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507A -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507A
KR20100050507A KR1020107003379A KR20107003379A KR20100050507A KR 20100050507 A KR20100050507 A KR 20100050507A KR 1020107003379 A KR1020107003379 A KR 1020107003379A KR 20107003379 A KR20107003379 A KR 20107003379A KR 20100050507 A KR20100050507 A KR 20100050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channel
access channel
system bandwidth
shar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기시야마
켄이치 히구치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5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어느 UE로부터의 RACH와 다른 UE로부터의 PUSCH를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있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는, PUSCH에 부수하지 않는 PUCCH와 RACH가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된다.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는, PUSCH에 부수하지 않는 PUCCH와 RACH가 시간 분할 다중되고, 그 RACH는, ACK/NACK를 기지국장치에 피드백하는 것을 요하지 않는 BCH 등의 기간에 전송된다. 혹은, PUSCH에 부수하지 않는 PUCCH와 RACH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나, 그 RACH의 대역폭은,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 차지하는 RACH의 대역폭보다 좁게 설정되어도 좋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METHOD}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드밴드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 방식,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방식,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 방식 등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이,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에서 검토되고 있다. LTE에서의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이,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싱글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유망시되고 있다.
OFDM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여,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방식이다.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축 상에 직교시키면서 촘촘히 나열함으로써 고속 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리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SC-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싱글캐리어 전송방식이다. 단말간의 간섭을 간이하고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송신전력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방식은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커버리지의 확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앙방에 있어서, 유저장치(User Equipment)(전형적으로는 이동국이지만, 고정국이어도 좋다)에 하나 이상의 리소스블록을 할당함으로써 통신이 수행된다. 리소스블록은 시스템 내의 다수의 이동국에서 공유된다. 기지국장치는, LTE에서는 1ms인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어느 이동국에 리소스블록을 할당할지를 결정한다. 이 프로세스는 스케줄링(scheduling)이라 불린다. 서브프레임은, 송신시간간격(TTI)이라 불려도 좋다.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는 스케줄링에서 선택된 이동국 앞으로, 1이상의 리소스블록에서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스케줄링에서 선택된 이동국이,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1이상의 리소스블록에서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그런데, 유저장치는, 초기 액세스의 경우(예를 들면, 전원투입시), 리소스의 할당을 요구하는 경우, 동기의 재확립을 요하는 등의 경우(예를 들면, 핸드오버에 실패했을 때)에, 기지국장치에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을 송신한다. 기지국장치는 이 랜덤 액세스 채널을 수신하고, 이후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유저장치에 통지한다. LTE 그 밖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도 이와 같은 RACH를 이용하는 것이 예상된다. LTE 등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시스템 대역폭이 가변이며, 예를 들면 1.4MHz, 5MHz, 10MHz, 20MHz 등과 같이 변화할지도 모른다. 초기 액세스시에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해도 좋은 타이밍이 주기적으로 찾아오도록 한 종래기술은, 예를 들면 3GPP, TS25.214에 기재되어 있다. 3GPP, TS25.214에서의 시스템 대역폭은, LTE 등과 같이 가변이 아니라, 랜덤 액세스 채널은 전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송신되는데 지나지 않는다. 또, 신호품질을 향상시키는 등의 관점에서, RACH는 다른 신호와 직교 다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부호다중분할(CDM) 방식을 전제로 하는 종래의 시스템과 크게 다르다. 지금, LTE 등과 같이 시스템 대역폭이 가변인 경우에 RACH를 어떻게 송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되어 있지 않는 듯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ACH와 다른 상향신호가 어떻게 직교 다중되어 있는지를 유저에 간이하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사용된다.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있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는,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된다.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없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는,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시간 분할 다중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은,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기지국장치에 피드백(feedback)하는 것을 요하지 않는 하향신호가 전송되는 기간에 전송되어도 좋다. 혹은,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은,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보다 좁게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ACH와 다른 상향신호가 어떻게 직교 다중되어 있는지를 유저에 간이하게 통지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시스템 대역폭의 광협에 따른 RACH의 맵핑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최소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의 RACH의 다중법(그 1)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최소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의 RACH의 다중법(그 2)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경우의 RACH의 다중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RACH가 맵핑되는 주파수가 홉핑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RACH를 맵핑해도 좋은 주파수의 선택지(options)가, 넓은 시스템 대역이 될수록 많이 마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인접하는 셀에서 사용되는 홉핑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RACH를 맵핑해도 좋은 주파수의 선택지 및 송신빈도가, 넓은 시스템 대역이 될수록 많이 마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시스템 대역폭이 충분히 넓은 셀에서는,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PDSCH)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PUCCH)과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된다. 