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383B1 - 액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383B1
KR101004383B1 KR1020100084001A KR20100084001A KR101004383B1 KR 101004383 B1 KR101004383 B1 KR 101004383B1 KR 1020100084001 A KR1020100084001 A KR 1020100084001A KR 20100084001 A KR20100084001 A KR 20100084001A KR 101004383 B1 KR101004383 B1 KR 10100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er frame
inner frame
open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석현
Original Assignee
하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석현 filed Critical 하석현
Priority to KR102010008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7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fixing the picture or backing to the frame, e.g. clips, nai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계단형 단차를 구비하는 액자를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시한 액자는 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그 전면이 외측프레임 전면과 단차를 유지하도록 그 일부가 외측프레임의 개구로 진입하여 결합되는 내측프레임;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외측프레임 개구 내면과 내측프레임 둘레 외면 중 어느 한쪽에 그 일부가 박혀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핀; 지지핀에 걸린 상태로 외측프레임 배면과 내측프레임 배면 중 어느 한쪽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자 및 그 제조방법{PICTURE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액자를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재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을 넣어 보관하거나 전시하는데 사용한다. 통상적인 액자는 사각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후방으로부터 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와, 유리의 배면 쪽에 결합되는 후면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자에서 사진이나 그림은 그 전면의 이미지가 투명한 유리를 통해 전방에 표출될 수 있도록 유리와 후면판 사이에 끼운다.
최근에는 사진이나 그림이 입체적이고 강조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액자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0004975호에 개시된 액자는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다단의 내측프레임(보조테두리)을 장착하여 사진이나 그림이 입체적이고 강조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내측프레임을 설치하여 계단형태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장식효과를 높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액자들은 외측프레임 내에 별도로 내측프레임들을 제작하여 장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복잡할 뿐 아니라 외측프레임과 다른 소재로 내측프레임을 만들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 소재(판재)를 절단하여 크기가 다른 복수의 내측프레임을 각각 제작하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 소재의 손실도 컸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 단차를 가진 액자를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재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그 전면이 상기 외측프레임 전면과 단차를 유지하도록 그 일부가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로 진입하여 결합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 개구 내면과 상기 내측프레임 둘레 외면 중 어느 한쪽에 그 일부가 박혀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핀; 상기 지지핀에 걸린 상태로 상기 외측프레임 배면과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 중 어느 한쪽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핀은 ‘U’형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핀은 상기 외측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프레임에 박히는 침부와, 상기 고정나사의 결합을 위해 상기 침부의 반대편에 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그 전면이 상기 외측프레임 전면과 단차를 유지하도록 그 일부가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단차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굴절되며 그 양단이 상기 외측프레임 배면과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걸린 상태로 상기 외측프레임 배면과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그 전면이 상기 외측프레임 전면과 단차를 유지하도록 그 일부가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단차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굴절되고 그 일단이 고정나사 체결에 의해 외측프레임 배면에 고정되며 금속재질로 된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에 설치된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조방법은 판재를 절단하여 개구를 갖춘 외측프레임을 만들고, 외측프레임의 개구 형성을 위해 절단한 부분을 그대로 이용하여 내측프레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 개구 내면 또는 상기 내측프레임 둘레 외면에 그 일부가 박혀 고정되도록 복수의 지지핀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이 단차를 유지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을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로 진입시켜 결합하는 공정과, 머리부가 상기 지지핀에 걸린 상태로 상기 외측프레임 배면 또는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에 복수의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외측프레임에 상기 내측프레임을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조방법은 판재를 절단하여 개구를 갖춘 외측프레임을 만들고, 외측프레임의 개구 형성을 위해 절단한 부분을 그대로 이용하여 내측프레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이 단차를 유지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을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로 진입시켜 결합하는 공정과, 계단형으로 굴절된 복수의 지지부재을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배면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부재 양단에 각각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 및 그 제조방법은 판재를 절단하여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만들고, 외측프레임의 개구 내면 또는 내측프레임의 둘레 외면에 복수의 지지핀을 결합시키며, 이들 지지핀에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에 전면에 단차를 가지는 액자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외측프레임의 개구 절단부분을 그대로 이용하여 단차를 가진 내측프레임을 구성하기 때문에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전면에 단차를 가진 액자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변형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변형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변형 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액자 및 그 제조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의 액자(10)는 외측프레임(11), 내측프레임(12), 외측프레임(11)과 내측프레임(12)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지지핀(13), 그리고 지지핀(13)을 통하여 내측프레임(12)의 배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나사(14)를 포함한다. 사진(15, 또는 그림)은 내측프레임(12)의 전면에 부착되거나 내측프레임(12) 전면에 직접 인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외측프레임(11)은 개구(16)가 형성된 평판형태이다. 그리고 내측프레임(12)은 외측프레임(11)을 만드는 과정에서 개구(16)의 형성을 위해 외측프레임(11)의 안쪽을 절단한 부분을 이용하여 개구(16)와 동일한 크기로 만든다. 즉 평판형태로 된 하나의 판재를 레이저 등으로 정교하게 절단하여 외측을 외측프레임(11)으로 이용하고 내측을 내측프레임(12)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내측프레임(12)과 외측프레임(11)을 동일한 소재로 만드는 예를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시 내측프레임은 외측프레임과 다른 소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를 절단하여 외측프레임(11)과 내측프레임(12)을 만들면, 버려지는 판재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내측프레임(12)은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면이 외측프레임(11)의 전면보다 돌출하는 형태가 되도록 그 일부가 외측프레임(11)의 개구(16)로 진입하여 결합되고, 복수의 지지핀(13)과 복수의 고정나사(14)에 의해 외측프레임(11)에 고정된다.
