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390A -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390A
KR20100057390A KR1020080116414A KR20080116414A KR20100057390A KR 20100057390 A KR20100057390 A KR 20100057390A KR 1020080116414 A KR1020080116414 A KR 1020080116414A KR 20080116414 A KR20080116414 A KR 20080116414A KR 20100057390 A KR20100057390 A KR 20100057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ritical fluid
tablet
disintegrating tablet
fast disintegrating
micro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556B1 (ko
Inventor
이시범
조일환
이고은
안태군
홍일기
정선오
이용택
신경민
윤명식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08011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556B1/ko
Priority to PCT/KR2009/006536 priority patent/WO2010058924A2/ko
Priority to EP09827689A priority patent/EP2361614A2/en
Priority to JP2011537352A priority patent/JP2012509315A/ja
Priority to CN2009801466453A priority patent/CN102223881A/zh
Priority to US13/128,072 priority patent/US20110217372A1/en
Publication of KR2010005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성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체, 및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를 초임계 유체와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추출하여 정제 중에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Orally fast-disintegrating tablet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공성의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나 캅셀제는 200 - 250 mL의 물과 함께 삼켜서 복용해야 하나 일부의 환자들에게는 이러한 복용법이 불편하거나 실행 불가능 할 수 있다. 특히, 노인, 유아, 어린이, 연하운동이 곤란한 사람, 수분 섭취를 제한해야 하는 환자, 치매나 파킨슨병 등 신체적, 정신적인 이유에서 관리가 어려운 환자와 같은 경우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를 투여하기 곤란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구강에서 타액에 의해 쉽게 붕해되거나 액상으로 전환되는 속붕해 정제(이하, '속붕해정'이라고도 한다)로서 투여가 바람직하다. 속붕해정은 또한 빠르게 붕해되므로 생리활성물질의 흡수를 신속하게 하고자 할 때나 생리활성물질을 구강과 식도에서 흡수시켜 생체이용율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속붕해정은 입 안에서 침에 의해 신속하게 붕해되어 생리활성물질 또는 생리 활성물질을 함유한 입자가 방출되는 제형으로 보통 1 분 이내에 붕해된다. 알피쉐러(R.P. Scherer) 사에 의해 동결건조로 제조된 상품명 자이디스(Zydis)라는 기술이 처음으로 개발된 후로 패스트-디졸빙(fast-dissolving)이라는 명칭으로 이 기술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자이디스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출시(1996년)됨에 따라 기술의 개발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속붕해정은 기능적으로 i) 정제가 구강에서 신속히 붕해되어야 하며, ii) 구강에서 수불용성 잔존물을 남기지 않으며, iii) 취급, 유통 중 마손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속붕해정의 제조방법은 주형법, 동결건조법, 승화법, 붕해제 첨가, 당의 재결정화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한가지 혹은 여러가지 방법이 조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US 5,631,023 및 US 5,976,577는 약물이 포함된 용액을 동결건조(Lyophilization)하여 제제화한 속붕해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제에는 Pepcid RPD(파모티딘 제제, 머크), Zofran Zydis(온단세트론 제제, 글락소웰컴), Claritin RediTabs(로라타딘) 등의 제품이 있다. 이 제품들은 구강 내에서 2 내지 3 초 이내에 빨리 녹는 장점이 있지만, 미리 성형된 용기에 약물 용액을 주입한 후 특수한 온도 조건에서 동결건조해야 하는 등 제조 시 생산성이 낮으며 이렇게 제조된 제제도 특수 재질로 포장되어야 하는 등 생산 원가가 높아 경제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구강에서 신속하게 붕해되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강조한 나머지 경도와 마손도가 측정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갖는 동결건조법 대신에, 일본 야마노우찌사(Yamanouchi)는 와우탭(WOWTAB) 기술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문헌으로서 WO 99/47126는 수용성 고분자를 결합제로 사용하여 활성성분과 함께 타정한 후 고습 조건에서 인습시킨 다음 건조하여 잔류 유기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속붕해정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WO 93/12769는 활성성분과 한천, 당 등의 현탁액을 금형에 충진하고 30℃, -760mmHg 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생산성이 낮으며 제품간에 품질의 일정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US 6,024,981 및 6,221,392 호(Orasolv, Durasolv 기술, Cima Labs)는 활성성분을 직접 타정이 가능한 부형제와 혼합하여 구강내 속붕해정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기계적 강도가 보완된 측면이 있기는 하나, 직타 가능한 당이나 강력 붕해제의 양의 사용이 과다하여 소량의 치료학적 성분을 가진 정제에만 적용 가능하며 고용량의 약물이 사용되는 경우 적용이 불가능하거나 적용하더라도 정제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구강내 속붕정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씨마 연구소(Cima Labs)는 오라솔브(Orasolv)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US 5,178,878호 및 US 6,024,981). 