시스템 대역폭이 그다지 넓지 않는 셀(특히, 최소 대역폭의 셀)에서는,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PUSCH)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PUCCH)과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이 시간 분할 다중(TDM)된다.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은,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ACK/NACK)를 기지국장치(eNB)로 피드백하는 것을 요하지 않는 하향신호(BCH나 PCH 등)가 전송되는 기간에 전송되어도 좋다. 혹은,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PUSCH)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PUCCH)과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이 주파수 분할 다중(FDM)되고,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예를 들면, 4RB분의 대역폭)은,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예를 들면, 6RB분의 대역폭)보다 좁게 설정된다. 시스템 대역폭의 광협에 따라서 RACH의 다중법을 미리 결정해 둠으로써, RACH에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유저에 간이하게 통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RACH의 전송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에, RACH와 PUCCH가 TDM됨으로써, RACH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넓은채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것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한 품질개선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에, RACH와 PUCCH를 FDM으로 하는 것은, RACH를 언제라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PUCCH)이 차지하는 대역폭의 최대값이, 시스템 대역폭의 넓이에 따라서 미리 정해져 있어도 좋다.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은, 상기 상향 제어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대역 이외의 대역에밖에 맵핑되지 않는다. 이것은, RACH가 맵핑되는 주파수가 일의적으로 한정되어, 유저로의 시그널링을 줄이는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소정의 홉핑 주기 안에서, 어느 서브프레임에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와,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가 달라도 좋다. 주파수 리소스를 바꾸는 것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신호처리의 간이화의 관점에서는, 소정의 빈도로 전송되는 하향신호 각각에, 다른 스크램블 부호가 소정의 기간 안에서 순회식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홉핑 주기가 상기 소정의 기간에 동등하게 맞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 리소스는, 시스템 대역폭이 넓을수록 많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홉핑 패턴을 간이하게 특정하고 또 복수의 셀에서 동시에 가능한 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홉핑 주기 안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 및 시간의 어느 셀에서의 패턴은, 다른 셀에서의 패턴을 순회 시프트량만큼 시간적으로 옮긴 것으로 해도 좋다.
홉핑 패턴을 간이하게 특정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홉핑 주기 안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 및 시간의 패턴과, 시스템 대역폭과, 상기 순회 시프트량(cyclic shift amounts)과의 사이의 소정의 대응관계가 사전에 기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RACH에 이용가능한 리소스(resource)를 간이하게 유저(user)에 통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홉핑주기(hopping period) 안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이 맵핑되어도 좋은 서브프레임 수 및 상기 순회 시프트량이 알림정보(broadcast information)로서 유저에 통지되어도 좋다.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LTE(Evolved UTRA and UTRAN 또는 Super 3G이어도 좋다)가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은, 복수의 기지국장치(eNB:eNode B)(200)와, 기지국장치(200)와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국(100n(1001, 1002, 1003, …100n, n은 양의 정수))을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1, 2002) 등은,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이동국(100n)은 셀(501)에서는 기지국장치(2001)와, 셀(502)에서는 기지국장치(2002)와 통신을 수행한다.
각 이동국(1001, 1002, 1003, …100n)은,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이동국(100n)으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것은 이동국이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단말도 고정단말도 포함하는 유저장치(UE:User Equipment)이어도 좋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에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캐리어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LTE 등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서 개설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또는 하향 L1/L2 제어채널)이 이용된다.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등),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그 유저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 등이 전송된다.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공통 제어 물리 채널(CCPCH: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이 송신된다. CCPCH는 알림채널(BCH:Broadcast Channel)이 포함된다. CCPCH에 의해 송신되는 알림채널은 정적인 알림채널이라 불린다. 정적인 알림채널과는 별도로, 동적인 알림채널(Dynamic part)도 존재한다. 동적인 알림채널은, PDSCH에 맵핑된다. 이 경우, 하향 물리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동적인 알림채널을 위한 하향 스케줄링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알림채널에는 알림정보가 맵핑된다. 이 경우, CCPCH나 PDSCH가 물리채널에 상당하고, BCH가 트랜스포트 채널에 상당하고, 알림정보가 논리채널에 상당한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이 이용된다.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은,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PUSCH)에 부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부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의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 등이 전용 대역에서 PUCCH로서 전송된다. 전용 대역은 전형적으로는 시스템 대역의 양단에 확보된다. CQI는,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 물리 채널의 스케줄링 처리나 적응 변복조 및 부호화 처리(AMCS: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등에 사용된다. 송달확인정보의 내용은, 송신신호가 적절히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긍정응답(ACK:Acknowledgement) 또는 그것이 적절히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정응답(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의 어느 하나로 표현된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의 시스템 대역폭은 최대 예를 들면 20MHz이며, 셀마다 다양한 시스템 대역폭이 사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어느 셀의 시스템 대역폭은, 1.4MHz, 5MHz, 10MHz 또는 20MHz와 같은 대역폭일지도 모른다.