지지핀(1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U'형 핀으로 마련되어 외측프레임(11)의 개구 내면에 그 일부가 박히도록 설치된다. 지지핀(13)은 복수개가 개구(16)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개구(16)의 내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을 유지하도록 박힌다. 이러한 지지핀(1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11) 전면(11a) 쪽으로부터 개구(16)로 진입하는 내측프레임(12)의 배면 테두리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내측프레임(12) 전면이 외측프레임(11) 전면에 대하여 돌출하는 단차(t)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고정나사(14)는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11)에 고정된 지지핀(13)을 통과하여 내측프레임(12)의 배면에 체결된다. 이렇게 하면, 고정나사(14)의 머리부가 ‘U'형 지지핀(13)에 걸린 상태에서 내측프레임(12) 배면에 체결되므로 내측프레임(12)이 외측프레임(11)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액자(10)를 제조할 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재를 절단하여 외측프레임(11)과 내측프레임(12)을 만들고, 외측프레임(11)의 개구(16)에 복수의 지지핀(13)을 결합시킨다. 지지핀들(13)은 소위 타카 또는 태커(tacker)라 불리는 자동공구로 연속하여 박음으로써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핀들(13)에 고정나사(14)를 체결하여 내측프레임(12)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전면에 단차를 가진 액자(10)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제1실시 예의 변형 예로, 복수의 지지핀(13)이 내측프레임(12) 둘레 외면에 그 일부가 박히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고정나사(14)가 이러한 지지핀(13)에 걸린 상태로 외측프레임(11) 배면에 고정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핀(13)과 고정나사(14)를 결합시키면 내측프레임(12)의 전면보다 외측프레임(11)의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액자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내측프레임(12) 전면이 외측프레임(11) 전면에 대하여 함몰된 형태의 단차가 생기도록 액자를 제조할 수 있다. 그 밖의 공정은 앞서 언급한 제1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2실시 예로 지지핀(23)의 형태를 달리한 것이다. 이는 외측프레임(21)과 내측프레임(22)을 연결하는 지지핀(23)이 외측프레임(21) 개구(26) 내면에 박히는 침부(23a)와, 고정나사(24)의 결합을 위해 침부(23a)의 반대편에 형성된 나사공(23b)을 구비하는 것이다. 지지핀(23)의 기능과 장착방식 등은 제1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 지지핀(23)도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액자를 만드는데 적용할 수 있다. 즉 내측프레임(22) 둘레 외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3실시 예이다. 제3실시 예는 외측프레임(31)과 내측프레임(32)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지지핀 대신에 외측프레임(31)과 내측프레임(32)의 단차(t)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굴절되고 그 양단이 외측프레임(31) 배면과 내측프레임(32) 배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33)와, 지지부재(33)의 양단에 각각 걸린 상태로 외측프레임(31) 배면과 내측프레임(32) 배면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나사(34)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도 전면에 단차(t)를 가지는 액자(30)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외측프레임(31)으로부터 절단된 부분으로 내측프레임(32)을 만들기 때문에 소재를 손실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제3실시 예의 변형 예로 굴절된 형태의 지지부재(33)를 반대로 결합시켜 내측프레임(32)의 전면이 외측프레임(31)의 전면보다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4실시 예이다. 제4실시 예는 외측프레임(41)과 내측프레임(42)의 결합들 위한 것으로, 외측프레임(41)과 내측프레임(42)의 단차(t)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굴절되고 그 일단이 고정나사(44) 체결에 의해 외측프레임(41) 배면에 고정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지부재(43)와, 지지부재(43)에 부착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42) 배면에 설치된 복수의 자석(47)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42)이 자석(47)에 의해 지지부재(43)에 부착되기 때문에 사진 등의 교체를 위해 내측프레임(42)으로 외측프레임(41)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내측프레임(42)을 다른 것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이러한 액자 역시 전면부에 단차(t)를 가지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제4실시 예의 변형 예로 지지부재(43)를 반대로 결합시켜 내측프레임(42)의 전면이 외측프레임(41) 전면보다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도 내측프레임(42)은 그 배면에 결합된 자석(47)에 의해 지지부재(43)에 부착될 수 있다.
