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911Y1 - 경추전방고정기기 - Google Patents

경추전방고정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911Y1
KR200305911Y1 KR20-2002-0036966U KR20020036966U KR200305911Y1 KR 200305911 Y1 KR200305911 Y1 KR 200305911Y1 KR 20020036966 U KR20020036966 U KR 20020036966U KR 200305911 Y1 KR200305911 Y1 KR 200305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ervical
fixing
bu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김정성
김병수
신태진
Original Assignee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6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9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52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immobilised relative to screws by interlocking form of the heads and plate holes, e.g. conical or threaded
    • A61B17/8057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immobilised relative to screws by interlocking form of the heads and plate holes, e.g. conical or threaded the interlocking form comprising a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6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extending fixation tabs
    • A61F2002/30578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extending fixation tabs having apertures, e.g. for receiving fixation scre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골 이식물에 충분한 압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움직임이 보장되며, 고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시술이 간단하고, 프로파일이 양호한 경추전방고정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나사결합부, 부시가 수용되는 부시삽입홀, 골 이식물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경추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경추고정나사, 부시삽입홀에 삽입되어 있는 고리모양의 부시, 그리고 부시와 조인트되어 있는 이탈방지나사 몸체부와 이탈방지나사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경추고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나사 머리부를 가지는 이탈방지나사를 포함하는 경추전방고정기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추전방고정기기를 사용하면, 골 이식물에 충분한 압력전달이 가능하여 신속한 골생성·유합이 가능하고, 시술 후 고정나사의 이탈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수술 시간의 단축, 이를 통해 환자의 위험 및 감염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경추전방고정기기{CERVICAL ANTERIOR PLATING SYSTEM}
본 고안은 경추전방고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에서 경추 전방 고정수술에 사용되는 경추전방고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경추전방고정장치는 신경외과(neurosurgery)와 정형외과(orthopedics) 영역에서 주로 퇴행성 추간판 질환(degenerative disc disease)의 치료에 사용하며 척수탈위증(spondylolisthesis), 골절(fracture), 척수협착증(spinal stenosis), 기형적 변형(i.e., scoliosis, kyphosis, lordosis), 종양(tumor), 가관절증(pseudoarthrosis) 등의 치료 및 교정에 사용될 수 있다.
경추전방고정기기를 이용한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술 부위를 절개(incision)하여 경추 추체(cervical vertebral body)를 드러낸 후 손상된 디스크(disc)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골 이식물(bone graft)를 삽입한다. 그리고 플레이트를 시술 부위에 고정시킨 후 고정나사를 플레이트에 관통시켜 경추 추체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경추 전방고정장치는 디스크 절제술 후 근접한 척추체의 유합을 위해 사용되는 골이식물의 안정성을 강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경추전방고정기기를 설계함에 있어서, 나사의 돌출로 인한 신경조직의 손상 방지, 나사 고정수단(잠금장치)의 용이한 시술, 골 이식물(bone graft)에 충분한 압력 전달, 척수손상방지, 나사파손 방지를 위한 나사상의 압력 분산, 나사의 고정성, 식도 부위의 이물감 등의 저하를 위한 플레이트의 낮은 프로파일, 골 이식물의 용이한 관찰, 외상이나 퇴행성 질환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적용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도 1은 미국특허 제5,364,399호에 개시된 경추전방고정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경추전방고정기기(10)는 플레이트(11), 골 이식물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개구부(12), 플레이트 양단의 복수의 고정나사(15) 및, 상기 복수의 고정나사의 머리부를 플레이트에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이탈방지나사(17)를 갖는다. 상기 경추전방고정기기는 외과적으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추전방고정기기는 골 이식물에 충분한 압력이 전달될 수 없으며, 이탈방지나사(17)의 시술이 번거롭고, 고정나사(15)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개인적인 경추구조에 따라 융통성있게 적용시키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6,152,927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개선된 형태의 경추전방고정기기를 제공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선된 경추전방고정기기(20)는 플레이트(21), 및 이탈방지부재(25)를 포함하는데 이탈방지 부재는 종래의 이탈방지 나사(미도시) 이외에 와셔(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면, 경추에 상기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로서 고정형 뿐 아니라 플레이트에 끼워진 후에도 일정한 움직임이 보장되는 변동형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외상(trauma) 뿐만 아니라 퇴행성 질환(degenerative diseases)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경추전방고정기기(20)는 와셔와 이탈방지 나사가 모두 플레이트 상부면에 위치하고 있어 프로파일이 두꺼워지고, 변동형 나사를 적용하는 경우 나사의 목부분이 고정형 나사에 비해 얇기 때문에 파손의(breakage)의 위험이 있다.
