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063A - 가솔린 분획 및 정유 유출물로부터 벤졸 및 벤졸 유도체의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가솔린 분획 및 정유 유출물로부터 벤졸 및 벤졸 유도체의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063A
KR20100051063A KR1020107003349A KR20107003349A KR20100051063A KR 20100051063 A KR20100051063 A KR 20100051063A KR 1020107003349 A KR1020107003349 A KR 1020107003349A KR 20107003349 A KR20107003349 A KR 20107003349A KR 20100051063 A KR20100051063 A KR 2010005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extractive distillation
mixture
column
dist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325B1 (ko
Inventor
올리버 놀
헬무트 게르케
크리스티안 뤼베케
배르벨 콜베
Original Assignee
우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우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5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01D3/40Extractive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extrac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liquid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4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6Tolu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67C8H10 hydrocarbons
    • C07C15/08X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07C7/05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with the aid of auxiliary compounds
    • C07C7/0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with the aid of auxiliary compounds by extractive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06Gas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득된 용매 조합이 추출될 방향족 화합물에 관하여 증가된 선택성을 갖고, 감소된 용매량이 사용될 수 있도록 화합물 N,N'-디포밀 피페라진 또는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와 N-포밀 모폴린의 조합으로 구성된 신규 용매 조합을 추출 증류용 제 2 용매로 사용하여,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에 추출 증류가 이용되고, 사용되는 방향족 화합물-함유 혼합물이 초기에 예비 증류에 투입됨으로써, 수득된 분획은 매우 제한된 비점을 갖고, 이어서 이 분획은 제 1 칼럼에서의 추출 증류에 투입되며, 여기에서 주로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갖고 방향족 화합물이 고갈된 헤드 생성물 및 방향족 화합물이 풍부한 섬프 생성물이 수득되며, 이들은 제 2 칼럼으로 이송되어, 여기에서 방향족 화합물이 풍부한 라피네이트가 감압 또는 승온에 의해 수득되어 섬프 생성물로서 수득되는 추출된 용매 조합이 공정으로 반송될 수 있는,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개질 및 열분해 가솔린, 코크스 벤졸, 또는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정유 유출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인 벤졸, 톨루엔 및 자일롤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솔린 분획 및 정유 유출물로부터 벤졸 및 벤졸 유도체의 추출 방법{EXTRACTION OF BENZOL AND BENZOL DERIVATIVES FROM GASOLINE FRACTIONS AND REFINERY FLOWS}
본 발명은 가솔린 분획 및 정유 유출물로부터 벤졸 및 벤졸 유도체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분획 및 정유 스트림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의 회수는 석유 화학과 코크스 오븐 및 정유 기술에 있어서 중요한 공정 단계이다. 특히 벤젠 및 벤젠의 단순 유도체는 염료, 플라스틱, 용제 및 바니시의 생산에서 중요한 원료이다. 방향족 화합물-함유 분획 중의 이들 화합물은 빈번하게는 비-방향족 화합물과의 혼합물 상태로 출현함에 따라, 이들의 분리를 위한 공정 단계는 매우 중요하다.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의 예로는 개질(reformate) 가솔린 및 열분해 가솔린뿐만 아니라 광유 또는 코크스-오븐 경유로부터의 증류 분획을 들 수 있다.
가솔린 또는 가솔린 분획은 매우 유사한 비점 범위의 다종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증류에 의해 방향족 화합물-함유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을 간단히 분리하기란 가능하지가 않다. 따라서 분리는 다른 물리적 효과를 이용하는 공정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기술적인 실행은 상이한 물리적 분리 공정에 기반한 수 개의 공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우선적으로 언급되는 것으로는 공비 증류, 액체/액체 추출 및 추출 증류가 있다.
공비 증류에서는, 용매를 분리 대상 혼합물에 첨가하게 되는데, 이 용매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성분과 일정한 비점의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 공비 혼합물을 출발 혼합물로부터 증류에 의해 분리하고, 증류 후에는 공비 혼합물 형성체와 방향족 분획으로 분별한다. 액체/액체 추출에서는, 분리 대상 혼합물에 1 성분이 더 높은 용해도를 가지며 따라서 이를 용매 혼합물로부터 추출하는, 2상-혼합물을 생성하는 용매를 제공한다. 방향족 성분은 용매로부터, 예를 들면 추출 후 증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추출 증류는 적당한 성분들의 혼합물에는 퓨가시티(fugacity)의 변화가 존재하는 현상을 이용한다. 본원에서 퓨가시티란 혼합물내 보정된 부분 증기압으로 이해된다. 퓨가시티 변화의 원인은 분자의 개별 종간에 상이한 반발 상호작용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타 성분보다 좀더 강한 반발력을 지닌 혼합물 성분은 반발력이 낮은 성분보다 더 용이하게 증기상으로 변할 것이다.
추출 증류에서는, 1 성분 또는 여러 성분의 퓨가시티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용매가 첨가된다.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의 경우에, 혼합물의 지방족 성분은 빈번하게 용매에 관하여 좀더 강한 반발력을 가지므로 그들의 퓨가시티는 상당히 증가한다. 이와 반대로, 방향족 성분의 퓨가시티는 비교적 변화가 덜하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용매를 이용한 증류는 지방족 성분이 바람직하게는 증류의 저-비점 헤드 생성물(head product)인 라피네이트에 수득되고, 반면에 방향족 성분은 증류의 고-비점 바닥 생성물(bottom product)인 추출물에 수득되도록 수행된다. 이는 원하는 방식으로 개별 성분의 퓨가시티를 변화시킴으로써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용매의 사용을 불가피하게 한다.
