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081A -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081A
KR20100052081A KR1020080110955A KR20080110955A KR20100052081A KR 20100052081 A KR20100052081 A KR 20100052081A KR 1020080110955 A KR1020080110955 A KR 1020080110955A KR 20080110955 A KR20080110955 A KR 20080110955A KR 20100052081 A KR20100052081 A KR 2010005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evice
solar cell
portable charging
module
typ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027B1 (ko
Inventor
손경천
정태교
박창원
이홍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 앤 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 앤 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 앤 에프
Priority to KR102008011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0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태양전지셀로 이루어진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를 개시한다. 두루마리처럼 말거나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얇은 유연성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고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셀과, 다수개의 상기 태양전지셀을 유연한 연결전극으로 연결시키며 유연한 필름으로 감싸진 모듈과, 상기 모듈에 연결 또는 일체화 되어 일정한 전류 및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기에서 변환된 전류 및 전압이 전자제품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변환기와 전자제품을 연결하는 커넥터로 구성되어 충전장치를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태양전지셀, 모듈, 변환기, 커넥터

Description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SCROLL TYPE PORTABLE CHARGER}
본 발명은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를 이용해 휴대폰, PDA, CD플레이어, MP3,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및 캠코더 등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하기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충전할 수 있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 필수품 또는 기호품으로 정착되어 가는 이동통신용 휴대전화, MP3, MD, 노트북 PC, 휴대용 라디오, 디지털 카메라,무전기, 캠코더 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축전지 또는 건전지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재충전하거나 건전지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차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이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나, 충전기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재충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루마리처럼 말거나 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보관이나 휴대가 용이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전자제품에 쉽고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는 두루마리처럼 말거나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얇은 유연성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고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셀; 다수개의 상기 태양전지셀을 유연한 연결전극으로 연결시키며 유연한 필름으로 감싸진 모듈; 상기 모듈에 연결 또는 일체화 되어 일정한 전류 및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기에서 변환된 전류 및 전압이 전자제품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변환기와 전자제품을 연결하는 커넥터;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셀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듈은 상기 태양전지셀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는 1차모듈이나, 상기 1차모듈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는 2차모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전극은 저저항 실버, 알루미늄 페이스트 및 구리 페이스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전극의 도포는 스크린 프린팅 공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셀을 이루는 상대전극은 두께가 0.5mm 이하인 플라스틱 재질이나 두께가 0.5mm 이하인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광전극은 두께가 0.5mm 이하인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셀을 이루는 광전극은 두께가 0.5mm 이하인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넥터와 상기 변환기는 플렉시블 와이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는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제품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가 말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은 태양전지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는 얇은 유연성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셀(10)과, 태양전지셀(10)을 연결전극(11)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모듈(20)과, 상기 모듈(20)의 상측과 하측 표면에 접착되고 테두리를 봉합하는 투명한 필름(25)과, 상기 모듈(20)에 플렉시블 와이어(12)로 연결되며 생성된 전류 및 전압을 공급하고자하는 전자제품에 적합하게 변환시키는 변환기(30)와, 일측은 변환기(30)에 플렉시블 와이어(13)로 연결되고 타측은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과 연결되는 커넥터(40)로 이루어진다. 이때 변환기(30)의 배치는 휴대편리성을 감안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0)과 플렉시블 와이어(12)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와 후술할 태양전지셀 1차모듈(21)의 연결전극(11)에 COF(Chip on film)과 같은 방법으로 변환기(30)를 실장해서 태양전지셀(10)에 일체화히키는 방법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셀(10)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셀(1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20)은 태양전지셀(10)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는 1차모듈(21)로 이루어진다. 직렬로 연결할 지 병렬로 연결할지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제품의 특성에 맞게 결정한다.
연결전극(11)은 저저항 실버나, 알루미늄 페이스트(Paste) 및 구리 페이스트(Pas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각 연결전극(11)은 폴리에스터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mesh에 감광성 emulsion으로 전극패턴을 형성한 재판을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공법으로 이루어져 두루마리처럼 말거나 구부려서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태양전지셀(10) 두께가 0.5mm 이하인 플라스틱 재질이나, 스테인리스 재질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두루마리처럼 말거나 구부려서 휴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셀(10)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측에 층을 이루는 광전극(10a)과 전해질층(10b)과 상대전극(10c)으로 이루어진다. 광전극(10a)을 이루는 기재는 두께가 0.5mm 이하인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 루어지고, 상대전극(10c)을 이루는 기재는 두께가 0.5mm 이하인 플라스틱 재질이나 스테인리스 재질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전극(10a) 및 상대전극(10c)은 상기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위에 박막으로 투명전극을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으로 입혀서 전극으로 사용한다.
상기 커넥터(40)는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경우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현재 공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24핀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휴대하고 다니고자 하는 경우에는 태양전지셀(10)을 이루는 광전극(10a)이나 상대전극(10c)가 얇은 플라스틱재질이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로 휴대하게 된다. 이때, 태양전지셀(10)과 태양전지셀(10)을 연결하는 연결전극(11) 및 필름(25)이 유연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두루마리처럼 말거나 구부린 상태에서도 각각의 태양전지셀(10)이 회로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휴대용 전자제품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말려져 있던 태양전지셀(10)을 펼쳐 태양광을 원활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를 펼쳐 태양광을 전면적에 걸쳐 고르게 받으면 전기가 생성되고 생성된 전기를 변환기를 거치면서 전자제품에 적합한 전류 및 전압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전류 및 전압은 커넥터(40)를 통해 커넥터(40)에 연결된 전자제품에 공급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0)이 다수개의 태양전지셀(10)로 이루어진 1차모듈(21)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한 2차모듈(22)로 이루어진다. 그 외의 구성 및 작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는 운반하거나 휴대할 때는 두무라미처럼 말거나 구부려서 부피를 축소시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가 말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태양전지셀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태양전지셀 11 : 연결전극
20 : 모듈 25 : 필름
30 : 변환기 40 : 커넥터

