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086A -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086A
KR20100058086A KR1020080116770A KR20080116770A KR20100058086A KR 20100058086 A KR20100058086 A KR 20100058086A KR 1020080116770 A KR1020080116770 A KR 1020080116770A KR 20080116770 A KR20080116770 A KR 20080116770A KR 20100058086 A KR20100058086 A KR 20100058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axle
axle shaft
semi
hub bea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재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8086A/ko
Publication of KR2010005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60B27/0089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caulking to fix outer r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6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 B60B27/065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the hub to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8Arrangement of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이 타이어 장착용 휠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리어액슬샤프트; 상기 리어액슬샤프트의 타측 외주면을 둘러싸듯 배치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액슬하우징; 상기 액슬하우징 내측에 개제되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를 축회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허브베어링; 및 상기 허브베어링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 상에 걸림되며 타측이 상기 허브베어링 일측을 감싸듯 지지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 상에 상기 고정링을 탄성적으로 설치 및 절단을 통한 허브베어링의 교체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 고정링, 테이퍼 롤러 베어링

Description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Bearing Fixing Apparatus of semi float type rear axleshaft}
본 발명은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어액슬(rear axle)은 종감속 기어와 차동 기어를 거쳐서 전달되는 동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단부 스플라인을 거쳐서 디퍼렌셜 사이드 기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구동 바퀴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리어액슬의 지지방식은 크게 전부동식, 반부동식, 및 3/4부동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반부동식 리어액슬 지지방식은 리어액슬샤프트를 베어링으로 차체와 연결하는 것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 치에 의하면, 일측이 타이어 장착용 휠을 지지하도록 볼트(B) 관통된 리어액슬샤프트(10)와,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차체와 연결되는 액슬하우징(20), 및 상기 액슬하우징(20) 내측에 개제되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0)를 축회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허브베어링(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와 더불어, 종래의 고정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허브베어링(30)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0)와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허브베어링(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허브베어링(30) 일측으로 리어액슬샤프트(10) 원주면 상에 환상의 고정링(40)이 열간 방식으로 압입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0) 상에 상기 고정링(4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열장치(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링(40)을 가열한 상태로 압입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조립성이 떨어지게 되며, 부품 교환시에는 상기 고정링(40)의 분해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도록 한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는 일측이 타이어 장착용 휠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리어액슬샤프트; 상기 리어액슬샤프트의 타측 외주면을 둘러싸듯 배치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액슬하우징; 상기 액슬하우징 내측에 개제되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를 축회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허브베어링; 및 상기 허브베어링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 상에 걸림되며 타측이 상기 허브베어링 일측을 감싸듯 지지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어액슬샤프트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링의 일측이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측이 다수 개소 절개되고 외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고리부의 둘레방향으로 타측이 다수 개소 절개되어 내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 상에 상기 고정링을 탄성적으로 설치 및 절단을 통한 허브베어링의 교체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및 도 4는 도 2의 고정링을 확대해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는 일측이 타이어 장착용 휠(미 도시)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리어액슬샤프트(110)와,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의 타측 외주면을 둘러싸듯 배치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액슬하우징(120)과, 상기 액슬하우징(120) 내측에 개제되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를 축회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허브베어링유닛(130), 및 상기 허브베어링유닛(135)의 후술할 허브베어링(135)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 상에 탄성적으로 걸림되며 타측이 상기 허브베어링(135) 일측을 감싸듯 지지되는 고정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링(140)의 일측이 걸림되는 걸림홈(110a)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허브 베어링유닛(130)은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의 걸림홈(110a)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내륜(131)과, 상기 내륜(131)과 대응되는 상기 액슬하우징(120)의 내측 둘레에 설치되는 외륜(133)과, 상기 내륜(131)과 외륜(133) 사이에 회전축(P)으로 지지되어 개재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1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상기 허브 베어링유닛(130)은 상기 액슬하우징(12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는바, 일 실시예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 구조 외에도 앵귤러 볼 베어링, 볼 베어링 등의 구조를 갖는 유닛으로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링(140)은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리부(141)와, 상기 고리부(141)의 둘레방향으로 일측이 다수 개소 절개되고 외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10a)에 탄성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부(142)와, 상기 고리부(141)의 둘 레방향으로 타측이 다수 개소 절개되어 내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지지부(14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140)의 걸림부(142)는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의 걸리홈(110a) 바닥 측으로 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각 경사지게 걸림되며, 상기 고정링(140)의 지지부(143)는 상기 허브 베어링유닛(130)의 내륜(131) 모서리 측을 감싸듯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상기 고정링(140)을 설치시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걸림부(142)로 인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가열장치가 필요없이 외경을 신축적으로 변형시키면서 리어액슬샤프트(110) 상에 설치하기 용이하게 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허브베어링(135)의 교환시에는 고정링(140)의 걸림부(142)와 지지부(143) 사이의 절개부를 통해 고리부(141)를 절단함으로써 간단히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허브베어링(135)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및
도 4는 도 2의 고정링을 확대해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리어액슬샤프트 120: 액슬하우징
130: 허브베어링 140: 고정링
141: 고리부 142: 걸림부
143: 지지부

