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710A -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 Google Patents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710A
KR20100054710A KR1020090070505A KR20090070505A KR20100054710A KR 20100054710 A KR20100054710 A KR 20100054710A KR 1020090070505 A KR1020090070505 A KR 1020090070505A KR 20090070505 A KR20090070505 A KR 20090070505A KR 20100054710 A KR20100054710 A KR 2010005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sheet
joint
gap
interverteb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8966B1 (ko
Inventor
충-춘 예
Original Assignee
파오난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오난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오난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02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 A61B17/7004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with a cross-section which varies along its length
    • A61B17/7008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with a cross-section which varies along its length with parts of, or attached to, the longitudinal elements, bearing against an outside of the screw or hook heads, e.g. nuts on threaded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는, 시트로서, 2개의 측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는 장변을 추체 소관절면의 간극에 대응시켜 그 간극에 삽입한 후 상기 소관절면의 양측을 가압하면서 이를 고정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시트와 소관절면 간극을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APPARATUS FOR STABILIZING VERTEBRAL FACET JOINT}
본 발명은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 척추 추체 간의 소관절면(Facet joint) 간극에 삽입할 수 있는 시트로 구성되며, 추체 소관절면 간극을 압착 및 고정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척추 질병의 치료에 있어서, 상하로 인접하는 2개의 추체를 일체로 융합하여 안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종래에는 모두 척추뿌리 못(vertebral pedicle screw)을 이들 추체에 각각 박은 후 뼈못(bone peg), 연결 레버 등으로 잠금 결합함으로써 못 또는 레버 방식으로 상하 추체 골격을 안정하게 연결하여 고정하였다.
또는, 추간 충전 블록을 척추 추간반 위치에 이식한 후, 일부 추골 골격 조직을 긁어내고 충전 블록의 접촉을 통해 자극을 주는 환경에서 상하 척추 추체의 골격조직세포를 충전 블록 내부로 점차 성장시켜 이 충전 블록에 감싸지면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하 척추 추체가 안정하게 융합된 경우에도 이들 추체 후측의 소관절면에 대해서도 안정 융합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종래의 척추 추체를 안정하게 융합하여 환자의 등 부분의 척추 문제를 해결하는 시술 방식은 모두, 다수의 부품이 상호 연결되고 복잡한 부품 결합체를 환자의 척추 분절(scleromere)에 이식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또는 절개면이 크고 깊이 있는 시술이 필요하며 환자의 등을 직접 절개하여 척추 추체에 근접하여 척추뿌리 못 또는 추간 충전 블록을 이식하여야 한다. 이처럼, 종래의 방식에서는 의사의 시술 절차 및 절개 면적에 있어서 시술 동작에 대한 요구 및 주의 사항, 위험 등의 요소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환자의 척추통 문제의 해결효과는 향상되지 않았다. 따라서 번거로운 절차 또는 부품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목적은,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가 추체 소관절면 간극에 이식 및 고정되어 척추 추체 간 위치를 안정시키고 이들 상하 추체를 소관절면 간의 융합을 통해 일체로 융합시켜 환자의 척추가 안정하지 않은 문제를 안정하게 해결할 수 있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목적은, 상기 시트 측면에 다수의 돌기, 절곡부 등이 마련되어 상기 소관절면 간극에 대한 고정을 보강할 수 있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시트가 중심부와 측부로 구분되어 다양한 결합으로 상기 간극 내에 안정하게 융합될 수 있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는, 시트로서, 2개의 측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는 장변을 추체 소관절면의 간극에 대응시켜 그 간극에 삽입한 후 상기 소관절면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를 고정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시트를 소관절면 간극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 상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는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비직선형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양단 굴곡부와 상기 시트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양단 굴곡부와 상기 시트의 접촉이 T형으로 연장된 양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는 중심부와 2개의 측부를 가지며, 상기 중심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모두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정장치 시트는 상기 소관절면 간극 내에서 가압 및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중심부 나사구멍에는 연결 못이 더 체결되며, 이 연결 못이 상기 소관절면 간극 양측의 추체에 걸쳐 연결되어 상기 소관절면과 상기 시트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중심부와 복수의 측부는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가 상기 소관절면 간극에 삽입된 후 이들 측부가 다시 상기 중심부 양측의 상기 소관절면 간극에 삽입되어 상기 중심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중심부와 복수의 측부는 중심축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시트가 상기 소관절면 간극에 삽입된 후 상기 중심부가 축 회전하며, 이 회전을 통해 중심부의 돌기가 나온 후 상기 소관절면 간극 양측의 추체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가 추체 소관절면 간극에 이식 및 고정되어 척추 추체 간 위치를 안정시키고 이들 상하 추체를 소관절면 간의 융합을 통해 일체로 융합시켜 환자의 척추가 안정하지 않은 문제를 안정하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측면에 다수의 돌기, 절곡부 등이 마련되어 소관절면 간극에 대한 고정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준 것이다.