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735A -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735A
KR20100050735A KR1020080109778A KR20080109778A KR20100050735A KR 20100050735 A KR20100050735 A KR 20100050735A KR 1020080109778 A KR1020080109778 A KR 1020080109778A KR 20080109778 A KR20080109778 A KR 20080109778A KR 20100050735 A KR20100050735 A KR 2010005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wk
safety pin
concrete
housing
concre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199B1 (ko
Inventor
나남열
백지현
Original Assignee
나남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남열 filed Critical 나남열
Priority to KR102008010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1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to vertical edge portions of sheets, tubes, or like thin or thin-wall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상하수도관을 매설시 간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된 간이 호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재(1)에 힌지축으로 된 힌지부(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를 중심으로 콘크리트관(20)을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로 형성된 호크(5)와; 상기 호크(5)의 제2 집게부재(4)의 연결부재(1) 상단부와 연결부 하우징(6)을 결합한 호크 안전핀(7)과; 상기 연결부 하우징(6) 내측의 호크 안전핀(7) 중앙부에 걸리도록 제1 집게부재(3)의 연결부재(1) 상단에 형성된 걸림고리(8)와; 상기 걸림고리(8)가 호크 안전핀(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 하우징(6) 일측면에 설치된 안전핀 스토퍼(9)와; 상기 연결부 하우징(6)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포크레인(11) 바스켓(12) 후부의 걸고리(13)와 와이어(14)로 연결되도록 연결공(10)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배관작업의 간편성과 작업의 신속성 및 작업의 안전성을 갖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복잡하고 좁은 도심지의 골목길에서 콘크리트 배관을 위한 굴착작업과 콘크리트관의 운반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에 관한 것이다.
호크, 연결부재, 안전핀, 스토퍼, 포크레인, 콘크리트관

Description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The concrete-pipe connection smart hock}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상하수도관을 매설시 간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된 간이 호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관을 좁은 골목길에 매설시 호크에 결합시켜 굴착장비인 포크레인으로 안전하게 이동시켜 콘크리트관을 간단 용이하게 연결 및 매설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호크가 콘크리트관의 자중에 의해 오므라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작업시 걸림고리가 안전핀으로부터 무단으로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 호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좁은 골목길에서 콘크리트 상하수도관을 매설시 굴착장비인 포크레인으로 지면을 굴착한 후 콘크리트관을 연결 및 매설하기 위하여 와이어로 콘크리트관을 결속한 다음 포크레인으로 와이어를 걸어 콘크리트관의 매설 위치까지 이동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와이어로 콘크리트관을 감아 포크레인으로 이송시 콘크리트관이 일측으로 빙글빙글 회전하여 주변의 벽과 부딪치는 문제점과 또한 균형을 잡지 못함으로 콘크리트관과 콘크리드관의 연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와이어로 콘크리트관 중간부를 들게 됨으로 콘크리트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 분야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허등록 제0538757호의 "굴삭기와 연계한 흄관 매설장치"는 굴삭기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공급받는 유압장치(10)와, 상기 유압장치(10)에 의해 6자유도를 구현하는 매니퓰레이터(20)및 이들을 통제하고 작업수행결과를 모니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60)와, 운전자에 의한 조작과 작업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고, 상기 매니퓰레이터(20)는 6자유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면에는 굴삭기의 아암클램프(40)의 선단으로 탈,장착되는 연결부(241)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 저면에는 유니버설죠인트(243)가 취부되는 상부링크(242)가 고정되어 상기 유니버설죠인트(243)에는 6축액츄에이터(26)의 일측단이 결합되는 기저판(24)과, 상면에 유니버설죠인트(253)가 취부되는 하부링크(251)가 고정되어 상기 유니버설죠인트(253)에 6축액츄에이터(26)의 타측단이 고정 결합되는 이동판(24)과, 6개의 실린더가 각각 병렬로 고정 배치되고, 각각의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위치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6축액츄에이터(26)로 구성된 플랫폼(21)과;, 상기 플랫폼(21)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22)와;, 흄관을 결속 및 해지하는 집게가 구비되는 집게부(23);로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상기 굴삭기와 연계한 흄관 매설장치는 실린더. 