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201A -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201A
KR20100052201A KR1020080111124A KR20080111124A KR20100052201A KR 20100052201 A KR20100052201 A KR 20100052201A KR 1020080111124 A KR1020080111124 A KR 1020080111124A KR 20080111124 A KR20080111124 A KR 20080111124A KR 20100052201 A KR20100052201 A KR 2010005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discharge pipe
container
supply device
hos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현
Original Assignee
안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현 filed Critical 안상현
Priority to KR102008011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2201A/ko
Publication of KR2010005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프린터에 연속적으로 잉크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잉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잉크용기에 잉크충전시 또는 잉크공급장치가 장착된 프린터 이동시에 잉크용기의 수직적 위치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변화 때문에 잉크호스선내의 잉크가 잉크용기 방향으로 역류하거나 프린터 잉크카트리지 방향으로 과도한 배출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설치되는 잉크카트리지와 잉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용기; 상기 잉크용기의 잉크가 상기 잉크카트리지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통로인 잉크호스선; 잉크호스선 내의 잉크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잉크차단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잉크공급장치에 잉크차단기를 구비함으로써 잉크공급장치를 프린터에 설치하여 이동시 잉크용기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아 그 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잉크차단기, 잉크공급장치

Description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Ink supply device for ink-jet printer}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연속적으로 잉크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잉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잉크공급장치가 장착된 프린터 이동과정에 있어 잉크용기(330)의 수직적 위치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변화 때문에 잉크가 잉크용기(330) 방향으로 역류하거나 또는 프린터 잉크카트리지(320) 방향으로 과도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잉크호스선(310) 사이에 잉크차단기(100,400)를 구비하여서 프린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시 잉크호스선(310) 내의 잉크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카트리지를 프린터 내부에 장착하여 프린트를 하게 되는 것으로, 잉크카트리지에 저장된 잉크량만큼 사용한 후 잉크카트리지 전체를 교체하거나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리필시킨 후 다시 출력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다량으로 프린트를 하게 되면 자주 잉크카트리지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며, 인쇄도중에 잉크가 다 소진되면 인쇄를 중단하게 되어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잉크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상기 잉크젯 프린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잉크카트리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프린터에 장착되는 잉크카트리지(320)와 많은 양의 잉크가 저장되는 별도의 잉크용기(330) 및 상기 잉크카트리지(320)와 잉크용기(330)가 통유되게 연결하는 잉크호스선(310)으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장치를 구비하여서, 대용량의 잉크가 지속적으로 잉크카트리지(320)로 공급되게 하여서 잦은 잉크 충전 과정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잉크용기(330)의 잉크가 소모되게 되면 잉크를 다시 채워서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잉크용기의 일측에 유동차단삽지구(200)를 구비하여 이동과정에 있어 잉크의 흐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잉크공급장치의 잉크호스선(310)은 통상적으로 유연한 재질의 호스로서 유동차단삽지구(200)의 로울러(210)를 이동시켜 잉크호스선(310)을 눌러 잉크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작업을 반복할 경우 로울러(210)에 형성된 일자홈(220)에 눌려 잉크호스선(310)이 찢어질 수 있으며, 장시간 잉크호스선(310)이 로울러(210)에 눌려 있게되면 눌려져 있던 부분은 나중에 로울러(210)를 제거하여도 잉크호스선(310)은 계속 눌려져 있던 상태로 변형되어 있으며 원상태로 복원되기까지 시간이 걸려 원활한 잉크공급에 지장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유동차단삽지구(200)는 한 줄로 형성된 잉크호스선(310)의 경우 효과적으로 잉크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의 경우 Cyan, Magenta, Yellow, Black 의 4색을 이용하여 작동되므로 상기 잉크공급장치의 잉크용기(330)도 4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잉크공급장치에 필요한 잉 크호스선(310)은 4줄 이상이다. 