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145A -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145A
KR20100055145A KR1020080114085A KR20080114085A KR20100055145A KR 20100055145 A KR20100055145 A KR 20100055145A KR 1020080114085 A KR1020080114085 A KR 1020080114085A KR 20080114085 A KR20080114085 A KR 20080114085A KR 20100055145 A KR20100055145 A KR 20100055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hotographing
screen
photographed
scre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662B1 (ko
Inventor
이규현
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6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은 입력부와 표시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캔버스 촬영 모드의 활성화에 따라 촬영 화면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분할된 촬영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삽입하고, 나머지 촬영 화면에 상기 입력부나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삽입하여 상기 촬영 화면들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를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텍스트, 메모, 주소록, 문자 메시지, 기 저장된 이미지/동영상을 상기 촬영 중인 화면에 삽입할 수 있는 촬영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캔버스 모드, 분할영역, 촬영 화면, 콘텐츠, 이미지 합성

Description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function editing and compositing taken image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에서 촬영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 중인 이미지를 편집하여 다른 콘텐츠와 합성하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시스템과 무선통신단말의 발전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무선통신단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무선통신단말의 주된 기능으로 여겨졌던 음성 통화 송수신 이외에, 전자사전, 네비게이션, 노래방 등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런 다양한 기능 중에서 사용자에게 애용되는 것은 이미지 촬영 기능이다. 즉, 사용자들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캠코더 대신에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하여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해 촬영된 이미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하여 타 무선통신단말로 전송하기도 한다. 한편, 종래의 무선통신단말은 30만 화소의 저화질 이미지 밖에 촬영하 지 못하였으나, 130만 화소, 200만 화소, 심지어 1,000만 화소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그런데 통신기기 사업자들은 고화소의 촬영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개발에만 집중할 뿐, 사용자의 욕구에 맞추어 다양한 촬영 기법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단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일례로, 이미지 촬영 기법으로 파노라마 촬영 모드, 연속 촬영 모드, 일반 촬영 모드와 같은 소수의 촬영 기능만이 무선통신단말에 내장되어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이 소유하는 무선통신단말에 더욱 다양한 이미지 촬영 기법이 도입된다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며, 무선통신단말의 이미지 촬영 빈도도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는 또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단말의 부가 가치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촬영 이미지의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을 제안하여 촬영 기법의 다양화를 도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은 입력부와 표시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캔버스 촬영 모드의 활성화에 따라 촬영 화면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분할된 촬영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삽입하고, 나머지 촬영 화면에 상기 입력부나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삽입하여 상기 촬영 화면들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에서 촬영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법은 (a) 캔버스 촬영 모드가 활성화되면, 카메라의 촬영 화면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분할된 각 촬영 화면에 콘텐츠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할된 촬영 화면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를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텍스트, 메모, 주소록, 문자 메시지, 기 저장된 이미지/동영상을 상기 촬영 중인 화면에 삽입할 수 있는 촬영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이미지와 삽입된 콘텐츠를 합성하는 촬영 툴을 제공함으로써, 개성 표출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중인 이미지를 편집하여 다른 콘텐츠와 합성하는 무선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단말 은 메모리(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카메라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EEPROM(Ele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며, 주소록, 스케줄, 이미지, 동영상, 메모, 문자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입력부(120)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무선통신단말을 조작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 등을 포함하고, 무선통신단말에서 처리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30)는 캔버스 촬영 모드시 설정된 분할영역 개수와 대응하여 촬영 화면을 분할한다. 한편,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의 역할을 수행하여 제어부(150)로 조작 신호를 전달한다.
카메라부(140)는 촬영 모드가 활성화되면 촬영의 대상이 되는 피사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며, 입력부(120)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처리결과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캔버스 촬영 모드가 활성화되면 동작하는 캔버스 모듈(150a)을 포함한다.
