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616A - 비가열 급속경화성 박층 포장재 - Google Patents

비가열 급속경화성 박층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616A
KR20100055616A KR1020080114426A KR20080114426A KR20100055616A KR 20100055616 A KR20100055616 A KR 20100055616A KR 1020080114426 A KR1020080114426 A KR 1020080114426A KR 20080114426 A KR20080114426 A KR 20080114426A KR 20100055616 A KR20100055616 A KR 20100055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layer
epoxy resin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400B1 (ko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주)한동알앤씨
에스씨종합건설(주)
한국신기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알앤씨, 에스씨종합건설(주), 한국신기술산업(주) filed Critical (주)한동알앤씨
Priority to KR102008011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4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E01C7/265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with rubber or synthetic resin, e.g. with rubber aggregate, with synthetic resin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아스콘을 이용한 상온형 비가열 박층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에폭시수지층, 마찰강화에폭시수지층, 세라믹수지층으로 구성된 상온형 비가열 박층 포장 재료이다.
상기 에폭시수지층은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10-50중량부, N-아크릴 우레아 5-20중량부 혼합한 것이고,
상기 마찰강화에폭시수지층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마찰강화분말 10-20 중량부 혼합하고,
상기 마찰강화분말은 실리콘계, 알카리토금속 산화물, 아연, 아연산화물, 산화마그네슘, 수산화 알미늄 (Tri-hydroxy Aluminate), 수산화 마그네슘 (Di-hydroxy Magnecium), 실란 화합물, 실록산 화합물, 산화철, 산화망간, 삼산화 안티몬(Sb2O3), 오산화안티몬(Sb2O5), 구아니딘염, 붕산아연, 몰리부덴화합물, 주석산아연 중에서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폭시수지, 마찰강화에폭시수지, N-아크릴 우레아, 세라믹수지

Description

비가열 급속경화성 박층 포장재{The quickly hardened pavement material wihtout heating}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도료를 이용하여 미끄럼방지 및 투과성을 갖는 도로 및 바닥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차선도색, 박층포장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온 속경화성 포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박층 포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존하는 박층포장(도료도색, 미끄럼방지포장, 초박층 시멘트포설 등) 방법은 일반적인 스프레이식 코팅이거나 붓, 로라 기타 밀대와 해라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휘니샤를 이용한 도포, 포설공법 만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배수성도로와 투수기능성 도로에는 공극과 틈을 모두 막아버리는 불합리한 점과 일관된 문양이나 형태, 단조로운 색상 및 거칠기만을 형성하는 미끄럼 저항계수가 떨어지는 시공방법으로서, 자주 이용 마모되는 부위와 자주 이용되지 않은 부위의 시인성 및 질감
조차 현저히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라인마킹 시 내마모성 및 시인성이 떨어지고 고휘도를 구현하지 못하였다.
또한 시공 후 기온에 따라 건조시간이 너무 느려 작업통행 제한시간이 길어 많은 민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건조 시 수축력이 높아 기층 또는 표층의 자재와의 이질감으로 탈색, 이탈, 박리, 균열 등의 문제현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노면에 열을 가해 경화를 시켜야 하므로 경제적으로도 손실이 있었다.
또한 재시공의 어려움과 재도포, 포장을 한다 하더라도 색상 및 질감에 따른 이질감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골재와 수지를 함께 섞어 일괄 도포하는 포장방법도 골재가 차량의 많은 통행량에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는 현상이 자주발생 급기야 수지층만이 남아 취지와는 다르게 도리어 미끄러운 도로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일반적인 스프레이 코팅은 그 코팅층이 얇아 단시일 내에 박리되어 노면에 남은 도료가 노면의 공극을 메우거나 노면을 평탄화시켜 시공 전보다 더욱 미끄러운 현상을 유발한다. 그리고 기존의 도포자재 및 시공방법은 우천시 수지층의 단점으로 더욱 미끄럽고 배수가 될 수 있는 자재의 외관형성이 없어 수막현상이 많아 반대방향의 라이트 반사로 인한 눈부심과 수막현상의 미끄럼으로 운전자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였다.
