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261A -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261A
KR20100055261A KR1020080114250A KR20080114250A KR20100055261A KR 20100055261 A KR20100055261 A KR 20100055261A KR 1020080114250 A KR1020080114250 A KR 1020080114250A KR 20080114250 A KR20080114250 A KR 20080114250A KR 20100055261 A KR20100055261 A KR 20100055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station
hospital
patient information
patien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909B1 (ko
Inventor
유선국
김정채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9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 등에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통신 가능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을 설치함으로써, 병원 내에서 이동중인 환자 또는 타병원으로 후송중인 환자를 편리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의 연결이 가능한 다수의 플랫폼을 구비한 다수의 도킹 스테이션; 상기 각 도킹 스테이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병원내 메인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을 제공하여, 단지 도킹 스테이션에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옮겨 장착하는 것만으로 병원 내 이동, 또는 타 병원 후송 중인 환자의 상태 및 의료정보를 연속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한다.
원격 진료, 도킹 스테이션, UMPC, 실시간, 모니터링,이동형 응급의료정보

Description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Total telemedicine system for hospital using a docking station and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and management method threrof}
본 발명은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 등에, 환자정보의 획득을 위한 외부의 멀티미디어 장비들에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설치하고, 그 도킹 스테이션에 환자정보의 처리 및 전송을 위한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s : 이하는 'UMPC' 라 칭함)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정보의 획득과 처리/전송의 분리된 구성을 통해 병원 내에서 이동중인 환자 또는 타병원으로 후송중인 환자를 연속적으로 편리하게 원격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킹 스테이션에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 착탈시 하드웨어 장비의 에러 또는 복구 절차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가적인 처리절차 없이 단지 도킹 스테이션에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옮겨 장착하는 것만으로 진료 및 치료, 검사를 위해 이동, 후송 중인 환자의 상태 및 의료정보를 연속적으 로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동형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또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병원용 원격 진료 시스템은 복잡한 시스템 구성으로 인하여 이동성이 부족하거나 좁은 지역에서만 사용가능하고 확장성이 부족하다. 그로 인하여 병원내에서 IT 기술을 이용한 진료 시스템 유용성 및 확장성이 부족하여 다수의 환자에 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병원내에서 검사를 위하여 이동하거나 타병원으로 환자를 후송할 경우 연속적인 원격 모니터링 기술이 미흡하여 이동중인 환자를 감시할 수 있는 기술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 등에, 환자정보의 획득을 위한 외부의 멀티미디어 장비들에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설치하고, 그 도킹 스테이션에 환자정보의 처리 및 전송을 위한 UMPC를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하여, 환자정보의 획득과 처리/전송의 분리된 구성을 통해 병원 내에서 이동중인 환자 또는 타병원으로 후송중인 환자를 연속적으로 편리하게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도킹 스테이션에 전문 의용 휴대 단말기 착탈시 하드웨어 장비의 에러 또는 복구 절차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자동 실행되도록 하여, 단지 도킹 스테이션에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옮겨 장착하는 것만으로 병원 내 이동, 또는 타 병원 후송 중인 환자의 상태 및 의료정보를 연속적으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도킹 스테이션;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탈착되어 환자정보를 수신하고 병원내 메인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상기 환자정보를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수신하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를 통해 외부 멀티미디어 장비의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원격진료 서비스에 필요한 도킹스테이션 연결필터를 제거하거나 복구하는 외부장비 상태감시부;를 포함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도킹 스테이션;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탈착되어 환자정보를 수신 하고 병원내 메인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상기 환자정보를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수신하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는,
도킹스테이션 연결필터의 레지스트리를 로드하여 에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에러 발생여부가 판단되면 레지스트리의 이전 환자정보를 로드하여 현재의 환자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동일한 경우 이전 서비스 정보를 로드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자동 복구부;를 포함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멀티미디어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과,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도킹 스테이션; 상기 각 도킹 스테이션에 탈착되어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병원내 메인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가 도킹 스테이션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되는지 또는 결합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b) 체크 결과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의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도킹 스테이션 연결 필터를 제거 또는 복구하는 동작을 선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처리단계(b)는,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 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 연결필터를 제거하고 도킹스테이션 연결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b1)와, 도킹 