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996A -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 Google Patents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996A
KR20040083996A KR1020030018746A KR20030018746A KR20040083996A KR 20040083996 A KR20040083996 A KR 20040083996A KR 1020030018746 A KR1020030018746 A KR 1020030018746A KR 20030018746 A KR20030018746 A KR 20030018746A KR 20040083996 A KR20040083996 A KR 20040083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underwater
catcher
robot arms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
Original Assignee
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 filed Critical 이일
Priority to KR102003001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3996A/ko
Publication of KR20040083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카메라를 활용하여 손쉽게 어류를 포획하고 수중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수중카메라를 포함한 어류 포획기 본체(도3, 도4)와 배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밸러스트(도5)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중 생태계를 보호 할 수 있으며 어업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중 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FISHES CAPTURE SYSTEM}
본 고안은 수중에서 수중카메라를 활용하여 편리하게 어류를 포획하며, 아울러 폐기물 수거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수중에서 포획하는 과정은 어군탐지기를 활용하여 어류가 나타나는 곳에 그물을 내려서 저인망 등의 고기잡이 방식으로 불특정 다수의 어류를 포획하거나 해저에 통발을 설치하거나 바닥을 훌터서 잡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서는 해저자원을 무분별하게 포획하게 됨으로써 장기적으로 수산자원의고갈을 가져올 수 있으며 바다 밑에 그물 등 폐기물의 발생이 빈번하여 해저 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막심하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방식으로 어류를 포획하기에는 해저 지형이 기복이 있거나 해류의 속도가 빠를 때는 포획하기가 매우 곤란한 것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으며 민관 합동으로 이러한 폐단을 줄이고자 노력을 하지만 그 한계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 어류를 포획하는 방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적용하였다.
첫째, 로봇기술 및 수중카메라를 활용하여 원하는 어종만 포획.
둘째, 폐 그물 등에 의한 해저 오염을 획기적으로 감소.
세째, 해저 지형이 복잡해도 어류의 포획이 가능.
넷째, 포획기에 설치된 그물코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치어를 보호.
다섯째, 해저 폐기물을 수거하면서 작업이 가능.
상기에 기술한 원칙을 적용하여 본 고안은 이루어 졌으며 이는 종래의 생태계 파괴 및 수산 자원의 고갈 등 낙후된 재래식 어류 포획에서 벗어나 어업환경에 있어서 일대 혁신이며 생태계 보호 등 친 환경적인 새로운 수산산업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본체 중 어류 포획기에 대한 실시(준비단계) 예에 의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본체 중 어류 포획기에 대한 실시(포획단계) 예에 의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본체 중 포획부 대한 단면도 1.
도 4 는 본 고안의 본체 중 포획부 대한 단면도 2.
도 5 는 밸러스트(평형유지장치)에 대한 사시도.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적용하기 위하여 고안한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는 투망의 원리를 응용하고 로봇기술을 접목하여 본 장치를 고안하였다.
어류 포획기의 전체적인 동작의 순서는 우선적으로 수중카메라를 통하여 해저를 모니터링 한 후 어류를 감지하고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한 구동장치를 통하여 포획기를 수중으로 내려보내 포획기에 포함된 수중카메라를 통하여 포획기를 이동하여 해저에 안착 시킨다.
포획기 본체의 구성은 8개의 로봇 팔로 구성되어 있으며 8개의 로봇 팔을 그물로 둘러 쌓여 있는 형태이다. 8개의 로봇 팔은 본 틀 축의 핀을 거쳐 실린더 피스톤의 끝에 장치된 상하 운동판에 의하여 첫번째 마디의 작은 각도 운동이 되고 두번째 마디가 투망과 같이 넓은 원형으로 벌어져 포획을 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으며, 본틀 하단부, 운동판 하단부, 그리고 선박의 하단부의 연결선에 설치되어 있는 수중카메라를 통하여 모니터링하면서 해저 환경(포획기의 위치, 어류의 움직임, 물속 지형)에 따라 어류를 포획한다.
해저 환경에 따라 어류를 포획할 때는 운동판이 움직이면서 포획기의 첫번째 마디가 연화하여 넓게 벌어졌던 두번째 마디가 순식간에 오므라들어 세번째 짧은 마디를 중심으로 짧은 시간에 그물이 모여들어 포획하는 방법으로 로봇 팔 외부에서 실린더 상단부까지 수축이 되는 그물로 덮여있고 세번째 마디에 연결되어 있는 그물은 투망추에 해당하는 롤러가 그물코에 삽입되어 있어서 암초등에 손상되지 않도록고안하였다.
본 포획기는 또한 포획기를 수중에 한번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어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포획한 어류는 본 틀 축 상단의 연결 고리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어서 선상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포획기와 별도로 선상으로 이동되어 진다.
국내 어업환경이 갈수록 낙후되고 해저 생태계의 파괴 및 수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많은 어류를 수입하는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국고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으며 어민들의 생활 환경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볼 때 본 고안인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효과가 클 것이다.
