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365A -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365A
KR20100052365A KR1020080111344A KR20080111344A KR20100052365A KR 20100052365 A KR20100052365 A KR 20100052365A KR 1020080111344 A KR1020080111344 A KR 1020080111344A KR 20080111344 A KR20080111344 A KR 20080111344A KR 20100052365 A KR20100052365 A KR 20100052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voice
voice command
elevator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피엔알티 filed Critical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to KR102008011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2365A/ko
Publication of KR2010005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승강기 호출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장치와, 상기 신호입력장치의 동작시 해당신호를 승강기 제어신호로 전환하여 승강기 운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어신호전달수단을 포함하는 승강기 호출수단과; 음성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명령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성명령의 목적장치와 음성명령의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승강기 호출수단으로 입력하는 음성명령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호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승강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승강기 운행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성인식, 음성명령, 공동현관, 승강기, 마이크

Description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A Voice-Activated Control System For The Entrance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현관단말기를 통한 음성명령에 의해 목적장치 동작 예컨대 승강기 운행시스템의 승강기 호출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호출시스템을 예시하는 개요도이다.
종래 지하 주차장(1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주차장에서 하차한 후 승강기 호출등록을 위해 승강장(11 내지 14)으로 이동하여 승강장 버튼(15)을 등록하거나, 이동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무선 승강기 호출기(20)를 이용하여 승강기 호출을 등록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승강장(11 내지 14)으로 이동하여 승강기 호출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이동시간이 소요되며 이 와중에 이미 근접 층에 있던 승강기 카(30) 가 다른 층으로 이동하여 버리는 일이 있을 수 있고, 해당 층의 승강장(11 내지 14)에 있던 승강기는 승객을 대기하지 않고 바로 상승(또는 하강) 이동을 해버리게 된다. 따라서 승강장(11 내지 14)에 이르러 승강기 호출을 해야하므로 승강장 대기시간이 길어져서 승객에 큰 불편을 줄 수 있는 여지가 있다.
한편, 무선 승강기 호출기(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선승강기 호출기(20)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므로 승객에 불편을 줄 수 있고, 무선 승강기 호출기(20)를 소지한 경우에도 양손에 짐을 들고 있는 경우 등에는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승강기 호출을 위하여 승강기 호출수단을 구비한 공동현관 단말기(40,5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동현관에 표시된 승강기 운행상태를 확인하고 승강기 호출신호입력(승강기 호출버튼을 직접 눌러서 승강기 호출신호 입력)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승객이 반드시 공동현관단말기 바로 앞까지 다다른 경우에만 사용가능하다는 한계점을 가지며, 승객이 짐을 든 경우와 시각장애인 등인 경우에는 큰 불편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현관에서 음성명령에 의해 건물 내의 장치들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사용자가 해당 장치에 도착하여 직접 장치들을 제어하기 이전에도 상기 장치들에 대한 사용자 동작의 전단계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큰 편의를 제공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동현관에서 사용자가 직접 음성명령에 의해 승강기운행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승강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미리 승강기를 호출하여 대기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절약을 가능하게 하고 짐을 든 사용자나 장애인인 경우 큰 편의를 제공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공동현관 출입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공동현관단말기로, 음성명령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명령의 목적장치를 검출하는 명령대상검출수단과, 상기 음성명령으로부터 상기 목적장치에 대한 명령 내용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명령내용 검출수단과,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 목적장치로 전송하는 명령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공동현관단말기와; 상기 명령전달수단에 의한 상기 목적장치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목적장치의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공동현관 출입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공동현관단말기로, 