추출 증류는 빈번히 공비 증류 또는 액체/액체 추출에 비해 이점이 있다. 빈번하게 추출 증류에서의 물질 이동은 공비 증류에서보다 상당히 더 높은데, 전자의 경우에서, 적용된 온도는 뚜렷이 더 높다. 추출 증류는 액체/액체 추출보다는 상당히 더 적은 장비를 요하며, 따라서 다운스트림 증류 유닛을 갖춘 하나의 추출 칼럼 대신에 통상적으로 단지 두 개의 증류 칼럼만이 요구된다. 액체/액체 추출에 비해 상당히 더 적은 양의 용매가 요구됨에 따라, 설치 및 운전 비용이 현저히 더 낮다.
추출 증류 수행시 해결되어야 할 핵심적인 문제는 적정 용매의 선택이다. 다수의 가능한 용매 중에서, 최소량의 순환 용매로 의도하는 분리를 허용하는 1종의 용매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결정적인 기준은 용매의 용량(capacity)과 선택성이다. 용량은 액체 상태의 방향족 성분이 네른스트 분포 법칙(Nernst's distribution law)에 따라 개별 상들간에 어떤 식으로 분포되는지를 표시한다. 용량이 높을수록, 용매내 방향족 성분의 용해도는 양호해지고 용매에 대한 수요는 낮아진다. 용량이 낮을수록, 액체 상태로 방향족 성분과 용매를 갖는 2상 혼합물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용량은 대개는 소요되는 용매의 양을 결정한다.
선택성은 라피네이트에 함유된 타 성분 대비 목적하는 전이 성분의 추출의 향상을 나타낸다. 추출제의 선택성이 높을수록, 지방족 성분의 반발 작용 및 그에 따라 퓨가시티의 상응하는 변화가 더 강해진다. 선택성은 본질적으로 분리 효율 및 따라서 추출 증류에 요구되는 이론적인 트레이의 개수를 결정한다. 선택성이 낮을수록 더 많은 장비가 요구된다.
방향족 화합물의 추출 증류에 적합한 다양한 용매가 공지되어 있다.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매로는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술폭사이트, 술폴란,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N-포밀 모폴린이 있다. 탄화수소 스트림은 방향족 및 지방족 성분을 함유하는 공급 혼합물로서 사용되며, 예비 증류 유닛에서 증류되어 비교적 협소한 비점 범위를 갖는 탄화수소를 산출한다. 추출 증류의 분리 효율에 따라, 공급 스트림은 C6-스트림, (C6-C7)-스트림 또는 (C6-C8)-스트림이다.
추출 증류를 위한 실질적인 장비는 통상적으로 두 개의 증류 칼럼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칼럼은 실질적인 추출 증류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칼럼의 헤드에서는, 주로 비-방향족 탄화수소, 및 구성에 따라 소정량의 용매로 이루어지는 라피네이트 스트림이 수득된다. 용매의 반발 효과는 비-방향족 탄화수소에 대해 더 강하기 때문에, 이들 화합물은 더 용이하게 증기상으로 변한다. 칼럼의 하부에서는, 주로 방향족 화합물과 추출 용매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수득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스트리핑 칼럼에 통과시키면, 여기에서 방향족 화합물-함유 혼합물이 증류에 의해 용매로부터 분리된다. 용매는 제 1 칼럼으로 재순환된다.
추출물을 증류 분리하면 스트리핑 칼럼의 헤드에서는 분획으로서 방향족 화합물이 풍부한 탄화수소 혼합물이, 바닥 생성물로는 방향족 화합물-희박 용매 분획이 생성된다. 두 분획 모두 다운스트림 정제로 보내질 수 있다. 일단 정제되고 나면, 방향족 화합물은 예를 들면 증류에 의해 추가 처리하여 개별 방향족 화합물을 알킬화 정도와 비점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벤젠 유도체인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이 수득된다. 자일렌 이성체의 분리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공정 단계가 후속될 수 있다. 방향족 화합물 분획에 대한 정제 단계로는 물을 이용한 스크러빙 공정이 권할 만하다.
DE 1568940 C3에는 용매로서 N-포밀 모폴린을 사용하는 방향족 화합물의 추출 증류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출발 분획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 및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추출 증류용 칼럼, 용매 스트리퍼, 스트리핑 칼럼 및 용매 재생 칼럼을 구비한 설비에서 수행된다. 순도와 필요 조건에 따라, 함유된 방향족 화합물은 직접 수득되거나 추가 처리에 투입될 수 있다. 비교적 낮은 용매 용량으로 인해, 이 방법은 다량의 용매를 요하고 높은 건설비를 수반한다.