어떠한 자재는 시공시 유기용제의 과다한 사용으로 친환경적이지 못한 큰 문제도 내포하고 있으며, 기후에 따라 건조가 늦어 시공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단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10-0653118호(이하 선행발명)는 (A)(a)에폭시 당량이 200 ~ 350이고 지방산으로 변성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비스페 놀 에이를 반응시킨 변성 에폭시 수지 10 ~ 30중량%, (b)에폭시 당량이 200 ~ 350인 액상의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 70 ~ 90중량%를 혼합한 에폭시 수지 60 ~ 80 중량%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B)에폭시 경화제 80 ~ 95 중량%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경화제 5 ~ 20 중량%를 혼합한 혼합경화제 1 ~ 30 중량부, (C)경화촉진제 0.1 ~ 5 중량부, (D)다관능성 아크릴계화합물 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살포식 속경화성 박층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제공한 바 있다.
상기의 선행발명은 상온 경화형 살포식 속경화성 박층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많은 장점이 있는 발명이다.
그러나 선행발명에 의한 도료조성물은 도로에 박층포장을 했을 때 햇볕에 의한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하였을 때 문제점을 일으킨다. 즉 자외선에 취약한 단점이 있어서 박층포장의 내구성이 떨어질 염려가 많다는 점이다.
그리고 색깔이 있는 포장을 할 경우, 자외선에 의한 색상의 변질이 현저하게 일어난다는 점을 간과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에폭시수지를 주로 이용하여 도료조성물을 만든 결과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상온에서 빠르게 경화하는 살포식 박층 도료조성물이긴 하지만 종래의 박층 포장물과 비교하여 작업현장의 능률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정도라고 까지는 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인 자외선에 의한 내구성 유지 문제, 색상의 변질문제를 해결하고 작업능률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며 마찰력도 현저히 높은 상온형 비가열 박층 포장제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을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폭시수지층, 마찰강화에폭시수지층, 세라믹수지층으로 구성된 상온형 비가열 박층 포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에폭시수지층은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10-50중량부, N-아크릴 우레아 5-20중량부 혼합한 것이고,
상기 마찰강화에폭시수지층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마찰강화분말 10-20 중량부 혼합하고,
상기 마찰강화분말은 실리콘계, 탄소분말, 알카리토금속 산화물, 아연, 아연산화물, 산화마그네슘, 수산화 알미늄 (Tri-hydroxy Aluminate), 수산화 마그네슘 (Di-hydroxy Magnecium), 실란 화합물, 실록산 화합물, 산화철, 산화망간, 삼산화 안티몬(Sb2O3), 오산화안티몬(Sb2O5), 구아니딘염, 붕산아연, 몰리부덴화합물, 주석산아연 중에서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온성 박층 도로 포장재가 자외선에 약하여 박층 도로포장재의 색깔이 변질되는 문제점과 내구성이 취약하며 잦은 도로 보수 공사를 요한다는 문제점을 현저히 개선한 발명이다.
또한 통상의 상온형 박층 도로 포장재를 이용하여 도로 및 바닥 포장방법을 제공하여 현저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온성 박층 도로 포장 방법과 비교하여 아주 장시간 햇빛, 구체적으로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도 도로 포장재에 포함된 색소가 변질되는 문제점이 거의 없으며, 현저히 내구성이 증가하여 잦은 도로나 바닥의 보수 공사가 필요하지 않다.
그와 더불어 포장바닥의 마찰력이 종래의 기술보다 현저히 높아 미끄럼 방지가 필요한 바닥이나 면 시공시에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먼저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층을 형성한 후 건조시킨다(제1층).
에폭시 수지는 통상의 산업용도로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를 의미한다.
에폭시수지는 비중 1.230~1.189이며, 굽힘강도 ·굳기[硬度]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경화시에 휘발성 물질의 발생 및 부피의 수축이 없고, 경화할 때는 재료면에 큰 접착력을 가진다. 가연성(可燃性) ·내약품성이 크지만 강한 산과 강 한 염기에는 약간 침식된다. 안료(顔料)를 첨가함으로써 마음대로 착색할 수 있고, 또 내일광성(耐日光性)도 크다. 제품의 최고 사용온도는 80 ℃ 정도로 낮다. 주형(注型) ·매입(埋) ·봉입(封入) 등 뛰어난 가공성을 보인다. 이상과 같은 성능을 이용하여 접착제(금속과 금속의 접합에 가장 알맞다) ·도료 ·라이닝 재료 ·주형품 재료 ·적층판(積層板) ·염화비닐수지의 안정제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종래의 제품이 내열성(耐熱性)에서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고리모양 디에폭시수지를 개발하고, 내열성을 180 ℃ 전후까지 높이는 데 성공한 에폭시 수지도 있다.
