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773A - 액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773A
KR20100054773A KR1020100038698A KR20100038698A KR20100054773A KR 20100054773 A KR20100054773 A KR 20100054773A KR 1020100038698 A KR1020100038698 A KR 1020100038698A KR 20100038698 A KR20100038698 A KR 20100038698A KR 20100054773 A KR20100054773 A KR 2010005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picture
inner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238B1 (ko
Inventor
하석현
Original Assignee
하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석현 filed Critical 하석현
Publication of KR2010005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측프레임 전면의 장식문양과 내측프레임 전면의 장식문양이 일치하도록 하여 고급스럽고 품격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액자는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하는 부분에 의해 마련되며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를 갖춘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내측프레임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내측프레임이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제1개구보다 작고 제2개구보다 큰 제3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 후방으로부터 프레임결합부로 진입하여 내측프레임 후방에 결합되며 내측프레임 후면과 그 전면 사이에 개재되는 사진이나 그림을 지지하는 후면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자 및 그 제조방법{PICTURE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액자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고급스럽고 품격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을 넣어 보관하거나 전시하는데 사용한다. 통상적인 액자는 사각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후방으로부터 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와, 유리의 배면 쪽에 결합되는 후면판을 포함한다. 사진이나 그림은 그 전면의 이미지가 투명한 유리를 통해 전방에 표출될 수 있도록 유리와 후면판 사이에 끼운다.
최근에는 사진이나 그림이 입체적이고 강조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액자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0004975호에 개시된 액자는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다단의 내측프레임(보조테두리)을 장착하여 사진이나 그림이 입체적이고 강조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내측프레임을 설치하여 계단형태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장식효과를 높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액자들은 외측프레임 내에 별도로 내측프레임들을 제작하여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복잡할 뿐 아니라 외측프레임과 다른 소재로 내측프레임을 만들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 소재(판재)를 절단하여 크기가 다른 복수의 내측프레임을 각각 제작하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 소재의 손실도 컸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측프레임의 절단부분을 이용하여 내측프레임을 제조하여 외측프레임 전면의 장식문양과 내측프레임 전면의 장식문양을 일치시킴으로써 고급스럽고 품격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하는 부분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를 갖춘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이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고 상기 제2개구보다 큰 제3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 후방으로부터 상기 프레임결합부로 진입하여 상기 내측프레임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프레임 후면과 그 전면 사이에 개재되는 사진이나 그림을 지지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자는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투명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자는 상기 내측프레임의 후면을 덮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후면이 사진이나 그림의 전면을 지지하는 투명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를 갖춘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이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고 상기 제2개구보다 큰 제3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개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 전면에 결합되고 그 크기가 상기 제3개구보다 작게 마련되며 상기 제2개구보다 작은 투시창을 갖춘 보조액자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진입하여 상기 보조액자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액자에 설치되는 사진이나 그림의 배면을 지지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를 갖춘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이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고 상기 제2개구보다 큰 제3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개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개구보다 작은 투시창을 구비하고, 그 전면에 상기 제2개구로 진입하여 걸리는 걸림턱이 마련된 보조액자와; 상기 보조액자에 설치되는 사진이나 그림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조액자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보조액자의 내부로 