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801Y1 - 발광형 액자 - Google Patents

발광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801Y1
KR200356801Y1 KR20-2004-0009340U KR20040009340U KR200356801Y1 KR 200356801 Y1 KR200356801 Y1 KR 200356801Y1 KR 20040009340 U KR20040009340 U KR 20040009340U KR 200356801 Y1 KR200356801 Y1 KR 200356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hoto
fixed
pictur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창
Original Assignee
이형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창 filed Critical 이형창
Priority to KR20-2004-0009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내면의 중앙부에 결합 단턱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결합 단턱의 전면에 피스로 결합 고정되는 자성체 금속판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배면측에 삽입 고정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 측으로 광을 발산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자성체 금속판에 대향하는 고무자석과, 그 고무자석이 배면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그 배면에 사진을 부착할 수 있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사진보호 전면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자석을 이용하여 배면에 사진이 부착된 투명판을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사진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투명판에 사진을 사용자가 부착하여 게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진의 크기에 관계없이 게시할 수 있으며, 그 게시되는 사진을 편집하여 부착하는 등 그 게시의 자유도를 높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광형 액자{emitting light type picture frame}
본 고안은 발광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한 구조를 사용하여 액자의 전면을 통해 사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발광형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사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액자는 고정된 후면 프레임과, 그 고정된 후면 프레임에 고정되어 개폐가 가능한 전면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액자는 사진의 교체가 비교적 용이하기는 하지만 사진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복잡한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그 구조상의 특징에 의하여 게시할 수 있는 사진의 크기가 정확한 규격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액자는 국내 실용신안등록공보 2000-0017374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 액자의 구조 및 그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종래 액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액자(2)내에 내용물(4)과 투명아크릴판(6)은 후면프레임(8)의 내측 삽입부(10)에 삽입하고, 전면프레임(12)의 압지부(14)가 아크릴판(6)의 가장자리부분을 눌러 고정하고, 상기 전면프레임(12)의 일측의 지지홈(16)은 후면프레임(8)의 외측에 형성된 지지홈(18)간에 탄지편(20)이 일정간격으로 상하로 결합되고, 지지홈(16)과 대향되게 형성된 타측의 삽입홈(22)은 후면프레임(8)의 내측 돌출부(24)의 단부에 형성된 축부(26)에 끼워져 전면프레임(12)이 축부(26)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회전한 전면프레임(12)은 일측의 정지면(28)이 90도 정도에서 하부프레임(8)의 외측면(30)에 접촉된다.
한편 하부프레임(8)의 내측 삽입홈(32)에는 뒷판(34)이 끼워지고 조립홈(36)에는 조립연결구(38)를 끼워 볼트(40)로서 상하와 일측의 후면프레임(8)을 고정토록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42)는 톱날, (44)는 요입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액자는 제작하고자 하는 액자의 크기에 맞게 전.후면프레임(12)(8)을 재단한 다음 후면프레임(8)의 조립홈(36)에 각각 'ㄱ'형 조립연결구 (38)를 끼워 상하와 일측의 후면프레임(8)을 볼트(40)로 고정하고, 삽입홈(32)내에는 뒷판(34)을 끼우고 삽입부(10)에는 사진이나 그림등과 같은 내용물(4)과 투명아크릴판(6)이 삽입되도록 한 다음, 후면프레임(8)의 외측에는 지지홈(18)과 연결된 돌출부(24)의 단부에 원기둥형상의 축부(26)가 형성되어 있어 후면프레임(8)의 지지홈(18)과 대향되게 전면프레임(12)의 일측 지지홈(16)간에 탄지편(2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톱날(42)부분이 고정되어 탄지되도록 하고, 후면프레임(8)의 축부(26)의 외면에 전면프레임(12)의 삽입홈(22)이 끼워져 상기 축부(26)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전면프레임(12)의 내측에 형성된 압지부(14)가 탄지편(20)의 탄지력에 의해 후면프레임(8)의 삽입부(10)에 끼워진 내용물(4)과 아크릴판(6)의 가장자리부분을 눌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새로운 내용물(4)을 교체시에는 전면프레임(12)의 내측의 요입홈(44)에 손가락을 넣어 바깥쪽으로 당기면 축부(26)를 축으로 하여 전면프레임(12)이 회전하여 정지면(28)이 후면프레임(8)의 외측면(30)에 접촉되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탄지편(20)에 의해 열린 상태에서 내용물(4)을 손쉽게 교체한 후 상기와 반대로 전면프레임(12)을 안쪽으로 밀면 탄지편(20)의 탄지력에 의해 압지부(14)가 아크릴판(6)을 눌러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액자는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하여, 액자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진의 교체를 위해서 전면프레임(12)을 개방하는 경우, 후면프레임(8)과 전면프레임(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아크릴판(6)을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 그 아크릴판(6)이 이탈되어 바닥에 떨어져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면프레임(12)의 4개의 모서리 각각을 개방하여 사진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전면프레임(12)의 네 모서리 각각을 닫아 사진을 고정해야 하나 그 고정과정에서 사진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액자는 사진의 크기가 전면프레임(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크기에 한정되며, 그 보다 작은 사진은 중앙부에 게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액자는 금속으로 구성해야 하며, 이는 제조단가의 상승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외관으로 생산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단순한 외형으로만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보다 단순한 프레임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발광형 액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진을 보호하는 투명판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진의 크기에 관계없이 게시할 수 있는 발광형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형을 금속이 아닌 수지 또는 원목을 이용하여 성형함으로써 보다 심미감을 주는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발광형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면의 중앙부에 결합 단턱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결합 단턱의 전면에 피스로 결합 고정되는 자성체 금속판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배면측에 삽입 고정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 측으로 광을 발산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자성체 금속판에 대향하는 고무자석과, 그 고무자석이 배면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그 배면에 사진을 부착할 수 있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사진보호 전면판으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종래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르는 발광형 액자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프레임부의 정면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있어서, A-A'단면을 보인 일실시 단면도.