스테이션으로 결합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 연결필터를 자동 복구하고 비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b2)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정보의 획득을 위한 비디오 장비, 화상회의 장비, 생체계측장비, 방사선 영상 장비 등의 외부 장비들과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 등에 설치하고, 그 도킹 스테이션에 환자정보의 처리 및 전송을 위한 UMPC를 간단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환자정보의 획득시스템과 처리/전송시스템의 분리된 구성을 통해 이동중인 환자 또는 타병원으로 후송중인 환자의 원격 모니터링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에 의한 하드웨어 장비의 에러 또는 복구 절차가 자동 실행될 수 있게 되므로, 단지 도킹 스테이션에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옮겨 장착하는 것만으로 병원 내 이동, 또는 타 병원 후송 중인 환자의 상태 및 의료정보를 연속적으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 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제1 내지 제3의 도킹 스테이션(110-130)과, 중앙서버(300) 또는 모니터링 센터(400)와 무선으로 환자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각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분리되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각 도킹 스테이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내의 각 모바일 진료카트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제1 도킹 스테이션(110), 환자용 침대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제2 도킹 스테이션(120), 구급차에 각각 탑재되는 다수의 제3 도킹 스테이션(130)으로 구성된다.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UMPC)는 상기 각 도킹 스테이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 도 3 참조)를 구비하며, 각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병원내 메인시스템의 중앙서버(300) 또는 모니터링 센터(400)로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상기 제1 내지 제3 도킹 스테이션 중의 어느 하나로 송신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도킹 스테이션(110-130)의 일 실시형태는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을 구비하는 구성이고,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일 실시형태는 각 도킹 스테이션에 통 신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병원내 메인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킹 스테이션(110-130)의 다른 실시형태는,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을 구비하는 구성이고,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상태를 체크하여 원격진료 서비스의 복구 또는 중지를 위한 작업 스레드를 자동 실행하는 외부장비 상태감시부를 탑재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원격 진료를 위한 병원내 메인 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킹 스테이션(110-130)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멀티미디어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과,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는 구성이고,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각 도킹 스테이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병원내 메인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 수신되 는 환자정보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킹 스테이션(110-130)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멀티미디어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과,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는 구성이고,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상태를 체크하여 원격진료 서비스의 복구 또는 중지를 위한 작업 스레드를 자동 실행하는 외부장비 상태감시부를 탑재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원격 진료를 위한 병원내 메인 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도 2는 제1 도킹 스테이션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킹 스테이션(110)은 하나 이상의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111-114)과,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공급부(115), 통신 플랫폼 및 각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에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의 입출력 신호를 각각 인터페이스하는 I/O 인터페이스부(116),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로의 전원공급 및 통신을 위한 통신 플랫폼(117)을 구비한다.
상기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은, 비디오장비 연결플랫폼(111), 화상회의장비 연결플랫폼(112), 생체신호 계측장비 연결플랫폼(113), 의료용 방사선 영상장비 연 결플랫폼(114)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포트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통신포트들은 이더넷(Ethernet) 기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환자 모니터의 연결을 위한 유선랜 연결포트, 디지털 비디오 출력 고화질 비디오 캠코더의 연결에 사용되는 IEEE1394,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환자 모니터의 연결 또는 화상회의를 위한 웹캠 연결 또는 의료용 방사선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결과를 전송받기 위한 다수의 USB 연결포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각각에 외부 장비들이 연결된다.
한편, 병원내 환자용 침대에 구비되는 제2 도킹 스테이션(120)과 환자 후송용 구급차에 구비되는 제3 도킹 스테이션(130)은 도 2에 예시된 제1 도킹 스테이션(110)과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 환자정보 처리/전송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UMPC 자체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각 도킹 스테이션의 통신 플랫폼(117)에 결합되어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도킹 스테이션의 통신 플랫폼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통신 플랫폼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를 통해 외부 멀티미디어 장비의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원격진료 서비스를 자동으로 중지 또는 복 구하는 부분으로서,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가 각 도킹 스테이션 중에서 그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플랫폼에 결합되는지 또는 분리되는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라 원격진료 서비스의 복구 또는 중지를 위한 작업 스레드를 자동 실행한다.