첫째, 해저 생태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로봇 팔에 연결된 그물코를 일정하게 제한하여 치어를 보호 할 수 있으며, 수중카메라를 통하여 성어만을 포획할 수 있으며, 폐기물(폐 그물 등)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어류 포획기를 통하여 기존 해저 폐기물을 수거할 수도 있으며, 해저 생태계를 모니터링하여 생태계에 대한 연구 및 교육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어민의 생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수중카메라를 통하여 고급 어종만을 포획할 수 있으며, 복잡한 해저 환경에서도 어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그물을 손질하는 시간이 거의 불필요하며, 한번 투입한 포획기를 통하여 반복하여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등 어민의 수익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셋째,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고안된 포획기를 통하여 다량의 성어를 포획하여 영양분이 많이 포함된 어류를 신선하고 싼 값에 공급이 가능하므로 수입수산물의 대체 효과가 있으며 결국에는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투망원리와 로봇기술을 적용한 어류포획기
  2. 밸런스 물탱크를 사용한 선상 밸러스트(수중평형장치)
KR1020030018746A 2003-03-26 2003-03-26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KR20040083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746A KR20040083996A (ko) 2003-03-26 2003-03-26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746A KR20040083996A (ko) 2003-03-26 2003-03-26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996A true KR20040083996A (ko) 2004-10-06

Family

ID=3736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746A KR20040083996A (ko) 2003-03-26 2003-03-26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39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49Y1 (ko) * 2010-06-08 2010-08-11 김재연 해산물 채취용 해저 로봇
KR101019809B1 (ko) * 2008-11-12 2011-03-04 배익건 낚시 장치
CN105594669A (zh) * 2016-01-30 2016-05-25 上海仪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捕捞网
CN112314542A (zh) * 2020-08-06 2021-02-05 北京工业大学 海洋生物捕捞多面体手爪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09B1 (ko) * 2008-11-12 2011-03-04 배익건 낚시 장치
KR200449749Y1 (ko) * 2010-06-08 2010-08-11 김재연 해산물 채취용 해저 로봇
CN105594669A (zh) * 2016-01-30 2016-05-25 上海仪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捕捞网
CN105594669B (zh) * 2016-01-30 2019-03-08 上海仪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捕捞网
CN112314542A (zh) * 2020-08-06 2021-02-05 北京工业大学 海洋生物捕捞多面体手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iser et al. Catches in\'ghost fishing\'set nets
Sheehan et al. PelagiCam: A novel underwater imaging system with computer vision for semi-automated monitoring of mobile marine fauna at offshore structures
Rose et al. Use of high-frequency imaging sonar to observe fish behaviour near baited fishing gears
Allen et al. Patterns of dolphin bycatch in a north-western Australian trawl fishery
Dawson Modifying gillnets to reduce entanglement of cetaceans
CN104813975A (zh) 水下无人作业水产养殖机器人
Read et al. Fine-scale behaviour of bottlenose dolphins around gillnets
Roberts et al. Monitoring environmental variability around cold-water coral reefs: the use of a benthic photolander and the potential of seafloor observatories
Basran et al. Behavioural responses of humpback whales (Megaptera novaeangliae) to two acoustic deterrent devices in a northern feeding ground off Iceland
KR20040083996A (ko)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Miwa et al. Underwater observatory lander for the seafloor ecosystem monitoring using a video system
JP2005312328A (ja) 魚検出装置,魚捕獲装置および魚捕獲方法
McCluskie et al. Birds and wave & tidal stream energy: an ecological review
Pritchard et al. Variation in larval supply and recruitment of Ostrea lurida in the Coos Bay estuary, Oregon, USA
Todd et al. Improvements to a passive trap for quantifying barnacle larval supply to semi-exposed rocky shores
Kowalski et al. A review of primary data collection on ghost fishing by abandoned, lost, discarded (ALDFG) and derelict fishing gear in the United States
CN108414283A (zh) 一种环保水样采集机器人的采样机构
Crosby et al. The Banana Pinger Trial: Investigation into the Fishtek Banana Pinger to reduce cetacean bycatch in an inshore set net fishery
Stavenow et al. Candid camera
Michaud et al. Recent evaluations of physical and behavioral barriers for reducing fish entrainment at hydroelectric plants in the upper Midwest
Berrow et al. Incidental capture of cetaceans in Irish waters
Bruce Marine isopod crustaceans in New Zealand
Lunneryd et al. Detection of leader net by whitefish Coregonus lavaretus during varying environmental conditions
Lees et al. Movement of American lobsters Homarus americanus and rock crabs Cancer irroratus around mussel farms in Malpeque Bay, Prince Edward Island, Canada
DISTRICT AQUACULTURE GEAR MONITORING & MARINE DEBRIS, AND WILDLIFE ENTANGLEMENT P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