이 기술로 제제화된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Zimig Rapimelt(zolmitriptan 제제, 아스트라제네카) 제품이 있다. 이 제품은 발포성 물질을 함유하는 정제 제형이지만 만족할만한 구강 붕해성을 가지지 못할 뿐 아니라 구강 내 발포 가스의 발생으로 환자의 복약 순응도가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초임계 유체란 임계점 이상의 온도와 압력하에 있는 비압축성 유체로 서, 기존의 유기용매가 나타나지 않는 독특한 특성, 즉 액체에 가까운 밀도, 기체에 가까운 점도와 높은 확산계수, 매우 낮은 표면 장력 등의 우수한 물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더욱이, 초임계 유체는 밀도를 이상 기체에 가까운 희박 상태에서부터 액체 밀도에 가까운 고밀도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평형물성(용해도), 전달물성(점도, 확산계수, 열전도도), 분자 뭉침(clustering) 상태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의 이러한 독특한 성질을 이용하여 근래에는 특정 물질의 선택적 추출, 추출 물질을 통한 물질의 분석 등의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구강 내에서 쉽게 붕해되거나 용해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구강 내 속붕해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초임계 유체를 용매로 사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기술인 초임계 유체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장점을 지닌 다공성의 속붕해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임계 유체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우수한 기계적 강도, 속붕해성, 및 경제성을 갖는 구강내 속붕해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속붕해성, 및 경제성을 갖는 구강내 속붕해정을 초임계 유체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활성성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체, 및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를 초임계 유체와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추출하여 정제 중에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속붕해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구강내 속붕해정은 활성성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 가체, 및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혼합하여 타정한 후 초임계 유체와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추출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의 추출에 의한 제거에 의해 다공성 포어를 가진다. 이러한 다공성 포어 형성 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구강내 속붕해정은 다공성 포어를 가짐으로써 구강 내에서의 신속한 속붕해성을 갖게 된다.
종래에 한국특허공개 2003-0076051에서는 정제 중의 다공성 포어를 생성시키는 방법으로, 승화성 물질을 혼합하여 포어를 생성시키는 방법 및 용매를 접촉시켜 포어를 생성시키는 방법이 있었으나, 승화성 물질을 혼합하는 방법은 승화성 물질의 제거를 위해, 수십 시간 열을 공급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적인 방법이며 약물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가열온도 및 가열속도가 제한적이다. 또한, 용매를 접촉시켜 포어를 형성하는 방법은 첨가제의 팽윤으로 인해 정제의 크기가 커지며 용매들이 대부분 환경에 유해한 유기 용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 의한 다공성 포어의 형성에서는 초임계 유체가 확산속도가 크고 표면장력이 낮아 분말간 미세공극으로 빠르게 침투하며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녹인 후 신속하게 빠져 나오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구강내 속붕해정은 초기의 투자 비용은 크지만, 대량생산될 수 있으며, 제조 시 추출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은 재활용 가능하고,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내 속붕해정 제조 시 추출 공정 후 정제의 변형이 적어 바람직하며, 초임계 유체로서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며, 과도한 열 또한 사용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절약적인 구강내 속붕해정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활성성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및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은 활성성분 1 중량부에 대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0.1~1000 중량부, 및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 0.01~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활성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형제로는 D-만니톨, 솔비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글루코스, 말토덱스트린, 트레할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프럭토스, 말토스, 말티톨, 메틸셀룰로오스,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칠셀룰오스의 알칼리 금속염, 카라기난, 갈락토만난, 트라가칸트, 펙틴, 키토산 또는 키틴의 유도체, 아라비아고무, 잔탄검, 알긴산 또는 알간산 알칼리 금속, 폴리메타크릴산 또는 그의 염,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또는 그의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릴퓨마르산 소듐, 이산화규소, 또는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약제학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첨가제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유체 가용성 물질은 지방산, 지방산의 에스테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알코올 또는 그 유도체, 유기산, 저융점 고형 또는 