진입하여 설치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를 갖춘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판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 및 상기 철판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이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고 상기 제2개구보다 큰 제3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제2개구로 진입하여 그 후면이 상기 후면판에 부착되며 그 두께가 상기 내측프레임보다 두껍게 마련되어 그 전면에 결합되는 사진이나 그림이 상기 내측프레임 전면보다 돌출하도록 하는 보조액자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액자를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후면판이 철판으로 마련되고 상기 보조액자의 후면에 자석이 부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된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의 테두리가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그 전면부에 사진이나 그림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보조액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외측프레임의 제1개구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그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결합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턱 외면은 상기 외측지지판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에는 상호 일치하여 연계되는 장식문양이 표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조방법은 전면에 장식문양이 표현된 패널을 절단하여 제1개구를 갖춘 외측프레임을 만들고,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패널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제2개구가 형성되도록 절단하여 내측프레임을 만들며;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만들되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그 내측에 패널결합부를 형성시키고, 내측프레임이 걸릴 수 있도록 패널결합부 전방 측에 걸림턱을 마련하며, 외측프레임의 제1개구에 걸릴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결합턱을 형성시키며; 상기 결합턱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제1개구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을 상기 외측프레임의 후면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외측프레임의 제1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한 부분으로 내측프레임을 만들기 때문에 재료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조립 후 외측프레임 전면의 장식문양과 내측프레임 전면의 장식문양이 일치하기 때문에 고급스럽고 품격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연결프레임의 결합턱이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구분하는 경계를 이룸과 동시에 외측프레임 전면과 내측프레임 전면이 사이에 계단형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기 때문에 입체적인 느낌을 부여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조립할 때 연결프레임의 결합턱이 외측프레임의 제1개구로 진입하여 걸리기 때문에 연결프레임을 정확한 위치에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절단하여 제조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도 3의 A부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에에 따른 액자 및 그 제조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의 액자는 외측프레임(10), 내측프레임(20), 외측프레임(10)과 내측프레임(2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 사진(50, 또는 그림)의 지지를 위해 내측프레임(20)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면판(40)을 구비한다.
외측프레임(10)은 제1개구(11)가 형성된 사각의 평판형태이다. 그리고 내측프레임(20)은 외측프레임(10)을 만드는 과정에서 제1개구(11)의 형성을 위해 외측프레임(10)의 안쪽을 절단한 부분을 이용하여 제1개구(11)와 동일한 크기로 만든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태로 된 하나의 판재(B)를 절단하여 외측을 외측프레임(10)으로 이용하고 내측을 내측프레임(20)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또 내측프레임(20)에는 사진이나 그림의 이미지가 전방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제1개구(11)보다 크기가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21)가 형성된다.
외측프레임(10)과 내측프레임(20)의 소재는 금속재, 목재, 수지재, 아크릴 등일 수 있고, 그 전면에 인쇄 등에 의하여 장식문양(D)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또 합판이나 MDF의 전면에 장식문양(D)이 표현된 칼라시트 또는 필름을 부착한 것이거나, 목재의 전면에 두께가 얇은 아크릴판이나 아크릴시트를 부착한 것일 수 있다.
이처럼 판재(B)를 절단하여 외측프레임(10)과 내측프레임(20)을 만들면,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 소재의 표면에 장식문양(D)이 표현된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자를 완성할 경우 외측프레임(10) 전면의 장식문양과 내측프레임(20) 전면의 장식문양이 상호 일치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급스럽고 품격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10)의 제1개구(11)보다 작고 내측프레임(20)의 제2개구(21)보다 큰 제3개구(31)를 구비하는 사각틀 형태로 마련된다. 연결프레임(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면이 외측프레임(10) 후면에 결합되고, 그 내측에는 내측프레임(20)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크기에 대응하는 프레임결합부(32)가 마련된다. 프레임결합부(32)의 전방 측에는 내측프레임(20)의 테두리부가 걸려 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3개구(31)를 한정하는 걸림턱(33)이 마련된다.