모니터할 수 있도록된 디스플레이장치, 플렛홈, 슬라이딩부 등의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그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도심지의 좁은 골목길에서의 시공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관을 좁은 골목길에 매설시 호크에 결합시켜 굴착장비인 포크레인으로 안전하게 이동시켜 콘크리트관을 연결 및 매설할 수 있도록 하여, 관 매설 깊이가 깊은 경우 강성, 와이어, 체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깊이에 대응되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호크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 시공시 굴착 깊이 변화에 의한 작업환경에 적절하게 대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작업시간 절약, 작업시 안전, 시공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 호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콘크리트관을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제1집게부재와 제2 집게부재 구성되는 호크를 형성하고, 호크에 결합된 콘크리트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호크의 제2 집게부재의 연결부재 상단부와 연결부 하우징을 호크안전핀으로 결합하여 하우징 일측면에 설치된 안전핀 스토퍼가 제1 집게부재의 연결부재 상단에 형성된 걸림고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포크레인으로 콘크리트관을 이송시 호크에 의해 안전하고 간편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심지의 골목길에서 상하수도 콘크리트관의 매설을 위한 매굴착작업과 콘크리트관의 연결작이 용이하도록 한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 호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콘크리트관을 운반하기 위한 호크의 구조를 간단 용이하게 구성하여 호크로 콘크리트관을 결속하여 포크레인으로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함으로서, 콘크리트 배관작업의 간편성과 작업의 신속성 및 작업의 안전성을 갖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복잡하고 좁은 도심지의 골목길에서 콘크리트 배관을 위한 굴착작업과 콘크리트관의 운반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부재(1)에 힌지축으로 된 힌지부(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를 중심으로 콘크리트관(20)을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로 형성된 호크(5)와;
상기 호크(5)의 제2 집게부재(4)의 연결부재(1) 상단부와 연결부 하우징(6)을 결합한 호크 안전핀(7)과;
상기 연결부 하우징(6) 내측의 호크 안전핀(7) 중앙부에 걸리도록 제1 집게부재(3)의 연결부재(1) 상단에 형성된 걸림고리(8)와;
상기 걸림고리(8)가 호크 안전핀(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 하우징(6) 일측면에 설치된 안전핀 스토퍼(9)와;
상기 연결부 하우징(6)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포크레인(11) 바스켓(12) 후부의 걸고리(13)와 와이어(14)로 연결되도록 연결공(10)이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크의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다수의 간격유지 고정부재(5c)로 용착되어 2개의 호크편(5a)(5b)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크의 제1 집게부재와 제2 집게부재는 반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크의 제1 집게부재와 제2 집게부재는 상부 일측에 손잡이(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 하우징은 호크 안전핀(7)이 끼워지는 통공이 반원형통공(6')으로 형성되어 연결부 하우징이 개폐시 호크 안전핀을 중심을 이동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호크 정면도로서,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로 호크(5)가 이루어져 흄관과 같은 콘크리트관(20)을 결합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호크(5)를 구성하는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 상단부는 각각 연결부재(1)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부재(1)는 힌지축으로 결합된 힌지부(2)를 구성하고 호크(5)의 제1, 제2 집게부재(3)(4)는 흰지부(2)를 중심으로 집게와 같이 벌어졌다 오므라졌다하면서 콘크리트관(20)을 결합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상기 제2 집게부재(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1)는 가운데가 이격된 2개의 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편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 상단부는 연결부 하우징(6)이 포삽되도록 끼워져 호크 안전핀(7)으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 하우징(6)은 호크 안전핀(7)을 중심 일측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집게부재(3)의 연결부재(1) 상단에 형성된 걸림고리(8)는 연결부 하우징(6) 내의 호크 안전핀(7) 중앙부에 걸려 끼워진 상태이며, 와이어(14)를 연결부 하우징(6) 상부에 형성된 연결공(10)에 결합시켜 포크레인(11)으로 들면 연결부 하우징(6)이 호크 안전핀(7)을 중심으로 힌지부(2)와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며 연결부 하우징(6) 일측에 형성된 안전핀 스토퍼(9)가 걸림고리(8) 일면에 대응되어 제1 집게부재(3)의 연결부재(1) 상단 걸림고리(8)가 호크 안전핀(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 상태를 유지한다.
도3은 본 발명의 호크를 이용한 콘크리트관 결속 상태 작동 예시도로서, 호크(5)의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는, 상기 연결부재(1)를 결합한 힌지축의 힌지부(2)를 중심으로 집게와 같이 벌어졌다 오무라졌다 한다.
