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792B1 -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792B1
KR101846792B1 KR1020170133041A KR20170133041A KR101846792B1 KR 101846792 B1 KR101846792 B1 KR 101846792B1 KR 1020170133041 A KR1020170133041 A KR 1020170133041A KR 20170133041 A KR20170133041 A KR 20170133041A KR 101846792 B1 KR101846792 B1 KR 101846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awk
guide member
pull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남열
Original Assignee
나남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남열 filed Critical 나남열
Priority to KR102017013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켓콘크리트 흄관의 몸통을 결합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제1 호크 및 제2 호크로 이루어며, 상기 제2 호크는 한쌍의 지지호크 일면에 제1 가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 및 당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당김 스크류를 정역 모터로 회전시켜 당김 스크류 연결고리에 연결된 당김 벨트를 당겨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흄관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맨홀과 연결되는 하수로 또는 배수로에 소켓콘크리트관을 시공시 호크와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소켓콘크리트관과 콘크리트관의 연결을 간단 용이하게 시공하도록 한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constructing a sewer pipe to the pip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connection thereof}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과 연결되는 배수로에 콘크리트관을 시공시 호크와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관과 콘크리트관(이하 "콘크리트 흄관" 이라함)의 연결을 간단 용이하게 시공하도록 하고, 또한 맨홀에 레이저 레벨을 설치하여 맨홀과 맨홀 사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흄관과 콘크리트 흄관의 센터를 가이드하여 관의 연결이 직선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콘크리트 흄관 연결 시공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직경이 큰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관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콘크리트관은 중량이 많이 나가는 대형관인 관계로 반드시 중장비를 이용해야 하는 것이 단점이다.
즉, 지반에 소켓콘크리트 하수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포크레인으로 지반을 파낸 후 콘크리트관을 연결하여 매설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관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도1과 같이 콘크리트관에 와이어를 걸은 다음 포크레인으로 들어서 지반의 배수로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콘크리트 관과 관을 사람의 힘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시공하였다.
이와 같이 소켓콘크리트관을 와이어로 걸은 후 포크레인으로 들게 되면 중심이 잡히지 않아 이동시 옆으로 기울어지면서 주변과 부딪쳐 콘크리트관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켓콘크리트관과 관을 연결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연결부에 고무패킹을 끼운 후 콘크리트관과 관을 연결하게 됨으로 연결부의 밀착력이 떨어져 시공후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좁은 골목길에서 배수로 관 시공시에는 크기가 작은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관을 이송하더라도 회전반경이 작아 포크레인으로 콘크리트관을 이송시킨 후 포크레인을 작업현장에서 일정거리로 떨어트린 다음 콘크리트관과 관을 연결하고 매설하는 작업을 하게 됨으로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하수관은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소켓콘크리트 흄관은 일측 단부는 직경이 큰 단턱으로의 소켓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은 몸체의 관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단턱이 형성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을 끼워 연결하기 위해 일측은 단턱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직경이 반대측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연결되도록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콘크리트 흄관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관에서 관과 관이 연결되도록한 형상구조이다.
따라서.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을 연결시 일측의 직경이 큰 단턱부 측으로 다른 흄 관의 타측의 직경이 작은 단부가 끼워지도록 연결하되 연결부에는 패킹이 끼워져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시공된다.
즉,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흄관 사이에 끼워지는 패킹은 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의 마찰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형성된 관계로 시공시 콘크리트 흄관의 직경이 큰 소켓 단턱부에 패킹을 설치하고 다른 콘크리트 흄관의 직경이 작은 측의 단부를 끼워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에 위치한 패킹의 마찰에 의해 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은 결합이 원활하지 못한 시공불량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077호(공고일자:2000년12월15일)에서 종래 기술로 설명된 것으로 이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포크레인을 통해 이동되는 흄관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레인(101)을 이용하여 흄관(102)이 부설될 부위의 땅을 파고, 상기 흄관(102)을 와이어(103)로 묶어 크레인(104)을 통해 들어 올린 후,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흄관(102)을 내려놓거나 혹은, 상기 포크레인(101)의 선단에 설치된 버킷(105)에 와이어(103)를 장착시켜 이 와이어(103)를 통해 흄관(102)을 고정함으로써 포크레인(101)으로 흄관(10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크레인(104)이나 포크레인(101)에 와이어(103)를 달아 흄관(102)을 부설할 경우에는 그 작업성이 나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결국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결점이 있고, 또한 와이어(103)로 흄관(102)을 고정하여 이동시킬 경우에는 흄관(102)의 움직임으로 인해 흄관(102)의 파손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특히 흄관(102)을 매달아 이동시 방향유도와 와이어(103)로 흄관(102) 하중의 균형을 맞추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고, 흄관(102)의 이동 후 거치할 때 요동 및 와이어(103)의 해체 등으로 인력이 소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0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의 연결시공을 간편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 