통상적으로 잉크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잉크호스선(310)은 옆면이 서로 붙어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유동차단삽지구(200)의 로울러(210)를 이용하여 최대한 압착 시킨다고 해도 양옆 잉크호스선(310) 사이에 위치한 가운데 잉크호스선(310)의 경우 로울러(210)에 눌렸을 때 양끝에 미세한 틈이 생겨 잉크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시키기가 어려우며, 잉크호스선(310)이 많은 5색, 6색, 8색 잉크젯 프린터일수록 잉크호스선(310)의 개수가 늘어나 잉크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시키기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잉크공급장치는 중력에 의해서 잉크가 공급되기 때문에 잉크용기(330)는 항상 잉크카트리지(320)의 높이와 수평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왜냐하면 잉크공급장치의 잉크용기(330)는 잉크를 담는 기능만 있으며, 잉크용기(330)가 잉크를 잉크카트리지(320)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잉크카트리지(320) 부분에서 잉크를 빨아 당겼을때 비로소 잉크용기(330)내의 잉크가 잉크카트리지(320)로 빨려 들어가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잉크용기(330)가 잉크카트리지(3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면 중력에 의해 잉크용기(330)의 잉크가 잉크카트리지(320) 방향으로 과도하게 배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잉크용기(330)가 잉크카트리지(32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면 잉크카트리지(320)내의 잉크가 잉크용기(330) 방향으로 역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잉크젯프린터가 놓인 책상자리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프린터의 위치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경우 잉크용기(330)의 수직적 위치이동이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잉크의 역류 또는 과도한 배출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다른예로, 프린터를 다른 장소로 택배배송을 보내야 할 경우 다행이도 수평을 잘 맞추어서 포장을 하였다 할 지라도 배송도중 프린터 포장물이 옆으로 세워져 잉크용기(330)가 잉크카트리지(320)보다 위로 올라가게 되거나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잉크압력이 변화하여 이 경우에도 잉크의 역류 또는 과도한 배출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잉크용기(330)의 잉크가 다 소모되면 잉크를 다시 리필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잉크용기(330)의 리필뚜껑(230)을 열어 잉크를 충전해야 한다. 이 경우 잉크리필이 완료되어 다시 잉크용기(330)의 리필뚜껑(230)을 닫는 과정이 걸리는 시간동안 리필뚜껑(230)이 열려있는 동안은 변화된 잉크압력을 적용받게 되어 잉크용기(330)의 잉크가 잉크카트리지(320) 방향으로 과도하게 배출되어 부품의 고장이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오작동으로 인쇄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공급장치가 장착된 프린터 이동과정에 있어 잉크용기(330)의 수직적 위치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변화 때문에 잉크호스선(310) 내의 잉크가 잉크용기(330) 방향으로 역류하거나 또는 프린터 잉크카트리지(320) 방향으로 과도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잉크호스선(310) 내의 잉크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잉크카트리지(320)와 잉크용기(330) 및 잉크호스선(310)으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잉크공급장치에 잉크차단기(100,400)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잉크공급장치에 잉크차단기(100,400)를 구비하여 잉크흐름을 차단함으로써, 프린터 이동시 잉크용기(330)의 수직적 위치가 제한되지 않아 그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 것이다.
또한, 잉크용기(330)에 잉크리필시 잉크차단기(100,400)를 사용하여 잉크용기(330)와 잉크카트리지(320) 사이의 작용압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잉크리필을 수행하는 동안 변화된 잉크압력이 잉크카트리지(320)에 적용받지 않게 되어 부품의 고장과, 오작동으로 인쇄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울러(210)를 이용한 유동차단삽지구(200)와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잉크차단기(100,400)는 색상별로 잉크호스선(310)을 따로 차단할 수 있어 잉크흐름차단 효과가 증진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잉크공급장치가 설치된 잉크젯프린터를 이동함에 있어서 잉크카트리지(320)와 잉크용기(330)의 비정상적인 잉크흐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잉크호스선(310)에 의하여 통유되게 연결되는 잉크카트리지(320)와 잉크용기(330) 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잉크호스선(310)을 통한 잉크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잉크차단기(100,40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잉크용기(330)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하여 실시하거나 별도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차단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차단기(100)는 차단기본체(110)에 잉크용기(330)의 잉크가 유입되는 잉크유입관(120) 및 잉크유입관(120)을 통해 유입된 잉크가 배출되는 잉크배출관(130), 잉크유입관(120)과 잉크배출관(130) 사이에 연결되어 잉크가 배출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개폐제어를 하는 밸브(14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밸브(140)는 잉크의 진행방향이 외부표면에 표시된 방향표시부(150)와, 원형으로 된 손잡이(160)를 갖추고, 이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잉크가 통과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잉크통공(170)이 형성된 작동부재(18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140)의 손잡이(160)를 회전하기만 하면 간단히 잠금이 이루어지고, 해제 또한 쉽게하여 잉크호스선(310) 내의 잉크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차단기(40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차단기(400)는 잉크호스선(310)을 구속하며 양측에 잉 크호스선(31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410)를 형성하고 있으며, 바닥면에 잉크호스선(310)을 압착시키기 위한 아래턱(420)을 형성하였고, 바닥면 아래턱(420)의 양측에 다수개의 돌기(430)가 형성되어 잉크호스선(310)이 색상별로 각각 분리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바닥면의 반대측에서 멀리떨어진 지지부(440) 형상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지지부(440)의 안쪽면에 바닥면에 형성한 아래턱(420)과 대응시키는 위턱(450)을 형성한 것이다. 분리된 지지부(440)는 결합부에 형성되는 록킹부(46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내부를 통과하는 잉크호스선(310)을 아래턱(420)과 위턱(450) 사이에서 압착시켜 잉크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록킹시 결합되는 부분의 결합 형상은 고리쌍, 걸림홈쌍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440)의 분리된 양측을 결합할 수 있는 수단은 어느 것이나 이용가능하다.
