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370A -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370A
KR20100057370A KR1020080116382A KR20080116382A KR20100057370A KR 20100057370 A KR20100057370 A KR 20100057370A KR 1020080116382 A KR1020080116382 A KR 1020080116382A KR 20080116382 A KR20080116382 A KR 20080116382A KR 20100057370 A KR20100057370 A KR 20100057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ep torque
vehicle speed
vehicle
brake switch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758B1 (ko
Inventor
윤석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7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63Cr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8Brak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저속 주행 또는 정지 시에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없고 차량의 크립 토크만을 발생할 경우 차속과 브레이크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크립 토크를 효율적으로 생성 및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속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상태의 지속성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 상태가 기준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 크립 토크를 발생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차속, 브레이크 스위치, 크립토크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creep torque of HEV}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저속 주행 또는 정지 시에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없고 차량의 크립 토크만을 발생할 경우 차속과 브레이크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크립 토크를 효율적으로 생성 및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모터, 변속기 및 배터리로 구성되며, 하이브리드 제어기(HCU;16)는 엔진 제어기(ECU;17), 모터제어기(MCU;19), 변속기제어기(TCU;18), 배터리 제어기(BMS;20)와 캔통신을 하여 엔진(10), 모터(14), 변속기(15) 및 배터리(12) 상태를 제어하여 차량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운전자 의지와 배터리(12) 전원 상태에 따라 전기 모 터(14)에 의한 전기 동력이나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데, 차량의 연비 향상을 위하여 전기 동력에 의한 차량 구동을 최대한 사용하려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
일반 가솔린 ETC(Electronic Throttle Control) 차량의 경우 운전자의 주행 의지는 엑셀 포지션 페달(Accel. Position Pedal) 및 브레이크 스위치 입력 신호에 의하여 결정 된다.
운전자의 요구 토크를 실현 하기 위하여 엔진 제어기(ECU;17)가 쓰로틀 개도 및 연료 분사를 통하여 엔진(10)이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반영하도록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하이브리드 제어기(HCU;16)가 엑셀 포지션 페달 및 브레이크 스위치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운전자의 주행 의지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제어기(HCU;16)는 운전자 요구 토크를 실현 하기 위하여 엔진 제어기(ECU;17)에 의한 엔진(10)의 출력 토크와, 배터리(12) 전원 상태에 따라 모터 제어기(MCU;19)에 의한 모터 출력 토크의 조합에 의하여 최종 출력 토크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일반 양산차의 경우 차량이 저속 혹은 정지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의지가 없을 경우, 즉 엑셀 페달을 밟지 않았을 때 크립(Creep) 토크만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생되는 크립 토크는 엔진에 의하여 발생되며, 이때 엔진은 최소한의 동력으로 크립 토크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차량이 저속 혹은 정지 상태일 때 운전자가 가 속의지가 없을 경우 크립 토크를 생성하기 위해 엔진의 동력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연료 소모를 줄이도록 제어 로직이 구성되어 있어서 엔진은 정지되고 모터를 이용한 전기 동력에 의해 크립 토크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크립 토크는 배터리 전원 상태에 따라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며, 크립 토크가 오래 지속될 경우 배터리의 전원 상태가 좋지 못하게 되어 엔진을 다시 시동하여 엔진에 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이 저속 혹은 정지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의지가 없을 경우 엔진 정지 및 모터의 전기 동력을 정지 하여 크립 토크를 0 으로 생성하도록 제어 로직을 구성할 경우 이 동작 영역이 빈번하게 발생 하게 되면 변속기 기어의 백래시(Backlash)에 의하여 차량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가 일정 차속 이하로 브레이크 스위치를 밟았을 경우에 크립 토크를 최소 토크로 발생 되도록 제어 로직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 로직 또한 오래 지속될 경우 배터리 전원 상태가 양호 하지 못하게 되어 엔진을 재시동하여 엔진에 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차량이 저속 혹은 정지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의지가 없을 경우, 즉 엑셀페달을 밟지 않았을 때 크립 토크에 의하여 운전자 요구 토크가 생성될 경우 차량의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제어 로직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이 저속 주행 또는 정지 시에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없고 차량의 크립 토크만을 발생할 경우 차속과 브레이크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크립 토크를 효율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차량의 성능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속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상태의 지속성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 상태가 기준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 크립 토크를 발생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입력상태의 지속성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 상태가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최소한의 크립 토크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재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에서 상기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브레이크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 현재 차량속도 기준 최대 크립 토크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차량이 저속 주행 또는 정지 시에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없고 차량의 크립 토크만을 발생할 경우 운전자 요구상태 및 차량 상태에 따라 크립 토크의 생성을 다르게 함으로써, 크립 토크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의 성능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가속 페달에 따른 운전자 요구토크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이 저속 주행 또는 정지 시에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없고 차량의 크립 토크만을 발생할 경우 차속과 브레이크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크립 토크를 효율적으로 생성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도 3은 도 2의 운전자 요구토크 발생 영역 중에 크립 토크 발생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서 크립 토크의 영역을 ①,②,③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따른 제어로직을 수행한다. ①,②,③의 세 영역은 운전자 요구 상태 및 차량 상태에 따라 크립 토크의 생성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제어하도록 제어로직을 구성한다.
도 4는 차량 거동에 따른 크립 토크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①의 영역은 하이브리드 차량이 저속이고 브레이크 입력 스위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진입하게 된다. 이 경우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운전자의 감속의지로 판단하여 기어 백래시 등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크립 토크만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입력 스위치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현재 차속 기준으로 최대 크립 토크를 발생하게 한다.
②의 영역은 도 4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이 저속이고 브레이크 입력 스위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진입하게 된다. 이 경우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운전자의 감속의지로 판단하여 기어 백래시 등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크립 토크만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스위치의 입력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될 경우 ③의 영역에서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운전자가 감속 후 정지하려는 의지로 판단하여 크립 토크를 최소 크립토크로 출력하다가 더 이상의 크립 토크를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차속센서로부터 차량 속도를 입력받아 현재 차량 속도와 차속기준값을 비교하여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브레이크 스위치의 입력 상태를 확인한다. 브레이크 스위치가 입력 되었을 경우 타이머를 동작시켜 브레이크 스위치의 입력상태의 지속성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브레이크 지연시간이 기준시간과 같을 경우에는 ③의 영역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완전히 차량을 정지하려는 의지로 평가되어 크립 토크를 0으로 출력하게 된다.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브레이크 지연시간이 기준시간보다 작을 경우에는 ②의 영역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천천히 차량을 정지하려는 의지로 평가되어 크립 토크를 크립 최소값으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차속센서로부터 차량 속도를 입력받아 현재 차량 속도와 차속기준값을 비교하여 차속기준값보다 큰 경우, 즉 운전자가 다시 가속하거나 브레이크 스위치의 입력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①의 영역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하려는 의지로 평가되어 크립 토크를 크립 최대값으로 출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가속 페달에 따른 운전자 요구토크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도 2에서 "A"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거동에 따른 크립 토크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토크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11 : ISG
12 : 배터리 13 : 엔진클러치
14 : 모터 15 : 변속기
16 : HCU 17 : ECU
18 : TCU 19 : MCU
20 : BMS