후 안정적인 결합과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본 발명은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이동 및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 호크를 사용하여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흄관 사이에 패킹이 끼워지더라도 간단 용이하게 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은 하수관 매설 시공시 좁은 골목길이나 넓은 길 등의 공간에 구애 없이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의 연결 및 매설 시공을 간단 용이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 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설치할 지반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터파기 된 지반 일측 맨홀에 레이저 레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레벨이 설치된 맨홀의 일측 터파기 된 지반에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설치하되 흄관 길이 중심부에 결합되는 제1 호크와 포크레인을 연결하여 포크레인으로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이동시켜 베이스 흄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흄관의 직경이 큰 소켓 단턱부 측에 제2 호크를 결합하되 상기 제2 호크 일면에 고정 설치된 제1 가이드부재, 제2 가이드부재, 제3 가이드부재가 베이스 흄관 단턱부에 체결되도록 제2 호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호크를 베이스 흄관에 설치한 다음 크레인 또는 포크레인과 연결된제1 호크를 다른 제1 연결흄관의 길이 중심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연결흄관의 일측 직경이 큰 단턱부 측 입구 중앙에 센터표시가 된 표적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흄관에 설치된 제1 호크를 포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제1 호크의 양측에 설치된 당김 끈 걸고리에 당김벨트 일단을 걸은 후 상기 제2 호크의 양측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부재와 제3 가이드 부재에 구비된 양측 당김스크류의 연결고리에 당김벨트 타단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흄관이 결합된 제1 호크를 포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흄관을 베이스 흄관에 근접되록 하고 상기 제2호크 양측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와 연결된 당김벨트를 최대한 팽팽하게 당기는 단계;
상기 베이스 흄관에 설치된 제1 가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에 제1 연결흄관의 직경이 작은측 단부가 안내되면서 일측 맨홀에 설치된 레이저 레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제1 연결흄관 입구 측에 설치된 표적지 센터와 일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레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제1 연결흄관 입구 측에 설치된 표적지 센터와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 흄관이 결합되도록 모터를 구동시켜 당김스크류로 당김벨트를 당겨 제1 연결흄관이 베이스 흄관에 결합되도록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흄관을 연결한 후 제1 호크는 또 다른 제2 연결흄관에 설치하고, 베이스 흄관에 설치된 제2 호크는 연결 설치된 제1 연결흄관의 단턱부에 설치한 후 상기 시공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제3, 제4 연결흄관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콘크리트 흄관의 시공장치는,
소켓콘크리트 흄관의 몸통을 결합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제1 호크 및 제2 호크로이루어며, 제1 호크는 한쌍의 상부 지지바와 한쌍의 하부 지지바가 제1 핀축, 제2 핀축 제3 핀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 지지바 하단은 한쌍의 거상호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제3 축핀을 회동되도록 연결하여 제1 연결흄관 또는 제2, 제3, 제4 연결흄관을 한쌍의 거상 호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한쌍의 거상 호크 양측에는 당김벨트 연결 걸고리가 형성되어 당김 벨트 일측 단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호크가 구성되며,
제 2호크는 한쌍의 호크를 벌리고 오므릴 수 있도록 스크류 및 핸들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는 스크류 하우징에 끼워져 상단부는 핸들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회동되도록 제3 힌지부에 연결된 한쌍의 지지호크와 한쌍의 하부 지지바를 커버링한 고정브라켓 상면에 회전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한쌍의 하부 지지바는 일단이 한쌍의 지지호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바 상부 단부는 한쌍의 상부지지바 하단과 제2 힌지부로 연결되고 상부 지지바 상단은 스크류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제1 힌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2호크는 한쌍의 지지호크 일면에 제1 가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베이스 흄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호크 좌우 양측 일면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호크 양측과 연결되는 당김 벨트를 당길 수 있도록 연결고리를 갖는 당김 스크류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당김 스크류를 회전시켜 당김벨트를 당겨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흄관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제3 가이드부재에 당김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는 몸체 일측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콘크리트 흄관 단턱부 후면에 걸려 지지되록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 장치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의 몸체 상면에 고정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 일측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된 당김 스크류가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당김 스크류 일측에는 상기 당김 스크류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역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장치의 정역모터는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되, 케이스 상단부에 끼움부가 형성되어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의 말단부에 용착된 지지편 상단에 각각 걸쳐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일측에는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 상면에는 회동레버가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동레버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별도 설치된 당김 스위치에 의해 당겨지는 동시에 정역모터의 작동레버를 눌어 정역모터가 구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호크의 스크류는 스크류 하우징에 수직으로 끼워져 상단부는 핸들이 고정되고 하단부는 제3 힌지부에 연결된 한쌍의 호크와 한쌍의 하부 지지바를 커버링한 고정 브라켓 상면에 회전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하우징 상부의 스크류에는 손잡이를 갖는 체결부재가 끼워져 지지호크가 