실시예 3
도 6은 종래의 잉크용기(3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잉크용기(340)의 하단 일측에 잉크배출관(350)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있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잉크호스선에 의하여 통유되게 연결되는 잉크카트리지와 잉크용기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용기(500)의 하단에 잉크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잉크차단기(510)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잉크용기(500)는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제1잉크배출관(520)이 형성되고, 제1잉크배출관(520)을 통해 유입된 잉크가 배출되는 제2잉크배출관(530) 및 제1잉크배출관(520)과 제2잉크배출관(530) 사이에 연결되어 잉크가 배출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제어밸브(540)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잉크흐름을 차단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주사기나 깔대기와 같은 도구(미도시)로 잉크를 리필하여도 잉크 주입 과정에서 압력의 변화없이 잉크교체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잉크가 잉크카트리지에 정상적으로 공급되면서 잉크카트리지의 손상을 줄일 수 있고 프린터 기기의 이상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도8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별도의 충전도구 없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잉크탱크(600)를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탱크(600) 부분과 잉크가 배출되는 공급기본체(700) 부분을 별도로 구비한 것이다. 상기 잉크탱크(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 용량의 잉크가 수납되며, 저면 일측에 소정 직경의 잉크주입구(610)가 통공되어 있다. 상기 잉크주입구(610)에는 잉크리필 후, 별도의 고무 재질을 갖는 덮개(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기본체(700)는 상기 잉크탱크(600)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잉크탱크(600)를 안착하는 받침판(710)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잉크주입구(610)와 일치하는 지점의 상기 받침판(710)에 제1잉크배출관(720)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잉크배출관(720)을 통해 유입된 잉크가 배출되는 제2잉크배출관(730) 및 제1잉크배출관(720)과 제2잉크배출관(730) 사이에 연결되어 잉크가 배출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제어밸브(740)를 형성한 것이다.
이후, 상기 잉크탱크(600)를 공급기본체(700)에 결합시키면, 제1잉크배출관 (720)이 전술한 덮개(미도시)와, 잉크주입구(610)를 관통하면서 잉크탱크(600)가 공급기본체(700)에 안착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잉크탱크(600) 내의 잉크가 상기 제1잉크배출관(720)과 제2잉크배출관(730)을 통해 상기 잉크카트리지로 공급되면, 잉크탱크(600)내의 잉크가 다 소모되었을 경우, 다른 잉크탱크를 상기 공급기본체(700)에 결합시켜 잉크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주사기나 깔대기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잉크를 리필하므로 잉크 리필 시간이 단축되고, 잉크 주입 과정에서 잉크가 손에 묻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잉크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차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차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도 6은 종래의 잉크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8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잉크차단기 110 : 차단기본체
120 : 잉크유입관 130 : 잉크배출관
140 : 밸브 150 : 방향표시부
160 : 손잡이
170 : 잉크통공 180 : 작동부재
200 : 유동차단삽지구 210 : 로울러
220 : 일자홈 230 : 리필뚜껑
310 : 잉크호스선 320 : 잉크카트리지
330 : 잉크용기 340 : 잉크용기
350 : 잉크배출관
400 : 잉크차단기
410 : 통로 420 : 아래턱
430 : 돌기 440 : 지지부
450 : 위턱 460 : 록킹부
500 : 잉크용기
510 : 잉크차단기 520 : 제1잉크배출관
530 : 제2잉크배출관 540 : 개폐제어밸브
600 : 잉크탱크 610 : 잉크주입구
700 : 공급기본체 710 : 받침판
720 : 제1잉크배출관 730 : 제2잉크배출관
740 : 개폐제어밸브 750 : 잉크차단기

Claims (7)

  1. 잉크호스선에 의하여 통유되게 연결되는 잉크카트리지와 잉크용기 및 잉크차단기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차단기는 본체에 잉크용기의 잉크가 유입되는 잉크유입관 및 잉크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잉크가 배출되는 잉크배출관, 잉크유입관과 잉크배출관 사이에 연결되어 잉크가 배출되거나 유입될 수 있도록 개폐제어를 하는 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차단기의 밸브는 원형으로 된 손잡이에 잉크의 진행방향이 외부표면에 표시된 방향표시부를 갖추고 이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잉크가 통과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잉크통공이 형성된 작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3. 잉크호스선에 의하여 통유되게 연결되는 잉크카트리지와 잉크용기 및 잉크차단기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차단기는 잉크호스선을 구속하며 양측에 잉크호스선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을 형성하고 있으며, 바닥면에 잉크호스선을 압착시키기 위한 아래턱을 형성하였고, 바닥면 아래턱의 양측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의 반대측에서 멀리떨어진 지지부 형상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지지부의 안쪽면에 바닥면에 형성한 아래턱과 대응시키는 위턱을 형성하며, 분리된 지지부는 결합부에 형성되는 록킹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4. 잉크호스선에 의하여 통유되게 연결되는 잉크카트리지와 잉크용기 및 잉크차단기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용기의 하단에 잉크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잉크차단기를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잉크용기는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제1잉크배출관이 형성되고, 제1잉크배출관을 통해 유입된 잉크가 배출되는 제2잉크배출관 및 제1잉크유입관과 제2잉크배출관 사이에 연결되어 잉크가 배출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제어밸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차단기의 개폐제어밸브는 원형으로 된 손잡이에 잉크의 진행방향이 외부표면에 표시된 방향표시부를 갖추고 이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잉크가 통과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잉크통공이 형성된 작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6. 잉크호스선에 의하여 통유되게 연결되는 잉크카트리지와 잉크용기 및 잉크차단기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용기는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탱크 부분과 잉크가 배출되는 공급기 본체 부분을 별도로 구비한 것이다.