도 11은 상기 도 9에 있어서, A-A'단면을 보인 다른 실시 단면도.
도 12는 상기 도 8에 있어서, 사진이 부착되는 사진보호 전면판의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 발광형 액자에 사진이 게시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광출력부 110:MDF
120:인버터 130:백라이트
200:프레임부 210:프레임
220:금속판 230:피스
240:탈착홈 300:사진보호 전면판
310:투명판 320:고무자석
400:사진 410:투명 테이프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르는 발광형 액자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버터와 백라이트를 구비하여, 일면에 제공되는 도광판을 통해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100)와; 상기 광출력부(100)의 일면인 도광판이 내측에 향하도록 그 배면측에 삽입 고정되며, 그 내측으로 결합 단턱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의 결합 단턱의 전면에 고정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프레임부(200)와; 내면에 사진이 부착되며 그 사진이 부착되는 내면의 가장자리에 고무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부(200)의 금속판에 결합할 수 있는 사진보호 전면판(30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는 발광형 액자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프레임부(200)의 정면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각각 도 9에 도시한 프레임부(200)의 A-A'방향 단면을 보인 일실시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200)는 정 또는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프레임(210)과 그 프레임(210)의 내측에 결합된 금속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10)은 그 내측에 금속판(220)과의 결합을 위한 단턱을 구비한다.
이때 단턱의 형상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내면의 중앙측에서 그 프레임(210)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단차를 가져, 후면부의 개구면 면적이 더 작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210)의 단턱에는 다수의 채결공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220)은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자성체 금속이며, 박형의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210)의 채결공에 대향하는 체결공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판(220)은 상기 프레임(210)의 단턱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때의 결합은 상기 대향하는 채결공에 피스(230)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10)의 재질은 수지이며, 금형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표면에도 다양한 문양 등을 표현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을 값싸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의 재질은 수지 이외에 원목을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도 10과 도 11에서 보여 지는 프레임(210)의 전면의 굴곡은 특정한 조각의 형성에 의하여 평면이 아닌 곡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문양의 조각을 그 표면에 가지는 프레임(21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소비자의 개성과 취향에 충족하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210)의 구조는 기존의 금속을 이용한 프레임의 제작에 비하여 그 원재료가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며, 별도의 조립 과정이 단순하여 제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 전면에서 사진을 교환할 수 있는 액자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을 마련하지 않고도, 본 고안의 프레임(210)은 내측에 단턱을 마련하고, 그 단턱에 금속판(220)을 결합함으로써, 자석의 작용에 의하여 전면에서 사진을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사진보호 전면판(300)과 그 사진보호 전면판(300)에 부착되는 사진(400)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사진보호 전면판(300)은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의 투명판(310)과, 그 내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고무자석(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무자석(320)은 접착제나 기타의 다른 결합기재에 의하여 상기 투명판(310)의 배면 모서리 측에 고정된다.
상기 고무자석(320) 이외의 투명판(310)의 내면 중앙측에는 인쇄된 사진(400)이 부착된다.
이때 사진(400)의 크기는 프레임(200)의 크기에 관계없이, 그 고무자석(320) 이외의 투명판(310)의 중앙부 면적 내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크기를 설정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는 종래 프레임간의 기계적인 밀착력을 이용하여 사진을 고정하는 방식에서는 불가능한 것이다.
상기 사진(400)은 투명 테이프(410)나 투명한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투명판(310)의 배면 중앙부에 부착한다.
상기 사용자가 투명 테이프(41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사진(400)을 게시하는 것은 보다 사용자의 욕구에 충족하는 게시 환경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다수의 사진(400)을 상기 고무자석(320)에 의해 제한되는 투명판(310)의 배면 중앙에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고, 사진(400)의 특정부분을 오려 내어, 그 오려낸 사진(400)의 일부를 이용하여 특정되지 않은 사진(400)의 표시상태를 편집할 수 있다.