콘크리트 흄관를 결합시 풀려 벌어지지 않도록 스크류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맨홀과 연결되는 배수로에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시공시 호크와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을 간단 용이하게 시공하도록 하고, 또한 맨홀에 레이저 레벨을 설치하여 맨홀과 맨홀 사이에 설치되는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콘크리트관 흄관의 센터를 가이드하여 흄관의 연결이 직선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흄관 연결 시공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제1 호크와 제2 호크를 사용함으로 배수로 공사시 흄관과 흄관의 결합을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흄관과 흄관의 연결시공을 간편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시공 후 안정적인 내구성과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또한 본 발명은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이동 및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 호크를 제공하여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흄관 사이에 패킹이 끼워지더라도 수밀이 유지되도록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또한 본 발명은 하수관 매설 시공시 좁은 골목길이나 넓은 길 등의 공간에 구애 없이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흄관 연결 및 매설 시공을 간단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콘크리트관 시공시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관을 들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 흄관을 결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제1 호크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설치된 베이스 흄관의 단턱부에 설치되어 끼워지는 연결흄관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된 제2 호크의 입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제2호크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제2 호크 전면에 상부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것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제2 호크 전면 양측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를 발췌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베이스 흄관에 제2 호크를 설치하고 연결 흄관에 제1 호크를 설치하여 당김 벨트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당김 장치의 당김 벨트 및 당김 스크류, 정역모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을 연결시 레이저 레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선을 표적지의 센터와 일치시켜 기준선으로 이용하는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콘크리트 흄관을 설치하기 위한 터파기 및 레이저 레벨설치 단계
일반적으로 하수관이 설치되는 배수로는 일정 거리마다 맨홀이 설치되고 맨홀과 맨홀 사이에 하수관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하수관이 설치되는 맨홀과 맨홀 사이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콘크리트 흄관이 매설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터파기한 후에는 일측 맨홀에 레이저 레벨을 설치하되 레이저 조사 방향이 맞은 편에 위치한 맨홀과 일치되도록 설치한다.
제2 공정: 베이스 흄관 설치단계
상기 레이저 레벨이 설치된 맨홀의 일측 터파기 된 지반에 맨홀과 연결되도록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설치하되 상기 콘크리트 흄관은 전체 길이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제1 호크와 포크레인을 연결하여 포크레인으로 흄관을 이동시켜 베이스 흄관을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 흄관은 맨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맨 처음 설치되는 콘크리트 흄관을 지칭한다.
제3공정: 베이스 흄관에 제2 호크 설치 단계
본 공정에서 베이스 흄관에 제2 호크를 설치하는 것은 차후 연결되는 제1 연결흄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흄관과 흄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호크는 상기 베이스 흄관의 직경이 큰 소켓 단턱부 측에 결합되도록 설치하되 제2 호크 일면에 고정 설치된 제1 가이드부재, 제2 가이드부재, 제3 가이드부재가 베이스 흄관 단턱부에 체결되도록 제2 호크를 설치한다.
제4공정: 연결흄관에 센터표시 및 양측에 당김 벨트 설치단계
상기 제2 호크를 베이스 흄관에 설치한 다음 크레인 또는 포크레인과 연결된제1 호크를 다른 제1 연결흄관의 길이 중심부에 결합하고, 제1 연결흄관의 일측 직경이 큰 단턱부 측 입구 중앙에 센터표시가 된 표적지를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 흄관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흄관 일측 단턱부 입구 중앙에 설치되는 센터표시가 형성된 표적지를 설치하는 것은 흄관과 흄관의 연결이 직선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이며, 이는 일측 맨홀에 설치된 레이저 레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제1 연결 흄관 타측 단턱부에 입구에 설치된 표적지의 센터표시에 일치 되도록하여 흄관을 설치함으로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흄관은 레이저 빛의 안내에 따라서 직선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흄관(3)에 설치된 제1 호크(10)를 포크레인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제1 호크(10)의 양측에 설치된 당김 끈 걸고리(17) )에 당김 벨트(52) 일단을 걸은 후 상기 제2 호크(20)의 양측 제2 가이드 부재(41)와 제3 가이드 부재(42)에 형성된 양측 당김 스크류(53)의 연결고리(54)에 당김 벨트(52) 타단을 연결한다.
이때 제1 호크(10)에 결합된 제1 연결흄관(3)은 제2 호크(20)에 결합된 베이스 흄관(2)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제2 호크(20)의 양측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와 연결된 당김 벨트(52)를 최대한 팽팽하게 당긴다.
제5공정: 제2 호크의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연결 흄과 설치 단계
상기 제1 연결 흄관(3)이 결합된 제1 호크(10)를 포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제1 연결흄관(3)을 베이스 흄관(2)에 근접되록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2 호크(20) 상부에 설치된 제1 가이드 부재(40)와 양측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가 설치되어 각각 안내부(43)에 의해 연결되는 1차 연결흄관(3)의 단부가 안내되어 베이스 흄관(2)에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안내부(43)는 제1 가이드 부재(40)와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의 입구에 형성되며 안내부(43)는 입구에서 내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되 경사면은 제1 가이드 부재(40)와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를 베이스 흄관(3)에 단턱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입구는 넓고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므로 연결되는 제1 연결 흄관(3)의 단부가 베이스 흄관(2)의 단턱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안내도록 한다.