    상기 잉크탱크는 내부에 일정 용량의 잉크가 수납되며, 저면 일측에 소정 직경의 잉크주입구가 통공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기본체는 상기 잉크탱크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잉크탱크를 안착하는 받침판이 본체의 밑면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잉크주입구와 일치하는 지점의 상기 받침판에 제1잉크배출관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잉크배출관을 통해 유입된 잉크가 배출되는 제2잉크배출관 및 제1잉크배출관과 제2잉크배출관 사이에 연결되어 잉크가 배출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제어밸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차단기의 개폐제어밸브는 원형으로 된 손잡이에 잉크의 진행방향이 외부표면에 표시된 방향표시부를 갖추고 이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잉크가 통과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잉크통공이 형성된 작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공급장치
KR1020080111124A 2008-11-10 2008-11-10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20100052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124A KR20100052201A (ko) 2008-11-10 2008-11-10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124A KR20100052201A (ko) 2008-11-10 2008-11-10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201A true KR20100052201A (ko) 2010-05-19

Family

ID=4227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124A KR20100052201A (ko) 2008-11-10 2008-11-10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22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773B1 (ko) * 2013-03-18 2013-12-06 오병이어 주식회사 잉크공급장치
KR20160067414A (ko) 2014-12-04 2016-06-14 김정섭 잉크공급기
KR102300784B1 (ko) * 2021-03-03 2021-09-09 임정근 프린터용 잉크리필 공급장치
KR102300783B1 (ko) * 2021-03-03 2021-09-09 곽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프린터용 잉크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773B1 (ko) * 2013-03-18 2013-12-06 오병이어 주식회사 잉크공급장치
KR20160067414A (ko) 2014-12-04 2016-06-14 김정섭 잉크공급기
KR102300784B1 (ko) * 2021-03-03 2021-09-09 임정근 프린터용 잉크리필 공급장치
KR102300783B1 (ko) * 2021-03-03 2021-09-09 곽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프린터용 잉크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4183B2 (ja) 液体噴射装置
US8007084B2 (en) Attachment, liquid container, and liquid supply apparatus
JP2005518974A (ja) 大型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供給装置
JP2008273027A (ja)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KR20100052201A (ko)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JP2010052378A (ja) 液体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
US10618298B2 (en) Liquid supply unit and liquid injection device
JP2011194602A (ja) 液滴吐出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気泡分離方法
JP5597324B2 (ja) プリンタ装置
KR101337773B1 (ko) 잉크공급장치
KR100675982B1 (ko) 잉크카트리지의 잉크 재충전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벌크잉크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재충전방법
US8376530B2 (en) Ink filling device for office machine
EP3546228B1 (en) Liquid supply unit and liquid injection device
JP7059743B2 (ja) 液体供給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KR20090030405A (ko) 수동펌프용 잉크 충전장치
US20190291453A1 (en) Liquid supply unit and liquid injection device
KR100732379B1 (ko) 대형 프린터기의 잉크수위조절장치
KR100893174B1 (ko) 재생 카트리지용 석션장치
KR101295417B1 (ko) 잉크공급장치
KR101361417B1 (ko) 잉크카트리지의 잉크 충전장치
JP7031422B2 (ja) 液体噴射装置
JP7031421B2 (ja) 液体噴射装置
JP7067180B2 (ja) 液体供給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JP7056294B2 (ja) 液体供給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KR20090095447A (ko) 프린터의 분리형 잉크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