비스페놀 A[2,2-비스(4'-옥시페놀)프로판]와 에피클로르히드린을 수산화나트륨의 존재하에서 작용시키면 분자량 300~4,000의 제1차 수지(프레폴리머)가 생긴다. 제1차 수지는 원료의 배합조건에 따라 기름 모양의 것에서 연화점(軟化點) 160 ℃ 가까운 고체 모양의 것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후일의 용도에 따라 반응조건을 선택한다. 제1차 수지에 m-페닐렌디아민 등 아민, 프탈산 무수물 등 산(이들을 경화제라고 한다)을 첨가하면 에폭시기의 고리열림[開環] 및 히드록시기와의 반응이 일어나 다리결합이 이루어져 경화제의 종류나 반응조건에 따라 각각 성질이 다른 수지가 생긴다. 또한 에폭시수지의 점도가 11,000~14,000인 것이 방수 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폭시 수지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일반 비스페놀 A형 에폭시(DGEBA Type Epoxy), 비스페놀 F형 에폭시(DGEBF Type Epoxy), Novolac Type Epoxy, 난연성 에폭시(Brominated Epoxy), Cycloaliphatic Epoxy, Rubber Modified Epoxy, Aliphatic Polyglycidyl Type Epoxy, Glycidyl Amine Type Epoxy 수지 중에서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 에폭시수지 층을 형성시킨다.
에폭시수지 층의 두께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고, 다만 바람직하게는 0.2-5cm가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의 에폭시수지 층은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10-50중량부, N-아크릴 우레아 5-2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1-페놀)디이소시아네이트 ,p-톨루엔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한다.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혼합함에 따라 성에너지형, 현장 시공이 가능하고, 플라스틱 등 열에 약한 기재에 대한 도장성이 우수하며, 고광택으로 선영성이 우수한 도막이 형성되며, 우수한 내후성 내약품성의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인 N-아크릴 우레아는 카르복실 그룹(carboxyl group)과 카르보디이마이드 그룹(carbodiimide group)을 가진 화합물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화합물질을 의미한다.
카르복실그룹은 R-COOH형태의 '-COOH'의 카르복실기를 가진 화합물에서 하나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르보디이마이드 그룹(carbodiimide group)은 '-N=C=N-'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이면 선택할 수 있다. DCC (acronym for Dicyclohexylcarbodiimide), DIC (acronym for N,N'-diisopropylcarbodiimide), EDC ( EDAC 또는 EDCI, acronyms for 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hydrochloride)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N-아크릴 우레아는 내수성(water resistance), 내약품성(chemical resistance), 강접착성(strong adhesion), 유연성(Exellent flexibility), 고분자성(high polymer)의 특징을 가진 관계로 상기 에폭시 수지층의 특성을 더 강화시킨다. 또한 에폭시수지층이 자외선에 쉽게 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에서 열거한 에폭시 수지에다 마찰강화 분말을 혼합한 마찰강화 에폭시수지를 제조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10-50중량부, N-아크릴 우레아 5-20중량부를 혼합한 에폭시수지혼합물에 마찰강화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런 마찰강화에폭시수지를 상기의 에폭시수지층위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층을 형성한다(제2층).
마찰강화 분말은 그 자체로 거칠기와 마찰력이 있어 에폭시수지에 혼합하였을 때 마찰력이 강화되는 분말을 의미한다.
