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955Y1 - 박스형 아크릴 액자 - Google Patents

박스형 아크릴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955Y1
KR200348955Y1 KR20-2004-0001332U KR20040001332U KR200348955Y1 KR 200348955 Y1 KR200348955 Y1 KR 200348955Y1 KR 20040001332 U KR20040001332 U KR 20040001332U KR 200348955 Y1 KR200348955 Y1 KR 200348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base member
lid
box
pic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수
Original Assignee
한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수 filed Critical 한성수
Priority to KR20-2004-0001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시물이 부착되는 베이스부재가 아크릴 뚜껑 후방에서 결합되는 박스 형태의 아크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뚜껑의 후방 단부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 외주연이 지지되며, 상기 아크릴 뚜껑의 내측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재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면이 탄성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재가 상기 아크릴 뚜껑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방지하며 상기 아크릴 뚜껑과 베이스부재와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고, 특별한 도구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박스형 아크릴 액자를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박스형 아크릴 액자{Box type acryl frame}
본 고안은 박스형 아크릴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 뚜껑과 베이스부재 결합력이 강화되고 별도의 도구없이 누구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자틀이 있는 액자는 무겁고 다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조립이 어렵고 제조단가가 높고 소비자들에게 식상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다 현대적이고 시원한 느낌을 주기 위해서 개발되어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한 액자 형태가 액자틀이 없는 아크릴 소재의 액자(이하, 아크릴 액자)이다. 이 아크릴 액자는 크게 아크릴 소재의 투명한 전방투명판과 베이스부재 사이에 사진 등의 전시물이 협지되어 밀착고정되는 형태의 아크릴 액자와, 사진 등 전시물이 부착된 평판의 베이스부재에 아크릴 소재의 뚜껑이 결합되는 박스 형태의 아크릴 액자(이하, 박스형 아크릴 액자)로 나눌 수 있다.
초기의 박스형 아크릴 액자는 6-12개의 나사들로 아크릴 뚜껑과 상기 베이스부재가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개폐가 용이하지 않고 심미감이 낮은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5133호에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박스형 아크릴액자를 제공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된 아크릴 액자(20)는 상기 아크릴 뚜껑(22)과 상기 베이스부재(24)가 접하는 좌우측면의 하부에서 상기 아크릴 뚜껑(22)을 상기 베이스부재(2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나사(26) 및 상기 아크릴 뚜껑(22)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공(22a) 및 상기 베이스부재(24)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24a)에 체결되어 상기 아크릴 뚜껑(22) 및 상기 베이스부재(24)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는 고정핀(2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미설명 부호 P는 전시물 부착판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베이스부재에 고정된 아크릴 뚜껑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베이스부재와 아크릴 뚜껑을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아크릴의 분해 및 조립시 종래의 아크릴 액자와 달리 드라이버 등으로 나사를 풀거나 체결할 필요가 없어, 누구나 사진 등의 전시물을 용이하게 부착 또는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액자의 좌우측면 및 상하면에 설치되었던 복수개의 나사 수를 줄일 수 있어 외관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아크릴액자 제조시 형성해야 하는 나사공의 수 및 체결나사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액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도 낮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박스형 아크릴 액자를 포함한 종래의 박스형 아크릴 액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박스형 아크릴 액자는 아크릴 뚜껑(22)과 베이스부재(24)가 회동부재인 나사(26)와 상부 고정부재인 고정핀(29)으로 고정 및 체결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아크릴 뚜껑(22)과 베이스부재(24)의 결합력이 약해, 상기 베이스부재(24)의 상부 후면 좌우측에서 힘을 가하면 상기 베이스부재(24)가 상기 아크릴 뚜껑(22)으로 밀고 들어가거나 흔들리거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아크릴 뚜껑(22)의 개폐를 자주하는 경우 결합력이 더욱 저하된다.