Claims (3)

  1.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속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상태의 지속성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 상태가 기준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 크립 토크를 발생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입력상태의 지속성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 상태가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최소한의 크립 토크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재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속도가 차속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브레이크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 현재 차량속도 기준 최대 크립 토크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KR1020080116382A 2008-11-21 2008-11-21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KR101054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382A KR101054758B1 (ko) 2008-11-21 2008-11-21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382A KR101054758B1 (ko) 2008-11-21 2008-11-21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370A true KR20100057370A (ko) 2010-05-31
KR101054758B1 KR101054758B1 (ko) 2011-08-05

Family

ID=4228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382A KR101054758B1 (ko) 2008-11-21 2008-11-21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7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798B1 (ko) * 2011-01-10 2013-01-14 주식회사 만도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US9610952B2 (en) 2014-09-05 2017-04-0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eep torque of a vehicle
US10017184B2 (en) 2015-09-11 2018-07-10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releasing creep torque control of vehicle before stop
US10118620B2 (en) 2014-05-12 2018-11-06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reep torque of vehicle
KR20190040640A (ko) * 2017-10-11 2019-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오프 라인 설정 방법
KR20200001789A (ko) * 2018-06-28 2020-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모터를 구비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차 제어 방법
CN113320533A (zh) * 2021-08-02 2021-08-31 南通睿动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蠕行车速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9604A (ja) 1998-08-19 2000-03-03 Toyota Motor Corp 制動トルク制御方法および制動装置
JP3922205B2 (ja) 2003-04-14 2007-05-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モータトルク制御装置
KR100520569B1 (ko) 2003-12-24 2005-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전기자동차의 크리프 토크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798B1 (ko) * 2011-01-10 2013-01-14 주식회사 만도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US10118620B2 (en) 2014-05-12 2018-11-06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reep torque of vehicle
US9610952B2 (en) 2014-09-05 2017-04-0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eep torque of a vehicle
US10017184B2 (en) 2015-09-11 2018-07-10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releasing creep torque control of vehicle before stop
KR20190040640A (ko) * 2017-10-11 2019-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온오프 라인 설정 방법
KR20200001789A (ko) * 2018-06-28 2020-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모터를 구비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차 제어 방법
CN113320533A (zh) * 2021-08-02 2021-08-31 南通睿动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蠕行车速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758B1 (ko) 201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5113B2 (en) Eng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05475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방법
US6334079B1 (en)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mitting deceleration regeneration or charge of hybrid vehicle
US8370014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vehicle
US9969391B2 (en) Vehicle travel control apparatus
JP5420154B2 (ja) 電子吸気量制御装置が搭載された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エンジントルク制御方法
US93277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clutch delivery torque of hybrid electric vehicle
KR10240611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US9073427B2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CN1986307A (zh) 一种用于混合动力汽车的发动机起停控制方法
KR20140044675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엔진 기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2142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ngine clutch in an environmentally-friendly vehicle
KR20120021094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60038484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크립 토크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10054930A1 (en) Simulated rev-matching in a vehicle having a two motor hybrid system transmission
JP2004092428A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US117529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high voltage battery
US6794765B2 (en) Engine star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17094824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20220281325A1 (en) Control device of vehicle
JP2016078517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2261294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운전자 오조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482565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구동 모드 제어방법
JP2016120800A (ja) 車両制御装置
KR20210013382A (ko)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의 isg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