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778A -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778A
KR20100055778A KR1020080114648A KR20080114648A KR20100055778A KR 20100055778 A KR20100055778 A KR 20100055778A KR 1020080114648 A KR1020080114648 A KR 1020080114648A KR 20080114648 A KR20080114648 A KR 20080114648A KR 20100055778 A KR20100055778 A KR 2010005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waterway
escape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261B1 (ko
Inventor
한동권
Original Assignee
한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권 filed Critical 한동권
Priority to KR102008011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2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수로를 형성하는 블록에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구비하고, 생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여, 블록으로 형성된 수로에 생물이 서식함과 동시에 외부로 유출입하여 생태계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수로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본체와 서식용부재 및 생물이 탈출하기 위한 탈출용 블록을 구비하는 하나이상의 구비하는 수로용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용 블록이 설치될 시공장소에 터파기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본체를 터파기 된 곳에 안착시켜서 서로 밀착하여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블록본체의 일측에 탈출용블록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탈출용 블록의 일측에 복수의 블록본체를 연속해서 밀착시키고, 상기 복수의 블록본체 일측에 다른 탈출용블록을 밀착시켜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서식용부재에 생물이 서식하는 서식공간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터파기 된 곳을 되메우기 하면서 주변 정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80114648
수로, 배수로, 프리캐스트, 서식공간

Description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THE WATER CHAN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공장에서 일정크기로 제작된 수로용 블록을 시공장소로 옮겨서 시공하고, 수로용 블록에 의해 시공되는 배수로에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횡단용, 배수용 그리고 각종 케이블 설치를 위한 공동구용 목적으로 땅속에 묻히는 지중 구조물이라 하며, 이 지중구조물은 주로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소요깊이만큼 흙을 터파기 한 후 바닥면을 고르게 한 다음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일정 콘크리트 양생기간이 지나고 강도가 충분히 발현된 후 흙으로 다시 메워서 완성하는 것이다.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이 구조물의 소요길이가 길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한 번에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 아닌, 여러 구간에 걸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현재 가설되는 철근콘크리트 수로공사는 대부부이 지반을 굴착한 후, 굴착부위의 바닥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제작하게 된다.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수로시공은 특성상 먼저 시공한 면과 나중에 시공하는 면 사이의 연결부를 통하여 각종 이물질 침투, 누수가 있어 구조물 내의 철근이 부식되는 등 구조물의 내구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에 따른 충분한 야생기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지하수 유입과 같은 문제로 인하여 시공이 조잡해져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된 하천의 수로 등으로 개구리나 뱀 등의 생물들이 들어오게 되면, 수로의 양측벽이 콘크리트로 되어 있어 비가 오지 않을 경우에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혀서 죽게 되어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천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블록에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구비 하고, 생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여, 수로용 블록으로 형성된 수로에 생물이 서식함과 동시에 외부로 유출입하여 생태계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록본체와 서식용부재 및 생물이 탈출하기 위한 탈출용 블록을 구비하는 하나이상의 구비하는 수로용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용 블록이 설치될 시공장소에 터파기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본체를 터파기 된 곳에 안착시켜서 서로 밀착하여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블록본체의 일측에 탈출용블록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탈출용 블록의 일측에 복수의 블록본체를 연속해서 밀착시키고, 상기 복수의 블록본체 일측에 다른 탈출용블록을 밀착시켜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서식용부재에 생물이 서식하는 서식공간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터파기 된 곳을 되메우기 하면서 주변 정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본체와 서식용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수로용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용 블록이 설치될 시공장소에 터파기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본체를 터파기 된 곳에 안착시켜서 서로 밀착하여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서식용부재에 생물이 서식하는 서식공간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터파기 된 곳을 되메우기 하면서 주변 정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작단계에는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통행용블록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식용 공간을 만들기 이전에 통행용블록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작단계에는 상기 블록본체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상기 서식용부재가 끼움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식공간이 만드는 단계에는 상기 블록본체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상기 서식용부재가 끼움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와 다른 블록본체가 밀착되면, 상기 블록본체에 형성된 요홈부를 통하여 상기 블록본체의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연결부재를 끼워서 다른 블록본체의 요홈부로 상기 연결부재의 끝을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끝에 조임부재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구비하고, 생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한 수로용 블록의 시공으로 수로를 형성하여, 수로용 블록으로 형성되는 수로에 생물이 서식할 수 있고, 서식되는 뱀과 개구리 같은 파충류의 생물이 수로를 자유롭게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가물어서 수로에 물이 없더라도 생물이 생존할 수 있으므로,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의 탈출용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의 통행용블록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에서 수로용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에서 수로용블록과 탈출용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에서 수로용블록과 탈출용블록, 통행용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의 서식용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은, 블록본체(100)와, 서식용부재(200), 탈출용블록(300), 통행용블록(400)으로 크 게 구성된다.