둘째, 상기 구성의 박스형 아크릴 액자를 포함한 종래의 박스형 아크릴 액자에서 아크릴 뚜껑(22)은 일정 규격의 직사각형 아크릴판의 좌우측 일부분을 90°로 절곡시켜 전면과 좌우측면을 형성하고 별도의 아크릴판을 절단하여 상면 및 하면에접착시켜 제조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생산시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기간이 길고 대량생산이 어렵고 인건비 비중이 높은 반면, 강도가 낮은 아크릴판이 절곡 및 접착시 또는 베이스부재(24)와의 결합시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구조의 박스형 아크릴 액자(20) 내부 전시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핀(26)을 분리하고 상기 아크릴 뚜껑(22)을 하방으로 회전시킨 후 개방하고 전시물을 교체한 후 다시 역순으로 동작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종전의 6-12개의 나사들을 드라이버로 풀고 조이는 방식의 아크릴 액자 보다는 작업이 혁신적으로 단순화되었으나, 이 구성의 경우에도 고정핀(26)이 분실될 우려가 있고 사용자들은 보다 용이한 개폐 방식을 원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회동부재 및 고정부재로 나사가 포함되어 있어 투명하고 깨끗하며 가벼운 이미지의 박스형 아크릴 액자의 미감을 완벽하게 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다섯째, 상기 베이스부재에 전시물 부착판이 부착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특별한 체결부재 없이 아크릴 뚜껑과 베이스부재의 결합력을 확보하면서 특별한 도구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본 고안의 목적은 생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강도가 낮은 아크릴 액자의 생산성을 높이고 조립 및 분해시 파손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아크릴 액자의 전시물을 용이하게 교체하고 전시물 부착위치에 변화를 주면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아크릴 액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크릴 액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크릴 액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크릴 액자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00 : 아크릴 액자 22,120 : 아크릴 뚜껑
24,140 : 베이스부재 26 : 나사
22a : 체결공 24a : 체결홈
29 : 고정핀 122 : 단턱
124 : 지지턱 142 : 홈
144 : 탄성고정부재 P,160 : 전시물 부착판
162 : 폼보드 164 : 부착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시물이 부착되는 베이스부재가 아크릴 뚜껑 후방에서 결합되는 박스 형태의 아크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뚜껑의 후방 단부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이 지지되며, 상기 아크릴 뚜껑의 내측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재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면은 탄성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은 아크릴 뚜껑의 단턱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아크릴 뚜껑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면은 탄성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아크릴 뚜껑 외측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아크릴 뚜껑과 베이스부재와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뚜껑의 단턱 및 상기 탄성고정부재에 의해 아크릴 뚜껑 후방에 베이스부재가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특별한 도구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박스형 아크릴 액자를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아크릴 액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아크릴 뚜껑의 후방 하부 단부 1개소 이상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아크릴 뚜껑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재 하부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일단 아크릴 뚜껑에 상기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재 상면은 상기 탄성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부재 하부 후면은 상기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아크릴 뚜껑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아크릴 액자는, 상기 아크릴 뚜껑이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박스형 아크릴 액자의 생산시 아크릴 판의 절곡 및 접착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생산기간이 단축되고, 인건비 비중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생산과정에서 강도가 낮은 아크릴 뚜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아크릴 액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크릴 액자(100)는, 크게 전방에서 측면 및 상하면으로 연장된 투명한 아크릴 뚜껑(120)과, 전시물이 부착되는 전시물 부착판(160)이 구비되고, 상기 아크릴 뚜껑(120)의 후방에 끼워지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베이스부재(140)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크릴 뚜껑(120)의 후방 단부에는 내측으로 단턱(122)이 형성되어 있어, 후방에서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부재(140)의 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아크릴 뚜껑(120) 후방에 상기 베이스부재(140)가 결합된 후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40)의 후면에서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베이스부재(140)가 아크릴 뚜껑(12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뚜껑의 내측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재(140)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면이 탄성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140) 또는 상기 아크릴 뚜껑(120)의 1개소 이상에 탄성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도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40) 상부 2개소에 홈(142)을 형성하고 상기 홈(142)에 탄성고정부재(144)를 결합시킨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박스형 아크릴 액자(100)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부재(140)가 상기 아크릴 뚜껑(120)의 단턱(122)에 의해 1차 결합되고, 상기 탄성고정부재(144)에 의해 2차 결합 및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특별한 도구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나아가, 나사와 같은 종래의 체결수단이 불필요하므로, 투명하고 깨끗한 아크릴 액자의 미감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아크릴 뚜껑(120)과 베이스부재(140)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상기 아크릴 뚜껑(120)에 상기 베이스부재(140)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탄성을 구비한 부재라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고정부재(144)는 약 30%의 탄성을 갖는 평면실리콘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아크릴 뚜껑(120)은 사출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아크릴 판을 절곡하고 접착시키는 생산공정에 비해 생산 공정을 단축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인건비를 포함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생산 내지 조립과정에서 아크릴 뚜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크릴 뚜껑(120)의 후방 하부 단부 1개소 이상에는 지지턱(1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아크릴 뚜껑(120) 후방에 상기 베이스부재(140)가 결합된 후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40)의 후면은 상기 지지턱(124)에 의해 지지되므로 양자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시물 부착판(160)은 폼보드(162)와 전시물부착면(16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폼보드(162)는 상기 베이스부재(14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벨크로테이프(일명 '찍찍이')를 이용하거나, 자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시물 부착판(160)이 탈부착이 가능하면 전시물을 교체할 때 상기 전시물 부착판(160)만을 별도로 구입하여 교체하면 상기 박스형 아크릴 액자(100)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아크릴 액자는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폼보드(162)의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아크릴 액자와 달리 그림액자로 뿐만 아니라 사진액자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40) 및 상기 전시물 부착판(160)은 결합시키는 구성은,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40)는 철판을 주소재로 하고 그 전면을 다양한 질감 및 색감의 소재로 처리하고, 상기 전시물 부착판(160)의 폼보드(162)에 자석이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시물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원하는 위치에 전시물을 부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 본 고안에 의한 박스용 아크릴 액자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한 박스형 아크릴 액자(100)의 아크릴 뚜껑(120) 후방에 베이스부재(140)를 결합시킬 때, 상기 베이스부재(140)의 하부를 상기 아크릴 뚜껑(120)의 하부의 지지턱(124) 내측으로 끼운 후 상부를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아크릴 뚜껑(120)과 베이스부재(140) 사이에 다소간의 유격이 있어도, 상기 베이스부재(14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실리콘으로 구성된 탄성고정부재(1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40)의 상부는 상기 아크릴 뚜껑(120)의 상부에 용이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된다. 일단 아크릴 액자(100)에 끼워진 상기 베이스부재(140)의 하부 후면은 상기 지지턱(124)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아크릴 액자는 아크릴 뚜껑(120)과 베이스부재(140)의 결합 및 고정은 상기 단턱(122), 지지턱(124) 및 탄성고정부재(144)에 의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크릴 액자 제조시 작업성이 개선되고 종래의 아크릴 액자와 달리 천공을 할 필요가 없어 천공시 발생될 수 있는 아크릴 뚜껑의 파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또한, 나사 또는 고정핀 등의 체결부재나 드라이버 등 체결도구가 필요없어 조립작업의 효율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박스용 아크릴 액자(100)에 사진 등 전시물을 넣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부재(14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단부부터 상기 아크릴 뚜껑(120)에서 분리하고, 그런 다음 상기 베이스부재(140)의 하단부를 지지턱(124) 넘어로 빼서, 아크릴 뚜껑(120)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아크릴 액자의 분해작업과 비교해서 드라이버 등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고 10초 이내의 단시간에 분해작업이 가능해 누구나 아주 간편하게 분해작업을 할 수 있다.