국제출원 공개공보 제WO0126566호(2001. 4. 19 공개)에는 도 3에 도시한 또 하나의 개선된 형태의 경추전방고정기기(30)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31), 나사홀(32), 고정나사(35) 외에 상기 고정나사(35)를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슬라이드(37) 및 이러한 슬라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나사(33)를 포함하고 있어서, 고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동형의 나사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골 이식물에 일정 압력을 전달하여 골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경추전방고정기기(30)의 경우 개구부의 충분한 확보가 용이하지 않아 골 이식물의 관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의 특정 홀에서만 골이식물로 하중 전달 가능하기 때문에 골 이식물에 충분한 하중이 전달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의 좌측 2 개의 나사홀은 고정홀이지만, 중간 부분 및 우측의 4 개의 나사홀은 장공으로 되어 있어 나사가 장공의 길이 방향으로 이행(translation)이 가능하고, 따라서 전체 나사를 고정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외상성의 불안정성 병변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의 경추전방고정기기(30)의 경우 별도의 슬라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양호한 프로파일을 얻는 것이 힘들며, 따라서 시술 후 환자는 이물감 등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골 이식물에 충분한 압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움직임이 보장되며, 고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시술이 간단하고, 프로파일이 양호한 경추전방고정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던 경추전방고정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에 사용되던 경추전방고정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에 사용되던 경추전방고정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전방고정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한 경추전방고정기기에 사용되는 고정형 경추고정나사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한 경추전방고정기기에 사용되는 변동형 경추고정나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경추전방고정기기의 변동형 경추고정나사의 이동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경추전방고정기기에 사용되는 부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경추전방고정기기에 사용되는 이탈방지나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플레이트 115 : 나사결합부
117 : 나사홀 119 : 나사머리 고정홈
120 : 부시삽입홀 121 : 돌출부 삽입홈
125 : 관찰개구부 130 : 부시
140 : 돌출부 150 : 경추고정나사
151 : 경추고정나사 머리부 152 : 경추고정나사 몸체부
155 : 고정형 경추고정나사 157:고정형 경추고정나사 머리부
158:고정형 경추고정나사 몸체부 160 : 변동형 경추고정나사
162:변동형 경추고정나사 머리부 163:변동형 경추고정나사 몸체부
170 : 이탈방지나사 172 : 이탈방지나사 몸체부
174 : 이탈방지나사 머리부 175: 수술기구 삽입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ⅰ) 나사홀 및 상기나사홀의 외측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나사머리 고정홈을 가지는 나사결합부, 상기 나사결합부에 인접하고 부시가 수용되는 부시삽입홀, 및 골 이식물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ⅱ)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여 경추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경추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경추고정나사 몸체부 및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경추고정나사 머리부를 포함하는 경추고정나사, ⅲ) 상기 부시삽입홀에 삽입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를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리모양의 부시, 및 ⅳ) 상기 부시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부시와 조인트 되어있는 이탈방지나사 몸체부 및 상기 이탈방지나사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나사 몸체부가 부시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경추고정나사 머리부 및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경추고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나사 머리부를 포함하는 이탈방지나사를 포함하는 경추전방고정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나사홀은 플레이트의 상기 나사홀 형성을 위한 관통공 내측면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여 있고, 나사머리 고정홈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단차부이다. 또한 경추고정나사는 상기 경추고정나사 머리부가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 몸체부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볼록형상의 고정나사 머리부가 상기 오목형상의 외주면에 수용되는 변동형 경추고정나사이거나, 상기 경추고정나사 머리부의 상단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원판형상의 경추고정나사 머리부가 상기 단차부에 접촉하여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형 경추고정나사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골 이식물에 충분한 압력전달이 가능하여 신속한 골생성·유합이 가능하고, 시술 후 고정나사의 이탈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수술 시간의 단축, 이를 통해 환자의 위험 및 감염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전방고정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경추전방고정기기는 나사결합부(115), 부시삽입홀(120), 관찰개구부(125)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경추에 용이하게 고정되고, 상술한 경추전방고정기기가 갖추어야할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트가 두꺼운 경우 시술후 환자가 이물감 등을 느끼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가능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레이트(110)는 인체에 무해한 생체적합형 소재 및 이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소재로는 탄소복합소재, 예를 들면, Ti6Al4V 등의 티타늄합금소재, SUS(steel use stainless)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나사결합부(115)는 나사홀(117)과 나사머리 고정홈(119)을 가진다.