Claims (3)

  1. 일측이 타이어 장착용 휠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리어액슬샤프트(110);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의 타측 외주면을 둘러싸듯 배치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액슬하우징(120);
    상기 액슬하우징(120) 내측에 개제되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를 축회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허브베어링(135); 및
    상기 허브베어링(135)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 상에 걸림되며 타측이 상기 허브베어링(135) 일측을 감싸듯 지지되는 고정링(140);
    을 포함하는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액슬샤프트(110)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링(140)의 일측이 걸림되는 걸림홈(11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140)은,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리부(141)와, 상기 고리부(141)의 둘레방향으로 일측이 다수 개소 절개되고 외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10a)에 탄성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부(142)와, 상기 고리부(141)의 둘레방향으로 타측이 다수 개소 절개되어 내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지지부(1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KR1020080116770A 2008-11-24 2008-11-24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KR20100058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70A KR20100058086A (ko) 2008-11-24 2008-11-24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70A KR20100058086A (ko) 2008-11-24 2008-11-24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86A true KR20100058086A (ko) 2010-06-03

Family

ID=4235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770A KR20100058086A (ko) 2008-11-24 2008-11-24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80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47A (ko) * 2018-08-29 2020-03-10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허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47A (ko) * 2018-08-29 2020-03-10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허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5871B2 (en) Arrangement for axially bracing a CVT-fixed bearing from outside a transmission housing
JP2014511303A5 (ko)
US20080167149A1 (en) Belt drive mechanism
RU2013139686A (ru) Узел обода колеса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колеса
US20220088962A1 (en) Wheel bearing assembly
US9493035B2 (en) Flanged hub-bearing unit
JP6503291B2 (ja) フリーホイール装置
JP2015128924A (ja) 軸受モジュール
KR20120046534A (ko) 휠 베어링용 실링 캡
KR20100058086A (ko) 반부동식 리어액슬샤프트의 베어링 고정장치
CN105658999A (zh) 用于轻型结构差速传动装置的支撑装置
KR20200142083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20160007385A (ko) 허브 유닛
KR102556455B1 (ko) 휠베어링 조립체
KR101416384B1 (ko) 차량용 휠 베어링 유닛
KR101899652B1 (ko)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를 구비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 조인트 모듈
JP2006096264A (ja) 転がり軸受装置
JP2021088235A (ja) 車輪用軸受装置及び車輪の取付方法
KR20170025426A (ko) 구동 휠 베어링의 씰링장치
KR20100058085A (ko) 드라이브샤프트 체결구조
KR100846049B1 (ko) 차량용 허브 베어링 고정 장치
KR20240026800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102622836B1 (ko) 차량용 휠베어링
US11420470B2 (en) Wheel bearing
KR101837396B1 (ko) 등속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