EP 679708 A1에는 독특한 설비 배치로 인해 단지 하나의 추출 칼럼만을 요하는 추출법이 기재되어 있다. 추출은 지방족 화합물이 풍부한 헤드 생성물이 수득되는 칼럼에서 수행되고, 방향족 화합물이 풍부한 부산물은 중간 칼럼 구역으로부터 수득된다. 용매는 바닥으로부터 열교환 장치를 통해 상부 칼럼 구역으로 재순환된다. 두 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사이클론 분리기 및 다운스트림 상 분리기에서 과량의 용매와 물이 제거된다. 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사용되지만 술폴란 또는 피롤리돈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1 내지 20 질량%의 물이 용매 혼합물에 첨가된다. 이 방법의 단점은 소정량의 물이 첨가되는 경우에만 분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수득된 생성물의 건조를 위한 부가적인 장치의 설치를 불가피하게 한다.
EP 1280869 B1에는 술폴란과 3-메틸 술폴란의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는, 방향족 화합물-함유 탄화수소 혼합물의 추출 증류법이 기재되어 있다. 용매 혼합물은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향족 화합물 함량 및 방향족 화합물 부분의 조성에 최적으로 맞출 수 있다. 이 방법은 추출 증류용 칼럼과 방향족 화합물 분획 증류용 칼럼으로 이루어진 설비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설비 배치에 의해, 해당 방법은 비교적 낮은 비품의 수요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의 단점은 다량의 순환 용매 및 비교적 큰 추출 증류용 칼럼의 사용을 요하며, 이에 따라 탄화수소 대비 다량의 추출 용매 조합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성과 용량 면에서 향상된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벤젠 유도체의 추출 증류를 위한 용매 및 적정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용매의 용량은 비교적 소량의 순환 용매가 요구되도록 적절히 높아야 한다. 용매 비용이 낮아야 하고 비품의 수요도 낮아야 한다. 용매의 달성된 선택성은 지방족 성분의 비점의 적당한 이동 및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파라핀계 및 방향족 탄화수소의 용이한 분리를 보장하도록 높아야 한다.
본 발명은 규정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새로운 용매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목적을 달성한다. 두 용매 첨가제 N,N'-비스-(포밀)피페라진 또는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를 N-포밀 모폴린과 병용하면 방향족 화합물의 추출 증류에 특히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용매 조합의 용량은 매우 높아서, 단지 소량의 추출제만으로도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이 분리될 수 있다. 방향족 화합물에 관하여 선택성이 매우 높아서, 추출 용매의 첨가 후에, 방향족 화합물의 비점은 증류 분리를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충분히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조합의 높은 선택성에 의해, 비-방향족 탄화수소가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거의 완전히 분리되어, 추출 용매의 제거 후에는, 방향족 화합물인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의 간단한 증류 분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적인 용매 성분의 가변적인 선택성-증가 효과에 의해, 용량 한계, 환언하면 용매/방향족 화합물 혼합물의 상 분리에 거의 이르를 정도로 순환 용매 혼합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용매 조합은 모든 가솔린 분획에 대해 용매 부하의 최대 절약을 제공하게 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순환 용매의 양이 적어지면 설비 용량과 생성물 순도는 동일한 채로 투자비와 유틸리티 비가 낮아진다.
본원에서는
Figure pct00001
공급 생성물을 추출 증류에 앞서 제 1 공정 단계에서 예비 증류에 투입하고, 여기에서 언급되는 방향족 화합물보다 높은 온도에서 비등하는 성분은 바닥 생성물로서 분리되며,
Figure pct00002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와 같이 수득된 출발 혼합물을 제 2 공정 단계에서, 출발 혼합물의 비-방향족 성분의 퓨가시티 및 따라서 분리 효율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추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과 혼합하여, 추출 증류에 투입한 다음,
Figure pct00003
수득된 추출물로부터의 추출 용매를 제 3 공정 단계에서 승온 또는 승온/감압에 의해 증류시키는,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일렌 또는 이들 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순수한 방향족 화합물 분획을 추출 증류에 의해 이러한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정유 스트림 또는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Figure pct00004
제 2 공정 단계의 추출 증류가 증기압-변화 용매 조합으로서, N,N'-디포밀 피페라진을 다른 용매와 함께 포함하거나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를 다른 용매와 함께 포함하는 용매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방향족 화합물 분획의 회수 방법을 권리범위로 주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매는 혼합물 형태로 또는 용매 성분으로서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용매와의 혼합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용매 조합은 N-포밀 모폴린을 본 발명에 따른 두 용매 성분 중 하나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신규 용매 조합에 의해, 상당량의 순환 촉매를 절약할 수 있다. 용매 N,N'-디포밀 피페라진과 N-포밀 모폴린의 1:1 질량비의 용매 조합이 혼합되는 경우, 순수한 용매 N-포밀 모폴린에 비해 10 내지 30 질량%의 순환 용매가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순환 용매량의 절약 범위는 15 내지 25 질량%이다.
용매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와 N-포밀 모폴린의 1:1 질량비의 용매 조합이 혼합되는 경우, 순수한 용매 N-포밀 모폴린에 비해 5 내지 15 질량%의 순환 용매가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용매 N-포밀 모폴린에 비해 절약 범위는 7 내지 11 질량%이다.