음성명령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명령의 목적장치를 검출하는 명령대상검출수단과, 상기 음성명령을 해당 목적장치로 전송하는 명령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공동현관단말기와; 상기 명령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공동현관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음성명령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목적장치의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음성명령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구비하며 공동현관 출입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공동현관단말기와; 상기 공동현관단말기의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명령을 수신하여 음성명령의 목적장치와 음성명령의 내용을 검출하고 그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목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홈네트워크서버와;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제어대상 목적장치로 전송하는 명령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장치는 건물 내에 구비되는 승강기 운행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승강기 호출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장치와, 상기 신호입력장치의 동작시 해당신호를 승강기 제어신호로 전환하여 승강기 운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어신호전 달수단을 포함하는 승강기 호출수단과; 음성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명령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성명령의 목적장치와 음성명령의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승강기 호출수단으로 입력하는 음성명령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호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승강기 운행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기 제어신호는 승강기의 호출명령 신호와 승강기 호출방향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명령은, 상기 음성명령은, 음성명령이 시작임을 알리는 시작 명령어(예령)과; 상기 시작 명령어(예령)에 의한 음성명령의 대상 장치에 대한 명령 내용에 해당하는 동작 명령어(동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입력된 음성명령의 내용을 음성명령을 입력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성확인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음성명령의 음성이 시스템에 등록된 권한 있는 자의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목적장치 이용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권한검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서 승강기의 목적층 등록은, 상기 공동현관에서 음성명령을 수행한 음성에 의해 식별된 권한에 대해 시스템에 기 등록된 목적층이 자동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서 승강기의 목적층 등록은, 공동현관에서 음성명령을 수행한 사용자가 승강장 또는 승강기 카 내에서 음성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현관은 복수의 층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동현관이나 지하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건물 내의 장치들에 대하여 공동현관에서 직접 제어명령을 음성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건물 내의 장치에 접근하기 이전에도 사용자에 의한 조작의 전단계를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큰 편의를 제공하며, 시간을 절약하게 된다.
예컨대, 공동현관단말기와 승강기 운행시스템이 연동되는 경우에, 공동현관 단말기를 이용하여 승강기 호출을 위한 음성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음성명령의 내용에 의해 승강기 운행시스템에 대한 제어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승강장에 도착하기 이전에도 짐이 많거나 장애인인 경우에도 쉽게 음성명령을 이용하여 장치의 제어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큰 기여를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음성명령이 입력되면 음성명령을 분석하여 음성명령의 대상인 목적장치 및 명령내용을 검출하고 그 목적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공동현관 단말기(100)와, 상기 공동현관 단말기(100)에서 상기 목적장치(200)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목적장치(200)의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공동현관 단말기(100)는, 공동현관 출입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공동현관단말기(100)로, 음성명령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110)와, 상기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명령의 목적장치(200)를 검출하는 명령대상검출수단(120)과, 상기 음성명령으로부터 상기 목적장치(200)에 대한 명령 내용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명령내용 검출수단(130)과,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 목적장치(200)로 전송하는 명령전달수단(150)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공동현관 단말기(100)는 공동현관 출입보안을 위한 구성 외에, 음성명령을 통해 건물 내의 목적장치(200) 예컨대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이나, 홈네트워크시스템(250) 등의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을 함께 구비한다.