도 4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가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를 통해 실행하는 감시 동작 흐름도로서,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가 도킹 스테이션(110-130)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되는지 또는 결합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201,S204)와,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의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 필터를 제거 또는 복구하는 동작을 선택 처리하는 단계(S202,S203)(S205,S2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크 결과에 따른 선택 처리단계의 한 경로는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실행되는 단계로서, 도킹 스테이션의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 필터를 제거함과 아울러 도킹 스테이션 연결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202,S203)이다. 상기 선택 처리단계의 다른 한 경로는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경우에 실행되는 단계로서, 도킹 스테이션의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연결필터를 복구함과 아울러 비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S205,S206)이다.
한편, 환자정보 처리/전송부(230)는 현재 접속된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원격 진료를 위한 병원내 메인 시스템의 중앙서버(300) 또는 모니터링 센터(400)로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송신한다.
도 5는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에 의해 이루어지는 에러발생 또는 복구시의 상세 동작 흐름도로서, 레지스트리를 로드하여 에러발생여부를 체크하는 단 계(S211,S213)와, 상기 체크결과에 따라 이전 또는 새로운 환자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선택적 실행하는 단계(S215-S2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택적 실행단계의 한 경로는 상기 체크결과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에 실행되는 단계로서, 레지스트리의 이전 환자정보를 로드하여 현재의 환자정보와 비교하는 단계(S215,S217)와, 상기 비교결과 환자정보가 같은 경우 이전 서비스 정보를 로드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복구하는 단계(S219,S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택적 실행단계의 다른 한 경로는 상기 체크결과 에러 발생된 경우에 새로운 환자로 바뀌는 경우 또는 에러 발생 없이 환자정보가 다른 경우에 실행되는 단계로서, 레지스트리에 새로운 환자의 ID, IP 주소정보, 환자의 다른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214,S216)와, 상기 새로운 환자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S218)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병원내 모바일 진료카트, 또는 환자용 침대, 또는 구급차 등에는 각각의 도킹 스테이션(110-130)을 설치하고,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는 병원내 메인 시스템인 중앙서버(300) 또는 모니터링 센터(400)와 무선으로 환자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도 2와 같은 도킹 스테이션은 전원 공급부(115)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장비 연결플랫폼(111-114)에 각종 비디오장비, 화상회의장비, 생체신호 계측장비, 의료용 방사선 영상장비 등을 연결하여, 이들 연결플랫폼(111-114)과 통신 플랫폼(117)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6)에 의해 서로 인터페이스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병원내 모바일 진료카트, 또는 환자용 침대, 또는 구급차 등의 각 도킹 스테이션(110-130) 중의 어느 하나의 도킹 스테이션의 통신 플랫폼(117)에, 병원내 원격 진료시스템과 무선 통신 가능한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를 결합하게 되면, 그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에서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를 통해 도킹 스테이션의 외부 멀티미디어 장비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원격진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도킹 스테이션 연결필터를 자동 복구하며, 따라서 상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와, 그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가 결합된 병원내 진료지역의 모바일 진료카트, 또는 환자용 침대, 또는 구급차 중의 어느 하나의 도킹 스테이션이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통신 플랫폼(117)에 결합되어 있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를 분리시키게 되면,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에서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를 통해 도킹 스테이션이 분리되는 것을 감시하여 원격진료 서비스를 중지할 수 있도록 도킹 스테이션 연결필터를 자동 제거하며, 따라서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와 도킹 스테이션간의 통신은 자동으로 차단된다.
즉,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에서는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가 각 도킹 스테이션 중에서 그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플랫폼(117)에 결합 또는 분리됨과 동시에 그 결합/분리상태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라 원격진료 서비스의 복구 또 는 에러처리를 위한 도 4 및 도 5와 같은 동작을 자동 실행한다.
