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950A - 줌 렌즈 - Google Patents

줌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950A
KR20100055950A KR1020080114862A KR20080114862A KR20100055950A KR 20100055950 A KR20100055950 A KR 20100055950A KR 1020080114862 A KR1020080114862 A KR 1020080114862A KR 20080114862 A KR20080114862 A KR 20080114862A KR 20100055950 A KR20100055950 A KR 20100055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lens
zoom lens
zoo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799B1 (ko
Inventor
심형록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7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개시된 줌 렌즈는 제1, 제2, 제3 및 제4 렌즈군을 포함하고, 고배율이면서 소형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줌 렌즈{Zoom lens}
본 발명은 고배율 줌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가진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나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메가 픽셀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요구되고,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500만 이상의 화소와 고화질의 성능을 가지는 카메라가 등장하고 있다.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혹은 핸드폰 카메라와 같은 결상 광학 기기는 소형화, 경량화, 저 비용화가 요구된다. 한편, 소형화, 경량화, 저 비용화와 함께 고배율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배율의 줌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렌즈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및 제4렌즈군을 포함하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에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고,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고,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며, 배율이 35-39 범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소형이면서 고배율, 고성능 및 제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을, 도 1b는 중간단을, 도 1c는 망원단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물체측(O)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렌즈군(G1), 제2렌즈군(G2), 제3렌즈군(G3) 및 제4렌즈군(G4)을 포함한다. 변배시 상기 제2렌즈군(G2)과 제4렌즈군(G4)이 이동한다.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 고, 제2렌즈군(G2)과 제3렌즈군(G3)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며, 제3렌즈군(G3)과 제4렌즈군(G4) 사이의 간격은 증가한다. 한편, 상기 제4렌즈군(G4)이 물체거리 변화에 따른 포커싱을 수행한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및 제4 렌즈(1)(2)(3)(4)를 포함하고, 제2렌즈군(G2)은 제5, 제6, 및 제7렌즈(5)(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군(G3)은 제8렌즈(8) 및 제9렌즈(9)를 포함하고, 제4렌즈군(G4)은 제10렌즈(10), 제11렌즈(11) 및 제12렌즈(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적어도 하나의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G2)은 적어도 하나의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6렌즈(6) 및 제7렌즈(7)가 접합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군(G4)은 2중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부호 13은 필터를 나타낸다. 제3 렌즈군(G3)은 조리개(S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렌즈군(G1)을 4매의 렌즈로 구성하여 줌 렌즈의 민감도를 줄임으로써 양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는 35-39 범위의 배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렌즈군(G3)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제8렌즈(8)가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군(G4)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제12렌즈(12)가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렌즈군(G3)과 제4렌즈군(G4)에서 비구면 렌즈를 구비하여 변배시 발생하는 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오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x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y축으로 할 때, 광선의 진행 방향을 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A, B, C, D는 비구면 계수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1/R)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2008079571539-PAT00001
이하, f는 전체 줌 렌즈의 초점거리를, Fno는 F 넘버를, 2ω는 화각을, Radius은 곡률 반경을, Thickness는 렌즈의 중심 두께 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Type은 렌즈의 소재를, nd는 굴절률을, vd는 아베수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ST는 조리개를 나타내며, D1, D2, D3, D4는 가변 거리를 나타내며, Asphere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1a 내지 도 1c는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f:3.5730-127.5907 Fno:1.6874-3.9531 2ω:33.82-1.007
Figure 112008079571539-PAT00002
다음은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8079571539-PAT00003
다음은 줌 렌즈의 변배시 가변 거리에 대한 데이터이다.
D0 D1 D2 D3 D4 D5
광각단 infinite 0.95724 26.02056 8.09045 7.50000 3.53683
중간단 infinite 20.10444 6.87336 2.70964 12.88081 3.53886
망원단 infinite 25.15286 1.82494 14.72833 0.86212 3.54209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면만곡으로는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보여준다. 도 3a 내지 도 3c는 코마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CCD와 CMOS 같은 촬상 장비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혹은 비디오 카메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소형이면서 고배율, 고성능 및 제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중간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망원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코마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렌즈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및 제4렌즈군을 포함하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에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고,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고,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며, 배율이 35-39 범위를 가지는 줌 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줌 렌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줌 렌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KR1020080114862A 2008-11-18 2008-11-18 줌 렌즈 KR10136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862A KR101361799B1 (ko) 2008-11-18 2008-11-18 줌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862A KR101361799B1 (ko) 2008-11-18 2008-11-18 줌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950A true KR20100055950A (ko) 2010-05-27
KR101361799B1 KR101361799B1 (ko) 2014-02-11

Family

ID=4228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862A KR101361799B1 (ko) 2008-11-18 2008-11-18 줌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7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6449A1 (ja) * 2010-10-08 2012-04-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US9885857B2 (en) 2013-01-03 2018-02-06 Hanwha Techwin Co., Ltd. Zoom le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2006B2 (ja) * 2005-05-31 2011-07-27 株式会社リコー ズームレンズおよび情報装置
KR100627071B1 (ko) * 2005-07-12 2006-09-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소형 고배율 줌렌즈
KR100702960B1 (ko) * 2005-09-02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렌즈 광학계
KR100781164B1 (ko) * 2006-11-03 2007-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고배율 줌렌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6449A1 (ja) * 2010-10-08 2012-04-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718351B2 (ja) * 2010-10-08 2015-05-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US9069155B2 (en) 2010-10-08 2015-06-30 Fujifilm Corporatio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9885857B2 (en) 2013-01-03 2018-02-06 Hanwha Techwin Co., Ltd. Zoom le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799B1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124B1 (ko) 어안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932722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20025338A (ko) 광각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50062803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10040463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10027122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40091345A (ko) 줌 렌즈계
KR20100128903A (ko) 줌 렌즈
KR101383900B1 (ko) 줌 렌즈 시스템
KR20110040247A (ko) 와이드 컨버터 렌즈
KR20150068194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676785B1 (ko) 소형 줌 렌즈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10004089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결상 광학 장치
KR20060113256A (ko) 소형 줌렌즈
KR20110046015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361799B1 (ko) 줌 렌즈
KR101660839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571337B1 (ko) 소형 줌 렌즈
KR20100062568A (ko) 광각 줌 렌즈
KR101416237B1 (ko) 줌 렌즈
KR101462957B1 (ko) 소형 줌 렌즈
KR20110064213A (ko) 소형 줌 렌즈
KR101431544B1 (ko) 소형 줌 렌즈
KR102003779B1 (ko) 줌 렌즈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