공동현관 단말기(100)의 제어부(108)는 공동현관을 출입하는 거주자 또는 방문객에 대한 보안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거주자가 키입력장치(101)로 비 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리더기(102)에 보안카드를 통과시키거나 하게 되면 공동현관 제어부(108)는 메모리(109)에 저장된 출입보안상의 권한을 판단하여 공동현관 통과를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공동현관 단말기(100)에 음성인식장치(105)가 구비된 경우에는 음성명령의 음성에 대한 권한을 판단하여 공동현관 통과를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공동현관 단말기(100)는 건물 내의 정당한 권한 없는 출입자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로서, 건물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상이하지만 제 1층 현관, 타건물 등과 연결된 제 1층 외 층의 현관, 지하주차장 입구 등의 장소 중 어느 하나나 2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상기 공동현관 단말기(100)를 통한 음성명령에 연동하는 건물 내 목적장치(200)를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으로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공동현관을 통과하는 사용자가 음성명령을 시행하게 되면 음성명령은 공동현관 단말기(100)의 마이크(110)로 입력되며, 명령대상 검출수단(120)은 상기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명령의 목적장치(200)를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으로 검출하고, 명령내용검출수단(130)은 상기 음성명령으로부터 상기 목적장치 즉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에 대한 명령 내용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명령전달수단(150)은 상기 제어신호를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목적장치(200)인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에서는 상기 명령전달수 단(15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기 운행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공동현관 단말기(100)는 음성명령을 분석하여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데, 음성명령에 의해 건물 내 여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음성명령은, 음성명령이 시작 또는 음성명령의 대상을 알리는 음성과, 음성명령의 내용을 알리는 음성을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음성명령은,
음성명령= 시작 명령어(예령)+실제 동작 명령어(동령)
와 같이 구성되며,
음성명령에서 시작명령어(예령)는 시스템에 기 설정된 일정 단어를 사용자가 발음하는 것을 음성인식시스템이 검출해내어 음성제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지하며, 시작명령어(예령) 후 일정기간 이내에 입력되는 동일 음성 동작명령어(동령)을 포착하여 제어신호로 전환하여 해당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공동현관 단말기(100) 이용자가 공동현관에서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의 동작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작 명령어(예령) 또는 음성명령의 대상에 대한 음성(시작 명령어를 음성명령 대상시스템으로 하는 경우)을 먼저 발음하여 입력하고, 일정시간 이내에 명령의 내용을 입력하여 음성명령을 완료하게 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사용자는 공동현관단말기(100) 앞에서 "엘리베이터 + 상승" 으로 발음하게 되면, 공동현관 단말기(100)는 "엘리베이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명령이 시작(예령)되었음과 음성명령의 대상이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임을 검출하게 되며, 음성명령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갖는 자인지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정당한 권한이 없는 자의 음성에 의한 음성명령인 경우에는 "음성명령을 이행할 수 없음" 취지의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정당한 권한 있는 자의 승강기 호출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연달아서 입력되는 동작명령(동령)인 "상승"이라는 음성을 인식하여 승강기의 상승방향 호출임을 검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명령은 시작명령어(예령)과 명령대상이 "엘리베이터"로 일치하는 경우이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시작명령어(예령)과 명령대상 장치가 서로 다른 명령어에 의해 인식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명령대상 장치에 대한 명령어를 동작명령어(동령)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명령내용검출수단(130)은 상기 명령내용에 해당하는 제어신호 즉 승강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명령전달수단(150)은 해당 승강기 제어신호를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으로 전달한다.