제6공정: 당김 벨트를 당겨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 흄관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호크(20) 양측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의 당김 스크류(53)의 연결고리(54)와 제1 호크(10)에 형성된 걸고리(17)를 연결한 당김 벨트(52)를 최대한 팽팽하게 당긴다.
이와 같이 제1 연결흄관(3)을 베이스 흄관(2)에 근접되록한 후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의 일측에 설치된 당김 장치(50)의 정역모터(55)를 구동시키면 정역모터(55)가 당김 스크류(53)를 회전시겨 상기 당김 스크류(53)의 연결고리(54)에 연결된 당김 벨트(52)을 당겨 제1 연결흄관(3) 단부가 베이스 흄관(2)의 단턱부에 설치된 제1, 제2, 제3 가이드부재(40)(41)(42)의 안내부(43)의 경사면을 따라서 베이스 흄관(2)과 제1 연결흄관(3)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흄관(2)에 설치된 제1 가이드 부재(40), 제2 가이드 부재(41), 제3 가이드 부재(42)에 제1 연결흄관(3)의 직경이 작은측 단부가 안내되면서 일측 맨홀(5)에 설치된 레이저 레벨(6)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선과 제1 연결흄관(3) 입구 측에 설치된 표적지(70) 센터가 일치되도록 하여 설치되는 베이스 흄관(2)과 연결흄관(3)을 직선으로 설치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레이저 선이 제1 연결흄관(3) 입구 측에 설치된 표적지(70) 센터와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베이스 흄관(2)과 제1 연결흄관(3)이 결합되도록 정역모터(55)를 구동시키면 정역모터(55)의 구동에 의해 당김 스크류(53)가 당김 벨트52)를 당겨 제1 연결흄관(3)이 베이스 흄관(2)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베이스 흄관(2)과 제1 연결흄관(3)을 설치한 후 다시 설치된 제1 연결흄관(3)의 단부에 제1 가이드 부재(40),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가 위치 되도록 제2 호크를 설치한 다음 제1 호크(10)는 또 다른 제2 연결흄관 중간부에 결합되도록 설치한 후 제1 호크(10)와 제2 호크(20)를 당김 벨트(52)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흄관(1)과 콘크리트 흄관(1)을 결합 설치하는 방법으로 베이스 흄관, 제1 연결흄관, 제3, 제4, 제5 연결흄관을 연결한다.
이때 제1 호크(10)와 제2 호크(20)는 2개의 부재가 소정의 폭을 갖는 중첩형태로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1 호크(1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흄관(1)을 결합하여 들을 때 중심을 잃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은 베이스 흄관(2)과 제1 연결흄관(3) 또는 제1 연결흄관(3)과 제2 연결흄관를 연결 시공시 정역모터 및 당김 스크류를 이용하여 당김 벨트(52)를 당기는 방식으로 소켓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을 연결함으로 작업의 용이성과 편리성을 가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좁은 골목길에서 배수관 매설 시공을 할때 흄관과 흄관을 연결시 연결부의 밀착을 위해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수차래 이동시키는 등의 불편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 흄관을 결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제1 호크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흄관(1)의 몸통을 결합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제1 호크(10)을 구성하되, 상기 제1 호크(10)는 한쌍의 상부 지지바(11)(11')상단은 제1 핀축(14)으로 결합되고, 한쌍의 상부 지지바(11)(11') 하단은 한쌍의 하부 지지바(12)(12') 상단과 제2 핀축(15)(15')으로 연결되며, 한쌍의 하부 지지바(12)(12') 하단은 하부의 거상호크(13)(13')와 일체로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제3 핀축(16)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된 제1 호크(10)는 시공시 제1 축핀(14)에 걸고리(17)를 설치하여 와이어 등의 끈으로 포크레인 또는 다른 중장비와 연결한다.
또한 제1 핀축(14), 제2 핀축(15)(15') 제3 핀축(16)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상부 지지바(11)(11')와 한쌍의 하부 지지바(12)(12')는 양측 제2 핀축(15)(15')을 중심으로 제1 핀축(14)과 제3 핀축(16) 부분이 상하로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하는 동시에 제2 핀축(15)(15')은 수평상에서 좌우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함으로 한쌍의 하부 지지바(12)(12')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거상 호크(13)(13' )가 제3 축핀(16)을 중심으로 가위와 같이 벌어졌다 오므라져 함으로 연결흄관을 결합하여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즉, 거상 호크(13)(13')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고자 하는 콘크리트 흄관(1) 중간부를 집게와 같이 결합한 후 포크레인과 연결된 제1 핀측(14)의 걸고리(17)와 연결된 끈을 들으면 제1 호크(10)의 제1 핀축(14)은 상부롤 이동하고 제3 핀축(16)은 하부로 이동함으로 양측 제2 핀축(15)(15')은 오므라들면서 거상 호퍼(13)(13')가 연결흄관을 견고하게 결합하면서 이동하고자 하는 연결흄관은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한쌍의 하부 지지바(12)(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제3축핀(16)을 회동되도록 연결하여 제1 연결 흄관(3) 또는 제2, 제3, 제4 연결 흄관을 집게로 잡듯이 한쌍의 거상호크(13)(13')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거상호크(13)(13') 양측 일면에는 벨트 연결 지지고리(18)가 형성되어 당김 벨트(52)일측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호크(10)가 구성된다.