반고형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알데히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멘톨, 캄파, 치몰, 벤조산, 유캅립톨, 살리살산, 살리살산메칠, 나프탈렌 또는 그 유도체, 세틸알콜, 스테아릭산, 스테아릭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바닐린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타정된 정제를 초임계 유체와 접촉시킬 때, 초임계 유체와 함께 공용매를 추가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와 함께 공용매를 사용하여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추출할 경우 초임계 가용성 물질의 초임계상의 용해도가 증가되거나 더 낮은 온도 에서 추출할 수 있어 약물의 화학적 안정성에 있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용매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에테르, 클로르포름, 아세톤, 디메틸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초임계 일산화질소, 초임계 아세틸렌, 초임계 삼불화메탄, 초임계 프로판, 초임계 에틸렌, 초임계 염화불화탄소 또는 초임계 제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초임계 유체를 타정된 정제와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 가용성 물질을 추출하는 반응은 10-90℃, 30-400 bar 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속붕해정에 적용될 수 있는 활성성분으로는 구강내 속붕해성 필요한 임의의 약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열 진통제, 항궤양제, 위장관 운동 조절제, 항균제, 항염증제, 구충제, 항바이러스제, 항불안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항정신병약, 모르핀 유도체, 국소마취제, 항진균제, 항응고제, 항경련제, 발기부전치료제, 항히스타민제, 충혈제거제, 지사제, 이뇨제,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해열진통 및 소염제로는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덱시프로펜, 아스피린, 트라마돌,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케토프로펜, 셀렉콕시브등,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등이 있고, 상기 항궤양제 및 위장관 운동조절제로는 시메티딘, 파모티딘, 라니티딘, 록사티딘, 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판토프라졸, 모사프라이드, 메토클로파미드, 돔페리돈,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등이 있고, 상기 항균제 및 항염증제로는 베타-락탐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설폰아마이드류,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토브라마이신 등이 있으며, 상기 발기부전 치료제로는 실데나필, 바다나필, 유데나필 등이 있고, 상기 항불안제로는 부피로피온, 플로오세틴, 또는 벤라팍신 등이 있으며, 상기 항경련제로는 카바마제핀, 라모트리진, 또는 페니토인 등이 있으며, 상기 항정신병약으로는 올란자핀, 아리피프라졸, 리스페리돈, 할로페리돌, 또는 클로로프로마진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약물로는 아시클로버, 팜시클로버, 또는 발라시클로버 등이 있고, 지사제로는 로페라미드 등이 있으며, 상기 항히스타민제로는 페닐아민, 로라타딘, 세트리진, 레보세트리진, 또는 펙소페나딘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속붕해정은 구강 내에서 약 40초 이내에 붕해도록 할 수 있어 속붕해성이 매우 우수하다. 경도 또한 7 kp 이상으로 할 수 있어, 본 발 명에 따른 구강내 속붕해정은 운반과 포장 공정에서의 진동을 충부히 견디고 손으로 PTP 포장에서 꺼내어 입에 넣는 동안 파손의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활성성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및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를 초임계 유체와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추출하여 정제 중에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속붕해정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구강내 속붕해정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정제 내에 다공성 포어를 형성시킴으로써, 충분한 경도를 가지면서도 신속한 속붕해성을 나타내며, 초임계 추출법의 사용으로 인해 신속하게 대량생산될 수 있으며, 제조 시 추출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은 재활용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초임계 유체로서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인 장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당알콜로서 D-만니톨 90mg, 결합제로서 PVP k-30 2.5mg,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로서 세틸 알코올 5mg, 및 활택제로서 SiO2 2.5mg을 사용하여 정제 총중량 100 mg, 경도 7kp의 일반 정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당알콜로서 D-만니톨 90mg, 결합제로서 PVP k-30 2.5mg,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로서 세틸 알코올 5mg, 및 활택제로서 SiO2 2.5mg을 사용하여 정제 총중량 100 mg, 경도 7kp의 일반 정제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정제를 온도 40℃, 압력 80 bar의 초임계 유체에 30 분간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인 세틸 알코올을 정제에서 추출하여 미세공극이 형성된 속붕해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부형제로서 메틸셀룰로오스 90 mg, 결합제로서 PVP k-30 2.5 mg,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로서 세틸 알코올 5mg, 및 활택제로서 SiO2 2.5 mg을 사용하여 정제 총중량 100 mg, 경도 7 kp의 일반 정제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정제를 온도 40℃, 압력 80 bar의 초임계 유체에 30 분간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인 세틸 알코올을 정제에서 추출하여 미세공극이 형성된 속붕해정을 제조하였다.