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은, 상기 승강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승강장의 승강장버튼(211)을 동작시켜 승강기 호출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건물 내의 목적장치(200)가 홈네트워크시스템(250)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동현관 단말기(100)를 거주자가 통과하면서 댁내의 홈서버(252)에 대한 음성명령을 공동현관단말기(100)를 통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기 전에 공동현관에서 "000호(홈서버)(예령) 보 일러 온"(동령)이라는 음성명령을 하여 보일러를 온으로 전환시키거나, 다른 명령어에 의해 공기정화기 또는 에어컨을 동작시키거나 하는 경우와 같이 실내로 들어오기 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들을 미리 공동현관에서 거주자의 음성명령에 의해 홈서버(252)가 수행하도록 하여 실내로 들어서는 거주자가 쾌적함과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공동현관 단말기(100)에 "000호(홈서버) 보일러 온"이라는 음성명령을 하게 되면, 공동현관단말기(100)는 "000호(홈서버)"(예령) 라는 명령어에서 음성명령이 시작되었음을 검출하며 음성이 권한을 판단하여 그 거주자의 홈서버(252)로 음성명령을 입력시켜서 홈서버(252)에 의한 사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명령대상 검출수단(120)은 "보일러"라는 명령어에서 음성명령의 대상이 "000호 홈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보일러 장치" 임을 검출하며, 명령내용검출수단(130)은 "온"(동령)이라는 명령어에서 000호 홈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보일러 장치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명령임을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음성명령 전달수단(150)은 해당 음성명령을 상기 000호 홈서버로 전달하여 그에 의한 보일러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성명령이 시작명령어(예령)와 동작명령어(동령)으로 구성되는 것은 공동현관에서의 음성명령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승강장이나 승강기 카내에서 수행되는 음성명령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시작명령어(예령)와 동작명령어(동령)로 구성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승강장에서 승강기의 호출을 구하는 경우, 시작명령어(예 령)를 "엘리베이터"로 하고 동작명령어(동령)를 "상승"으로 하는 음성명령 "엘리베이터 상승"을 입력하면 승강기 운행시스템은 음성명령의 시작명령어와 동작명령어를 인식하여 상승방향으로 승강기를 호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승강기 카내에서 목적층 등록을 음성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시작명령어(예령)를 "엘리베이터"로 하고, 동작명령어(동령)를 "5층"으로 하는 음성명령 "엘리베이터 5층"을 입력하면 승강기 운행시스템은 음성명령의 시작명령어와 동작명령어를 인식하여 승강기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공동현관단말기(100-1)는 공동현관을 출입하는 거주자 또는 방문객에 대한 보안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과 함께, 승강기운행시스템(210)과 연결되어 승강기 조작을 공동현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 호출수단(170)을 함께 구비한다.
즉, 거주자는 공동현관 단말기(100-1)의 신호입력장치(예컨대 키입력장치(101-1) 또는 카드리더기(102-1))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보안카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공동현관을 통과하거나, 음성인식장치(105-1)이 구비된 경우에는 권한 있는 자의 음성명령에 의해 공동현관 통과가 가능하다. 또한, 공동현관 단말기(100-1)의 메모리(109-1)에 저장된 보안정보에 의해 권한이 확인된 자는 상기 승강기 호출수단(170)에 구비된 승강기 호출용 신호입력장치(171)를 동작시켜서 건물 내의 승강기 호출을 포함한 승강기 운행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공동현관단말기(100-1)의 승강기 호출수단(170)은, 승강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승강기 상태표시수단(172)과, 승강기의 호출등록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기 호출 신호입력장치(카드 또는 버튼식)(171)와, 승강기 호출신호를 승강기 운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호출신호 전달수단(175)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동현관단말기(100-1)는, 사용자가 공동현관에서 행한 음성명령을 이용하여 공동현관 자체 통과를 하거나 음성명령에 의해 승강기 운행시스템(210) 또는 건물 내의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음성인식장치(105-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음성인식장치(105-1)는, 음성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110-1)와, 상기 마이크(110-1)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명령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성명령의 목적장치를 검출하는 명령대상 검출장치(120-1)와, 음성명령의 내용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명령내용 검출수단(130-1)과,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승강기 호출수단(170)으로 입력하는 음성명령전달수단(150-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과 제 2 실시예에서 공동현관 단말기(100,100-1)로 음성명령이 입력되면, 음성인식장치(105,105-1)가 인식한 음성명령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입력된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음성확인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음성명령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음성명령의 음성으로부터 승강기 사용에 대한 권한여부를 검출하여 승강기 사용권한이 없는자의 음성인 경우에는 승강기 사용권한이 없음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공동현관 단말기(100-1)는 음성명령의 음성으로부터 승강기 사용에 권한있는 자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음성명령을 분석하여 음성명령의 대상이 되는 장치를 검출한다. 예컨대 "엘리베이터 상승"이라는 음성명령의 시작명령어(예령) "엘리베이터"에서 명령대상인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을 검출하며, 음성명령의 동작명령어(동령) "상승"에 대해 명령내용이 "상승방향 승강기 호출" 임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승강기 호출수단(170)의 신호입력단으로 입력한다.