따라서, 호크(5)로 콘크리트관(20)을 결속한 후 연결부 하우징(6) 상부의 연결공(10)과 포크레인(11) 바스켓(12) 후부에 형성된 걸고리(13)를 와이어(14)로 연결하여 들으면 호크(5)에 결속된 콘크리트관(20)의 하중에 의해 호크(5)는 힌지부(2) 를 중심으로 콘크리트관의 자중에 의해 오므라들어 콘크리트관(20)을 견고하게 결속하게 된다.
이때, 제1 집게부재(3)의 연결부재(1)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고리(8) 는 호크 안전핀(7)에 끼워지고 걸림고리(8) 후면은 연결부 하우징(6) 일측면에 형성된 안전핀 스토퍼(9)가 대응되어 불시에 걸림고리(8)가 호크 안전핀(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 고리(8)를 호크 안전핀(7)으로 부터 이탈시킬 경우에는 상부의 연결부 하우징(6)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부 하우징(6)은 호크 안전핀(7)을 중심으로 절곡되면 안전핀 스토퍼(9)가 일측으로 회전되어(도3의 일점쇄선으로 표시) 걸림고리(8)로부터 벗어나 걸림고리(8)를 호크 안전핀(7)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호크 상부의 안전핀 하우징과 힌지부 및 안전핀의 연결구성 도로서, 호크의 제2 집게부재(4)의 연결부재(1) 상단부가 포삽되도록 연결부 하우징(6)이 위치한 후 호크 안전핀(7)으로 제2 집게부재(4)의 연결부재(1)와 연결부 하우징(6) 양측을 관통시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 하우징(6)은 호크 안전핀(7)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 절곡되도록 설치되며, 연결부 하우징(6) 일측면에는 안전핀 스토퍼(9)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호크(5)는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로 구성되고,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의 몸체는 각각 2개의 호크편(5a)(5b)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호크편(5a)과 호크편(5b) 사이에는 다수의 간격유지 고정부재(5c)가 용착되어 호크(5)로 콘크리트관(20)을 결속할 때 결속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호크(5)의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의 몸체가 2개의 호크편(5a)(5b)으로 각각 이루어져 결속시 결속면적을 넓게 함으로서, 와이어(14)로 포그레인(11)과 호크의 상부 연결공(10)을 연결시켜 호크로 콘크리트관을 들을때 콘크리트관이 일측으로 빙글빙글 회전되는 것을 막아 좁은 골목길에서 안정적으로 콘크리트관을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호크는 콘크리트관을 결속시 결속면적이 넓은 관계로 콘크리트관을 들어 이동시 하중이 편중되어 콘크리트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호크 안전핀 스토퍼 하우징 발취 구성도로서, 호크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제1 집게부재(3)의 연결부재(1)와 제2 집게부재(4)의 연결부재(1)를 힌지축으로 결합하여 힌지부(2)를 구성하고, 힌지부(2) 상단부에는 제2 집게부재(4)의 양측 연결부재(1) 상단부를 연결부 하우징(6)으로 씌워지도록 설치하여 호크 안전핀(7)으로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 된 연결부 하우징(6)은 일측에 안전핀 스토퍼(9)가 형성되어 호크(5)로 콘크리트관(20)을 들어올릴 때 상기 걸림고리(8)가 상기 안전핀 스토퍼(9)에 대응되어 작업시 무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5는 상기 제2 집게부재(4)의 일측 연결부재(1)를 절단하여 제1 집게부재(3)의 연결부재(1) 상단에 형성된 걸림고리(8)와 호크 안전핀(7)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부호중 제1 집게부재(3)의 연결부재(1)와 제2 집게부재(4)의 연결부재(1)는 부호와 명칭을 편의상 동일하게 명명하였다.
도6은 본 발명의 호크를 포크레인에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호크(5)로 이용하여 콘크리트관(20)을 결속하여 포크레인(11)으로 이송하는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크의 제1 집게부재와 제2 집게부재를 벌려 콘크리트관을 결속한 후 호크(5) 상부의 연결부 하우징(6) 상단에 형성된 연결공(10)과 포크레인(11) 바스켓(12)후부에 형성된 걸고리(13)를 와이어(14)로 연결시킨 다음 포크레인(11)으로 호크(5)를 들어올리면 호크(5)는 힌지부(2)를 중심으로 결속된 콘크리트관(20)의 하중에 의해 결속력을 증가시킨다.