마찰강화 분말의 종류로는 실리콘계, 알카리토금속 산화물, 아연, 아연산화물, 산화마그네슘, 수산화 알미늄 (Tri-hydroxy Aluminate), 수산화 마그네슘 (Di-hydroxy Magnecium), 실란 화합물, 실록산 화합물, 산화철, 산화망간, 삼산화 안티몬(Sb2O3), 오산화안티몬(Sb2O5), 구아니딘염, 붕산아연, 몰리부덴화합물, 주석산아연 중에서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마찰강화분말을 혼합함에 따라 마찰력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에폭시수지에 마찰강화 분말을 혼합하는 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마찰강화분말 5-20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마찰강화분말을 혼합한 에폭시수지를 상기의 건조된 에폭시수지층(제1층)에 마찰강화에폭시수지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층을 형성한다. 층의 두께는 관계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0.2-5cm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마찰강화에폭시 수지층(제2층) 위에 에폭시수지를 다시 도포하여 건조하고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시 그 위에 마찰강화에폭시수지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에포시수지층과 마찰강화에폭시 수지층이 순차적으로 다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층이 많을수록 박층 포장재로의 효과는 내수성, 내후성, 자외선 저항성이 강화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아크릴불소수지, 아크릴우레탄수지 또는 세라믹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을 혼합한 수지를 준비한다. 둘이상을 혼합할 경우에는 아크릴불소수지 : 아크릴 우레탄수지 : 세라믹수지 의 비가 1: 2-3 : 3-5 비율로 혼합하면 바람직하다. 물론 여기에 안료도 혼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제조한 수지를 상기의 마찰강화 에폭시수지층(제2층)위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층을 형성한다(제3층).
층의 두께는 관계없으며 바람직하게는 0.2-5cm인 것이 좋다.
이렇게 아크릴불소수지, 아크릴우레탄수지, 세라믹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층을 형성하는 경우 내화성이 뛰어나며 특히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제1층의 아크릴수지층, 제2층의 마찰강화아크릴수지 층이 잘 보호되는 효과를 갖게 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높아진다.
아크릴불소수지는 아크릴수지골격에 불소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의미하며 통상의 산업용 또는 개량된 아크릴불소수지를 사용하면 된다.
아크릴우레탄수지는 통상의 산업용 또는 개량된 아크릴우에탄수지를 의미한다.
세라믹수지는 통상의 산업용 세라믹수지를 의미하며 나노입자의 원료들을 중축합하여 폴리머화한 제품으로, 세라믹 특유의 초내후성과 부착력, 내오염성 및 내약품성 등의 탁월한 물성을 나타낸다.
세라믹이라 하는 말은 화학적으로 정의하면 금속이나 합금을 제외한 모든 무기 공업 재료를 지칭한다. 만약 도료의 예를 들자면 유기계 도료와 세라믹계 도료의 구분은 여러 가지 기준이 있겠으나 수지(Binder)에 의한 구분이 가장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세라믹수지도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석유 화학에서 얻어지는 유기 수지와 금속염, 실리케이트 등에서 얻어지는 무기 고분자로 이루어진 무기 수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기 수지는 금속 및 이온 결정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고분자 재료로서 거의 모두가 화학 결합으로 이루어져 구성 원소간의 강한 3차원 망상 구조, 혹은 2차원 층상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합성 유기 수지에 비해 내열성, 난연성, 강도 및 내약품성이 뛰어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라믹수지는 상기의 무기 고분자로 이루어진 무기 수지라고 할 수 있다.
불연성, 고경도, 내마모성, 내열성, 내용제성, 내오염성 등이 열거되고 있지만 이들 특성을 가지는 것이 세라믹 수지의 최대 특징이다.
또한 세라믹수지는 결합에너지가 큰 Si-O결합, Al-O결합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분해되기 어렵고 장기간의 내후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3층 또는 그 이상의 층을 이루는 상온형 박층 포장 재료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로포장의 마감작업으로 박층포장을 함에 있어서 상기의 박층 포장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온형 급속경화성 박층 포장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먼저, 시멘트나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바닥포장을 한 위에 에폭시수지를 살포하고 상온에서 경화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제1공정)
물론 에폭시수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 종류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며,또한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10-50중량부, N-아크릴 우레아 5-2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 상기 제1공정이 끝난 후에 에폭시 수지에 마찰강화분말을 혼합한 마찰강화에폭시수지를 도포하고 상온에서 경화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제2공정).