예를 들면, 구급차를 이용하여 환자를 수송중인 경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를 구급차에 장착된 도킹 스테이션(130)에 결합하게 되면,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에서는 그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도킹 스테이션 연결 필터를 복구시킴으로써 도킹 스테이션과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간의 원격진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구급차의 도킹 스테이션(13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비들로부터 측정되거나 수집되는 환자정보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210)를 통해 수집되고 그 수집된 환자 정보들을 병원내 메인 시스템인 중앙서버(300) 또는 모니터링 센터(400)로 무선 전송된다. 아울러 중앙서버에서 무선 전송되는 정보는 구급차 안의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으로 수신되고, 그 단말기의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원격진료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원격 진료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병원으로의 환자 수송이 완료되어, 만약 구급차에 설치된 도킹 스테이션(130)의 통신 플랫폼(117)으로부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를 분리해내게 되면,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에서는 그 단말기 분리상태를 감지하여 도킹 스테이션 연결필터를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통신 에러시에 필요한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원격진료 서비스를 위한 준비상태로 대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구급차에 설치된 도킹 스테이션(130)의 통신 플랫폼(117)으로부터 분리된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를 환자용 침대에 설치된 도킹 스테이션(120) 또는 병원내 모바일 진료카트에 설치된 도킹 스테이션(110)에 결합하게 되면,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의 외부장비 상태감시부(220)에서는 그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도킹 스테이션 연결 필터를 자동 복구시킴으로써 해당 도킹 스테이션과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간의 원격진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200)에서는 환자용 침대 또는 모바일 진료카트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병원내 메인 시스템인 중앙서버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환자정보를 무선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 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가 외부장비 상태감시부를 통해 실행하는 감시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외부장비 상태감시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에러 발생 또는 복구시의 상세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20,130 : 도킹 스테이션 111-114 :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
115 : 전원 공급부 116 : 입출력(I/O) 인터페이스부
117 : 통신 플랫폼 200 :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
210 :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 220 : 외부장비 상태 감시부
230 : 환자정보 처리/전송부 240 : 자동 복구부
300 : 중앙서버 400 : 모니터링 센터

Claims (18)

  1.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도킹 스테이션;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탈착되어 환자정보를 수신하고 병원내 메인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상기 환자정보를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수신하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를 통해 외부 멀티미디어 장비의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원격진료 서비스에 필요한 도킹스테이션 연결필터를 제거하거나 복구하는 외부장비 상태감시부;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는,
    상기 외부장비 상태감시부에 의해 제거되거나 복구되는 도킹스테이션 연결필터의 레지스트리를 로드하여 에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에러 발생여부가 판단되면 레지스트리의 이전 환자정보를 로드하여 현재의 환자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동일한 경우 이전 서비스 정보를 로드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자동 복구부; 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복구부는,
    상기 외부장비 상태감시부에 의해 제거되거나 복구되는 도킹스테이션 연결필터의 레지스트리를 로드하여 에러가 발생되지 않거나 또는 에러발생시 레지스트리에서 로딩된 이전 환자정보가 현재의 환자정보와 다른 경우 레지스트리에 새로운 환자의 id 및 환자 ip주소를 등록한 후 멀티미디아 통신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비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 진료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로의 전원공급 및 통신을 위한 통신 플랫폼;
    하나 이상의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
    상기 통신 플랫폼 및 각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에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의 입출력 신호를 각각 인터페이스하는 I/O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은,
    비디오 장비, 화상회의 장비, 생체신호 계측장비, 의료용 방사선 영상장비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포트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통신 플랫폼에 탈부착되는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를 구비하여 그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를 통해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동작 전원과 환자 정보를 수신하거나 그 반대방향의 환자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9.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도킹 스테이션;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탈착되어 환자정보를 수신하고 병원내 메인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상기 환자정보를 무 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수신하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는,
    도킹스테이션 연결필터의 레지스트리를 로드하여 에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에러 발생여부가 판단되면 레지스트리의 이전 환자정보를 로드하여 현재의 환자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동일한 경우 이전 서비스 정보를 로드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자동 복구부; 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복구부는,
    도킹스테이션 연결필터의 레지스트리를 로드하여 에러가 발생되지 않거나 또는 에러발생시 레지스트리에서 로딩된 이전 환자정보가 현재의 환자정보와 다른 경우 레지스트리에 새로운 환자의 id 및 환자 ip주소를 등록한 후 멀티미디아 통신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 진료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로의 전원공급 및 통신을 위한 통신 플랫폼;
    하나 이상의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장비 연결을 위한 다수의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
    상기 통신 플랫폼 및 각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에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의 입출력 신호를 각각 인터페이스하는 I/O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외부장비 연결 플랫폼은,
