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678A -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678A
KR20100056678A KR1020080115600A KR20080115600A KR20100056678A KR 20100056678 A KR20100056678 A KR 20100056678A KR 1020080115600 A KR1020080115600 A KR 1020080115600A KR 20080115600 A KR20080115600 A KR 20080115600A KR 20100056678 A KR20100056678 A KR 20100056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terminal
communication
usb
portable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우
임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678A/ko
Publication of KR2010005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접속되는 멀티미디어 단자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로부터 수신한 신호 레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용 기기인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통신용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단자에 접속된 USB 통신용과 UART 통신용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구분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에러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USB, UART, 멀티미디어 단자, 오디오

Description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Multimedia system for distinguishing communication of multimedia instrument}
본 발명은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입력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헤드유닛, 텔레매틱스 단말기, AVN(audio, vedio, navigation) 장치, 오디오 장치,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구비한다.
특히, 차량 내에서 오디오 장치에 MP3 플레이어,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직렬버스) 메모리카드, 아이팟(iPod) 기기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연결하여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내의 데이터를 차량 내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차량 내의 오디오 장치는 USB 단자 또는 AUX(auxiliary) 단자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단자를 별도로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단자의 USB 단자 또는 AUX 단자를 통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차량 내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그런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중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USB 메모리스틱 등은 USB 통신을 수행하나, 아이팟 기기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통신을 수행한다.
즉, USB 통신을 수행하는 MP3 플레이어, PMP, USB 메모리스틱 등의 일반적인 대용량 저장장치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대용량의 데이터를 오디오 장치로 전송하여 오디오 장치가 이를 직접 재생시켜 출력한다. 이에 반하여, 아이팟 기기는 아이팟 기기가 재생한 음원 데이터를 UART 통신을 통해 오디오 장치로 전송하여 오디오 장치가 출력하도록 하고, 오디오 장치는 명령신호를 UART 통신을 통해 아이팟 기기로 전송하여 아이팟 기기를 제어한다.
이처럼 아이팟 기기와 대용량 저장장치는 그 통신방법이 상이하여, UART 통신을 수행하는 아이팟 기기와 USB 통신을 수행하는 대용량 저장장치의 접속을 구분하여 오디오 장치가 통신을 수행해야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오디오 장치가 아이팟 기기와 대용량 저장장치 중 어느 기기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없어, 아이팟 기기가 연결되었는데 USB 통신을 시도하는 등으로 인해 인식 에러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UART 통신기기와 USB 통신용 대용량 저장장치의 연결을 구분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동작 에러율을 감소시키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ART 통신기기와 USB 통신용 저속력 장치의 연결을 구분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동작 에러율을 최소화시키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접속되는 멀티미디어 단자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로부터 수신한 신호 레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용 기기인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통신용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로부터 수신한 신호 레벨을 통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USB 통신용 기기 중 고속력 또는 전속력 장치인지 상기 UART 통신용 기기 또는 상기 USB 통신용 기기 중 저속력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와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는, USB 통신 또는 UART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USB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USB 단자와, 상기 UART 통신용 기기가 접속되는 AUX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상기 USB 단자에 연결되면, 상기 USB 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UART 통신용 기기 또는 상기 USB 통신용 기기 중 저속력 장치인 경우, 상기 AUX 단자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UART 통신용 기기인지 상기 저속력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의 AUX 단자에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UART 통신용 기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AUX 단자에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저속력 장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단자에 접속된 USB 통신용 기기와 UART 통신용 기기를 구분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인식 에러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단말기(100) 및 멀티미디어 단자(200)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단자(200)를 통해 연결되는 아이팟기기(300)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직렬버스) 통신기기(400)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및 차량 네트워크 통신부(140)를 구비한다.
제어부(110)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300, 400)가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접속하면 멀티미디어 단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통신을 수행하는 아이팟 기기(300)인지 USB 통신을 수행하는 USB 통신기기(400) 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10)의 아이팟 기기(300)와 USB 통신기기(400)의 구별 방법은 추후 표 2, 도 2a 및 도 2b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20)는 대용량 저장장치(410)로부터 수신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표시부(130)는 동작 에러 등을 표시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네트워크 통신부(140)는 멀티미디어 단자(200)와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단자(200)는 USB 단자(220)와 AUX(auxiliary) 단자(230)를 구비한다.