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10)는 사각형에 가까운 시트(11)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칼날형 에지(111)가 서로 인접하는 상부 추체(20)와 하부 추체(21)의 소관절면(22)(Facet joint) 간극 사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식공구(미도시)를 나사결합 제어방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볼트(12)(도 4 참조)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11)의 두 측면(113,114)에는 복수의 뾰족한 돌기(115)가 돌출 형성되어, 시트(11)가 추체 소관절면(22) 간극에 삽입할 때 더욱 잘 맞물려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시트(11)에는 복수의 관통구멍(116)이 형성되어 추체(20,21)의 골세포가 이들 관통구멍 내로 성장하여 상하 추체(20,21)를 일체로 융합하여 안정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10)는 다양한 실시예를 더 가진다. 그 중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30)는 복수의 절곡부(31)를 가진 비직선형 시트(30)로 형성되며, 이들 절곡부(31)가 형성된 위치 및 거리 낙차에 의해 추체 소관절면(22) 간극에 삽입될 때 결합 밀착도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비직선형 시트(30)에도 복수의 뾰족한 돌기(115)와 관통구멍(116)(도 2 참조)이 형성되어 고정을 보강하고 골세포가 성장 및 진입하여 이들 추체(20,21)를 융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10)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40)의 양단 굴곡부(41)와 시트(40)가 일정 각도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뾰족한 돌기가 연속된 모양의 바(bar) 형상의 돌기(42)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정장치 시트(40)의 양단 굴곡부(41)와 상기 시트(40)의 접촉이 T형으로 연장된 양상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은 모두 추체 소관절면(22) 간극에 삽입할 때의 밀착도를 증가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11)에 형성된 나사구멍(112)은 고정볼트(12)를 통해 연결 못(50)을 더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못(50)은 시트(11)에서 상기 추체 소관절면(22) 간극에 삽입된 후 상기 상하 추체(20,21)의 관절면 간극(22)의 양단에 걸쳐 연결되어 상기 상하 추체(20,21)를 추가로 결합 고정한다(도 7 참조).
도 5와 같이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10)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60)는 중심부(61) 및 이와 분리되고 좌우로 연결된 두 개의 측부(62)로 구분된다. 상기 중심부(61)의 두께는 상기 측부(62)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관절면 간극(22)을 벌림 및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심부(61)가 관절면 간극(22)에 삽입된 후 이들 측부(62)가 다시 중심부(61)의 양측의 관절면 간극(22)에 삽입하여 중심부(61)와 체결됨으로써 중심부(61)의 삽입 위치 고정에 일조한다.
도 6과 같이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10)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70)의 중심부(71)와 이들 측부(72)가 중심축(73)을 통해 축 결합하며, 중심부(71)에는 복수의 뾰족한 돌기(7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측부(72)에는 복수의 돌기(711)를 수용하는 오목홈(7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70)가 추체 소관절면 간극(22)에 삽입한 후 중심부(71)가 상대적 축회전을 하며, 이 회전을 통해 중심부(71)의 돌기(711)가 나온 후 추체 소관절면 간극(22) 양측의 상하 추체(20,21) 사이에 걸림 결합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11)는 2개로 쌍을 이루어 사용되며(동일 실시예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 이들 시트 쌍이 상하 추체(20,21)의 좌우 양측의 관절면 간극(22)에 삽입되어 상하 추체(20,21) 양측을 동시에 안정하게 융합할 수 있다. 다만, 이들 상하 추체(20, 21)의 일측 간극(22)에만 이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상하 추체(20,21)의 타측에는 종래의 척추뿌리 못을 이식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미도시). 또는 이들 상하 추체(20,21)의 극돌기(201,211)(spinous process) 사이에 극돌기 벌림 및 안정장치(80)를 이식하여,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10)와 더불어 상하 추체(20,21)를 안정하게 융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 2는 추체 관절면 간극에서의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의 삽입위치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와 연결 못의 결합을 보여준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의 중심부와 좌우 측부가 분리된 구체적 실시예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의 중심부와 측부가 상대적 축 회전이 가능한 구체적 실시예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와 극돌기 벌림 및 안정장치가 결합되어 복수의 추체에 장착된 구체적 실시예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11: 시트 12: 고정볼트
111: 칼날형 에지 112: 나사구멍
113: 측면 114: 측면
115: 돌기 116: 관통구멍
20: 추체 21: 추체
22: 소관절면 간극 201: 극돌기
211: 극돌기 30: 시트
31: 절곡부 40: 시트
41: 양단 굴곡부 42: 바 형상 돌기