상기와 같이 포크레인(11)으로 콘크리트관(20)을 들어올린 후에는 포크레인의 바스켓(12)을 콘크리트관(20) 일측단에 대응되어 지지되도록 한 후 이송함으로 이송시 콘크리트관(20)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취급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관(20)을 매설하기 위한 굴착부에서 콘크리트관과 콘크리트관의 연결을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호크를 콘크리트관에 결속시 콘크리트관 길이 중앙부에 결속하지 않고 바스켓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편중되도록 결속하여 포크레인(11)으로 콘크리트관을 들어올릴때 콘크리트관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좁은 골목길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6에 예시한 사용상태도는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포크레인으로 콘크리트관을 들어올릴 때 관의 접속부측 또는 타측의 말단부 중 어느 쪽이 포크레인 바스켓 측으로 향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이러한 콘크리트관의 상하 방향은 관의 연결방향에 따라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연결부하우징의 안전핀 통공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로서, 호크 안전핀(7)이 끼어지는 연결부 하우 징(6)의 반원형 통공(6')을 "
Figure 112008076930423-PAT00001
"형의 반원형 형태의 장공으로 형성하여 안전핀 스토퍼를 이용하여 폐쇄 또는 개방시 연결부 하우징이 호크 안전핀(7)을 중심으로 좌우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체결과 폐쇄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콘크리트 관을 호크로 결합한 후 연결공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부 하우징을 들면 콘크리트 관이 들리는 동시에 콘크리트관의 자중에 의해 호크를 구성한 제1 집게부재와 제2 집게부재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오므라들게 됨으로 호크는 콘크리트관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호크 안전핀은 연결부 하우의 반원형 통공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호크 안전핀의 위치는 콘크리트 관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8a는 도7의 연결부 하우징의 안전핀스토퍼를 체결하는 작동상태 예시도 로서, 호크(5)를 이용하여 콘크리트관(20)을 들을때 호크의 제1 집게부재와 제2 집게부재가 콘크리트관을 결속한 후 걸림고리(8)가 호크 안전핀(7)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 하우징을 폐쇄방향으로 밀면 호크 안전핀의 위치는 우측에 위치하고 연결부 하우징은 호크 안전핀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안전핀 스토퍼(9)가 걸림고리를 후면에서 지지하므로 작업도중 호크 안전핀으로부터 걸림고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8b는 도7의 연결부 하우징의 안전핀 스토퍼를 개방하는 작동상태 예시도로서, 콘크리트관을 호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연결부 하우징을 걸림고리 반대 방 향으로 당기면 호크 안전핀은 통공의 죄측에 위치하고 안전핀 스토퍼는 걸림고리가 안전핀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걸림편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크를 구성하는 제1 집게부재와 제2 집게부재의 상부 어깨측에 손잡이(3')(4')를 형성하여 호크에서 콘크리트관을 이탈시킬때 양측에서 손잡이를 잡고 벌릴 수 있도록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심지 구간에서 터파기와 관매설, 성토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경우 호크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포크레인 작업과 병행하여 작업할 수 있고, 관매설 깊이가 깊은 경우 강성, 와이어, 체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길이를 조절하여 호크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 시공깊이 변화에 의한 작업환경에 적절하게 대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작업시간 절약, 작업시 안전,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콘크리트관 이송장치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호크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호크를 이용한 콘크리트관 결속 상태 작동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호크 상부의 안전핀 하우징과 흰지부 및 안전핀의 연결구성 도.
도5는 본 발명의 호크 안전핀 스토퍼 하우징 발취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호크를 포크레인에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연결부하우징의 안전핀 통공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8a는 도7의 연결부 하우징의 안전핀스토퍼를 체결하는 작동상태 예시도.