승강기 호출수단(170)의 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음성명령의 내용은 상승방향 승강기를 호출하는 제어신호로 전환되어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으로 전달되어 해당 공동현관 층의 승강장 버튼(211)을 동작시켜서 승강기 호출등록을 한다.
한편, 음성명령에 의해 승강기 제어에 사용되는 명령어는 상기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기 카(230)가 승강장(201)에 도착한 경우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대기" 등의 명령어도 공동현관에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홈네트워크 시스템(30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공동현관 단말기(100-2)를 이용하여 음성명령에 의한 승강기 호출을 시도하는 경우, 공동현관 단말기(100-2)에서 승강기를 호출하는 음성명령이 마이크(110-2)로 입력되면, 공동현관 단말기(100-2)의 음성명령전달수단(150-2)은 음성명령을 홈네트워크 시스템(300)의 홈네트워크 서버(301)로 전송한다.
홈 네트워크 서버(301)는 입력된 음성명령으로부터 명령의 권한, 명령의 대상 및 명령의 내용을 검출하고, 음성명령의 내용 확인을 위한 음성확인메시지를 공동현관 단말기(100-2)로 전송한다. 공동현관 단말기(100-2)는 홈네트워크 서버(301)에서 수신한 음성확인메시지를 스피커(160-2)로 출력하며, 사용자는 자신이 음성명령으로 입력한 사항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서버(301)는 입력된 음성명령의 음성이 정당한 권원 없는 자의 음성인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음성메시지를 공동현관 단말기(100-2)로 전송하며, 공동현관의 사용자는 음성메시지를 통하여 자신의 권한 여부를 확인하여 상당한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홈네트워크 서버(301)는 음성명령이 정당한 권원 있는 자의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해당 음성명령의 내용에 따라서 승강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승강기운행시스템(310)으로 전달한다.
승강기 운행시스템(310)은 홈네트워크 서버(301)로부터 승강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승강기 제어를 수행한다. 즉, 홈네트워크 서버(301)로부터 수신한 승강기 제어신호가 승강기를 호출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 층 (예컨대 주차 층이나 공동현관 단말기(100-2)가 구비된 층) 승강장의 승강장 버튼(상승 또는 하강 버튼)을 동작시켜서 승강기 호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기 호출시의 승강기의 호출 층과 승강기 호출방향에 대한 정보는 공동현관에서의 음성명령에 의해 입력되지만, 목적층의 등 록은 승강장(201,311)에서 또는 승강기 카(230,312) 내에서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승강기 목적층의 등록은 음성명령의 음성에 부여된 권한에 의해 자동으로 등록되는 것도 가능하며, 음성명령의 음성에 부여된 권한에 따라 등록가능한 목적층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서 목적장치(200)가 승강기 운행시스템(210,310)인 경우에, 승강장 또는 승강기 카 내는 음성명령의 수행을 위한 구성으로 마이크(212,232)와, 음성명령으로부터 음성명령 여부 및 권한 등을 검출하는 명령대상 검출수단과, 음성명령의 내용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명령내용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 의한 승강기 운행시스템 제어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공동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는 승강기를 호출하는 음성명령을 공동현관 단말기(100,100-1,100-2)로 입력한다. 예컨대, 지하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경우는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주차장 입구에 구비된 공동현관 단말기(100,100-1,100-2)를 향해 승강기를 호출하는 음성명령을 입력한다. 또는 제 1층 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는 공동현관단말기(100,100-1,100-2)를 향하여 승강기 호출을 위한 음성명령을 입력한다.
음성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실시예의 공동현관 단말기(100)는 시작명령어(예령)의 입력여부를 검출하고(제500단계), 음성명령의 대상장치 및 음성명령의 내용인 동작명령어(동령)을 검출하고 대응하는 승강기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으로 입력한다(제503단계 내지 제510단계).