    비디오 장비, 화상회의 장비, 생체신호 계측장비, 방사선 영상 장비와의 포트 확장을 위한 통신포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통신 플랫폼에 탈부착되는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를 구비하여 그 도킹 스테이션 접속부를 통해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동작 전원과 환자 정보를 수신하거나 그 반대방향의 환자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16. 병원 내의 모바일 진료카트, 환자용 침대, 구급차에 설치되며, 환자정보 획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멀티미디어 장비 및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과,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도킹 스테이션; 상기 각 도킹 스테이션에 탈착되어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병원내 메인시스템 또는 모니터링 센터로 무선 전송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 수신되는 환자정보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가 도킹 스테이션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되는지 또는 결합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b) 체크 결과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의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도킹 스테이션 연결 필터를 제거 또는 복구하는 동작을 선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처리단계(b)는,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 연결필터를 제거하고 도킹스테이션 연결 에러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b1)와,
    도킹 스테이션으로 결합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 연결필터를 자동 복구하고 비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b2)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 연결필터 자동 복구단계(b2)는,
    레지스트리를 로드하여 에러발생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결과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레지스트리의 이전 환자정보를 로드하여 현재의 환자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환자정보가 같은 경우 이전 서비스 정보를 로드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 연결필터 자동 복구단계(b2)는,
    상기 레지스트리를 로드하여 에러발생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결과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레지스트리의 이전 환자정보를 로드하여 현재의 환자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환자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레지스트리에 새로운 환자의 ID, IP 주소정보, 환자의 다른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환자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
KR1020080114250A 2008-11-17 2008-11-17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 KR10103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250A KR101030909B1 (ko) 2008-11-17 2008-11-17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250A KR101030909B1 (ko) 2008-11-17 2008-11-17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261A true KR20100055261A (ko) 2010-05-26
KR101030909B1 KR101030909B1 (ko) 2011-04-22

Family

ID=4227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250A KR101030909B1 (ko) 2008-11-17 2008-11-17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935A1 (en) * 2013-01-14 2014-07-17 Welch Allyn, Inc. Portable instrument and docking station with divided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device
KR20170027766A (ko) * 2015-03-27 2017-03-10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응급 환자 생체 신호 전송용 스마트 모니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953A (en) * 1995-03-09 1997-06-24 Siemens Medical Systems, Inc. Portable patient monitor reconfiguration system
US20040147818A1 (en) * 2002-11-18 2004-07-29 Andrew Levy Portable system for monitoring and processing patient parameters in multiple oprational modes
US7787014B2 (en) 2005-12-19 2010-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ortable imag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935A1 (en) * 2013-01-14 2014-07-17 Welch Allyn, Inc. Portable instrument and docking station with divided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device
US9330046B2 (en) 2013-01-14 2016-05-03 Welch Allyn, Inc. Portable instrument and docking station with divided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device
US10061739B2 (en) 2013-01-14 2018-08-28 Welch Allyn, Inc. Portable instrument and docking station with divided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device
KR20170027766A (ko) * 2015-03-27 2017-03-10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응급 환자 생체 신호 전송용 스마트 모니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909B1 (ko) 201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8986B2 (en) Method for automatic association devices to a patient and concurrent creation of a patient record
CN105581782B (zh) 无线传感器的驻留注释
US8543069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uxiliary ethernet port for wireless portable X-ray detector
CN107124520B (zh) 紧急呼叫装置、紧急呼叫系统及其备份方法
JP5032200B2 (ja) 透析支援システム
WO2015123564A1 (en) Communication methods for patient handling devices
US9699816B2 (en) Docking station for an enteral feeding pump
JP2011502637A (ja) 患者の看護および治療装置用の情報および空気圧アーキテクチャ
JP4956287B2 (ja) 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841165A (zh) 基于云端的全球定位救援系统及其方法
KR101030909B1 (ko) 전문의용 휴대 단말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병원용 통합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방법
US20220181019A1 (en) Medical Diagnostic Kit
JP2007260387A (ja) 無線ベッド接続
JP2002233504A (ja) 医用装置メンテナンス用プログラム
CN113196588B (zh) 监视器系统、监视器安装座和监视器
CN111447286A (zh) 一种基于5g网络的医疗车智能车载终端控制系统
KR101820425B1 (ko) 병원 내 의료기기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JP2013069067A (ja) 医療機器の稼働監視システム
JP7001377B2 (ja) ベッドサイドモニター
US20070129609A1 (en) Support network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
KR101710608B1 (ko) 의료기기 게이트웨이
KR20150111002A (ko) 의료기기 모니터링 장치
JP2015191377A (ja) 医療情報集約出力装置
US20220030199A1 (en) Endoscope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receiver
US20200258625A1 (en) Server-neutral network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