N,N'-디포밀 피페라진 또는 헥사하이드로-1,4-디아진-1,4-디메탄알(HCO[사이클로-N(CH2CH2)2N]CHO)은 입수하기가 수월하고 정제 화학제품의 회수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3,3'-옥시디프로피오니트릴 또는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NC(C2H4)O(C2H4)CN)는 입수하기가 수월하고, 자체의 독특한 극성 특징으로 인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매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용이하게 생산될 수 있어서 다량의 화합물이 합당한 가격으로 이용가능해 진다. 실온에서 고체인 화합물 N,N'-디포밀 피페라진의 융점은 125 내지 129℃이고, 실온에서 액체인 화합물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의 융점과 비점은 각각 -26℃ 및 130 내지 132℃(0.26 kPa)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두 용매는 용매의 분리에 적합한 범위 내로 추출 용매 조합의 비점을 유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제 2 용매와 병행하여 사용된다. 비점이 지나치게 높으면, 용매가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분리될 때 추출 용매가 분해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용매의 첨가는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조합의 비점을 저하시킴에 따라, 압력이 저수준으로 유지되도록 강제하지 않고도 용매 성분의 분해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질소와 산소를 함유하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이 제 2 용매로서 첨가된다. 제 2 용매로 특히 적합한 것은 N-포밀 모폴린이다. 제 2 용매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 달성을 위해 매우 다양한 중량%로 본 발명에 따른 용매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수행에 바람직한 두 용매의 비는 1:1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성분은 유도체 형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추출을 담당하는 특징의 어떠한 본질적인 변화도 초래함이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성분에 탄소 치환기를 도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추출 용매의 용해도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적합한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하여, 모든 치환기의 탄소 원자의 개수는 7보다 크지 않다.
상기 추출 증류 방법 외에도 본원에서는 화합물 N,N'-디포밀 피페라진과 N-포밀 모폴린으로 이루어지는 물질 혼합물을 권리범위로 주장한다. 또한, 본원에서는 화합물 N,N'-디포밀 피페라진과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물질 혼합물을 권리범위로 주장한다. 상기 혼합물은 아직 이러한 형태의 물질로서 제공되거나 기재되지 않았다. 본원에서는 추출 증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물의 용도 역시도 권리범위로 주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방향족 화합물의 추출 증류에 전형적인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한 장치의 일례는 EP 434959 A2에 기재되어 있다. 가솔린의 예비 증류로부터 수득된 방향족 화합물-함유 공급 혼합물을 예비 가열한 다음, 추출용으로 제공된 제 1 증류 칼럼의 바닥부에 공급한다. 제 1 증류 칼럼에는 이전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용매 조합이 로딩되어 있다. 추출 증류에서, 라피네이트 스트림은 칼럼의 헤드에서 수득되는데, 상당히 격감된 양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함유하고, 본질적으로 파라핀계 탄화수소 또는 아마도 소정량의 나프텐계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이러한 라피네이트 스트림은 극소량의 추출 용매만을 함유하고 있으며, 수득되자마자 필요하다면, 예를 들면 스크러빙 유닛과 같은 다운스트림 처리로 이송될 수 있다. 추출 칼럼의 바닥 생성물로서, 추출 스트림은 추출 용매와의 혼합물 형태로 방향족 탄화수소가 상당히 농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추출 증류는 감압하에서 수행된다.
추출 스트림을 스트리핑 칼럼으로도 언급되는 제 2 증류 칼럼의 바닥부에 공급한다. 제 2 증류 칼럼은 수득하고자 하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용매의 증류 분리를 위해 제공된다. 상기 칼럼의 바닥 생성물로서, 용매가 회수되어 라인을 통해, 추출 증류용으로 제공되는 제 1 칼럼의 상부로 재순환된다. 이에 따라, 추출 용매 조합에 대해 본질적으로 폐쇄된 루프를 설정할 수 있다. 두 칼럼을 가열하기 위하여, 이들 칼럼에는 임의로 리보일러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용매 분리용으로 제공된 제 2 칼럼의 헤드 생성물로서, 본질적으로 용매가 존재하지 않는 탄화수소 스트림이 수득되는데, 이 스트림은 주로 목적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수득되는 대로 이 방향족 스트림은 다운스트림 처리 유닛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용매 분리로부터 수득된 방향족 스트림은 수득된 용매 조합의 잔류물 제거를 위해 물을 이용한 임의 스크러빙 공정으로 이송된다. 스크러빙 공정 뒤에는 상 분리기에서의 추가 처리 단계가 후속될 수 있다. 수령되면 생성된 용매-비함유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증류 분리에 투입되며, 여기에서 개별 벤젠 유도체는 출발 혼합물 중의 개별 방향족 화합물의 비율에 상응하는 양으로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고유한 이점은 수득하기가 어려운 자일렌을 순수한 자일렌 분획으로 상기 증류에서 수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서,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추출 용매의 분리는 감압하에서 수행된다. 이에 따라, 추출 용매 조합의 열부하를 제한하고 추출 스트림의 냉각에 요구되는 설비를 감축시킬 수 있다. 용매가 감압하에서 제 2 증류 칼럼에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추출용으로 제공된 제 1 칼럼으로부터 수득된 라피네이트 스트림의 가스압을 적당한 장치에 의하여 강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론적인 VLE(증기-액체 평형) 데이터에 근거한 계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spen Tech 제조의 Aspen Plus 컴퓨터 프로그램에 메인 플랜트 파라미터를 대입하여 계산한 공정에서 시뮬레이션하였다. 입력 데이터는 온도, 압력, 비점, 상호작용 파라미터 및 모든 특정 화합물의 용해도였다. 시뮬레이션 공정에는 단일 방향족 탄화수소에 대한 추출 공정에 전형적인 증류 유닛이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예증하기 위하여, 순수한 용매인 N-포밀 모폴린을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조합, 즉, N,N'-디포밀 피페라진과 N-포밀 모폴린의 조합, 및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와 N-포밀 모폴린의 조합과 비교하였다. 두 용매 조합은 시뮬레이션 계산에서 1:1의 질량비로 특정하였다. 중요한 공정 포인트에서 결과로서 수득되는 용매량을 순환 용매의 양의 계산된 절약에 대하여 중량%로 환산하였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의 고장 허용한계는 용매 절약의 % 계산값에 대해 ±10%였다.