상기 제 2 실시예의 공동현관 단말기(100-1)는 음성명령이 입력되면, 시작명령어(예령)을 검출하여 음성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검출하고(제500단계), 음성명령의 대상장치와 음성명령의 내용인 동작명령어(동령)을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승강기 호출수단(170)으로 입력하며, 승강기 호출수단(170)은 이에 대응하는 승강기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승강기 운행시스템(210)으로 입력한다(제503단계 내지 제510단계).
상기 제 3 실시예의 공동현관 단말기(100-2)는 음성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음성명령을 홈네트워크 서버(301)로 입력하며, 홈네트워크 서버(301)는 음성명령의 대상장치와 음성명령의 내용을 검출하고 해당 음성명령이 승강기 운행시스템(310)에 대한 것인 경우에는 승강기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승강기 운행시스템(310)으로 입력한다(제500단계 내지 제510단계).
또한, 상기 제 1과 제 2 실시예의 공동현관 단말기(100,100-1)는 음성명령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명령에 대한 정당한 권한이 있는 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당한 권한이 없는 자의 접근인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음성메시지를 스피커(160,160-1)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다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제501단계, 제502 단계).
또한, 상기 제 1과 제 2 실시예의 공동현관 단말기(100,100-1)는 음성명령의 내용을 검출하고 명령내용 확인을 위한 음성확인메시지를 출력하여 공동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명령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제503단계, 제504단계).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음성명령이 입력된 경우 홈네트워크서버(301)는 해당 음성명령의 음성을 분석하여 정당한 권한 있는 자의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당한 권한 없는 자의 접근인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음성메시지를 공동현관 단말기(100-2)로 입력하고 공동현관 단말기(100-2)는 이를 스피커(160-2)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다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제501단계,제502단계).
또한, 제 3실시예에서 공동현관 단말기(100-2)는 홈네트워크서버(301)로부터 음성명령의 내용을 확인하는 음성메시지를 수신하여 스피커(160-2)로 출력함으로써 공동현관으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음성명령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제503단계, 제504단계).
공동현관에서는 검출된 권한내용에 따라서 공동현관 출입보안이 수행되므로, 정당한 권한 있는 자의 경우는 공동현관을 통과하여 승강장(201,311)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목적장치(200)가 승강기 운행시스템(210,310)인 경우, 공동현관에서 공동현관단말기(100,100-1,100-2)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승강기 운행시스템(210,310)으로 전달된다(제507단계,제508단 계,제510단계).
승강기 운행시스템(210,310)에서는 공동현관단말기(100,100-1,100-2)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가 승강기 호출신호인 경우에는 해당층의 승강장 버튼(211)을 동작시켜 승강기 호출을 등록한다(제511단계).
공동현관을 통과한 사용자는 승강장(201,311)에 다다라서 승강기 카(230,312)의 도착을 대기하며, 승강기 카(230,312)가 도착하면 탑승하여 음성명령에 의해 목적층을 등록한다(제512단계 내지 제515단계).
승강기 카(230,312)의 음성인식시스템은 입력된 음성명령으로부터 해당 목적층에 정당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함과 동시에 명령내용을 확인하는 절차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해당 음성명령의 음성이 정당한 권한 있는 자의 음성인 경우에는 카 내부의 조작반(231) 버튼(233)을 동작시켜 목적층을 등록하며, 승강기 카(230,312)를 목적층로 이동시키게 된다(제517단계).