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의 추출율은 50.4% 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일반 정제를 온도 40℃, 압력 80 bar의 초임계 유체에 90 분간 접촉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속붕해정을 제조하였다.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의 추출율은 101.0% 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일반 정제를 온도 40℃, 압력 120 bar의 초임계 유체에 30 분간 접촉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속붕해정을 제조하였다.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의 추출율은 97.8% 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일반 정제를 온도 40℃, 압력 160 bar의 초임계 유체에 30 분간 접촉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속붕해정을 제조하였다.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의 추출율은 100.0% 였으나 가용성 물질 이외에도 정제의 표면 일부가 부스러져 손실됨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
1정당 활성성분으로 아세트아미노펜 325 mg, 당알콜류로서 D-만니톨 52mg, 결합제로서 PVP k-30 5mg, 활택제로서 SiO2 1.5mg, 스테아릴퓨마레이트소듐 5 mg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 혼합 분말을 1 정당 총중량 420 mg, 경도 9kp로 타정하여 일반 정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2의 당알콜인 D-만니톨 대신 메칠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1정당 활성성분으로 아세트아미노펜 325 mg, 당알콜류로서 D-만니톨 52mg, 결합제로서 PVP k-30 5mg, 활택제로서 SiO2 1.5mg, 스테아릴퓨마레이트소듐 5 mg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 혼합 분말을 1 정당 총중량 420 mg, 경도 9kp로 타정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정제를 온도 40℃, 압력 80bar의 초임계 유체에 90 분간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인 세틸 알코올을 정제에서 추출하여 미세공극이 형성된 속붕해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당알콜인 D-만니톨 대신 메칠셀룰로오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속붕해정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수분 흡수능 시험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 추출 전의 일반 정제과 실시예 2-5에서 제조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 추출 후의 속붕해정에 대하여, 정제의 수분 흡수능 측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물이 채워진 모세관을 이용한 수분 흡수능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단위 시간당 물 흡수 양을 평가하였다. 유리섬유 위에 올려진 정제의 수분흡수능력에 따라 단위 시간당 모세관에 채워진 물의 이동양을 mL/초의 단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8080511490-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속붕해정의 경우 수분 흡수능이 초임계 유체 가용성 물질을 초임계 유체 추출하기 전의 정제에 비해 약 2~3 배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붕해 시험
상기 비교예 2 및 3에서 제조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 추출 전의 일반 정제과 실시예 6 및 7에서 제조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 추출 후의 속붕해정에 대하여 일정량의 물이 담긴 시험관내에서 완전히 풀어지는 시간을 평가하였다.
[표 2]
Figure 112008080511490-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본 발명에 따른 속붕해정의 경우 고용량의 약물을 함유한 속붕해정임에도 불구하고 붕해 시간이 약 30초 이내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초임계 유체 가용성 물질을 초임계 유체 추출하기 전의 정제에 비해 붕해시간이 현저히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정제의 수분 흡수능 측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이 채워진 모세관을 이용한 수분 흡수능 측정 장치에 측정하고자 하는 정제를 올려 놓은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8)

  1. 활성성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체, 및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를 초임계 유체와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추출하여 정제 중에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속붕해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유체 가용성 물질은 지방산, 지방산의 에스테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알코올 또는 그 유도체, 유기산, 저융점 고형 또는 반고형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알데히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속붕해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유체 가용성 물질은 멘톨, 캄파, 치몰, 벤조산, 유캅립톨, 살리살산, 살리살산메틸, 나프탈렌 또는 그 유도체, 세틸알콜, 스테아릭산, 스테아릭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바닐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속붕해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초임계 유체와 함께 공용매를 더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속붕해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에테르, 클로르포름, 아세톤, 디메틸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속붕해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10-9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속붕해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30-400 bar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속붕해정.