공정의 유리한 효과적인 밸런스를 달성하기 위하여, 용매 분리로부터 수득되는, 본질적으로 추출 용매로 이루어지는 고온 바닥 생성물은 열교환 장치를 통해 공정에 재순환될 수 있다. 스트리핑 칼럼으로부터의 고온 바닥 생성물은 공급 혼합물의 가열, 추출 증류용으로 제공된 제 1 칼럼의 가열 또는 용매 분리용으로 제공딘 제 2 칼럼의 가열에 이용될 수 있다.
방향족 화합물 회수를 위한 설비의 연속 운전시, 모든 조치를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추출 용매의 약간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용매는 저-비점 분획으로부터 라피네이트 스트림을 통해 다운스트림 처리 공정으로 유입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손실을 벌충하기 위하여, 예비 가열한 미사용 용매가 제 1 칼럼의 헤드에서 적당한 장치에 의해 공정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되는 양은 사용된 용매:사용된 탄화수소 혼합물의 중량비가 1:1 내지 5:1 범위가 되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사용된 용매 조합:사용된 탄화수소 혼합물의 중량비는 2:1 내지 3:1 범위이며, 단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성분은 N-포밀 모폴린과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추출용으로 제공된 제 1 칼럼에서의 증류 온도는, 칼럼의 헤드에서 배출되는 라피네이트의 온도가 대기압에서 적어도 50℃이고, 칼럼의 하단에서 수득되는 바닥 생성물의 최대 온도가 200℃가 되도록 조정된다. 탄화수소 혼합물의 증류압 또는 조성이 변하면 칼럼 내부의 비등 온도는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용매 분리용으로 제공된 제 2 칼럼의 온도는 칼럼의 헤드에서 배출되는 라피네이트의 온도가 적어도 50℃이고, 칼럼의 하단에서 수득되는 바닥 생성물의 최대 온도가 260℃가 되도록 조정된다. 여기에서, 최대 온도는 본질적으로 용매의 분해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탄화수소 혼합물의 증류압 또는 조성이 변하면 칼럼 내부의 비등 온도는 변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용매에는 추출 증류의 선택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은 분량의 물이 제공된다. 함수량은 0.1 내지 20 질량% 범위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질량% 범위이다. 함수량은 각 장치에 대해 선택된 공정 및 장비 조건에 좌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방향족 화합물-함유 출발 분획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 및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탄화수소 스트림의 정제에 사용될 수 있다. 주 파라핀계 혼합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는 예를 들면 식품 산업에서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출발 가솔린 분획으로는, 광유 프로세싱 및 정유소로부터의 탄화수소 스트림뿐만 아니라 코크스 오븐 또는 탄화수소 생산 설비로부터 수득된 생성물, 예를 들면 코크스-오븐 경유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수행은 기존의 추출 증류법에 비해 장비에 있어서 어떠한 본질적인 변화도 요하지 않는다. 사용된 용매의 용량이 상당히 상승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더 적은 양의 용매가 전체 루프에서의 순환에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용매 성분은 순환 용매의 양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비용도 감축한다. 순환 용매의 양이 적어지면 설비 용량과 생성물 순도는 동일한 채로 투자비가 낮아진다. 용매 혼합물의 선택성 또한 현저히 증가함에 따라, 용매를 공급 혼합물내 방향족 함량 및 방향족 화합물 분포에 최적으로 맞출 수 있다.
가솔린 분획 및 정유 스트림으로부터 벤젠 유도체의 회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성을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러한 실시양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택성과 용량 면에서 향상된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벤젠 유도체의 추출 증류를 위한 용매 및 적정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의 추출 방법의 예시적인 양태를 도시한다.
실시예:
첨부된 표(표 1)은 기존 N-포밀 모폴린 대비,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조합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의 용매의 절약을 개괄한다.