한편, 목적장치(200)가 홈서버(252,330)인 경우에는, 공동현관 단말기(100,100-1,100-2)를 통하여 입력된 정당한 권한 있는 자의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홈네트워크 시스템(250,300)을 경유하여 상기 홈서버(252,330)로 전달되며, 홈서버(252,330)는 공동현관단말기(100,100-1,100-2)에서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서 댁내의 제반의 장치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제508단계,제509단계).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청구범위 기재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호출시스템을 예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 의한 승강기 운행시스템 제어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0)

  1. 공동현관 출입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공동현관단말기로, 음성명령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명령의 목적장치를 검출하는 명령대상검출수단과, 상기 음성명령으로부터 상기 목적장치에 대한 명령 내용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명령내용 검출수단과,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 목적장치로 전송하는 명령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공동현관단말기와;
    상기 명령전달수단에 의한 상기 목적장치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목적장치의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2. 공동현관 출입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공동현관단말기로, 음성명령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명령의 목적장치를 검출하는 명령대상검출수단과, 상기 음성명령을 해당 목적장치로 전송하는 명령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공동현관단말기와;
    상기 명령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공동현관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음성명령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목적장치의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3. 음성명령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구비하며 공동현관 출입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공동현관단말기와;
    상기 공동현관단말기의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명령을 수신하여 음성명령의 목적장치와 음성명령의 내용을 검출하고 그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목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홈네트워크서버와;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제어대상 목적장치로 전송하는 명령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장치는 건물내에 구비되는 승강기 운행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5. 승강기 호출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장치와, 상기 신호입력장치의 동작시 해당신호를 승강기 제어신호로 전환하여 승강기 운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어신호전달수단을 포함하는 승강기 호출수단과;
    음성명령이 입력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명령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성명령의 목적장치와 음성명령의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승강기 호출수단으로 입력하는 음성명령전달수단과;
    상기 승강기 호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승강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승강기 운행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3,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명령은,
    음성명령이 시작임을 알리는 시작 명령어(예령)과;
    상기 시작 명령어(예령)에 의한 음성명령의 대상 장치에 대한 명령 내용에 해당하는 동작 명령어(동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3,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입력된 음성명령의 내용을 음성명령을 입력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성확인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3,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음성명령의 음성이 시스템에 등록된 권한 있는 자의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목적장치 이용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권한검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서 승강기의 목적층 등록은,
    상기 공동현관에서 음성명령을 수행한 음성에 의해 식별된 권한에 대해 시스템에 기 등록된 목적층이 자동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수단을 구비한 공동현관 단말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에서 승강기의 목적층 등록은,
    공동현관에서 음성명령을 수행한 사용자가 승강장 또는 승강기 카 내에서 음성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수단을 구비한 공동현관 단말기.
KR1020080111344A 2008-11-10 2008-11-10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KR20100052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344A KR20100052365A (ko) 2008-11-10 2008-11-10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344A KR20100052365A (ko) 2008-11-10 2008-11-10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365A true KR20100052365A (ko) 2010-05-19

Family

ID=4227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344A KR20100052365A (ko) 2008-11-10 2008-11-10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2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656A (zh) * 2018-04-11 2018-09-07 苏州福特美福电梯有限公司 电梯语音控制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656A (zh) * 2018-04-11 2018-09-07 苏州福特美福电梯有限公司 电梯语音控制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0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system access
EP3412613B1 (en) Hand detection for elevator operation
US2017005778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bridge
JP2009502691A (ja) ユーザをエレベータシステムへと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
CN108147235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智能呼梯系统
CN101293608B (zh) 电梯设备
WO2011074093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10342359A (zh) 电梯目的楼层登记装置
AU20163013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ing an elevator
KR101947570B1 (ko) 사용자 맞춤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 시스템
KR100554918B1 (ko) 엘리베이터용 목적층 예약장치 및 그 방법
JPWO2019180860A1 (ja) エレベーター乗場誘導装置
CN104326336A (zh) 残疾人用电梯及其电梯控制方法
KR20100052365A (ko) 공동현관 음성인식 제어시스템
KR20070088479A (ko)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시스템
JP5208386B2 (ja) エレベータ管理システム
JP595551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
JP6422365B2 (ja) エレベータの音声呼び登録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音声呼び登録方法
CN108298390B (zh) 组群电梯系统
JP5847640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KR20160012314A (ko)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9064371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行先階入力装置、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05466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615299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7326694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