상기 나사홀(117)은 경추고정나사(150)가 관통하여 경추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변동형 경추고정나사(160)의 볼록한 머리부가 수용되어 일정한 움직임이 보장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110)가 관통되어 형성된 오목형상의 관통공 내측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나사머리 고정홈(119)은 상기 나사홀(117)보다 넓은 지름으로 플레이트(110)상에 형성된 단차부로 이루어져 있다. 후술하는 고정형 경추고정나사를 사용하는 경우 고정형 경추고정나사의 몸체부가 나사홀(117)을 관통하여 경추에 고정될때 고정형 경추고정나사의 납작한 원판형의 머리부가 상기 나사머리 고정홈(119)에 밀착·고정된다.
즉 본 고안의 나사결합부(115)는 고정형 경추고정나사 및 변동형 경추고정나사와 모두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나사결합부(115)는 상기 플레이트(110)를 경추전방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이므로 플레이트(110)의 경추고정에 필요한 만큼의 개수로, 효율적인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의 상·중·하단 각각의 양측면에 하나씩 총 6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나사결합부(11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나사결합부(115)에 인접하는 부시삽입홀(120)이 형성되어 있다. 부시삽입홀(120)은 고리모양의 부시(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부시(130)의 회전방지용 돌출부(140)가 삽입되어 부시(1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시(130)를 통하여 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나사(170)의 머리부가 상기 경추고정나사의 머리부에 접촉함으로써 경추고정나사가 플레이트(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부시삽입홀(120) 역시 상기 나사결합부(115)에 인접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의 나사결합부(115)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부시삽입홀(120)이 형성되어 하나의 이탈방지나사(170)로 두 개의 경추고정나사(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110)에는 골 이식물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개구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관찰개구부(125)는 플레이트(110) 내의 경추간 골 이식물의 생성정도 등을 용이하게 관찰하기 위한 통공으로서, 관찰이 용이하도록 필요한 형상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관찰개구부(125)가 다수개 또는 너무 넓게 형성되면 플레이트(110)이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플레이트(110)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관찰이 용이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경추전방고정기기는 경추고정나사 몸체부(152) 및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경추고정나사 머리부(151)를 포함하는 경추고정나사(150)를 포함한다.
경추고정나사 몸체부(152)는 상기 나사홀(117)을 관통하여 경추부에 고정되기 위해 외주면에는 경추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경추고정나사 머리부(151)는 경추고정나사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가 상기 나사홀(117)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110)에 접촉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경추고정나사로서 두가지 형태의 경추고정나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a는 경추전방고정기기에 사용되는 고정형 경추고정나사(155)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경추전방고정기기에 사용되는 변동형 경추고정나사(160)의 정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고정형 경추고정나사(155)는 상기 고정형 경추고정나사 머리부(157)의 상단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158)가 상기 나사홀(117)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경우, 상기 원판형상의 고정나사 머리부가 상기 단차부인 나사머리 고정홈(119)에 접촉하여 플레이트(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후에는 상기 고정형 경추고정나사는 움직이지 않고 플레이트(110)가 경추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변동형 경추고정나사(160)는 상기 변동형 경추고정나사 머리부(162)가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163)가 상기 나사홀(117)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볼록형상의 고정나사 머리부가 상기 오목형상의 외주면에 수용된다. 따라서 변동형 경추고정나사(160)의 볼록형상의 머리부가 오목형상의 나사홀(117)에 수용된 경우 상기 고정형 경추고정나사가 나사머리고정홈(119)에 고정된 경우와는 달리 일정한 움직임이 보장된다.