연결프레임(30)은 외측프레임(10)의 제1개구(11)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턱(33)이 위치하는 부분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결합턱(34)을 구비한다. 결합턱(34)은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면이 외측프레임(10) 또는 내측프레임(20)의 전면에 대하여 소정각도(θ)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턱(34)은 연결프레임(30)을 외측프레임(10) 후면에 결합시킬 때 결합턱(34)이 제1개구(11)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제1개구(11)에 걸린다. 따라서 연결프레임(30)의 결합위치를 쉽게 결정할 수 있어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결합 후 결합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또 결합턱(34)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자를 조립한 상태에서 시야에 노출됨으로써 외측프레임(10)과 내측프레임(20)을 구분하는 경계를 이루고, 외측프레임(10) 전면과 내측프레임(20) 전면이 사이에 계단형 단차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입체적인 느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장식효과를 높여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후면판(4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의 프레임결합부(32) 내측으로 진입하여 내측프레임(20) 후면 쪽에 장착됨으로써 내측프레임(20)의 후면과 그 전면 사이에 개재되는 사진(50, 또는 그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후면판(40)은 내측프레임(20)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연결프레임(30)의 내측으로 진입한 후 그 테두리가 연결프레임(30)의 프레임결합부(32)에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진(50, 또는 그림)은 내측프레임(20)의 제2개구(21)보다 크게 마련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20)의 제2개구(21) 위치와 대응하도록 접착테이프(51)에 의해 후면판(40)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거나 내측프레임(20)의 후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액자를 제조할 때는 전면에 장식문양(D)이 표현된 판재(B)을 절단하여 제1개구(11)를 갖춘 외측프레임(10)을 만들고, 제1개구(11)의 형성을 위해 절단한 부분에 제1개구(11)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제2개구(21)가 형성되도록 절단하여 내측프레임(20)을 만든다. 그리고 별도의 공정으로 패널결합부(32), 걸림턱(33), 결합턱(34)을 갖춘 연결프레임(30)을 만들고, 역시 별도의 공정으로 후면판(40)을 만든다.
액자를 조립할 때는 먼저 외측프레임(10)의 후면에 연결프레임(30)을 결합시킨다. 이때는 연결프레임(30)의 결합턱(34)이 외측프레임(10)의 제1개구(11)로 진입하여 걸리게 되므로 연결프레임(30)을 정확한 위치에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외측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30)은 결합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시키거나 연결프레임(30)의 후면 쪽으로부터 나사못이나 타카핀과 같은 결합수단(37)을 박아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나사못이나 타카핀과 같은 결합수단(37)으로 결합시킬 때는 연결프레임(30)의 결합턱(34)이 외측프레임(10)의 제1개구(11)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결합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프레임(30)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프레임(10)에 연결프레임(30)을 결합시킨 후에는 후방으로부터 연결프레임(30)의 내측으로 내측프레임(20)을 진입시켜 장착한다. 이때 외측프레임(10) 전면의 장식문양(D)과 내측프레임(20) 전면의 장식문양(D)은 일치하도록 한다.
내측프레임(20)을 장착한 후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판(40) 전면에 접착테이프(51) 등을 이용하여 사진(50, 또는 그림)을 부착하고, 이러한 상태의 후면판(40)을 연결프레임(30) 내측으로 진입시켜 내측프레임(20)의 후면에 밀착시켜 장착한다. 이렇게 하면, 사진들(50, 또는 그림들)은 내측프레임(20)의 제2개구(21)를 통하여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사진들(50, 또는 그림들)은 제2개구(21)보다 크게 마련된 상태에서 설치되므로 접착테이프(51)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치하면, 사진이나 그림의 전면이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사진들(50, 또는 그림들)은 설치 전에 전면을 보호코팅처리를 함이 바람직하다.