블록본체(100)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일정한 블록형태의 제작용 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에 양생을 걸쳐서 콘크리트구조물을 제작하는 제작공장에서 그 크기와 형태와 다를 뿐 다양한 형태를 다수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100)는 공장에서 제작시 제작용 틀에 서식용부재(200)가 끼워지는 끼움구멍(170)을 형성하기 위한 지그 등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을 걸쳐 제작한다.
블록본체(100)의 바닥에는 서식용부재(200)가 끼워지는 끼움구멍(170)이 형성된다.
블록본체(100)는 두 개 이상 연결될 때 결합부(110)에 의해 연결되며, 이 결합부(110)는 블록본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부(112)와, 타단부에 형성되는 결함돌부(114)를 포함한다.
즉, 블록본체(100)는 2개 이상이 연결될 때, 블록본체(100)의 결합홈부(112)에 다른 블록본체(110)의 결합돌부(114)가 끼워져 연결되는 구성이다.
결합홈부(112)는 블록본체(100)의 단부 내주가 일정깊이의 홈과 폭으로 패여서 형성되고, 결합돌부(114)는 블록본체(100)의 단부 외주가 일정깊이의 홈과 폭으로 패여서 형성된다.
여기에서, 블록본체(100)의 결합홈부(112)에 다른 블록본체(100)의 결합돌부(114)가 끼워져 결합될 때, 그 내면이 동일면을 이룰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블록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 모서리에는 요홈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부(140)에 연통되는 관통구멍(13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2개 이상의 블록본체(100)가 서로 밀착되어, 관통구멍(130)이 연결되면, 요홈부(140)를 통하여 연결된 관통구멍(130)에 연결부재(190)를 끼워서 다른 블록본체(100)의 요홈부(140)로 연결부재(190)의 끝을 돌출시켜 연결부재(190)의 양끝에 조임부재(191)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연결부재(190)를 팽팽하게 당겨서 블록본체(100)를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조임부재(191)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조임부재(191)의 양측에는 서로 다른 연결부재(190)의 단부가 나사 고정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된다.
즉, 서로 다른 연결부재(190)가 상기 조임부재(191)의 고정구멍에 각각 나사 고정되어 통공으로 돌출된다.
또한, 블록본체(1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90)가 끼워져 고정되는 요홈부(140)는 도 1과 같이, 블록본체(100)의 내측 모서리에 형성하고, 이 요홈부(140)와 연결되는 관통구멍(130)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요홈부(140)는 블록본체(100)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하는 구성도 적용가능하다.
블록본체(100)의 바닥에는 서식용부재(200)가 끼움 고정되는 끼움구멍(170)이 형성되고, 이 끼움구멍(170)은 블록본체(100)가 배수로에 설치될 때 배수로의 바닥과 블록본체(100)의 바닥면 위쪽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서식용부재(200)는 블록본체(100)와는 달리 별도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멍(170)의 내주에 꽉 맞도록 끼워지는 테두리부재(210)와, 테두리부재(210) 내측에 사방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크로스부재(220)로 구성된다.