또한, 본 고안의 변동형 경추고정나사의 경우 몸체부 중 머리부에 연결된 부분 즉 변동형 나사의 목부분이 고정형나사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즉, 종래 경추전방고정기기에 사용되는 변동형 고정나사의 경우목부분이 고정형 경추고정나사의 목에 비해 얇고, 목부분을 얇게 함으로써 플레이트의 홀에서 회전하는 각도를 증가시키기는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변동형 나사의 목부분의 두께 감소는 시술 후 변동형 고정나사가 부러질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경우 목부분의 두께는 동일하게 하여 내구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볼록형상의 변동형 경추고정나사 머리부 및 오목형상의 나사홀을 이용하여 변동형 경추고정나사의 이동성을 확보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경추전방고정기기의 변동형 경추고정나사(160)의 이동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10)의 나사홀(117)에 수용된 변동형 고정나사 머리부(162)가 이탈방지나사(170)에 의하여 플레이트(11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변동형 고정나사 몸체부(163)와 함께 이동이 가능하여 환자 각각의 경추 구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충분한 압력이 골 이식물에 전달될 수 있어 골생성·유합을 촉진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골의 재형성은 물리적인 힘이나, 미세 전기 자극에 의해서도 일어나게 되는데, 스트레스, 즉 응력(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힘)을 많이 받는 부위와 미세 움직임(micromotion)과 같은 적절한 기계적 자극(mechanical stimulation)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골의 생성이 일어나고, 부하(하중)을 적게 받는 부위에서는 골의 흡수가 일어난다. 이러한 골의 재형성 기전에 따르면, 견고한 고정은 오히려 골의 재형성을 방해할 수 있고, 골 조직과 인공 보철물간의 경도의 차이로 인해 주위의 골조직 흡수(osteplysis)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동형 경추고정나사(160)를 사용함으로써, 골편에 충분한 하중과 적절한 기계적 자극이 전달되게 하여, 골의 재형성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준다.
이러한 두가지 타입의 경추고정나사를 이용하면, 플레이트에 고정형 경추나사(155)만을 사용한 고정형(fixed type) 경추전방고정기기, 변동형 경추고정나사(160)만을 사용한 변동형(variale type) 경추전방고정기기, 및 이들을 결합한, 즉 고정형 경추고정나사(155)와 변동형 경추고정나사(160)를 함께 사용한 혼성형(hybrid type) 경추전방고정기기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경추전방고정기기는 상기 부시삽입홀(120)에 삽입되어 있는 부시(bush)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경추전방고정기기에 사용되는 부시(130)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부시(130)는 돌출부(140)가 형성된 외주면(134) 및 이탈방지나사가 조인트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내주면(132)이 일체로 형성된 고리모양의 형상이다. 상기 부시(130)는 상기 플레이트(110)상의 부시삽입홀(120)에 삽입되어 있어서 시술과정에서 별도로 시술자가 부시(130)를 부시삽입홀(120)에 삽입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그리고 부시 외주면(134)에 형성된 돌출부(140)는 부시삽입홀(120)의 돌출부 삽입홈(121)에 수용되어 있어서, 부시(130)가 부시삽입홀(120)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나사(170)를 부시(130)에 결합하는 경우 부시(130)가 회전하게 된다면, 이탈방지나사와 부시(1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나사산 사이의 결합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부시 외주면(134)의 돌출부(140)는 이탈방지나사의회전을 방지하여 부시(130)와 이탈방지나사(170)의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부시 내주면(13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탈방지나사 몸체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여 이탈방지나사를 고정시키고 이를 통하여 이탈방지나사는 상기 경추고정나사의 머리부(151)에 접촉함으로써 경추고정나사가 플레이트(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본 고안의 경추전방고정기기는 상기 부시(130)에 조인트되어 있고, 상기 경추고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나사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경추전방고정기기에 사용되는 이탈방지나사(170)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나사(170)는 이탈방지나사 몸체부(172) 및 이탈방지나사 머리부(17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나사 머리부에는 이탈방지나사를 상기 부시(130)에 결합하기 위해 수술기구를 사용할 경우 필요한 수술기구삽입홀(175)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탈방지나사(170)는 상기 부시(130)에 조인트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나사 몸체부(17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부시 내주면(132)의 나사산의 일부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나사는 상기 부시(13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경추고정나사를 나사홀(117)에 결합한 후에 반고정된 이탈방지나사를 부시(130)에 완전히 결합한다. 이 때 이탈방지나사의 머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술기구 삽입홀(175)에 알맞는 수술기구를 끼워서 이탈방지나사(170)의 나사산과 부시(130)에 형성된 나사산을 완전히 결합한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나사(170)가 부시(130)에 일부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경추고정나사를 나사홀에 관통시키는 경우 이탈방지나사를 경추고정나사를 삽입하려는 나사홀의 반대편으로 제치고, 경추고정나사를 나사홀에 관통·고정시키고, 반대편 나사홀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경추고정나사를 결합한 후, 마지막으로 이탈방지나사를 부시에 결합하는 방법을 취한다. 