이는 종래 액자가 정형화된 사진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게시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게시의 자유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사진(400)을 투명판(310)에 부착한 후, 그 투명판(310)에 결합된 고무자석(320)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부(200)의 금속판(320)에 부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광출력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면, 그 광출력부(100)에서 출력된 광이 사진(400)을 투과하여 표시된다.
도 13은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는 발광형 액자에 사진이 게시된 상태의 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광출력부(100)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인버터부(120)와, 그 인버터부(130)의 고전압을 인가받아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130)와; 상기 인버터부(120)의 배면측을 마감하는 중간밀도 섬유판(MDF, 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광출력부(100)는 프레임부(200)의 배면측에서 삽입 고정되며, 그 프레임부(200)의 전면 측에는 상기 사진보호 전면판(300)이 내측에 사진(400)이 부착된 상태로 부착된다.
상기 프레임부(200)의 프레임(210)에는 일측에 상기 사진보호 전면판(300)을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탈착홈(24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레임부(200)에 부착된 사진보호 전면판(300)을 상기 탈착홈(240)에 손가락 또는 기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프레임부(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사진보호 전면판(300)의 두께는 상기 프레임(21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금속판(320)까지의 두께와 동일하며, 그 사진보호 전면판(300)이 프레임부(200)에 결합되었을때 그 면은 평면을 이룬다.
또한, 상기 광출력부(100)의 두께는 프레임(210)의 배면으로부터 그 단턱의 저면까지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이며, 그 광출력부(100)가 프레임부(200)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된 경우, 그 광출력부(100)와 프레임부(200)의 저면은 평면을 이룬다.
즉, 본 고안에 따르는 발광형 액자는 그 측면에서 볼때 상기 프레임부(200)의 프레임(210)의 측면만이 보이며, 발광형 액자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는 발광형 액자는 자석을 이용하여 배면에 사진이 부착된 투명판을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사진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투명판에 사진을 사용자가 부착하여 게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진의 크기에 관계없이 게시할 수 있으며, 그 게시되는 사진을 편집하여 부착하는 등 그 게시의 자유도를 높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프레임의 재질을 수지로 하여 가격을 낮출 수 있을 뿐만아니라 금형에 따라 다양한 외형과 문양으로 제조할 수 있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실내의 환경에 부합하도록 원목재질을 사용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실내 환경의 조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면의 중앙부에 결합 단턱을 구비하는 수지 또는 원목 재질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결합 단턱의 전면에 피스로 결합 고정되는 자성체 금속판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배면측에 삽입 고정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 측으로 광을 발산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자성체 금속판에 대향하는 고무자석과, 그 고무자석이 배면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그 배면에 사진을 부착할 수 있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사진보호 전면판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 일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기구를 넣어 상기 프레임부와 사진보호 전면판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홈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액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단턱은 그 프레임의 내주면의 중앙부를 따라 돌출 성형된 것이거나, 그 프레임의 전면부와 배면부의 내측면 단차의 차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액자.
KR20-2004-0009340U 2004-04-06 2004-04-06 발광형 액자 KR200356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40U KR200356801Y1 (ko) 2004-04-06 2004-04-06 발광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40U KR200356801Y1 (ko) 2004-04-06 2004-04-06 발광형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801Y1 true KR200356801Y1 (ko) 2004-07-21

Family

ID=4934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340U KR200356801Y1 (ko) 2004-04-06 2004-04-06 발광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8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134B1 (ko) 광고용 조명장치
KR200356801Y1 (ko) 발광형 액자
KR200270217Y1 (ko)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CN201067200Y (zh) 一种拼接式百叶板
KR100314339B1 (ko) 조립식 간판
CN201937753U (zh) 一种液晶电视装饰条及其安装结构
KR101226238B1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CN201356328Y (zh) 互拼相框
KR200188498Y1 (ko) 장식용 사진틀 액자
CN200987542Y (zh) 一种广告画边框装置
TW202100874A (zh) 風扇
US20090133302A1 (en) Led-illuminated sign
CN215907703U (zh) 门体及储物柜
JP3226085U (ja) ディスプレイケース
CN209891609U (zh) 一种可拼装pe泡沫墙贴
CN209641282U (zh) 一种灯箱
KR200357906Y1 (ko) 사인 조립체
JP2006009375A (ja) 採光パネル構造。
KR200494633Y1 (ko) 벽걸이형 라이트 배너 거치대
CN214533503U (zh) 一种水泵塑料商标安装结构
KR200206228Y1 (ko) 장식무늬의 교체가 자유로운 문짝
CN214341450U (zh) 框架组件及健身镜
CN212929903U (zh) 一种组合式玻璃层板灯
KR200358172Y1 (ko) 액자용 프레임
KR200341967Y1 (ko) 안내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