크로스부재(220)는 테두리부재(210)의 내부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1크로스부재(222)와, 상기 제1크로스부재(222)에 교차되어 결합되는 제2크로스부재(224)로 구성된다.
테두리부재(210)는 일정한 형상의 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크로스부재(220)가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홈(2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끼움홈(211)은 테두리부재(210)의 내측면 상단에서 아래로 형성되되 상단에서 일정높이의 아래까지 형성되는 구성이다. 크로스부재(220)가 끼움홈(210)에 끼워져서 밑으로 빠지지 않고, 끼움홈(210)의 하단에 걸림되도록 된 구성인 것이다.
한편, 서식용부재(200)는 상기에 기술한 것처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도 1과 같이, 블록본체(100)의 제작시 다수의 막대부재(250)로 구성되는 서식용부재(200)를 블록본체 제작용 틀에 끼움구멍(170)을 형성하는 지그와 함께 배치하여 일체로 블록본체(100)에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블록본체 제작용 틀에 지그와 함께 다수의 막대부재(250)를 일정간격으로 수평과 수직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서식용부재(200)를 블록본체(100)에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다.
탈출용블록(300)은 다수의 블록본체(100)의 사이에 연결되며, 블록본체(100) 의 폭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블록본체(100)의 바닥으로 흐르는 물이 흘러가는 통로(310)가 구비되고, 통로(310)와 연결되며 블록본체(100)의 바닥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통로(310)의 일측에 일정한 공간으로 된 경사부(320)가 형성된다. 즉, 이 경사부(320)는 블록본체(10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벗어난 곳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탈출용블록(300)의 경사부(320)는 공간에 흙이나 자갈 모래 등이 채워져 일정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서식용 부재(200)에 서식하게 될 개구리나 뱀 등의 생물이 통로(310)를 통하여 이동하다가 경사부(320)를 통하여 수로 블록으로 형성되는 유로를 벗어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탈출용블록(300)의 일단부에는 블록본체(100)의 결합돌부(114)가 결합되는 결합홈(302)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블록본체(100)의 결합홈부(112)에 결합되는 결합돌부(304)가 형성된다.
그리고, 탈출용블록(300)의 모서리부에는 요홈부(340)가 형성되고, 이 요홈부(340)는 탈출용블록(300)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구멍(330)에 연통된다.
즉, 탈출용블록(300)의 요홈부(340)로 연결부재(190)가 끼워져 블록본체(100)의 요홈부(140)로 돌출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조임부재(191)로 체결되어 탈출용블록(300)과 블록본체(100)가 밀착되도록 된 구성이다.
통행용블록(400)은 단면이 대략 'ㅁ'형상으로, 그 양면에는 탈출용블록(300)이나 블록본체(100)에 연결되는 결합부가 구비된다. 결합부는 일면에 형성되는 결 합홈(410)과, 타면에 형성되는 결합돌부(420)를 포함한다.
즉, 이 결합부는 블록본체(100)나 탈출용블록(300)에 구비된 결합부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 통행용블록(400)이 블록본체(100)나 탈출용블록(300)에 연결되도록 된 구성인 것이다.
또한, 통행용블록(400)의 내측이나 외측 모서리에는 요홈부(440)가 형성되고, 이 요홈부(440)에 연통되는 관통구멍(43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경사용블록(500)은 도 4와 같이, 양측벽면(510)이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는 서식용공간(200)이 형성되어, 이 서식용공간(200)에 서식용부재(250)가 고정된 구성이다.
그리고, 경사용블록(500)의 전후방 끝에는 통행용블록(400), 탈출용블록(300), 블록본체(100)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11)가 형성된다. 경사용블록(500)의 내측 양쪽 모서리부분에는 요홈부(540)가 형성되고, 이 요홈부(540)에 연통되는 관통구멍(530)이 경사용블록(5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결합부(511)는 경사용블록(50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514)와, 경사용블록의 타단에 형성되는 결합홈부(512)를 포함한다.