도8b는 도7의 연결부 하우징의 안전핀 스토퍼를 개방하는 작동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연결부재 2:힌지부
3:제1 집게부재 4:제2 집게부재
3',4':손잡이 5:호크
5a,5b:호크편 5c:간격유지 고정부재
6:연결부 하우징 6':통공
7:호크 안전핀 8:걸림고리
9:안전핀 스토퍼 10:연결공
11:포크레인 12:바스켓
13:걸고리 14:와이어
20:콘크리트관

Claims (4)

  1. 연결부재(1)에 힌지축으로 된 힌지부(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를 중심으로 콘크리트관(20)을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로 형성된 호크(5)와;
    상기 호크(5)의 제2 집게부재(4)의 연결부재(1) 상단부와 연결부 하우징(6)을 결합한 호크 안전핀(7)과;
    상기 연결부 하우징(6) 내측의 호크 안전핀(7) 중앙부에 걸리도록 제1 집게부재(3)의 연결부재(1) 상단에 형성된 걸림고리(8)와;
    상기 걸림고리(8)가 호크 안전핀(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 하우징(6) 일측면에 설치된 안전핀 스토퍼(9)와;
    상기 연결부 하우징(6)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포크레인(11) 바스켓(12) 후부의 걸고리(13)와 와이어(14)로 연결되도록 연결공(10)이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크의 제1 집게부재(3)와 제2 집게부재(4)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다수의 간격유지 고정부재(5c)로 용착되어 2개의 호크편(5a)(5b)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크의 제1 집게부재와 제2 집게부재는 상부 일측에 손잡이(3')(4')가 형성되어 양측에서 벌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하우징은 호크 안전핀(7)이 끼워지는 통공이 "
    Figure 112008076930423-PAT00002
    "형의 반원형통공(6')으로 형성되어 연결부 하우징이 개폐시 호크 안전핀을 중심을 이동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KR1020080109778A 2008-11-06 2008-11-06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KR10105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778A KR101054199B1 (ko) 2008-11-06 2008-11-06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778A KR101054199B1 (ko) 2008-11-06 2008-11-06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735A true KR20100050735A (ko) 2010-05-14
KR101054199B1 KR101054199B1 (ko) 2011-08-03

Family

ID=4227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778A KR101054199B1 (ko) 2008-11-06 2008-11-06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7063A (zh) * 2020-09-24 2021-01-08 北京汇峰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球墨铸铁管的安装装置及施工方法
CN117775964A (zh) * 2023-12-28 2024-03-29 常州百事瑞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铺设施工吊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543Y2 (ja) 1980-11-29 1985-12-06 宏侑 鈴木 大口径管の吊下運搬具
JPS5895970U (ja) 1981-12-18 1983-06-29 極東マツク・グレゴ−株式会社 クランプ
JPH0532378U (ja) * 1991-10-07 1993-04-27 大成鑿岩機株式会社 アンカ−工法用吊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7063A (zh) * 2020-09-24 2021-01-08 北京汇峰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球墨铸铁管的安装装置及施工方法
CN112197063B (zh) * 2020-09-24 2022-03-11 北京汇峰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球墨铸铁管的安装装置及施工方法
CN117775964A (zh) * 2023-12-28 2024-03-29 常州百事瑞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铺设施工吊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199B1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867B1 (ko) 캡 라이저를 구비한 파이프 부설기
US10612322B2 (en) Rod handling system
CA2608453A1 (en) Pipe grappler
US20190316427A1 (en) Drill rod handler
US20130011221A1 (en) Apparatus for handling tubulars
JPH05248160A (ja) 把持組立体
US20200165883A1 (en) Elevator with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tubulars
JP2009286610A (ja) 管体吊込み用把持装置
KR101054199B1 (ko) 콘크리트관 연결 간이호크
US20160137463A1 (en) Attachment with vacuum and grab arms
US5918923A (en) Pipe laying attachment for hydraulic equipment
KR100954499B1 (ko) 콘크리트관 이송 간이 호크의 연결장치
US89198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ment of a secondary tool handling device to a primary tool handling device
KR101353244B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JP6342183B2 (ja) 熱交換用のパイプ装置及びパイプ用の吊り治具
KR200476754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US7198311B1 (en) Elevator for pipe
EP3424864B1 (en) Release mechanism
EP1978205B1 (en) Magnet rod-manipulator device for earth-drilling
KR101566493B1 (ko) 굴착기용 집게장치
KR20160149892A (ko) 경계석 집게장치
KR101846792B1 (ko)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36598A (ko) 굴삭기용 스톤 그립
KR100619273B1 (ko) 상하수도관 매설 장치
KR101459242B1 (ko) 굴삭기용 니퍼 겸용 집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