도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설치된 베이스 흄관의 단턱부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연결흄관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된 제2 호크의 입체도를 나타낸 것시며, 도4는 본 발명의 제2 호크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 호크(20)는 한쌍의 지지 호크(24)(34')를 벌리고 오므릴 수 있도록 핸들(21)을 갖는 스크류(22)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22)는 스크류 하우징(23)에 끼워져 상단부는 핸들(21)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회동되도록 제3 힌지부(29)에 연결된 한쌍의 지지호크(24)(24')와 한쌍의 하부 지지바(26)(26')를 커버링한 고정브라켓(31) 상면에 회전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한쌍의 하부 지지바(26)(26')는 일단이 한쌍의 지지호크(24)(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3 힌지부(29)를 중심으로 가위과 같이 벌리고 오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하부 지지바(26)(26') 상단부는 한쌍의 상부 지지바(25)(25') 하단과 제2 힌지부(28)(28')로 연결되고 상부 지지바(25)(25') 상단부은 스크류 하우징(23)의 양측 제1 힌지부(27)(27')와 연결된다.
상기 제 2 호크(20)는 한쌍의 지지호크(24)(24') 일면에 제1 가이드 부재(40), 제2 가이드 부재(41), 제3 가이드 부재(42)가 설치되어 베이스 흄관(2)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호크(20) 양측 일면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는 상기 제1 호크(10)의 거상호크(13)(13')와 연결된 당김 벨트(52) 일단을 연결고리(54)에 연결하여 당길 수 있도록 한 당김 스크류(53) 및 상기 당김 스크류(5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당김 스크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정역모터(55)로 구성되는 당김 장치(50)가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40), 제2 가이드 부재(41), 제3 가이드 부재(42)는 각각 몸체 일측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안내부(43)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콘크리트 흄관(1) 단턱 후면부에 걸려 지지되록 복수의 걸림편(4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부재(41)와 제3 가이드 부재(42일측에 형성된 당김 장치(50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41) 제3 가이드 부재(42 몸체 상면에 고정블럭(51)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51)측에는 연결고리(54)가 구비된 당김 스크류(53)가 형성된다.
상기 당김 스크류(53) 일측에는 상기 당김 스크류(53)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역모터(55)가 케이스(56)에 설치된다.
상기 당김 장치(50)의 정역모터(55)는 케이스(56)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되 케이스 상단부에 절곡된 끼움부(57)가 형성되어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의 말단부에 용착된 지지편(45) 상단에 각각 걸쳐지도록 결합 된다.
상기 케이스(56) 일측에는 브라켓(58)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58) 상면에는 회동레버(59)가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동레버(59)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별도 설치된 당김 스위치(도시없음)에 의해 당겨지는 동시에 정역모터(55)의 작동레버(60)를 눌어 정역모터(55)가 구동되는 동시에 연결된 당김 스크류(53)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호크(200)의 스크류(22)는 스크류 하우징(23)에 수직으로 끼워져 상단부는 손잡이를 갖는 핸들(21)이 설치되고, 스크류(22) 하단부는 제3 힌지부(29)에 연결된 한쌍의 지지호크(24)(24')와 한쌍의 하부 지지바(25)(25')를 커버링한 고정 브라켓(31) 상면에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31) 상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스크류(22)의 하단부와 결합 고정되므로 상기 핸들(21)을 회전시키면 스크류(22)가 스크류 하우징(23)을 중심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하여 제2 호크(20)의 지지호크( 24)(24')는 제3 힌지부(29)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호크(20)의 지지호크(24)(24')는 베이스 흄관(2) 또는 설치된 제1 연결흄관(3 )에 결합되어 제1 가이드 부재(40), 제2 가이드 부재(41), 제3 가이드부재(42)를 견고하게 베이스 흄관(2)의 단턱부에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호크(20)의 지지호크(24)(24')는 베이스 흄관(2) 또는 설치된 제1 연결흄관(3)에 결합되어 흄관과 흄관을 연결시 당김 벨트(52)를 당길 때 지지하는 버팀목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하우징(23) 상부의 스크류(22)에는 손잡이를 갖는 체결부재(30)가 끼워져 지지 호크(24)(24')에 결합된 베이스 흄관(2)을 결합시 결합되는 압력의 반발력에 의해 지지호크(24)(24')가 벌어지면서 스크류(22)가 역회전하여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크류(22)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스크류 하우징(23) 상단부에 밀착되어 스크류(22)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호크의 지지호크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40)는 지지호크(24)(24') 양측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에 설치되는 당김 장치(50)가 구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재(40)는 연결되는 제1 연결흄관(3)이 베이스 흄관(2)에 끼워져 결합될 때 안내부(43)가 가이드 역할과 당김 벨트(52)로 제1 연결흄관(3)을 당길 때 전방으로 제1 가이드 부재(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걸림 역할을 하는 걸림편(44)이 구성되어 있다.