또한, 경사용블록(500)의 측벽(510)에는 경사용블록(500)이 설치된 후에 측벽(510)의 외측면이 밀착되는 땅바닥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공(510a)이 형성되어, 이 연통공(510a)에서 작은 동식물들이 생존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이다.
또한, 경사용블록(500)의 측벽(510) 내측면은 울퉁불퉁하게 다수의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되어 바닥에 떨어진 작은 동물들이 경사지고 울퉁불퉁한 측벽(510)을 타고 밖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이다.
즉, 경사용블록(500)이 통행용블록(400), 탈출용블록(300), 블록본체(100), 다른 경사용블록(500) 중 어느 하나와 밀착되어 연결될 때, 연결부재(190)를 요홈부(540)로 해서 관통구멍(530)에 끼워서 다른 블록의 요홈부로 돌출시켜서 조임부재(191)로 연결부재(19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한편, 블록본체(100)에 서식용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생물이 서식하기 위한 서식공간은 탈출용블록(300)과 통행용블록(400)에도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탈출용블록(300)과 통행용블록(400)에 형성되는 서식공간은 블록본체(100)에 형성되는 서식공간과 동일하고, 서식공간을 형성하는 방법도 동일함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블록본체(100), 서식용부재(200), 탈출용블록(300), 통행용블록(400)으로 구비되는 하나이상의 수로용 블록을 제작한다.
즉, 블록본체(100), 탈출용블록(300), 통행용블록(400)은 그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제작용 틀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블록본체(100)의 제작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블록본체(100)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틀에 끼움구멍(170)을 형성하기 위한 끼움구멍 성형틀을 설치하고, 또한, 블록본체(100)의 요홈부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도 같이 설 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한 후에 끼움구멍(170)과 요홈부가 형성된 블록본체(100)의 형태를 제작한다.
그런 다음, 블록본체(100)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끼움구멍의 가장자리에 서식용부재를 블록본체(100)에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성형틀을 설치한 다음, 이 성형틀에 다수의 막대부재로 구성되는 서식용부재를 상기 성형틀에 고정하고, 1차로 완성된 블록본체(100)를 더 두껍게 하기 위한 제작틀을 설치한 후에, 이 제작틀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하게 된다.
그러면, 다수의 막대부재로 구성되는 서식용부재(200)가 블록본체(100)의 끼움구멍(170)에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식용부재(200)는 별도의 금형으로 테두리부재(210)와 크로스부재(220)를 각각 제작한 다음에 조립하여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수로용 블록을 터파기가 완료된 시공 장소로 옮겨서 모든 시공 준비를 완료한다.
이렇게 시공준비가 끝나면, 먼저 하나의 블록본체(100)를 터파기 된 곳에 안착시키고, 다른 블록본체(100)를 상기 블록본체(100)에 인접하여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블록본체(100)의 결합홈부(110)에 다른 블록본체(100)의 결합돌부를 끼워 결합한다.
이렇게 블록본체(100)와 다른 블록본체(100)가 밀착되면, 블록본체(100)의 관통구멍(130)으로 끼워져 요홈부(140)에 돌출되는 서로 다른 연결부재(190)의 단부를 조임부재(191)로 연결한다.
그런 다음, 조임부재(191)를 공구로 힘껏 조여서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된 블록본체들을 보다 더 밀착되도록 한다.
두 개의 블록본체(100)가 연결되면 또 다른 블록본체(100)를 이동시켜 상기 연결된 블록본체(100)의 일측에 결합하고, 연결부재(190)로 연결하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블록본체(100)가 3~5 개가 연속되어 연결되면 탈출용블록(300)을 복수의 연결된 블록본체(100)의 일측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설치한다.