멀티미디어 단자(200)는 정육면체의 본체(210)로 형성되고, 정면에 USB 단자(220)와 AUX 단자(230)를 나란히 구비하고, 정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240)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된다. 이때, USB 단자(220)는 아래 표 1과 같이 4개의 핀을 가지며 AUX단자(230)는 원형의 형태로 구비된다.
신호 이름 간략설명
1 USB/IPOD_5V 공급전압 5V, 1.2A
2 D- USB 신호/ UART 데이터 출력
3 D+ USB 신호/ UART 데이터 출력
4 USB/IPOD_GND 접지전압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 핀에 공급전압이 인가되고 4번 핀에는 접지전압이 인가된다. 2번핀과 3번핀은 D-, D+ 핀으로 표시되고 USB 또는 UART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핀으로 공유된다.
아이팟 기기(300)에 연결되는 케이블(310)은 아이팟 기기(300) 측에 연결되는 아이팟 연결부(320), 멀티미디어 단자(200) 측에 연결되는 멀티미디어 연결부(330)를 구비하고, 멀티미디어 연결부(330)는 USB 단자(220)와 AUX 단자(230)에 동시에 접속되도록 USB 연결부(331)와 AUX 연결부(332)를 구비한다.
USB 통신기기(400)는 MP3 플레이어, PMP, USB 메모리스틱 등의 대용량 저장장치(MSC;410)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저속력 장치(420)를 포함하고, USB 케이블(430)로 연결된다.
이하, 표 2, 도 2a 및 도 2b를 이용하여 제어부(110)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구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USB 통신기기(400)는 대용량 저장장치(410)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저속력장치(420)를 포함하는데, 대용량 저장장치(410)는 고속력(High speed) 또는 전속력(Full speed)으로 구동되고, 저속력 장치(420)는 저속력(Low speed)으로 구동된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저장장치(410)가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접속하는 경우 입력신호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력 또는 전속력으로 구동되는 대용량 저장장치(410)는 송수신기(411) 출력단자의 D+핀측에 풀업저항 R1이 구비되어, D+핀측에는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고 D-핀측에는 상대적으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멀티미디어단자(200)의 송수신기(250)측의 D+단자에 하이레벨 신호가 인가되고 D-단자에 로우레벨 신호가 인가된다. 이때, 풀다운저항 R3, R4이 D+핀과 D-핀 각각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팟 기기(300)가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접속하는 경우 입력신호 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UART 통신을 수행하는 아이팟 기기(300)는 송수신기(311) 출력단자의 D-핀측에 풀업저항 R2이 구비되어 D-핀측에는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고 D+핀측에는 상대적으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도 2c와 같이 저속력으로 구동되는 저속력 장치(420)도 송수신기(311) 출력단자의 D-핀측에 풀업저항 R5이 구비되어, 아이팟기기(300)와 동일하게 D-핀측에는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고 D+핀측에는 상대적으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대용량 저장장치(410), 저속력장치(420), 아이팟기기(300)가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접속하는 경우 D+핀과 D-핀에 인가되는 신호레벨을 정리하면 아래 표 2와 같다.
Figure 112008080016546-PAT00001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단자(220)에 고속력 또는 전속력의 대용량 저장장치(410)가 접속되면 D+핀에 하이레벨신호(H)가 입력되고 D-핀에 로우레벨신호(L)가 입력된다. 한편, USB 단자(220)에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저속력 장치(420)가 접속되거나 아이팟 기기(300)가 접속되면 D-핀에 하이레벨신호(H)가 입력되고 D+핀에 로우레벨신호(L)가 입력된다.
이에,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단자(200)로부터 D+핀과 D- 핀의 입력신호레벨을 이용하여 D+ 핀에 하이레벨신호, D-핀에 로우레벨신호가 인가되면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대용량저장장치(41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D+ 핀에 로우레벨신호, D-핀에 하이레벨신호가 인가되면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저속력장치(420) 또는 아이팟기기(30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이,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저속력장치(420) 또는 아이팟기기(30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AUX단자(230)에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AUX단자(230)에 입력이 있는 경우 아이팟 기기(30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멀티미디어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단자(200)의 USB 단자(220)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연결되는지를 판단한다(S101).
멀티미디어 단자(200)의 USB 단자(220)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연결되면, 멀티미디어 단말기(100)는 USB 단자(220)의 D+핀과 D-핀에 인가된 신호레벨에 따라 연결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USB 통신을 수행하는 USB 통신 기기(400)인지 UART 통신을 수행하는 아이팟 기기(300)인지를 판단한다(S102).
이에, USB 단자(220)의 D+핀에 하이레벨신호, D-핀에 로우레벨신호가 인가된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기(100)는 USB 단자(220)에 연결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USB 통신 기기(400)인 것으로 판단하고, USB 단자(220)의 USB 통신을 통해 USB 통신기기(4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재생한다(S103).
한편, USB 단자(220)의 D+핀에 로우레벨신호가 인가되고 D-핀에 하이레벨신호가 인가된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연결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저속력 장치(420) 또는 아이팟기기(300)인 것으로 판단하고, AUX 단자(230)에 입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04).
이에, AUX 단자(230)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연결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아이팟기기(300)인 것으로 판단하고, USB 단자(220)의 UART 통신을 통해 아이팟기기(300)로 명령신호 등을 송수신한다(S105).
AUX 단자(230)에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단자(200)에 연결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저속력 장치(420)인 것으로 판단하고 동작 에러를 표시한다(S106).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저장장치가 멀티미디어 단자에 접속하는 경우 입력신호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팟 기기가 멀티미디어 단자에 접속하는 경우 입력신호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력 장치 또는 아이팟 기기가 멀티미디어 단자에 접속하는 경우 입력신호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멀티미디어 단말기 200 : 멀티미디어단자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표시부 140 : 차량 네트워크 통신부
210 : 본체 220 : USB 단자
230 : AUX 단자 240 : 덮개
300 : 아이팟 기기 310 : 케이블
320 : 아이팟 연결부 330 : 멀티미디어 연결부
331 : USB 연결부 332 : AUX 연결부
400 : USB 통신기기 410 : 대용량 저장장치
420 : 저속력 장치 430 : USB케이블