6은 본 발명의 제2 호크 전면 양측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를 예시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는 몸체 일측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안내부(43)를 형성하여 결합되는 연결 흄관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에는 콘크리트 흄관 단턱 후면부에 걸려 지지되록 복수의 걸림편(44)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걸림편(44)은 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을 결합시 당김 벨트(52)을 당겨 연결흄관을 당길 때 제2 호크(20)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부재(41)와 제3 가이드 부재(42)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편(44)이 베이스 흄관(2)의 단턱부 외면에 걸려 미끄러지지 않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한것이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는 일측에 당김 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당김 장치(50)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의 몸체 상면에 고정블럭(5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51) 일측에는 연결고리(54)가 구비된 당김 스크류(53)가 형성되며, 상기 당김 스크류(53) 일측에는 상기 당김 스크류(53)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역모터(55)가 설치된다.
상기 당김 스크류(53)와 정역모터(55)는 렌치 연결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정역모터 회전축 말단부는 육각형의 홈이 형성되고 당김 스크류(53)의 단부에는 육각렌치와 같은 볼트 머리가 형성되어 작동시 당김 스크류의 육각 볼트머리가 정역모터(55)의 육각형 홈에 끼워져 정역 모터 축의 회전을 당김스크류에 전달하여 당김 벨트를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당김 장치의 케이스(56)는 일측에 스프링(62)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연결되고 스프링(62) 타단은 고정블럭(51) 일측에 형성된 볼트에 연결되어 정역모터(55)를 지지하는 케이스(56)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당김 장치(50)의 케이스는 상단부 일측에 절곡된 끼움부(57)가 형성되어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의 말단부에 용착된 지지편(45) 상단부에 끼워져 케이스(56)가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역 모터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전방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배터리가 설치되며, 수직선상의 몸체 전방에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작동레버(60)가 설치되어 작동레버(60)를 누르면 정역모터(55)가 구동되어 회전출이 회전된다.
상기 정역모터(55)는 케이스 일측의 브라켓(58)에 설치된 회동레버(59)가 운전자의 당김에 의해 작동레버(60)를 누르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 일측에 설치된 당김 장치(50)는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를 돌리거나 당기면 양측의 회동레버(59)에 연결된 끈(또는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회동레버(59)가 작동레버(60)를 누르게 되어 정역모터(55)가 구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끈(또는 케이블)은 양측에 설치된 회동레버(59)와 각각 연결되어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 레버(도시없음)와 연결된 것으로 케이블 형태의 와어가 될수 있다. 즉, 자전거 브레이크와 열결된 케이블선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베이스 흄관에 제2 호크를 설치하고 연결 흄관에 제1 호크를 설치하여 당김 벨트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소켓콘크리트 흄관(1)과 흄관을 연결시 맨홀(5) 측에 이미 설치된 베이스 흄관(1)에 제2 호크(20)를 설치하고, 이에 연결되는 다른 연결흄관에는 제1 호크(1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소켓콘크리트 흄관에 제2 호크를 성치하고 새로 설치될 다른 콘크리트 흄관에 제1 호크를 결합한 후에는 제1 호크를 포크레인 등으로 들어올린 후 이미 설치된 베이스 흄(2)관 또는 제1 연결흄관(3)에 근접되도록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이미 설치된 흄관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흄관을 제1 호크를 결합하여 포크레인으로 이동시킨 다음에는 제1 호크에 당김 벨트 일단을 연결하고 당김 벨트 타단은 제2 호크(20)의 제2 가이드 부재(41) 및 제3 가이드 부재(42)의 당김 스크류(53)의 연결고리(54)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당김 벨트(52)를 연결한 후에는 정역모터(55)를 구동시켜 당김 스크류(53)를 정역모터(55) 측으로 이동시키는 당김 스크류(53)가 당김 벨트(52)를 당겨 연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흄관을 이미 설치된 콘크리트 흄관에 밀착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당김 장치에 따른 당김 벨트, 당김 스크류, 정역모터의 연결상태를 발췌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8은 당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8은 당김 벨트(52) 단부를 당김 스크류(53)의 연결고리(54)에 연결한 상태에서 당김 스크류(53)의 타측 단은 정역모터(55)의 회전축 육각 홈에 끼워져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당김 스트류(53)의 연결고리(54)와 당김 스크류(53)의 연결부는 공회전 방식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연결고리는 회전되지 않고 당김 스크류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당김시 당김벨트는 꼬이지 않고 연결흄관을 당길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흄관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당김 스크류에 의해 당겨지는 당김 벨트는 와이어, 로프, 체인 중 어느 하나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당김 벨트를 와이어, 로프, 체인 중 어느 하나로 대체하여 사용하더라도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는 전혀 문제가 발생되 않는다.