탈출용블록(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탈출용블록(300)에 블록본체(100) 3~5개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 설치하고, 다시 탈출용블록(300)을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렇게 블록본체(100)와 탈출용블록(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블록본체(100)의 끼움구멍(170)에 서식용부재(200)를 끼워 고정하고, 서식용부재(200)에 흙 또는 자갈 또는 모래 등을 채워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블록본체(100)를 시공장소에 안치하여 시공하기 전에 즉, 블록본체(100)를 제작한 후에 블록본체(100)의 끼움구멍(170)에 서식용부재(200)를 끼움 고정한 후에 이 서식용부재(200)에 흙,모래,자갈 등을 채워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형성하고, 이 블록본체(100)를 시공장소에 안치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본체(100)의 제작시 서식용부재(200)를 제작용틀에 배치하여 블록 본체(10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되메우기 작업 등 수로용 블록이 설치된 장소의 주변을 정리하면서 수로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블록본체(100)를 시공장소에 시공하기 전에, 블록본체(100)에 형성된 끼움구멍(170)에 서식용부재(200)를 끼움 고정한 후에, 블록본체(100)를 안치하여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재(190)를 블록본체(100)가 연결될 때마다 관통구멍(130)에 끼워서 요홈부(140)에서 조임부재(191)로 고정하였는데, 설치하고자 하는 블록본체(100)와 탈출용블록(300)을 전부 연결한 후에, 연결부재(190)를 요홈부(140)을 통하여 관통구멍(130)에 끼워 넣고 요홈부(140)에서 조임부재(191)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을 시공할 때에 상기 탈출용블록(300)은 사용하지 않고, 블록본체(100)와 서식용부재(200)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수로 구조물의 시공하는 과정에서 도 5와 같이, 탈출용블록(300)은 시공하지 않고, 블록본체(100)를 안치하여 서로 연결한 다음 서식용부재(200)에 서식공간을 형성하는 작업을 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블록본체(100)와 탈출용블록(300)이 서로 연결된 수로 구조물에서 블록본체(100)나 탈출용블록(3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통행용블록(400)을 연결한 구성도 적용가능하다.
즉, 블록본체(100)를 다수 연결한 상태에서 통행용블록(400)은 안치시켜 연결하고, 이 통행용블록(400)에 블록본체(100)나 탈출용블록(300)을 연결하는 수로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록본체(100)를 다수 연결한 상태에서 탈출용블록(300)을 연결하고, 이 탈출용블록(300)에 다수의 블록본체(100)를 연결한 후에, 이 블록본체(100)에 통행용블록(400)을 연결하는 수로구조물을 구성하는 것도 적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블록본체(100), 탈출용블록(300), 통행용블록(400)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되 순서와 개수의 관계없이 수로 구조물이 시공되는 지역에 따라 그 연결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 블록들을 제작할 때 도 4와 같은 하나이상의 경사용블록(500)도 같이 제작하여 구비한다. 여기에서, 경사용블록(500)의 제작 과정은 상기의 다른 블록과 같은 제작공정으로 제작됨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사용블록(500)은 상기의 다른 블록과 같이 이동하여 수로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에 따라서 이 경사용블록(500)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 경사용블록(500)은 상기 블록본체(100), 통로용블록(400), 탈출용블록(300), 경사용블록(500) 중 어느 것과도 연결할 수 있으며, 그 연결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블록들의 연결하는 작업과 같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경사용블록(500')들을 도 9와 같이 연결하여 수로를 형성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의 탈출용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의 통행용블록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의 경사용블록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에서 수로용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에서 수로용블로과 탈출용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에서 수로용블록과 탈출용블록, 통행용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에서 각기 다른 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물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의 서식용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록본체 110 : 결합부
112 : 결합홈부 114 : 결합돌부
130 : 관통구멍 140 : 요홈부
170 : 끼움구멍 190 : 연결부재
191 : 조임부재 200 : 서식용부재
210 : 테두리부재 211 : 끼움홈
220 : 크로스부재 222 : 제1크로스부재
224 : 제2크로스부재 300 : 탈출용블록
400 : 통행용블록 500 : 경사용블록

Claims (8)

  1. 블록본체와 서식용부재 및 생물이 탈출하기 위한 탈출용 블록을 구비하는 하나이상의 수로용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수로용 블록이 설치될 시공장소에 터파기하는 단계;
    상기 블록본체를 터파기 된 곳에 안착시켜서 서로 밀착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블록본체의 일측에 탈출용블록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탈출용 블록의 일측에 복수의 블록본체를 연속해서 밀착시키고, 상기 복수의 블록본체 일측에 다른 탈출용블록을 밀착시켜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식용부재에 생물이 서식하는 서식공간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