Claims (5)

  1.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접속되는 멀티미디어 단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로부터 수신한 신호 레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용 기기인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통신용 기기인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를 포함하는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로부터 수신한 신호 레벨을 통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USB 통신용 기기 중 고속력 또는 전속력 장치인지 상기 UART 통신용 기기 또는 상기 USB 통신용 기기 중 저속력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와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네트워크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는,
    USB 통신 또는 UART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USB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USB 단자; 및
    상기 UART 통신용 기기가 접속되는 AUX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상기 USB 단자에 연결되면, 상기 USB 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UART 통신용 기기 또는 상기 USB 통신용 기기 중 저속력 장치인 경우,
    상기 AUX 단자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UART 통신용 기기인지 상기 저속력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자의 AUX 단자에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 어 기기가 상기 UART 통신용 기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AUX 단자에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저속력 장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20080115600A 2008-11-20 2008-11-20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KR20100056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600A KR20100056678A (ko) 2008-11-20 2008-11-20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600A KR20100056678A (ko) 2008-11-20 2008-11-20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678A true KR20100056678A (ko) 2010-05-28

Family

ID=4228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600A KR20100056678A (ko) 2008-11-20 2008-11-20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6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536A (ko) *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6100A (ko) * 2015-07-07 2017-0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단자 케이블 연결 진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536A (ko) *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6100A (ko) * 2015-07-07 2017-0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단자 케이블 연결 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795B1 (ko)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1901176B1 (en)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JP5616897B2 (ja) 標準機器コネクタでの代替コンテンツの伝送
US20070239924A1 (en)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udio-and-video signals with USB connector
EP2854041A1 (en) Device-dependent selection between modes for asymetric serial protocols
US20070197100A1 (en) Type of hard disk interface device
US20110244728A1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and adaptor of the connector
CN204576500U (zh) 一种兼容i2c通信的usb通信电路和系统
CN111723040A (zh) Usb接口切换装置、切换方法及终端设备
US20120306456A1 (en) Charging circuit
KR20100056678A (ko) 통신별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US20140068113A1 (en) Data transmission betwe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various accessory devices via respective dedicated connection interfaces
CN210895119U (zh) 一种接口电路及其汽车诊断设备
TWI458219B (zh) 充電電源判斷電路
CN107273323B (zh) 一种USB Type-C转接多媒体接口的装置
EP1669841A2 (en) Keyboard with audio output
CN211180806U (zh) 基于hdmi接口的调试串口电路、hdmi接口模块及hdmi设备
JP2008171261A (ja) 接続検出装置及び接続検出方法
TWI442239B (zh) 周邊裝置
KR20060112053A (ko) 유에스비 장치의 연결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CN201732277U (zh) 具有mp3播放功能的皮带机综合保护操作台
TWI587150B (zh) 具有多個連接介面的可攜式電子裝置
US20120293950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ersonal system 2 (ps/2) port
US20030204737A1 (en) Method for secreting a portable disk drive
CN103827768A (zh) Usb外围设备以及其的传输功率降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