캔버스 모듈(150a)은 캔버스 촬영 모드가 활성화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분할영역 개수, 크기, 모양, 위치에 대응하여 촬영 화면을 분할하고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캔버스 모듈(150a)은 상기 분할된 촬영 화면마다 텍스트, 메모, 주소록, 문자 메시지, 기 저장된 이미지/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삽입하거나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삽입하여, 상기 콘텐츠 및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즉, 캔버스 모듈(150a)은 분할된 촬영 화면마다 메모리(110)에 저장된 메모, 주소록, 문자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을 삽입하여 해당 촬영 화면을 채우거나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채워, 각 촬영 화면의 콘텐츠 및 이미지를 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에서 촬영 이미지를 편집 및 합성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에서 촬영 이미지를 콘텐츠와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분할된 촬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각 촬영 화면이 채워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부(120)에서 캔버스 촬영 모드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캔버스 모듈(150a)은 표시부(130)에 분할영역 개수를 입력받는 창(310)을 표시하고, 이에 따라 입력받은 분할영역 개수에 대응하여 촬영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S201, S203). 이때, 캔버스 모듈(150a)은 사용자로부터 각 분할영역의 크기, 모양, 위치를 입력받고 그 크기, 모양, 위치에 대응하 여 상기 촬영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버스 모듈(150a)은 분할영역 개수의 입력을 요청하는 창(310)을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분할영역 개수를 입력받는다(도 3의 (a) 참조). 그리고 캔버스 모듈(150a)은 각 분할영역의 크기, 모양, 위치를 입력받아 그 분할영역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캔버스 모듈(150a)은 도 3의 (b)와 같이, 분할영역1의 크기와 모양을 입력받고, 이에 대응한 분할영역1을 생성하여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의 중앙에 분할영역1을 표시한다. 그리고 캔버스 모듈(150a)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방향키에 따라 분할영역1을 좌,우,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고, "확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분할영역1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촬영 화면1로 설정한다(도 3의 (d) 참조). 이어서, 캔버스 모듈(150a)은 분할영역2, 분할영역3에 대해 순차적으로 크기, 모양, 위치를 입력받아 해당 분할영역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각각 촬영 화면2, 촬영 화면3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캔버스 모듈(150a)은 생성된 각 촬영 화면을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각 촬영 화면에 삽입한 콘텐츠 또는 카메라부(140)를 통해 실시간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로 화면 채우기를 실행한다(S205). 이때, 캔버스 모듈(150a)은 배경화면으로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콘텐츠를 삽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각 촬영 화면이 채워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캔버스 모듈(150a)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불러와서 배경화면(410)으로 설정하거나,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 지를 배경화면(410)으로 설정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즉, 배경화면(410)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등의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140)를 통해 즉각적으로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상기 배경화면(410)에 동영상이 삽입되는 경우, 동영상의 첫 프레임 이미지가 캡처되어 상기 배경화면(410)에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캔버스 모듈(150a)은 촬영 화면1(420)에 기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불러와서 삽입하고(도 4의 (c) 참조), 촬영 화면2(430)에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텍스트를 삽입할 수 있다(도 4의 (d) 참조). 또는, 캔버스 모듈(150a)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 메모함의 텍스트, 주소록 정보(즉, 성명, 회사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이메일 주소 등) 등을 촬영 화면2(430)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촬영 화면2(430)에 표시된 텍스트의 크기, 글씨체, 색깔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한편, 기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촬영 화면1(420)의 크기와 불일치하면, 캔버스 모듈(150a)은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촬영 화면1(420)의 크기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위치 이동하여 일부만을 상기 촬영 화면1(420)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캔버스 모듈(150a)은 촬영 화면3(440)이 이미지 촬영으로 설정되면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를 촬영 화면3(440)에 디스플레이하고, "촬영"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피사체 이미지를 촬영 화면3(440)의 화면에 채운다(도 4의 (e) 참조). 이때, 이미지 촬영시 적용되는 해상도, 휘도, 색상 등의 촬영 환경정보가 상기 피사체 이미지에 적용된다. 즉, 피사체가 촬영되는 촬영 화 면(440)에는 해상도, 휘도, 색상 등의 촬영 환경정보가 적용되고, 그 이외의 콘텐츠가 삽입된 촬영 화면(440)에는 상기 촬영 환경정보가 적용되지 않는다.