마찰강화분말은 상기한 마찰강화분말과 종류도 동일하며 하나 또는 둘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도 여러종류의 에폭시수지만 단독으로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에폭시 수지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10-50중량부, N-아크릴 우레아 5-2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찰강화에폭시수지는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마찰강화분말 5-20중량부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2공정 이후에 에폭시수지 도포 건조공정(제1공정) 또는 마찰강화에 폭시수지 도포건조공정(제2공정)을 순차적으로 다수 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공정 후에 아크릴불소수지, 아크릴우레탄수지 또는 세라믹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을 혼합한 수지를 준비한다. 둘이상을 혼합할 경우에는 아크릴불소수지 : 아크릴 우레탄수지 : 세라믹수지 의 비가 1: 2-3 : 3-5 비율로 혼합하면 바람직하다. 물론 여기에 안료도 혼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제조한 수지를 상기의 마찰강화 에폭시수지층(제2층)위에 도포하고 상온에서 건조하는 공정을 행한다(제3공정).
이런 공정을 통하여 도로나 바닥의 최종 마무리 박층 포장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런 시공 방법을 통하여 바닥의 마찰도가 현저히 높았고 자외선에도 매우 강하여 변색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작업의 능률도 현저히 상승하였다.
아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본다. 그러나 이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로를 포장하고 난 후,
그 위에 먼저 에폭시수지(비스페놀 A형)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 20중량부, N-아크릴 우레아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약 0.4-1cm 높이로 도포한 후 상온 에서 건조시킨다(제1층).
다시 에폭시수지(비스페놀 A형) 100중량부에 실리콘계 마찰강화분말인 논-슬립(non-slip)전용의 가는 규사를 10중량부 혼합하여 상기 건조된 제1층 위에 약 0.4-1cm 높이로 도포하고 건조시킨다(제2층).
그리고 세라믹수지와 안료를 혼합하여 상기 건조된 제2층 위에 약 0.4-1cm 높이로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3층으로 형성된 박층 도로포장 재료 및 그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도로의 박층포장을 실시하여 자외선에도 매우 강하고, 내구성, 내산성 및 내후성이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
토목, 건축 재료로 사용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필요한 분야에서, 특히 도로포장이나 공장 등의 바닥포장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미장용이나 내구성 및 내화성 그리고 색상의 변질을 방지하고자 하는 포장이 필요한 산업분야에서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8)

  1. 에폭시수지층(제1층),
    마찰강화에폭시수지층(제2층),
    아크릴불소수지, 아크릴우레탄수지 또는 세라믹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을 혼합한 수지층(제3층)으로 이루어지는 도로 포장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제2층 후에 에폭시수지층(제1층)과 마찰강화에폭시수지층(제2층)을 순차적으로 다수회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 재료.
  3. 제 1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수지는 일반 비스페놀 A형 에폭시(DGEBA Type Epoxy), 비스페놀 F형 에폭시(DGEBF Type Epoxy), Novolac Type Epoxy, 난연성 에폭시(Brominated Epoxy), Cycloaliphatic Epoxy, Rubber Modified Epoxy, Aliphatic Polyglycidyl Type Epoxy, Glycidyl Amine Type Epoxy 수지 중에서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을 혼합한 것이고,
    상기 에폭시수지층은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10-50중량부, N-아크릴 우레아 5-20중량부 혼합한 것이고,
    상기 마찰강화에폭시수지층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마찰강화분말 5-2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 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마찰강화분말은 실리콘계, 알카리토금속 산화물, 아연, 아연산화물, 산화마그네슘, 수산화 알미늄 (Tri-hydroxy Aluminate), 수산화 마그네슘 (Di-hydroxy Magnecium), 실란 화합물, 실록산 화합물, 산화철, 산화망간, 삼산화 안티몬(Sb2O3), 오산화안티몬(Sb2O5), 구아니딘염, 붕산아연, 몰리부덴화합물, 주석산아연 중에서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 재료.