상기 당김 스크류(53)는 고정블럭(51)에 형성된 관 형태의 너트에 끼워져 정역모터(55)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한다.
즉, 당김 스크류(53)는 관 형태의 너트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정역모터(55)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꿔줘 당김 벨트(52)를 당겨 연결 흄관을 밀착 결합하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을 연결시 센터를 잡기 위한 레이저 레벨을 이용한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맨홀(5)에 설치된 레이저 레벨(6)은 레이저가 조사되어 제1 연결흄관(3) 입구 측에 설치된 표적지(70) 센터와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베이스 흄관(2)과 제1 연결 흄관(3)이 결합되도록 한다.
즉, 맨홀에 설치된 레이저 레벨(70)은 레이저가 조사되는 빛의 선에 의해 연결되는 흄관이 기울어 지지 않고 일직선으로 연결 되도록한 기준선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콘크리크 흄관을 이용한 배수관 또는 하수관 시공시 제1 호크와 제2 호크를 사용함으로 배수로 공사시 콘크리트 흄관과 흄관의 결합을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상수관, 하수관 및 배수관 등의 콘크리트 관으로 사용되는 흄관과 흄관의 연결시공을 간편 용이하고 패킹과의 밀착을 견고하게 결합함으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관 매설 시공시 좁은 골목길이나 넓은 길등의 공간에 구애 없이 흄관과 흄관 연결 및 매설 시공을 흄관의 설치 길이방향으로 간단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안전사고의 예방과 공사기간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1:콘크리트 흄관 2:베이수 흄관
3:제1 연결흄관 5:맨홀
6:레이저 레벨 10:제1 호크
11,11':상부 지지바 12,12':하부지지바
13,13':거상호크 14:제1 핀축
15,15':제2 핀축 16:제3 핀축
17:걸고리 20:제2 호크
21:핸들 22:스크류
23:스크류하우징 24,24':지지호크
25,25':상부 지지바 26,26':하부 지지바
27,27':제1 힌지부 28,28':제2 힌지부
29:제3 힌지부 30:체결부재
31:고정브라켓 40:제1 가이드 부재
41:제2 가이드 부재 42:제3 가이드 부재
43:아내부 44:걸림편
45:지지편 50:당김장치
51:고정블럭 52:당김벨트
53:당김 스크류 54:연결고리
55:정역모터 56:케이스
57:끼움부 58:브라켓
59:회동레버 60:작동레버
62:스프링 70:표적지

Claims (9)

  1. 콘크리트 흄관을 설치할 지반의 터파기 공사를 한 후 터파기 된 지반 일측 맨홀에 레이저 레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레벨이 설치된 맨홀의 일측 터파기 된 지반에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설치하되 흄관 길이 중심부에 결합되는 제1 호크와 포크레인을 연결하여 포크레인으로 소켓콘크리트 흄관을 이동시켜 베이스 흄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흄관의 직경이 큰 단턱부 측에 제2 호크를 결합하되 상기 제2 호크 일면에 고정 설치된 제1 가이드부재, 제2 가이드부재, 제3 가이드부재가 베이스 흄관 단턱부에 체결되도록 제2 호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호크를 베이스 흄관에 설치한 다음 크레인 또는 포크레인과 연결된제1 호크를 다른 제1 연결흄관의 길이 중심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연결흄관의 일측 직경이 큰 단턱부 측 입구 중앙에 센터표시가 된 표적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흄관에 설치된 제1 호크를 포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제1 호크의 양측에 설치된 당김 끈 걸고리에 당김벨트 일단을 걸은 후 상기 제2 호크의 양측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부재와 제3 가이드 부재에 구비된 양측 당김스크류의 연결고리에 당김벨트 타단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흄관이 결합된 제1 호크를 포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흄관을 베이스 흄관에 근접되록 하고 상기 제2호크 양측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와 연결된 당김벨트를 최대한 팽팽하게 당기는 단계;
    상기 베이스 흄관에 설치된 제1 가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에 제1 연결흄관의 직경이 작은측 단부가 안내되면서 일측 맨홀에 설치된 레이저 레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제1 연결흄관 입구 측에 설치된 표적지 센터와 일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레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제1 연결흄관 입구 측에 설치된 표적지 센터와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 흄관이 결합되도록 모터를 구동시켜 당김스크류로 당김벨트를 당겨 제1 연결흄관이 베이스 흄관에 결합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흄관을 연결한 후 제1 호크는 또 다른 제2 연결흄관에 설치하고, 베이스 흄관에 설치된 제2 호크는 연결 설치된 제1 연결흄관의 단턱부에 설치한 후 상기 시공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제3, 제4 연결흄관을 설치하는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2. 제1항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소켓콘크리트 흄관의 시공장치는,
    콘크리트 흄관의 몸통을 결합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제1 호크 및 제2 호크로이루어며, 상기 제1 호크는 한쌍의 상부 지지바와 한쌍의 하부 지지바가 제1 핀축, 제2 핀축 제3 핀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 지지바 하단은 한쌍의 거상호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제3 축핀을 회동되도록 연결하여 제1 연결흄관 또는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2, 제3, 제4 연결흄관을 한쌍의 거상 호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한쌍의 거상 호크 양측에는 당김 벨트 연결 걸고리가 형성되어 당김 벨트 일측 단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호크가 구성되며,
    제 2호크는 한쌍의 호크를 벌리고 오므릴 수 있도록 스크류 및 핸들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는 스크류 하우징에 끼워져 상단부는 핸들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회동되도록 제3 힌지부에 연결된 한쌍의 지지호크와 한쌍의 하부 지지바를 커버링한 고정브라켓 상면에 회전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한쌍의 하부 지지바는 일단이 한쌍의 지지호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바 상부 단부는 한쌍의 상부 지지바 하단과 제2 힌지부로 연결되고 상부 지지바 상단은 스크류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제1 힌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2호크는 한쌍의 지지호크 일면에 제1 가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 및 당김장치가 설치되어 베이스 흄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크 좌우 양측 일면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호크 양측과 연결되는 당김 벨트를 당길 수 있도록 연결고리를 갖는 당김 스크류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당김 스크류를 정역모터로 회전시켜 당김 스크류에 의해 당김 벨트를 당겨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흄관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제3 가이드부재에 당김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제2 가이드 부재, 제3 가이드 부재는 몸체 일측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콘크리트 흄관의 단턱부 후면에 걸려 지지되록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시공 장치.