용매 조합(질량비) N-포밀 모폴린 대비 용매의 절약
N,N'-디포밀 피페라진+N-포밀 모폴린(1:1) 10 내지 30 질량%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N-포밀 모폴린(1:1) 5 내지 15 질량%
첨부 도면(도 1)은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의 추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공급 라인(1)을 통해, 예비 증류 유닛으로부터 수득된 방향족 화합물-함유 공급 혼합물을 방향족 화합물-함유 혼합물의 추출 증류용으로 제공되는 칼럼(2)의 중간 구역에 공급한다. 칼럼에는 이전에 본 발명에 따른 용매와 또 다른 용매의 조합으로 로딩되어 있다. 증류를 수행하면 주로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함유하며 추가 처리에 투입되는 방향족 화합물-희박 탄화수소 스트림(3)인 라피네이트가 생성된다. 수득된 바닥 생성물은 감압 장치(5)를 구비한 라인을 통해 용매 분리용 제 2 칼럼(6)으로 보내지는 방향족 화합물-풍부 탄화수소 스트림(4)이다. 이 칼럼에서, 용매는 승온 및/또는 감압에 의해 분리된다. 헤드 생성물로는, 대체로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방향족 화합물-풍부 추출물(7)이 수득된다. 바닥 생성물로는, 방향족 화합물-희박 용매를 주로 함유하는 용매 스트림이 수득된다. 이 용매 스트림은 라인(8)을 통해 추출 증류용으로 제공되는 칼럼(2)의 상부로 반송된다. 열 교환 장치(9,10,11)에 의한 간접 열 교환을 통해, 용매는 출발 혼합물(1), 추출 칼럼(2) 또는 스트리핑 칼럼(6)의 가열에 사용될 수 있다. 별도의 공급 노즐(12)을 통해 용매 또는 용매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연속 운전 중에 발생하는 용매의 손실을 벌충할 수 있다.
1: 출발 혼합물 공급 라인
2: 추출 증류 칼럼
3: 라피네이트, 즉 방향족 화합물-희박 탄화수소 혼합물의 생성물 스트림
4: 방향족 화합물-풍부 용매 혼합물을 위한 라인
5: 감압 장치
6: 용매 분리용 스트리핑 칼럼
7: 방향족 화합물-풍부 탄화수소 혼합물의 생성물 스트림
8: 용매 재순환 라인
9: 열 교환기
10: 열 교환기
11: 열 교환기
12: 용매 공급 노즐

Claims (26)

  1. Figure pct00005
    공급 생성물을 추출 증류에 앞서 제 1 공정 단계에서 예비 증류에 투입하고, 여기에서 언급되는 방향족 화합물보다 높은 온도에서 비등하는 성분은 바닥 생성물로서 분리되며,
    Figure pct00006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수득된 출발 혼합물을 제 2 공정 단계에서, 출발 혼합물의 비-방향족 성분의 퓨가시티 및 따라서 분리 효율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추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과 혼합하여, 추출 증류에 투입한 다음,
    Figure pct00007
    수득된 추출물로부터의 추출 용매를 제 3 공정 단계에서 승온 또는 승온/감압에 의해 증류시키는,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일렌 또는 이들 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순수한 방향족 화합물 분획을 추출 증류에 의해 이러한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정유 스트림 또는 가솔린 분획으로부터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Figure pct00008
    제 2 공정 단계의 추출 증류가 증기압-변화 용매 조합으로서, N,N'-디포밀 피페라진을 다른 용매와 함께 포함하거나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를 다른 용매와 함께 포함하는 용매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한 방향족 화합물 분획의 회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는 N,N'-디포밀 피페라진 및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를 포함하는 용매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는 치환기의 탄소 원자수가 7보다 크지 않은, N,N'-디포밀 피페라진 화합물의 치환된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매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는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를 포함하는 용매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는 치환기의 탄소 원자수가 7보다 크지 않은,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 화합물의 치환된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매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는 N,N'-디포밀 피페라진과 N-포밀 모폴린의 용매 혼합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는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와 N-포밀 모폴린의 용매 혼합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는 1:1 내지 1:10 범위의 공급 혼합물:용매 질량비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용매 또는 사용된 용매 조합이 0.1 내지 20 질량% 분량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로부터 수득된 방향족 화합물-풍부 혼합물이 용매의 분리 후 물을 이용한 스크러빙 공정에 투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로부터 수득된 방향족 화합물-풍부 혼합물이 용매의 분리 후 벤젠을 함유하는 제 1 분획, 톨루엔을 함유하는 제 2 분획 및 자일렌을 함유하는 제 3 분획으로 분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는 방향족 화합물-희박 탄화수소 스트림이 저-비점 라피네이트로서 수득되는 제 1 증류 칼럼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분리는 방향족 화합물-풍부 탄화수소 스트림이 저-비점 라피네이트로서 수득되는 제 2 증류 칼럼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증류용 용매는 폐쇄 루프에서 순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분리로부터의 추출 용매는 제 2 칼럼으로부터 제 1 칼럼의 상부로 고-비점 바닥 생성물로서 재순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의 손실은 추출 용매 또는 추출 용매 혼합물을 공급함으로써 벌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칼럼에서의 추출 증류는 칼럼 바닥에서는 200℃의 온도 및 칼럼의 헤드에서는 50℃의 온도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칼럼에서의 용매 분리는 칼럼 바닥에서는 260℃의 온도 및 칼럼의 헤드에서는 50℃의 온도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 2 증류 칼럼에서의 용매 분리는 감압하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분리로부터의 용매 스트림은 열 교환 장치를 통해 추출 증류용으로 제공된 공급 혼합물의 가열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분리로부터의 용매 스트림은 열 교환 장치를 통해 추출 증류용으로 제공된 제 1 증류 칼럼의 가열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분리로부터의 용매 스트림은 열 교환 장치를 통해 용매 분리용으로 제공된 제 2 증류 칼럼의 가열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N-포밀 모폴린과 N,N'-디포밀 피페라진을 목적하는 임의의 조성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물.