  2. 블록본체와 서식용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수로용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수로용 블록이 설치될 시공장소에 터파기하는 단계;
    상기 블록본체를 터파기 된 곳에 안착시켜서 서로 밀착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서식용부재에 생물이 서식하는 서식공간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단계에는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통행용블록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용 공간을 만들기 이전에 통행용블록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단계에는 상기 블록본체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상기 서식용부재가 끼움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공간이 만드는 단계에는 상기 블록본체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상기 서식용부재가 끼움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와 다른 블록본체가 밀착되면, 상기 블록본체에 형성된 요홈부를 통하여 상기 블록본체의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연결부재를 끼워서 다른 블록본체의 요홈부로 상기 연결부재의 끝을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끝에 조임부재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물의 시공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시공되는 수로구조물.
KR1020080114648A 2008-11-18 2008-11-18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101065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648A KR101065261B1 (ko) 2008-11-18 2008-11-18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648A KR101065261B1 (ko) 2008-11-18 2008-11-18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778A true KR20100055778A (ko) 2010-05-27
KR101065261B1 KR101065261B1 (ko) 2011-09-16

Family

ID=4228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648A KR101065261B1 (ko) 2008-11-18 2008-11-18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572B1 (ko) * 2011-09-05 2012-03-27 유한회사 태일토건 저면 개방형 친환경 농수로의 시공방법
KR101898155B1 (ko) * 2017-09-19 2018-09-12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투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수로관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733A (ja) * 1989-06-28 1991-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200216305Y1 (ko) * 2000-09-20 2001-03-15 박병무 암거설비
KR20020049844A (ko) * 2000-12-20 2002-06-26 윤쾌로 플룸관용 생태계 보호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572B1 (ko) * 2011-09-05 2012-03-27 유한회사 태일토건 저면 개방형 친환경 농수로의 시공방법
KR101898155B1 (ko) * 2017-09-19 2018-09-12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투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수로관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261B1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6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43369B1 (ko) 공동구 겸용 프리캐스트 암거 조립체
KR100952608B1 (ko) 기초보강 콘크리트관 구조체
KR100642017B1 (ko)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20060110163A (ko) 조립식 식생 배수로 및 그 시공방법
KR102443623B1 (ko) 연약지반의 하수로용 조립식 암거
KR200349427Y1 (ko) 수로구축용 콘크리트구조물
KR200273648Y1 (ko) 생태보호 철근콘크리트 조립식 측구
KR200457950Y1 (ko) 수로블록
KR100805555B1 (ko) 다분할 세그먼트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13315Y1 (ko) 조립식 배수로
KR101164126B1 (ko) 폴리머콘크리트 거푸집 및 이를 사용한 박스암거 시공방법
KR100859294B1 (ko)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100398961B1 (ko)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KR200233587Y1 (ko)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
KR101047896B1 (ko) 비대칭 h빔 연결재를 갖는 누수방지 및 조립편의성을 위한 조립식 수로
KR200436228Y1 (ko) 밀봉 연결구조가 개선된 수로
KR200384423Y1 (ko) 식생용 수로관 및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KR200214402Y1 (ko) 엘형 측구용 원형관
KR101902688B1 (ko)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KR200408198Y1 (ko) 호안용 생태블록
KR100764688B1 (ko) 농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면블록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