50: 연결 못 60: 시트
61: 중심부 62: 측부
70: 시트 71: 중심부
72: 측부 73: 중심축
711: 돌기 721: 오목홈
80: 극돌기 벌림 및 안정장치

Claims (9)

  1. 시트로서, 2개의 측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는 장변을 추체 소관절면의 간극에 대응시켜 그 간극에 삽입된 후 상기 소관절면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를 고정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시트와 소관절면의 간극을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 상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는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비직선형 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양단 굴곡부와 상기 시트가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양단 굴곡부와 상기 시트의 접촉은 T형으로 연장된 양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는 중심부와 2개의 측부를 가지며, 상기 중심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모두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정장치 시트는 상기 소관절면 간극 내에서 가압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중심부 나사구멍에는 연결 못이 더 체결되며, 상기 연결 못은 상기 소관절면 간극 양측의 추체에 걸쳐 연결되어 상기 소관절면과 상기 시트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중심부와 복수의 측부는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가 상기 소관절면 간극에 삽입된 후 이들 측부가 다시 상기 중심부 양측에서 상기 소관절면 간극에 삽입되어 상기 중심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 시트의 중심부와 복수의 측부는 중심축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시트가 상기 소관절면 간극에 삽입된 후 상기 중심부가 축 회전하며, 이 회전을 통해 상기 중심부의 돌기가 나온 후 상기 소관절면 간극 양측의 추체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KR1020090070505A 2008-11-14 2009-07-31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KR101178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144180A TW201018449A (en) 2008-11-14 2008-11-14 Interface stabilising device for facies articularis of centrum
TW097144180 2008-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710A true KR20100054710A (ko) 2010-05-25
KR101178966B1 KR101178966B1 (ko) 2012-08-31

Family

ID=4227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505A KR101178966B1 (ko) 2008-11-14 2009-07-31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115477A (ko)
KR (1) KR101178966B1 (ko)
TW (1) TW2010184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8743B2 (en) 2011-05-10 2018-03-20 DePuy Synthes Products, Inc. Facet interference cage
US10278742B2 (en) 2012-11-12 2019-05-07 DePuy Synthes Products, Inc. Interbody interference implant and instrum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39B2 (ja) * 1979-12-04 1985-04-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タンタル電解コンデンサの電気回路実装方法
CA2229822C (en) * 1995-10-20 2004-03-09 Synthes (U.S.A.) Inter-vertebral implant
KR200164056Y1 (ko) * 1999-01-19 2000-02-15 선동윤 추간원판용케이지
US6827740B1 (en) 1999-12-08 2004-12-07 Gary K. Michelson Spinal implant surface configuration
US20040133279A1 (en) * 2003-01-06 2004-07-08 Krueger David J. Surgical implants for use as spinal spa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966B1 (ko) 2012-08-31
TW201018449A (en) 2010-05-16
JP2010115477A (ja)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9602B1 (en) Bone fixation device
EP3174486B1 (en) Spinal implant
US9668874B2 (en) Facet joint replacement
US883452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pinal stenosis
US9814594B2 (en) Intervertebral disc prosthesis and method
US97571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sing a sacroiliac joint and anchoring an orthopedic appliance
US8685065B1 (en) Tools for implantation of interspinous implants and methods thereof
US201600080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posterior fusion over motion segments
US10105234B2 (en) 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s of use
MX2013003552A (es) Conjunto de implantes de lamina.
US20230165603A1 (en) Bone anchor with deployable purchase element
US20200054460A1 (en) Intrabody Osteotomy Implant and Methods of Use
JP6864620B2 (ja) 骨ねじ
KR101178966B1 (ko) 추체 소관절면 계면 안정장치
US10271879B2 (en)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s of use
US9833266B2 (en) Implantable vertebral arthrodesis device for fusing two overlying and underlying vertebrae
JP3889649B2 (ja) 棘突起スペーサー
KR200305911Y1 (ko) 경추전방고정기기
JP4608121B2 (ja) 棘突起スペーサー
CN113164194A (zh) 外科植入物及其使用方法
TWM444157U (zh) 一種椎體小關節面介面穩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