후면판(40)을 장착한 후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의 프레임연결부(32) 내면에 복수의 고정핀(38) 등의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후면판(40)이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 예는 내측프레임(2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30)의 내측에 유리, 아크릴 등으로 마련된 투명패널(60)을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액자를 조립할 때는 연결프레임(30)의 내측에 내측프레임(20)을 설치하기 전에 먼저 투명패널(60)을 설치한 후 내측프레임(20)의 전면이 투명패널(6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내측프레임(20)을 연결프레임(30) 내측에 장착한다. 이후의 조립공정 및 다른 구성들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3실시 예는 내측프레임(20)의 후면을 덮도록 연결프레임(30)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후면이 사진(50, 또는 그림)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나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패널(60)을 설치한 것이다. 즉 내측프레임(20)의 후면과 사진(50, 또는 그림)의 전면 사이에 투명패널(60)이 개재되도록 한 것이다. 제3실시 예의 경우는 사진들(50, 또는 그림들)을 후면판(40)의 전면에 부착하거나 투명패널(60)의 후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액자를 조립할 수 있다. 이후의 조립공정 및 다른 구성들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4실시 예는 내측프레임(20)의 제2개구(21) 위치에 대응하도록 내측프레임(20) 전면에 보조액자(70)가 결합된 것이다. 보조액자(70)는 그 크기가 제3개구(31)보다 작게 마련되고 제2개구(21)보다는 크게 마련된다. 또 제2개구(21)보다 작은 투시창(71)을 구비한다. 또 보조액자(70)에는 내측프레임(20)의 후면 쪽으로부터 제2개구(21)를 통해 보조액자(70) 내부로 진입하여 사진이나 그림(50)의 배면을 지지하는 후면판(72)이 설치된다. 외측프레임(10), 내측프레임(20), 연결프레임(30)의 형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제4실시 예는 보조액자(70)에 의해 사진이나 그림(50)이 내측프레임(20) 전면보다 돌출하도록 함으로써 입체적인 느낌을 부여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내측프레임(20)의 제2개구(21)를 통하여 후면판(72)을 분리함으로써 사진이나 그림(50)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5실시 예는 내측프레임(20)의 제2개구(21) 위치에 대응하도록 내측프레임(20)의 후면에 보조액자(75)가 결합된 것이다. 이 보조액자(75)는 투시창(76)을 구비하고, 그 전면에 내측프레임(20)의 후면 쪽에 결합될 때 내측프레임(20)의 제2개구(21)로 진입하여 걸리는 걸림턱(77)을 구비한다. 또 보조액자(75)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진이나 그림(5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보조액자(75)의 후방으로부터 보조액자(75)의 내부로 진입하여 설치되는 후면판(78)을 구비한다. 사진이나 그림은 보조액자의 후방에서 후면판을 분리한 후 교체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6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6실시 예는 제2개구(21)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제2개구(21)로 진입하여 그 후면이 후면판(81)에 부착되는 평판형태의 보조액자(80)를 구비한다. 또 보조액자(80)는 그 두께가 내측프레임(20)보다 두껍게 마련되어 그 전면에 결합되는 사진이나 그림(50)이 내측프레임(20) 전면보다 돌출하여 입체적인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액자(80)는 그 후면이 접착제가 양면 접착테이프에 의해 후면판(81)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보조액자(80)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후면판(81)이 철판으로 마련되고 보조액자(80)의 후면에 자석(82)이 부착될 수 있다. 자석(82)의 자력에 의해 보조액자(8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5실시 예의 외측프레임(10), 내측프레임(20), 연결프레임(30)의 형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도 16와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7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7실시 예는 내측프레임(20‘)에 제1실시 예와 같은 제2개구를 형성하지 않고 내측프레임(20’)을 외측프레임(10)으로부터 절단한 상태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측프레임(20‘)의 전면에 직접 보조액자(90)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보조액자(90)는 그 전면에 사진이나 그림(50)이 결합된 사각의 평판형태이고 그 두께가 내측프레임(2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보조액자(90)는 그 후면이 양면 접착테이프(91)에 의해 내측프레임(20)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7실시 예도 외측프레임(10) 전면의 장식문양(D)과 내측프레임(20') 전면의 장식문양(D)이 일치하고, 보조액자(90)에 의해 사진이나 그림(50)이 내측프레임(20')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고급스럽고 품격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10: 외측프레임, 11: 제1개구,
20: 내측프레임, 21: 제2개구,
30: 연결프레임, 31: 제3개구,
32: 프레임결합부, 33: 걸림턱,
34: 결합턱, 35: 경사면,
40: 후면판, 50: 사진 또는 그림,
60: 투명패널, 70,75,80,90: 보조액자.