  5. 도로 마감 포장에 있어서,
    포장된 도로위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공정(제1공정),
    상기 제1공정 후에 에폭시수지와 마찰강화분말을 혼합하여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공정(제2공정),
    상기 제2공정후에 아크릴불소수지, 아크릴우레탄수지 또는 세라믹수지 중에서 단독으로 또는 2이상을 혼합하여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상온형 박층 도로 포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2공정 후에 제1공정과 제2공정을 순차적으로 다수회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형 박층 도로 포장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에폭시수지는 일반 비스페놀 A형 에폭시(DGEBA Type Epoxy), 비스페놀 F형 에폭시(DGEBF Type Epoxy), Novolac Type Epoxy, 난연성 에폭시(Brominated Epoxy), Cycloaliphatic Epoxy, Rubber Modified Epoxy, Aliphatic Polyglycidyl Type Epoxy, Glycidyl Amine Type Epoxy 수지 중에서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을 혼합한 것이고,
    제1공정은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10-50중량부, N-아크릴 우레아 5-20중량부 혼합하여 도포하고 건조하고,
    제2공정은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마찰강화분말 10-2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형 박층 도로 포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마찰강화분말은 실리콘계, 알카리토금속 산화물, 아연, 아연산화물, 산화마그네슘, 수산화 알미늄 (Tri-hydroxy Aluminate), 수산화 마그네슘 (Di-hydroxy Magnecium), 실란 화합물, 실록산 화합물, 산화철, 산화망간, 삼산화 안티몬(Sb2O3), 오산화안티몬(Sb2O5), 구아니딘염, 붕산아연, 몰리부덴화합물, 주석산아연 중에서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형 박층 도로 포장 방법.
KR1020080114426A 2008-11-18 2008-11-18 비가열 급속경화성 박층 도로 포장재 및 도로 포장방법 KR101026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426A KR101026400B1 (ko) 2008-11-18 2008-11-18 비가열 급속경화성 박층 도로 포장재 및 도로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426A KR101026400B1 (ko) 2008-11-18 2008-11-18 비가열 급속경화성 박층 도로 포장재 및 도로 포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616A true KR20100055616A (ko) 2010-05-27
KR101026400B1 KR101026400B1 (ko) 2011-04-07

Family

ID=4227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426A KR101026400B1 (ko) 2008-11-18 2008-11-18 비가열 급속경화성 박층 도로 포장재 및 도로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146B1 (ko) 2011-06-16 2011-09-20 주식회사 에스아이켐 친환경 에폭시 나노복합 코팅제 정수장 방수시공방법
KR101554666B1 (ko) * 2015-04-24 2015-09-21 현대건업 (주)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도로 조성물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509B1 (ko) * 2006-11-01 2007-05-23 대동안전주식회사 소성 폐점토벽돌을 이용한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400B1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429B1 (ko)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 시공방법
US8317956B2 (en) System, method, and composition for adhering preformed thermoplastic traffic control signage to pavement
US7753616B2 (en) System, method and composition for adhering preformed thermoplastic traffic control signage to pavement
KR100873051B1 (ko) 친환경적이고 고기능성을 겸비한 무기계 폴리머 수지몰탈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111430B2 (ja) ラジカル重合性樹脂組成物
JP6545336B2 (ja) 化粧方法
JP7323699B2 (ja) 構造物保護シー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補強された構造物の製造方法
KR101000538B1 (ko) 친환경 아크릴-우레탄계 박막형 포장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공방법
JP2012225145A (ja) 覆工板
KR100653118B1 (ko) 비가열 급속경화성 살포식 박층포장 및 차선도색용 도료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US20080196623A1 (en) Multiple Component Multiple Laye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KR101075260B1 (ko) 바닥 포장용 우레탄수지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 포장 시공방법
WO1994000638A1 (en) Permeable material composition, permeable material, and production thereof
KR102207899B1 (ko) 습윤면에 부착 가능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보수보강공법
KR101026400B1 (ko) 비가열 급속경화성 박층 도로 포장재 및 도로 포장방법
KR102249822B1 (ko) 친환경 아크릴계 고강도 내구성 도막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도막형 바닥재 시공공법
KR102537216B1 (ko) 수용성 에폭시 크리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US5996304A (e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1989558B1 (ko) 바닥재용 친환경 컬러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73931B1 (ko) 하이브리드 세라믹 코팅제를 이용한 금속 표면의 처리 방법
JP3163447B2 (ja) 駐車場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法
KR20100132405A (ko) 새로운 노출형 액상방수재료 조성물 및 그 재료에 의한 시공방법
KR20210094354A (ko) 천연석 발수 도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JP2861054B2 (ja) 樹脂組成物、塗料、舖装材及び舖装構造体
KR102602458B1 (ko) 다층 코팅용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