정리하면, 사용자는 배경화면(410) 또는 각 촬영 화면(420, 430, 440)에 메모리(110)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메모, 주소록 정보(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 문자 메시지 등을 삽입할 수 있으며 직접 작성한 텍스트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배경화면(410) 또는 각 촬영 화면(420, 430, 440)에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다.
캔버스 모듈(150a)은 각 촬영 화면(420, 430, 440)과 배경화면(410)의 화면 채우기가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 각 촬영 화면(420, 430, 440)의 겹치는 순서를 입력받는다. 상기 도 4에서의 겹치는 순서는 촬영 화면2(430), 촬영 화면3(440), 촬영 화면1(420)의 순이다. 또한, 캔버스 모듈(150a)은 각 화면에 대해서 특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 촬영 화면1(420)은 반투명 효과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각 화면(410, 420, 430, 440)이 모두 채워진 후, 캔버스 모듈(150a)은 "합성"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러면, 캔버스 모듈(150a)은 각 촬영 화면(420, 430, 440) 및 배경화면(410)을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고, 그 이미지를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207). 즉, 화면 채우기가 완료된 상태인 도 4의 (e) 화면에 대한 합성 명령이 입력되면, 캔버스 모듈(150a)은 각 촬영 화면(420, 430, 440)과 배경화면(410)에 삽입된 콘텐츠 및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한편,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면, 각 촬영 화면을 정의하는 방식은 터치 펜에 의해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캔버스 모듈(150a)은 캔버스 모드가 활성화되면, 최초로 터치 펜에 입력된 영역을 촬영 화면1로 설정하고, 그 후 터치 펜에 의해 입력된 영역을 촬영 화면2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 펜으로 표시부(130)에 사각형을 그리면, 캔버스 모듈(150a)은 그 사각형 영역을 촬영 화면1(420)로 설정한다. 이후, 캔버스 모듈(150a)은 사용자가 표시부(130)에 원을 그리면 그 원에 대한 영역을 촬영 화면2로 설정한다. 또한, 캔버스 모듈(150a)은 특정 촬영 화면 또는 배경화면의 영역이 터치 펜에 의해 더블 클릭되면, "촬영", "메모", "주소록", 문자 메시지" 등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를 해당 촬영 화면에 삽입한다. 또한, 캔버스 모듈(150a)은 상기 메뉴에 "레이어 순서", "특수 효과"를 더 포함시켜, 각 촬영 화면의 겹치는 순서를 설정하고, 해당 촬영 화면에 삽입된 콘텐츠 및 이미지에 반투명 효과, 3D 효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촬영 중인 이미지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각 촬영 화면을 통해서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촬영 화면에 메모, 주소록, 문자 메시지, 기 촬영된 이미지/동영상을 삽입하는 편집 툴(tool) 및 그 삽입된 콘텐츠와 실시간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이미지 합성 툴을 제공한다. 이런 촬영 기법을 제공하는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의 이미지 촬영 기능을 더욱 활성화 시킬 뿐 아니라 개성을 표출하기 원하는 사용자 욕구를 만족시킨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편집되고 합성된 이미지는 블로그 에서 자주 애용되는 합성 이미지와 일맥상통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은 블로그 업로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중인 이미지를 편집하여 다른 콘텐츠와 합성하는 무선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에서 촬영 이미지를 콘텐츠와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분할된 촬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각 촬영 화면이 채워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모리 120 : 입력부
130 : 표시부 140 : 카메라부
150 : 제어부 150a : 캔버스 모듈

Claims (9)

  1. 입력부와 표시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캔버스 촬영 모드의 활성화에 따라 촬영 화면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분할된 촬영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삽입하고, 나머지 촬영 화면에 상기 입력부나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삽입하여 상기 촬영 화면들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각 촬영 화면의 크기, 모양 및 위치를 입력받아, 그 입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촬영 화면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이고,
    상기 제어부는 터치 펜에 의해 크기, 모양 및 위치가 정의된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화면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촬영 화면의 겹치는 순서에 따라 레이어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이미지와 상기 콘텐츠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5. 무선통신단말에서 촬영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
    (a) 캔버스 촬영 모드가 활성화되면, 카메라의 촬영 화면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분할된 각 촬영 화면에 콘텐츠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할된 촬영 화면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합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각 촬영 화면의 크기, 모양 및 위치를 입력받아, 그 입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촬영 화면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합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촬영 화면의 크기, 모양 및 위치는 터치 펜에 의해 설정된 영역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합성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분할된 각 촬영 화면의 겹치는 순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겹치는 순서에 따라 레이어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이미지와 상기 콘텐츠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합성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문자 메시지, 메모, 주소록, 텍스트, 기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이미지 합성 방법.
