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110A - 낚시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110A
KR20100053110A KR1020080112093A KR20080112093A KR20100053110A KR 20100053110 A KR20100053110 A KR 20100053110A KR 1020080112093 A KR1020080112093 A KR 1020080112093A KR 20080112093 A KR20080112093 A KR 20080112093A KR 20100053110 A KR20100053110 A KR 20100053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ody portion
fish
fishing
fis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9809B1 (ko
Inventor
배익건
Original Assignee
배익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익건 filed Critical 배익건
Priority to KR102008011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8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중환경을 관찰하며 어류를 선택하여 픽업할 수 있는 낚시장치로서, 그 구성은, 상하의 이동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좌우의 이동을 조절하는 좌우조절부가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선단이 뾰족한 고기를 잡는 바늘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추진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거나 부설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 바늘부, 이탈방지부

Description

낚시 장치{A F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낚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위치와 종류를 관찰하면서 조작하여 물고기를 추적 선택하여 잡는 낚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대와 그 선단에 적당한 길의 줄과 찌와 추 그리고 바늘로 구성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바다, 강, 늪 등에서 낚시를 하게 되면, 상기 바늘에 미끼를 끼워 어종과 수중상태와 무관하게 고기가 미끼를 물면 찌의 흔들림으로 상기 대를 들어올려 물고기를 잡는 방식에 의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방식에 따르면, 고기와 무관하게 미끼를 무는 여러종류의 물고기들이 잡히므로, 어종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낚시 바늘과 찌 또는 추 등이 바닥면에 걸려 수중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고기를 직접보고 선택하여 잡을 수 있는 낚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중의 장애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전하게 낚시를 할 수 있는 낚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낚시장치는, 상하의 이동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좌우의 이동을 조절하는 좌우조절부가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선단이 뾰족한 바늘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추진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늘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1바늘부와, 제 2바늘부로 구분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늘부에는, 상기 바늘부의 선단에서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늘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이탈방지돌기;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 다.
상기 몸체부 내부의 각종장치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제어가능한 조작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낚시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수중상태를 관찰하면서 물고기를 잡을 수 있고, 필요한 어종만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어, 어종보호와 낚시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중상태를 보면서 낚시 장치가 이동하므로, 수산물의 생태와 외관도 파악할 수 있고, 물 속에 있는 풀, 바위 등을 피할 수 있어, 낚시 장치가 손실되는 것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수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중의 연구를 위한 분석자료물의 채취를 할 수 있는 부수적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낚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낚시 장치는, 상하의 이동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12)와 좌우의 이동을 조절하는 좌우조절부(14)가 마련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선단에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선단이 뾰족한 바늘부(20)와, 상기 몸체부(10)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 는 추진부(30)와, 상기 몸체부(10)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낚시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수중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에는 수평조절부(12)가 마련된다. 상기 수평조절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가 수중에서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에는 좌우조절부(14)가 더 마련된다. 상기 좌우조절부(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가 수중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에는 바늘부(20)가 마련된다. 상기 바늘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선단에 마련되어, 선단이 뾰족한 바늘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늘부(20)는 물고기를 잡기 위한 것으로, 창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늘부(20)에는 이탈방지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이탈방지부(22)는 상기 바늘부(20)가 물고기 또는 물고기의 외면을 관통한 후, 상기 바늘 부(20)에서 물고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22)는 여러가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늘부(20)의 선단에서 상기 몸체부(1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늘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면(24a)을 가지는 이탈방지돌기(24)와, 상기 이탈방지돌기(24)가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4a)는 상기 바늘부(20)가 상기 물고기를 체내에서 또는 관통한 후, 상기 물고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늘부(20)를 관통할 때는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하고, 상기 바늘부(20)가 관통한 후에는 상기 바늘부(20)에서 상기 물고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바늘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늘부(20)는, 상기 바늘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바늘부(27)와 제 2바늘부(28)로 구분되어,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바늘부(27)와 상기 제 2바늘부(28)가 회동하게 하는 구성은 여러가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는 각각 모터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바늘부(27)와 상기 제 2바늘부(28)가 상기 회동축(27a, 28a)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다가 이동 중인 수산물 또는 선택한 물체 즉 물고기가 상기 제 1바늘부(27)와 상기 제 2바늘부(28)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제 1바늘부(27)와 상기 제 2바늘부(28)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물고기를 픽업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늘부(20)에는 낚시바늘 걸이부(29)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낚시바늘 걸이부(29)는 상기 바늘부(20)에 마련되어, 일반 낚싯대에 설치되는 낚시바늘(F)이 상기 바늘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에는 추진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추진부(30)는 상기 몸체부(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추진부(30)는 여러가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는 보다 큰 동력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선단에는 카메라(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0)는 상기 몸체부(10)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전방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늘부의(20) 전방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조작부(50)를 조종하는 사용자에게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10)를 조종하여 물고기를 잡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카메라(40)는 상기 몸체부(10)의 전방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를 촬영할 수 있도록 여러대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40)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카메라(40)에는 상기 수중의 촬영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발광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본 발명인 낚시장치로 물고기 등이 유인되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는 바퀴부(60)가 마련된다. 상기 바퀴부(60)는 상기 몸체부(10)가 수중 속의 바닥면에 접할 때, 상기 몸체부(10)가 바닥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각종 장치가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50)가 마련된다. 상기 조작부(50)와 상기 몸체부(10)는 케이블(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조작부(50)에는 각각 안테나가 설치되어, 무선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50)에는, 상기 몸체부(10)의 수평조절부(12), 좌우조절부(14), 추진부(30) 및 카메라(40)를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제어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장치 중에는,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각종장치가 구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블(C)에 의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물고기를 잡고자하는 사용자가 상기 낚시 장치를 수중 가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낚시 장치 중 몸체부(10)를 수중에 잠수시킨 후, 조작부(50)를 조작한다.
상기 조작부(50)에 전원을 켜면, 상기 몸체부(10)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조작부(50)를 조정하여 상기 추진부(3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몸체부(10)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50)를 조작하여 카메라(40) 및 발광부에도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조작부(50)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몸체부(10)의 전방의 화면이 보여지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50)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상기 몸체부(10)의 전방 수중 화면을 보면서 물고기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 물고기를 검색하다가 원하는 물고기가 화면에 나타나면, 상기 몸체부(10)를 조정하여, 상기 물고기 방향으로 추적하여 잡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몸체부(10)의 수평조절부(12)와 좌우조절부(14)를 상기 조작부(50)에 의해 조작하면서 조정하게 되고, 상기 바늘부(20)가 상기 물고기를 관통하여 상기 물고기를 잡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부(20)에 마련되어 있는 이탈방지부(22)에 의해 상기 물고기를 관통한 바늘부(20)에서 상기 물고기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바늘부(20)는 길이방향으로 두개로 분리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회전중심(27a, 28a)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물고기 특히 수중에서 이동이 더딘 물체 즉 수산물 등을 픽업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1바늘부(27)와 제 2바늘부(28)를 벌린 후, 상기 물체가 상기 제 1바늘부(27)와 상기 제 2바늘부(28)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조작부(50)를 조정하여, 상기 제 1바늘부(27)와 상기 제 2바늘부(28) 사이에 상기 물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늘부(20)에 마련되는 상기 낚시바늘 걸이부(29)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 등이 걸어진 낚시 바늘(F)을 장착하여 일반적인 낚시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때 상기 카메라(40)에 의해 수중의 상태를 보면서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 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 12: 수평조절부
14: 좌우조절부 20: 바늘부
22: 이탈방지부 27: 제 1바늘부
28: 제 2바늘부 29: 낚시바늘 걸이부
30: 추진부 40: 카메라부
50: 조작부 60: 바퀴부