Claims (12)

  1.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를 갖춘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이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고 상기 제2개구보다 큰 제3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 후방으로부터 상기 프레임결합부로 진입하여 상기 내측프레임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프레임 후면과 그 전면 사이에 설치되는 사진이나 그림을 지지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투명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의 후면을 덮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후면이 사진이나 그림의 전면을 지지하는 투명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4.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를 갖춘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이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고 상기 제2개구보다 큰 제3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개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 전면에 결합되고 그 크기가 상기 제3개구보다 작게 마련되며 상기 제2개구보다 작은 투시창을 갖춘 보조액자와;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진입하여 상기 보조액자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액자에 설치되는 사진이나 그림의 배면을 지지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5.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를 갖춘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이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고 상기 제2개구보다 큰 제3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개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개구보다 작은 투시창을 구비하고, 그 전면에 상기 제2개구로 진입하여 걸리는 걸림턱이 마련된 보조액자와;
    상기 보조액자에 설치되는 사진이나 그림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조액자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보조액자의 내부로 진입하여 설치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6.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이상의 제2개구를 갖춘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판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 및 상기 철판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이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고 상기 제2개구보다 큰 제3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제2개구로 진입하여 그 후면이 상기 후면판에 부착되며 그 두께가 상기 내측프레임보다 두껍게 마련되어 그 전면에 결합되는 사진이나 그림이 상기 내측프레임 전면보다 돌출하도록 하는 보조액자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액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액자를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후면판이 철판으로 마련되고 상기 보조액자의 후면에 자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8. 제1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된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이 그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내측프레임의 테두리가 걸리도록 프레임결합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보다 작은 개구를 한정하는 걸림턱을 갖춘 연결프레임과;
    그 전면부에 사진이나 그림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보조액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외측프레임의 제1개구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그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결합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턱의 외면은 상기 외측지지판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에는 상호 일치하여 연계되는 장식문양이 표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12. 전면에 장식문양이 표현된 패널을 절단하여 제1개구를 갖춘 외측프레임을 만들고, 제1개구의 형성을 위해 패널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제1개구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제2개구가 형성되도록 절단하여 내측프레임을 만들며,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만들되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그 내측에 패널결합부를 형성시키고, 내측프레임이 걸릴 수 있도록 패널결합부 전방 측에 걸림턱을 마련하며, 외측프레임의 제1개구에 걸릴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결합턱을 형성시키며,
    상기 결합턱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제1개구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을 상기 외측프레임의 후면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의 제조방법.
KR1020100038698A 2010-03-16 2010-04-26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26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3284 2010-03-16
KR1020100023284 2010-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773A true KR20100054773A (ko) 2010-05-25
KR101226238B1 KR101226238B1 (ko) 2013-01-29

Family

ID=4227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698A KR101226238B1 (ko) 2010-03-16 2010-04-26 액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56Y1 (ko) * 2015-08-17 2016-01-13 정광현 장식화면이 구비된 액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20B1 (ko) 2012-09-28 2013-09-24 김상운 메인화면과 감춤 기능이 부여된 보조화면을 구비한 액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1693U (ko) * 1976-08-25 1978-03-18
JPS5622073U (ko) * 1979-07-28 1981-02-27
KR20030021420A (ko) * 2001-09-06 2003-03-15 이정국 손 및 발도장이 포함된 액자
KR20080005685U (ko) * 2007-05-22 2008-11-26 김철호 이중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56Y1 (ko) * 2015-08-17 2016-01-13 정광현 장식화면이 구비된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238B1 (ko)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0518B2 (en) Dual frame electronic display
EP3435360B1 (en) Display device
US8341812B2 (en) Cremated remains memorial container with picture frame
US7219460B1 (en) Document displaying system
US20050005494A1 (en) Combination display frame
US898478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7327407B2 (en) Integrated structural screen panel for projection television
US20020050977A1 (en) Housing for flat panel displays and method for receiving flat panel displays
WO2019134382A1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1226238B1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13577A1 (en) Picture Frame System
US20170273478A1 (en) Frame system and method
US11452388B2 (en) Frame for a planar display pane
KR200477021Y1 (ko) 종이액자
KR20150097900A (ko) 액자
GB2495781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 image
KR101004383B1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284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00044981A (ko) 사진 교체가 용이한 액자
KR20150097899A (ko) 액자
KR200188498Y1 (ko) 장식용 사진틀 액자
US2014024844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356801Y1 (ko) 발광형 액자
KR101842623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JP6722978B2 (ja) スタンド掛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