  8. 활성성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및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를 초임계 유체와 접촉시켜 초임계 유체-가용성 물질을 추출하여 정제 중에 미세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내 속붕해정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80116414A 2008-11-21 2008-11-21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 KR101075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414A KR101075556B1 (ko) 2008-11-21 2008-11-21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
PCT/KR2009/006536 WO2010058924A2 (ko) 2008-11-21 2009-11-09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
EP09827689A EP2361614A2 (en) 2008-11-21 2009-11-09 Fast dissolving oral tablet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11537352A JP2012509315A (ja) 2008-11-21 2009-11-09 口腔内速崩壊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09801466453A CN102223881A (zh) 2008-11-21 2009-11-09 快速溶解口服片剂及其制备方法
US13/128,072 US20110217372A1 (en) 2008-11-21 2009-11-09 Fast dissolving oral tablet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414A KR101075556B1 (ko) 2008-11-21 2008-11-21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390A true KR20100057390A (ko) 2010-05-31
KR101075556B1 KR101075556B1 (ko) 2011-10-20

Family

ID=4219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414A KR101075556B1 (ko) 2008-11-21 2008-11-21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17372A1 (ko)
EP (1) EP2361614A2 (ko)
JP (1) JP2012509315A (ko)
KR (1) KR101075556B1 (ko)
CN (1) CN102223881A (ko)
WO (1) WO201005892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736A (ko) * 2012-03-02 2014-11-11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속붕괴성 정제
KR20180114441A (ko)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6009A (zh) * 2013-02-06 2014-11-05 量子高科(北京)研究院有限公司 一种快速崩解剂型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8878A (en) * 1989-10-02 1993-01-12 Cima Labs, Inc. Effervescent dosage form with microparticles
WO1993012769A1 (en) 1991-12-24 1993-07-08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Intrabuccally disintegrating preparation and production thereof
AU691195B2 (en) 1993-07-09 1998-05-14 R.P. Scherer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freeze dried drug dosage forms
US6024981A (en) 1997-04-16 2000-02-15 Cima Labs Inc. Rapidly dissolving robust dosage form
US5976577A (en) * 1997-07-11 1999-11-02 Rp Scherer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fast dispersing solid oral dosage form
US6465009B1 (en) 1998-03-18 2002-10-15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Water soluble polymer-based rapidly dissolving tablets and production processes thereof
JPWO2002069934A1 (ja) * 2001-03-06 2004-07-02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口腔内速崩壊性製剤
KR100435514B1 (ko) * 2002-03-22 2004-06-10 한미약품 주식회사 실데나필 젖산염의 속효제형
EP1595533B1 (en) * 2003-01-21 2010-01-06 Nippon Shinyaku Co., Ltd. Tablet quickly melting in oral cavity
MX2008012299A (es) * 2006-03-31 2008-11-18 Rubicon Res Private Ltd Tabletas de desintegracion or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736A (ko) * 2012-03-02 2014-11-11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속붕괴성 정제
KR20180114441A (ko)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17372A1 (en) 2011-09-08
KR101075556B1 (ko) 2011-10-20
EP2361614A2 (en) 2011-08-31
CN102223881A (zh) 2011-10-19
JP2012509315A (ja) 2012-04-19
WO2010058924A2 (ko) 2010-05-27
WO2010058924A3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hwa et al.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Friendly to pediatrics and geriatrics
Gupta et al. Recent trends of fast dissolving tablet-an overview of formulation technology
JP6545839B2 (ja) 口腔内崩壊錠及びその製造方法
Slavkova et al. Orodispersible drug formulations for children and elderly
Sharma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fast dissolving tablet technology
Heer et al. Recent trends of fast dissolving drug delivery system–an overview of formulation technology
Jeong et al. Material properties for making fast dissolving tablets by a compression method
Prateek et al. Fast dissolving tablets: a new venture in drug delivery
TWI285117B (en) Medicinal compositions quickly disintegrating in the oral cav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Vishali et al. Orodispersible tablets: A review
Patil et al. Recent trends in orodispersible tablets–An overview of formulation technology and future prospects
Bera et al. A detailed study of mouth dissolving drug delivery system
JP2008285434A (ja) 口腔内速崩壊錠
Swamivelmanickam et al. Mouth dissolving tablets: an overview
KR101075556B1 (ko) 구강내 속붕해정 및 그 제조방법
Jha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melt-in-mouth tablets of haloperidol
Jire et al. Mouth dissolving tablet: A novel drug delivery system
Kushwaha et al. A review on fast dissolving formulation technologies
Kapse et al. Co-processed superdisintegrants: Novel technique for design orodispersible tablets
Aarti et al. Orodispersible tablets: A comprehensive review
Singh et al. Mouth Dissolving Tablets: An innovative deviation in drug delivery system
Ahamed et al. Review of Fast-dissolving Tablets–A New Era in Brand-new Drug Delivery Systems
Kiran et al. Fast dissolving tablet: A Future prospective
Ansari et al. Mouth Dissolving Tablet: A novel approach for delivery of presystamically metabolized drug
Bhakare et al. Deep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al Progress of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Formulation, Techniques, and Products: A Comprehensive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