KR1020080114085A 2008-11-17 2008-11-17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KR10105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85A KR101050662B1 (ko) 2008-11-17 2008-11-17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85A KR101050662B1 (ko) 2008-11-17 2008-11-17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145A true KR20100055145A (ko) 2010-05-26
KR101050662B1 KR101050662B1 (ko) 2011-07-19

Family

ID=4227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085A KR101050662B1 (ko) 2008-11-17 2008-11-17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6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100A (ko) * 2010-06-04 2011-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134617A (ko) * 2010-06-09 201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리스트 관리 방법
KR20140000028A (ko) * 2012-06-22 2014-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047297A1 (en) * 2013-09-27 2015-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for identifying digital content
WO2019027090A1 (ko) * 2017-08-01 2019-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658B1 (ko) 2011-12-23 201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96753B1 (ko) * 2012-10-02 2014-05-27 (주)카카오 터치를 이용하여 뷰 파인더를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433B1 (ko) * 2006-05-19 2007-11-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개선된 영상 합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85382B1 (ko) * 2006-08-22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편집 기능을 구비한 동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100A (ko) * 2010-06-04 2011-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134617A (ko) * 2010-06-09 201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리스트 관리 방법
KR20140000028A (ko) * 2012-06-22 2014-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047297A1 (en) * 2013-09-27 2015-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for identifying digital content
US9940510B2 (en) 2013-09-27 2018-04-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for identifying digital content
WO2019027090A1 (ko) * 2017-08-01 2019-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928997B2 (en) 2017-08-01 2021-02-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662B1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00659B (zh) 播放视频时的操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050662B1 (ko)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KR102045957B1 (ko) 휴대단말의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873668B1 (ko) 이동 단말의 촬영 방법 및 이동 단말
US20230217098A1 (en) Shooting method, graphical interface, and related apparatus
CN112804459A (zh) 基于虚拟摄像头的图像展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756995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JP2007068167A (ja) イメージ伝送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移動通信端末機
US20160248992A1 (en) A method for presentation of images
CN108322673B (zh) 视频生成方法和视频生成装置
JP2006042330A (ja) 映像撮影方法
KR100776433B1 (ko) 개선된 영상 합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94769B1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노라마 영상표시 방법
CN113286073A (zh) 拍摄方法、拍摄装置及存储介质
JP2004208277A (ja) 画像処理装置、電子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KR1011256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합성방법
KR101285382B1 (ko) 동영상 편집 기능을 구비한 동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N114338874A (zh) 电子设备的图像显示方法、图像处理电路和电子设备
KR100605803B1 (ko) 휴대용단말을 이용한 멀티분할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0436403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87843B1 (ko) 단말기 및 구도화면 제공방법
KR20150135591A (ko) 스마트폰에서 얼굴사진 캡쳐(capture) 툴(tool)을 이용하여 2장이상의 얼굴사진을 캡쳐, 이를 애니메이션 아바타 이미지에 맞춰 조합, 합성하는, 사진 애니메이션 아바타 편집 방법 및 서버시스템, 아바타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전송방법, 그리고 스마트폰에서 사진 애니메이션 아바타 디스플레이(display) 발신자 표시 방법
KR1012853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CN113626632B (zh) 影集素材的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390205B (zh) 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