  5.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장치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의 몸체 상면에 고정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 일측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된 당김 스크류가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당김 스크류 일측에는 상기 당김 스크류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역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시공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장치의 정역모터는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되, 케이스 상단부에 끼움부가 형성되어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3 가이드 부재의 말단부에 용착된 지지편 상단에 각각 걸쳐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일측에는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 상면에는 회동레버가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동레버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별도 설치된 당김 스위치에 의해 당겨지는 동시에 정역모터의 작동레버를 눌어 정역모터가 구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시공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크의 스크류는 스크류 하우징에 수직으로 끼워져 상단부는 핸들이 설치되고, 하단부는 제3 힌지부에 연결된 한쌍의 지지호크와 한쌍의 하부 지지바를 커버링한 고정 브라켓 상면에 회전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하우징 상부의 스크류에는 손잡이를 갖는 체결부재가 끼워져 지지호크가 콘크리트 흄관를 결합시 풀려 벌어지지 않도록 스크류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시공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흄관과 제1 연결흄관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당김 스크류에 의해 당겨지는 당김 벨트는 와이어, 로프, 체인 중 어느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시공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당김 장치의 정역모터 회전축 말단부는 육각형의 홈이 형성되고 당김 스크류의 단부에는 육각렌치와 같은 볼트 머리가 형성되어 작동시 당김 스크류의 육각 볼트머리가 정역 모터의 육각형 홈에 끼워져 정역 모터 축의 회전을 당김 스크류에 전달하여 당김 벨트를 당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시공 장치.
KR1020170133041A 2017-10-13 2017-10-13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846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41A KR101846792B1 (ko) 2017-10-13 2017-10-13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41A KR101846792B1 (ko) 2017-10-13 2017-10-13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792B1 true KR101846792B1 (ko) 2018-05-18

Family

ID=6245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41A KR101846792B1 (ko) 2017-10-13 2017-10-13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590B1 (ko) * 2019-10-11 2020-12-03 이양선 유로폼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590B1 (ko) * 2019-10-11 2020-12-03 이양선 유로폼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867B1 (ko) 캡 라이저를 구비한 파이프 부설기
EP2098767B1 (en) Device for assembling pipes
US7971917B2 (en) Apparatus for an automatic casing stabbing arm
JP5144376B2 (ja) 管体吊込み用把持装置
US7712726B1 (en) Machine for pulling wire through a conduit
JPH05248160A (ja) 把持組立体
US9899811B2 (en) Cable pullers
KR101132845B1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01846792B1 (ko) 하수관 연결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8930324A (zh) 一种市政道路下水道管道施工设备及方法
US6553694B2 (en) Winch attachment for backhoe machines
KR102085488B1 (ko) 플륨관 시공용 그리퍼
US8992125B2 (en) Trenchless ducting apparatus frame
KR100954499B1 (ko) 콘크리트관 이송 간이 호크의 연결장치
CN210887239U (zh) 一种市政管道沟槽支护结构
US6830235B2 (en) Hydraulic powered capstan attachment
CN108548027B (zh) 承插接头管道拼接装置
US2015035419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ulling pipe
JP4606064B2 (ja) 管路の敷設方法および装置
JP2002135932A (ja) 管接続装置および管接続方法
US8684634B2 (en) Worker's cage for excavation work
FR2682449A1 (fr) Appareil de manipulation et d'emboitement de tuyaux a partir d'une pelle hydraulique.
JPH0259354B2 (ko)
US6119910A (en) Pump puller
KR200261476Y1 (ko) 통신맨홀 내의 매장물 견인용 윈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