  24. N-포밀 모폴린과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를 목적하는 임의의 조성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물.
  25. 방향족 화합물-풍부 탄화수소 혼합물의 추출 증류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N-포밀 모폴린과 N,N'-디포밀 피페라진의 목적하는 임의 조성 혼합물의 용도.
  26. 방향족 화합물-풍부 탄화수소 혼합물의 추출 증류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N-포밀 모폴린과 2,2'-비스-(시아노에틸)에테르의 목적하는 임의 조성 혼합물의 용도.
KR1020107003349A 2007-08-17 2008-08-05 가솔린 분획 및 정유 유출물로부터 벤졸 및 벤졸 유도체의 추출 방법 KR101579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9074.4 2007-08-17
DE102007039074.4A DE102007039074B4 (de) 2007-08-17 2007-08-17 Gewinnung von Benzol und Benzolabkömmlingen aus Benzinfraktionen und Raffinerieström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063A true KR20100051063A (ko) 2010-05-14
KR101579325B1 KR101579325B1 (ko) 2015-12-21

Family

ID=4027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349A KR101579325B1 (ko) 2007-08-17 2008-08-05 가솔린 분획 및 정유 유출물로부터 벤졸 및 벤졸 유도체의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536397B2 (ko)
EP (1) EP2178611B1 (ko)
JP (1) JP5506680B2 (ko)
KR (1) KR101579325B1 (ko)
CN (1) CN101815564B (ko)
DE (1) DE102007039074B4 (ko)
ES (1) ES2761687T3 (ko)
HK (1) HK1146473A1 (ko)
WO (1) WO200902425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325A (ko) * 2014-07-01 2017-05-08 아넬로테크, 인코퍼레이티드 촉매적 급속 열분해 공정을 통해서 바이오매스를 낮은 황, 질소 및 올레핀 함량을 지닌 btx로 전환시키는 방법
KR20170052561A (ko) * 2014-07-01 2017-05-12 아넬로테크, 인코퍼레이티드 촉매적 급속 열분해 공정으로부터 귀중한 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KR20180113523A (ko) * 2016-02-05 2018-10-16 아넬로테크, 인코퍼레이티드 촉매성 급속 열분해 공정에 의한 화학물질 및 연료 블렌드스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1009B2 (en) * 2010-06-07 2013-08-06 State Of Oregon Acting By And Through The State Board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Oregon State University Fluid purification system
US10093873B2 (en) 2016-09-06 2018-10-09 Saudi Arabian Oil Company Process to recover gasoline and diesel from aromatic complex bottoms
US11066344B2 (en) 2017-02-16 2021-07-20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s and systems of upgrading heavy aromatics stream to petrochemical feedstock
SG11202100544QA (en) * 2018-07-20 2021-02-25 Scg Chemicals Co Ltd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ethylbenzene from other c8 aromatic compounds
US11613714B2 (en) 2021-01-13 2023-03-28 Saudi Arabian Oil Company Conversion of aromatic complex bottoms to useful products in an integrated refinery process
US11591526B1 (en) 2022-01-31 2023-02-28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s of operating fluid catalytic cracking processes to increase coke produ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7131A (en) * 1964-04-27 1966-08-16 Monsanto Co Product separation and recovery in adiponitrile manufacture
US4020059A (en) * 1975-06-02 1977-04-26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tertiary amines
US6469183B1 (en) * 1998-11-20 2002-10-22 Basf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producing phthalic acid anhydrid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9534A (en) * 1945-04-07 1948-04-13 Carbide & Carbon Chem Corp Extraction of hydrocarbons
US2660581A (en) 1950-04-06 1953-11-24 American Cyanamid Co Separation of aromatic amines
US2842484A (en) 1954-12-30 1958-07-08 Union Oil Co Separation of hydrocarbons
US2849514A (en) * 1955-04-21 1958-08-26 Standard Oil Co Extraction of hydrocarbon mixtures with hydroxy sulfones
FR1376123A (fr) 1962-11-28 1964-10-23 Basf Ag Procédé pour l'extraction sélective de mélanges d'hydrocarbures renfermant des hydrocarbures paraffiniques et aromatiques
DE1568940C3 (de) * 1966-12-19 1978-12-07 Krupp-Koppers Gmbh, 4300 Essen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Aromaten aus Kohlenwasserstoffgemischen beliebigen Aromatengehaltes
BE791286A (fr) * 1971-11-17 1973-03-01 Snam Progetti Procede de purification d'acrylonitrile
DE3409030A1 (de) * 1984-03-13 1985-09-19 Krupp Koppers GmbH, 4300 Essen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aromaten aus kohlenwasserstoffgemischen beliebigen aromatengehaltes
EP0434517A3 (en) 1989-12-20 1991-10-16 Rhone-Poulenc Chimi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ono- or poly-alkoxylated aromatic compounds
DE3942950A1 (de) * 1989-12-23 1991-06-27 Krupp Koppers Gmbh Verfahren zur gleichzeitigen gewinnung von reinem benzol und reinem tuluol
DE4101848A1 (de) * 1991-01-23 1992-07-30 Krupp Koppers Gmbh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aromaten aus kohlenwasserstoffgemischen beliebigen aromatengehaltes