다음, 사진 등 전시물을 부착하기 위해 상기 전시물 부착판(160)을 상기 베이스부재(140)에서 부착한 상태 또는 분리한 상태에서 그 전면의 접착제 보호용 종이를 떼어내고 상기 사진 등을 부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전시물 부착판(160)을 정위치시킨 후 상기 베이스부재(140)를 아크릴 뚜껑(120)에 역순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박스형 아크릴 액자의 조립은 분해작업과 동일하게 별도의 도구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전시물 부착판(160)과 상기 베이스부재(140)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일 경우, 상기 전시물 부착판(160)은 상기 베이스부재(140) 어느 곳에도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아크릴 액자는 아크릴 뚜껑이 단턱과 탄성고정부재에 의해 베이스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아크릴 뚜껑과 베이스부재의 결합력을 확보하면서도, 특별한 도구없이 누구나 쉽게 박스형 아크릴 액자를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강도가 낮은 아크릴 액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조립 및 분해시 파손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아크릴 액자는 전시물 부착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아크릴 액자의 전시물을 교체하면서 영구적으로 그리고 사진액자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전시물이 부착되는 베이스부재가 아크릴 뚜껑 후방에서 결합되는 박스 형태의 아크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뚜껑의 후방 단부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이 지지되며, 상기 아크릴 뚜껑의 내측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재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면은 탄성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아크릴 뚜껑의 후방 하부 단부 1개소 이상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아크릴 뚜껑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재 하부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뚜껑이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실리콘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에 전시물이 부착되며 배면에 상기 베이스부재에 탈부착가능한 소재가 부착되는 전시물 부착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물 부착판과 상기 베이스부재는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아크릴 액자.
KR20-2004-0001332U 2004-01-17 2004-01-17 박스형 아크릴 액자 KR200348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332U KR200348955Y1 (ko) 2004-01-17 2004-01-17 박스형 아크릴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332U KR200348955Y1 (ko) 2004-01-17 2004-01-17 박스형 아크릴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955Y1 true KR200348955Y1 (ko) 2004-04-30

Family

ID=4942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332U KR200348955Y1 (ko) 2004-01-17 2004-01-17 박스형 아크릴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9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892B1 (ko) 2007-11-14 2009-04-02 임정일 가루그림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892B1 (ko) 2007-11-14 2009-04-02 임정일 가루그림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0630S1 (en) Watch frame
AU2006270614B2 (en)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D534614S1 (en) Tent with ridge pole
USD534214S1 (en) Display board with timer
USD576065S1 (en) Watch dial
USD536044S1 (en) Toy with interchangeable parts
USD518826S1 (en) Image scanner for a computer
USD528411S1 (en) Display box
USD510210S1 (en) Watch display box with multi watch winders
KR200348955Y1 (ko) 박스형 아크릴 액자
KR200270217Y1 (ko)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USD473145S1 (en) Clock with photo frame
KR100634057B1 (ko) 착탈가능한 연결부재를 갖는 사인 조립체
KR200306313Y1 (ko) 가구용 문짝
USD523463S1 (en) Eyeglass frame with lens
USD525882S1 (en) Watch case
KR102178363B1 (ko) 광고수단이 마련된 자동차 번호판 장착대
JP4191104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H0847472A (ja) 化粧扉の化粧板取付構造
KR101226238B1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CN201937753U (zh) 一种液晶电视装饰条及其安装结构
KR200305133Y1 (ko) 박스형 아크릴 액자
KR100452929B1 (ko)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USD564365S1 (en) World map digital clock
USD520480S1 (en) DVD 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