또한 이탈방지나사가 부시에 조인트되어 있기 때문에, 시술과정에서 이탈방지나사를 별도의 도구로 홀딩하여 미세한 홈 등에 결합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시술시간의 절감, 시술자의 노력 경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나사의 머리부(174)는 이탈방지나사가 부시(130)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 상기 경추고정나사의 머리부(151)에 접촉하여 경추고정나사가 플레이트(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나사의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부시 내주면(132)의 나사산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탈방지장치는 앞서 언급한 슬라이드 등을 별도의 구성요소로 채용한 경추전방고정기기보다 구성요소가 적기 때문에 시술이 용이하고 프로파일이 양호한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골 이식물에 충분한 압력전달이 가능하여 신속한 골생성·유합이 가능하고, 시술 후 고정나사의 이탈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수술시간의 단축, 이를 통해 환자의 위험 및 감염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변동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경추전방고정기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외상 또는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종류의 병변에 적용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나사홀 및 상기 나사홀에 인접하고 부시가 수용되는 부시삽입홀, 및 골 이식물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여 경추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경추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경추고정나사 몸체부, 및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경추고정나사 머리부를 포함하는 경추고정나사;
    상기 부시삽입홀에 삽입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를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시; 및
    상기 부시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부시와 조인트되어 있는 이탈방지나사 몸체부, 및 상기 이탈방지나사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나사 몸체부가 부시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고정나사 머리부 및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나사 머리부를 포함하는 이탈방지나사를 포함하는 경추전방고정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나사홀 형성을 위한 관통공 내측면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전방고정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고정나사 머리부가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볼록형상의 경추고정나사 머리부가 상기 오목형상의 외주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전방고정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나사홀 외측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단차부 형상의 나사머리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전방고정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고정나사 머리부의 상단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경추고정나사 몸체부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원판형상의 경추고정나사 머리부가 상기 단차부 형상의 나사머리 고정홈에 접촉하여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전방고정기기.
KR20-2002-0036966U 2002-12-11 2002-12-11 경추전방고정기기 KR200305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66U KR200305911Y1 (ko) 2002-12-11 2002-12-11 경추전방고정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66U KR200305911Y1 (ko) 2002-12-11 2002-12-11 경추전방고정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911Y1 true KR200305911Y1 (ko) 2003-03-03

Family

ID=4940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966U KR200305911Y1 (ko) 2002-12-11 2002-12-11 경추전방고정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9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231B1 (ko) * 2002-08-29 2005-07-20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경추 고정 장치
KR101720142B1 (ko) 2016-01-18 2017-03-27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경추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231B1 (ko) * 2002-08-29 2005-07-20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경추 고정 장치
KR101720142B1 (ko) 2016-01-18 2017-03-27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경추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6258B2 (en) Implant assembly for low profile spinopelvic fixation and sacroiliac joint fusion
US10492836B2 (en) Anterior cervical plate
US9320549B2 (en) Spinal fixation plates
JP6553231B2 (ja) 脊椎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JP4851329B2 (ja) 椎間関節置換
US7901439B2 (en) Allograft spinal facet fusion system
US8979907B2 (en) Arthroplasy revision system and method
US8137384B2 (en) Modular pedicle screw system
US2009017139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Facet Joint Disease
US20100016901A1 (en) Bone screw retaining system
US20070173842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lacement of Spinal Fixators
US11141287B2 (en) 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
JP2001178733A (ja) 脊椎安定化装置
US20080119845A1 (en) Facet replacement device removal and revision systems and methods
KR20080068674A (ko) 힌지식 다축성 스크류와 그 사용 방법
US20120022598A1 (en) Spinal fixation system
US20210353333A1 (en) Integral double rod spinal construct
WO2018234977A1 (en) PLIERS IMPLANT FOR ARC POSTERIOR OF ATLAS
KR200305911Y1 (ko) 경추전방고정기기
KR101397441B1 (ko) 극돌기 안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