Claims (4)

  1. 상하의 이동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좌우의 이동을 조절하는 좌우조절부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선단이 뾰족한 바늘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추진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1바늘부와, 제 2바늘부로 구분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부에는,
    상기 바늘부의 선단에서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늘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이탈방지돌기;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 는 낚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의 각종장치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제어가능한 조작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장치.
KR1020080112093A 2008-11-12 2008-11-12 낚시 장치 KR101019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093A KR101019809B1 (ko) 2008-11-12 2008-11-12 낚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093A KR101019809B1 (ko) 2008-11-12 2008-11-12 낚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10A true KR20100053110A (ko) 2010-05-20
KR101019809B1 KR101019809B1 (ko) 2011-03-04

Family

ID=4227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093A KR101019809B1 (ko) 2008-11-12 2008-11-12 낚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23A (ko) * 2015-01-28 2016-08-05 김유석 위치추적 방식의 낚시장치
GB2567452B (en) * 2017-10-12 2020-07-08 Atlantic Lionshare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sh
KR20230030358A (ko) 2021-08-25 2023-03-06 김무중 낚시용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낚시장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616B1 (ko) * 1999-11-04 2002-04-17 한성희 원격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 시스템
KR100401329B1 (ko) * 2001-07-27 2003-10-10 윤정호 카메라일체형 낚시장치
KR20040083996A (ko) * 2003-03-26 2004-10-06 이일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KR100815514B1 (ko) * 2006-02-10 2008-03-20 김무중 수중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다운리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809B1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511B2 (en) Submersible remote controlled vehicle
US20240008463A1 (en) Fishing System and Method to Enhance the Fishing Experience
US5581932A (en) Radio-controlled trolling vessel
US10268193B2 (en) Method of fishing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CN207052081U (zh) 一种水下无人船控制系统
US1161735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sh
US20140053448A1 (en) Fish-Ball Fish Attractor
US201602783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ish
KR101019809B1 (ko) 낚시 장치
US20190263484A1 (en) Remote controlled unmanned fishing boat
US20050020156A1 (en) Autonomous bird predation reduction device
US20200260702A1 (en) Submersible fishing device for fishing
CN104996383B (zh) 一种太阳能诱虫喂鱼船
KR100332616B1 (ko) 원격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 시스템
CN206750084U (zh) 无人路亚钓鱼船
US8919029B1 (en) Fishing apparatus
US6822927B1 (en) Submersible ice fishing troller system
US6386885B1 (en) Downrigger cable reel with rotary electrical coupling
JPH1020382A (ja) 水中観察装置
US11350619B2 (en) Electric outrigger positioner
EP3662323B1 (en) A fishing camera assembly
CN218889163U (zh) 一种水下射鱼设备
US4182066A (en) Driven device for dislodging fish hook
KR20190006257A (ko) 카메라를 구비한 rc 보트
CN105165752A (zh) 一种自动钓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