缘场驱动液晶显示面板中玻璃层的光轴方向的方法
CN109416482B (zh) * 2017-06-15 2021-10-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边缘场驱动液晶显示面板和确定边缘场驱动液晶显示面板中玻璃层的光轴方向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543B1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465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birefringent layers and first and second quarter-wave plates
US831490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quarter plates and birefringent layers and liquid crystal having substantially vertical alignments in black state
EP243710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774271B2 (ja) 表示装置
EP2487536B1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WO2018221413A1 (ja) 表示装置
US7570335B2 (en)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US91040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582061B2 (en) Optical film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6284624A (ja) 液晶表示装置
KR101280830B1 (ko) 광학보상필름을 포함하는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2177588B1 (ko) 나노캡슐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125516A (ko) 액정 표시 소자
US2012024993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tardation compensation
JP2010015038A (ja) 液晶表示装置
KR20100069964A (ko)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1508543B1 (ko)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JP5514410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000958A (ko)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7192916A (ja) 液晶表示装置
KR101839332B1 (ko) 광시야각 액정표시소자
JP5508700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80731A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82768A (ko) 액정표시장치
KR102090931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