Claims (10)

  1. 두루마리처럼 말거나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얇은 유연성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고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셀;
    다수개의 상기 태양전지셀을 유연한 연결전극으로 연결시키며 유연한 필름으로 감싸진 모듈;
    상기 모듈에 연결 또는 일체화 되어 일정한 전류 및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기에서 변환된 전류 및 전압이 전자제품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변환기와 전자제품을 연결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셀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태양전지셀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는 1차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1차모듈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는 2차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은 저저항 실버, 알루미늄 페이스트 및 구리 페이스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의 도포는 스크린 프린팅 공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셀을 이루는 상대전극은 플라스틱 재질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셀을 이루는 광전극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셀을 이루는 광전극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변환기는 플렉시블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KR1020080110955A 2008-11-10 2008-11-10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KR101040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955A KR101040027B1 (ko) 2008-11-10 2008-11-10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955A KR101040027B1 (ko) 2008-11-10 2008-11-10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081A true KR20100052081A (ko) 2010-05-19
KR101040027B1 KR101040027B1 (ko) 2011-06-09

Family

ID=4227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955A KR101040027B1 (ko) 2008-11-10 2008-11-10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0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954B1 (ko) * 2010-10-26 2011-02-25 주식회사 광명전기 태양전지를 이용한 휴대용 충전장치
WO2019009637A1 (ko) * 2017-07-07 2019-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기
KR102538958B1 (ko) * 2022-07-18 2023-06-01 주식회사 솔란드 롤러블 태양광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455B1 (ko) 2017-08-22 2019-04-17 대한민국 재난대비용 휴대 자가발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118A (ja) * 1995-08-09 1997-02-18 Shiroki Corp シート状太陽電池
JP2004140987A (ja) * 2002-10-18 2004-05-13 Yasuaki Nomura 光発電式補助電源装置
KR100572852B1 (ko) * 2003-12-24 2006-04-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구부림이 가능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954B1 (ko) * 2010-10-26 2011-02-25 주식회사 광명전기 태양전지를 이용한 휴대용 충전장치
WO2019009637A1 (ko) * 2017-07-07 2019-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기
KR20190005646A (ko) * 2017-07-07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기
KR102538958B1 (ko) * 2022-07-18 2023-06-01 주식회사 솔란드 롤러블 태양광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027B1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53372A (ja) 多様な光源で使用可能な充電装置
KR20000019144A (ko) 태양전지를이용한휴대용다중전원장치
US8593106B2 (en) Dual-chargeable battery pack in a power supply
KR101040027B1 (ko) 두루마리식 휴대용 충전장치
CN102723752A (zh) 压电充电式移动终端
CN102347630A (zh) 无源电池充电装置及其制造方法
US20100084006A1 (en) Photovoltaic module
US11784267B2 (en) CIGS lamination structure and portable solar charger using same
JPH0622472A (ja) 充電機器、太陽電池使用機器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080112622A (ko)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US78443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8011696A5 (ko)
KR101019911B1 (ko) 접이식 휴대용 충전장치
US9865576B1 (en) Solar cell hollow circuit and solar cell display device
JP2002076420A (ja) 携帯電源装置
US20100320958A1 (en) Photovoltaic shell for rechargeable batteries
CN210123905U (zh) 一种折叠便携式太阳能充电器
CN201682433U (zh) 一种混合能源供电设备
CN211151600U (zh) 一种具有折叠保护贴片的太阳能充电宝
CN202930985U (zh) 具有储电装置的接触式电能传导供电板结构
CN205265753U (zh) 一种压电能及太阳能自供电手机
KR200310501Y1 (ko) 대용량 슬림형 전자기기용 배터리 충전 겸용 보조 전원장치
CN211377689U (zh) 具有太阳能光电板的手机护套结构
CN214623329U (zh) 一种带钮扣电池转接装置的温差供能手表用电能装置
JP2006129621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