11, 21, 31, 41: 외측프레임,
12, 22, 32, 42: 내측프레임,
13, 23: 지지핀,
14, 24, 34, 44: 고정나사,
16: 외측프레임의 개구,
33, 43: 지지부재.

Claims (8)

  1. 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그 전면이 상기 외측프레임 전면과 단차를 유지하도록 그 일부가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로 진입하여 결합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 개구 내면과 상기 내측프레임 둘레 외면 중 어느 한쪽에 그 일부가 박혀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핀;
    상기 지지핀에 걸린 상태로 상기 외측프레임 배면과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 중 어느 한쪽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개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한 부분에 의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U’형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상기 외측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프레임에 박히는 침부와, 상기 고정나사의 결합을 위해 상기 침부의 반대편에 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5. 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그 전면이 상기 외측프레임 전면과 단차를 유지하도록 그 일부가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단차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굴절되며 그 양단이 상기 외측프레임 배면과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 각각 걸린 상태로 상기 외측프레임 배면과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6. 개구가 형성된 외측프레임;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고 그 전면이 상기 외측프레임 전면과 단차를 유지하도록 그 일부가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단차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으로 굴절되고 그 일단이 고정나사 체결에 의해 외측프레임 배면에 고정되며 금속재질로 된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에 설치된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7. 판재를 절단하여 개구를 갖춘 외측프레임을 만들고, 외측프레임의 개구 형성을 위해 절단한 부분을 그대로 이용하여 내측프레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 개구 내면 또는 상기 내측프레임 둘레 외면에 그 일부가 박혀 고정되도록 복수의 지지핀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이 단차를 유지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을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로 진입시켜 결합하는 공정과,
    머리부가 상기 지지핀에 걸린 상태로 상기 외측프레임 배면 또는 상기 내측프레임 배면에 복수의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외측프레임에 상기 내측프레임을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자의 제조방법.
  8. 판재를 절단하여 개구를 갖춘 외측프레임을 만들고, 외측프레임의 개구 형성을 위해 절단한 부분을 그대로 이용하여 내측프레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이 단차를 유지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을 상기 외측프레임의 개구로 진입시켜 결합하는 공정과,
    계단형으로 굴절된 복수의 지지부재을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배면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부재 양단에 각각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을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자의 제조방법.
KR1020100084001A 2010-08-30 2010-08-30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0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001A KR101004383B1 (ko) 2010-08-30 2010-08-30 액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001A KR101004383B1 (ko) 2010-08-30 2010-08-30 액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383B1 true KR101004383B1 (ko) 2010-12-28

Family

ID=4351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001A KR101004383B1 (ko) 2010-08-30 2010-08-30 액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3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610A (ja) 1998-04-15 1999-11-02 Takeshi Honda 額 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610A (ja) 1998-04-15 1999-11-02 Takeshi Honda 額 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96018B (zh) 显示装置及该显示装置的组装方法
WO2019134382A1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6764175B1 (en) Plastic sunglasses with secondary optical glasses
US20090013577A1 (en) Picture Frame System
JP5166613B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1004383B1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7568A (ko) 반테형 안경
KR101721604B1 (ko) 엘이디 라이트패널
KR101226238B1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99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엣지 프레임 인서트프레스 제조방법
US8545038B2 (en) Back fram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backlight system, and fla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10348128U (zh) 一种具有型材框架结构的液晶显示器
CN103686021A (zh) 显示装置及其前壳和前壳的安装方法、液晶电视机
KR20130022006A (ko) 아크릴 액자
CN203645764U (zh) 显示装置的前壳、显示装置和液晶电视机
KR200242025Y1 (ko) 뒷판이 일체로 형성된 액자
JP2009182840A (ja) 嵌合構造、並びに該嵌合構造を備えるスピーカ及び該スピーカを備える表示装置
KR20100044981A (ko) 사진 교체가 용이한 액자
JP4607433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173658Y1 (ko) 부착식 액자
WO2019028688A1 (zh) 框架组件及显示设备
KR200465884Y1 (ko) 내측 장식테용 모서리캡
KR200348955Y1 (ko) 박스형 아크릴 액자
KR20220040018A (ko) 자석을 이용한 부착식 액자
US8908120B2 (en) Back fram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backlight system, and fla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