CA2093901A1 (en) * 1991-08-13 1993-02-14 Dane Cha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simultaneous absorption of sulfur dioxide and nitric oxide
US5310480A (en) 1991-10-31 1994-05-10 Uop Processes for the separ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from a hydrocarbon mixture
DE4437702C1 (de) * 1994-10-21 1995-11-23 Krupp Koppers Gmbh Verfahren zur Gewinnung von reinem Benzol und reinem Toluol
JPH08283419A (ja) * 1995-04-18 1996-10-29 Ricoh Co Ltd 低軟化点樹脂粒子の回収方法
US6565742B1 (en) * 1997-09-03 2003-05-20 Gtc Technology Inc. Aromatics separation process and method of retrofitting existing equipment for same
US20010049462A1 (en) * 2000-04-28 2001-12-06 Fu-Ming Lee Aromatics purification from petroleum streams
CN1172886C (zh) * 2001-06-29 2004-10-2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抽提蒸馏分离芳烃的方法及使用的复合溶剂
DE10144239A1 (de) * 2001-09-04 2003-03-27 Bp Koeln Gmbh Verfahren zur Prozeßführung einer Extraktivdestillationsanlage, Prozeßleitsystem und Extraktivdestillationsanlage
MY143253A (en) * 2002-08-01 2011-04-15 Gfe Patent As Method and device for stripping ammonia from liqui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7131A (en) * 1964-04-27 1966-08-16 Monsanto Co Product separation and recovery in adiponitrile manufacture
US4020059A (en) * 1975-06-02 1977-04-26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tertiary amines
US6469183B1 (en) * 1998-11-20 2002-10-22 Basf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producing phthalic acid anhydri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325A (ko) * 2014-07-01 2017-05-08 아넬로테크, 인코퍼레이티드 촉매적 급속 열분해 공정을 통해서 바이오매스를 낮은 황, 질소 및 올레핀 함량을 지닌 btx로 전환시키는 방법
KR20170052561A (ko) * 2014-07-01 2017-05-12 아넬로테크, 인코퍼레이티드 촉매적 급속 열분해 공정으로부터 귀중한 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KR20180113523A (ko) * 2016-02-05 2018-10-16 아넬로테크, 인코퍼레이티드 촉매성 급속 열분해 공정에 의한 화학물질 및 연료 블렌드스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8611A2 (de) 2010-04-28
DE102007039074B4 (de) 2018-07-26
KR101579325B1 (ko) 2015-12-21
CN101815564A (zh) 2010-08-25
DE102007039074A1 (de) 2009-02-19
CN101815564B (zh) 2013-11-20
EP2178611B1 (de) 2019-10-02
ES2761687T3 (es) 2020-05-20
WO2009024259A3 (de) 2009-04-09
JP5506680B2 (ja) 2014-05-28
US20130345486A1 (en) 2013-12-26
JP2010536721A (ja) 2010-12-02
US8536397B2 (en) 2013-09-17
US20100236916A1 (en) 2010-09-23
WO2009024259A2 (de) 2009-02-26
HK1146473A1 (en)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325B1 (ko) 가솔린 분획 및 정유 유출물로부터 벤졸 및 벤졸 유도체의 추출 방법
KR100330488B1 (ko) 열분해가솔린으로부터추출증류에의한스티렌의회수방법
JP3842700B2 (ja) 抽出蒸留を用いた芳香族化合物の分離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用いる複合溶媒
US3723256A (en) Aromatic hydrocarbon recovery by extractive distillation, extraction and plural distillations
US3361664A (en) Flashing and extractively distilling an extract
TWI794402B (zh) 萃取精餾分離芳烴的方法
KR20010023559A (ko)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존 설비의개장 방법
JPH0680019B2 (ja) 炭化水素混合物から芳香族を分離する方法
US3639497A (en) Extraction and multi-stage fractional distillation with indirect heat exchange of liquid and vapor process and system for recovering aromatic products
US4260476A (en) Separ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from petroleum fractions
KR101760356B1 (ko) 올레핀 및 방향족 탄화수소의 제조 방법
US3179708A (en) Solvent extraction of aromatics from hydrocarbon mixtures
EP1280869A2 (en) Aromatics separation from petroleum streams
US5336840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with energy redistribution
US3714034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from a mixed hydrocarbon feedstock
US3788980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from a mixed hydrocarbon feedstock
JPH1088151A (ja) 芳香族化合物および非芳香族化合物を含有する炭化水素混合物から純粋な炭化水素を回収する方法
US5176821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with energy redistribution
US2766300A (en) Solvent extraction process
US4401560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from petroleum fractions with heat recovery
US5252200A (en) Method of separating an aromatic from a hydrocarbon mixture
US3779904A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from a mixed hydrocarbon feedstock
US3537984A (en) Process for the extraction and recovery of aromatic hydrocarbons
JPH04139136A (ja) 純ベンゼンおよび純トルエンを同時に取得する方法
EP0202371B1 (en) Method of extractive separation, particularly of aromatic and non-aromatic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