도 2는, 도 3 이후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시스템 대역폭의 광협에 따라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의 맵핑방법이 바뀌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RACH는 원칙적으로 6리소스블록(RB) 정도의 대역을 차지하는 것으로 한다(RACH가 RB를 4개 또는 5개밖에 차지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그것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1리소스블록이 180kHz라고 하면, 6리소스블록은 1.08MHz의 대역폭을 차지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시스템 대역폭의 최소값은 1.4MHz였으나, 이것은 6리소스블록에 더하여 대역외 복사(輻射)(out-of-band distortion power)에 구비한 가드 구간(guard interval)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최소 시스템 대역폭의 셀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최대 6개의 리소스블록밖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소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에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RACH가 송신되는 경우, RACH는 시스템 대역 전역을 차지한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경우, RACH는 다른 신호와 주파수 다중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RACH가 맵핑되는 주파수는, 어떠한 패턴에 따라서 홉핑해도 좋다.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의 다중법>
도 3은, 도 2(a)와 같이, 시스템 대역폭이 6 리소스블록밖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RACH 및 다른 신호가 어떻게 다중되는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기지국장치가 상향링크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는, RACH는 어느 서브프레임의 대역 전역(시스템 프레임 전역)을 차지한다. RACH와 RACH 이외의 신호는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다중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RACH 이외의 서브프레임에 상향 물리 제어채널(PUCCH)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상향 물리 공유채널(PUSCH)에 부수하는 PUCCH(상향 L1/L2 제어채널 등)는, PUSCH(구체적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서브프레임 내의 여백의 부분에 상당한다)와 시간분할다중(TDM)된다. 상향 물리 공유채널(PUSCH)에 부수하지 않는 PUCCH(ACK/NACK, CQI 등)는, 시스템 대역 양단에 전용으로 확보된 대역폭에서 전송된다.
그런데,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신호 중에는, 송달확인신호(ACK/NACK)가 상향링크에서 피드백되는 것을 예정하고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전자는 PDSCH 등이고, 후자는 예를 들면 알림채널(BCH)이나 페이징채널(PCH) 등이다. 만일 RACH를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타이밍이, 송달확인신호의 피드백을 기대하고 있는 하향신호의 타이밍에 일치하고 있었다고 하면, 유저장치는 그 하향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신호를 나중에 송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TDM 방식으로 RACH와 다른 신호가 다중되는 경우, RACH를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타이밍이, 송달확인신호의 피드백을 기대하고 있지 않는 하향신호(BCH, PCH 등)의 타이밍에 맞출 필요가 있다.
도 4는 도 2(a)와 같이, 시스템 대역폭이 6 리소스블록밖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RACH 및 다른 신호가 어떻게 다중되는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는, RACH가 차지하는 대역폭은, 6 리소스블록에서 4 또는 5 리소스블록으로 줄어든다. 그리고, PUSCH에 부수하지 않는 PUCCH와 RACH가 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분할 다중방식으로 다중된다. 시스템 대역폭이 최소의 것인지 여부에 따라서, RACH가 차지하는 대역폭이 6RB인지, 6보다 적은 RB인지가 나뉘어 사용되어도 좋다. 혹은, 모든 셀에서 RACH가 6보다 적은 RB를 차지하는 것으로 하고(예를 들면, 4RB), 어느 시스템 대역폭이라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PUCCH와 RACH가 주파수분할 다중방식으로 다중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3과 같이 RACH의 대역폭을 넓게 6RB로 하는 것은, 시스템 대역폭에 관계없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확보하고, RACH의 품질을 보증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시스템 대역폭이 6RB인 경우에 RACH의 대역폭을 6RB보다 적게하는 것은, RACH를 언제든지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3의 경우에는 RACH의 송신타이밍을 BCH, PCH 등의 타이밍에 맞출 필요가 있다.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경우의 다중법>
도 5는 시스템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보다 넓은 경우의 RACH의 다중법을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RACH와 RACH 이외의 신호가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분할 다중방식으로 다중된다. 상향 물리 공유채널(PUSCH)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물리 제어채널(PUCCH)이 차지하는 대역폭은, 유저 수에 따라서 가변으로 제어되어도 좋으며, 혹은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서 달라도 좋다. RACH의 맵핑 위치가 유저 수 등에 따라서 바뀌는 것은, 제어 시그널링을 가능한 한 줄이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PUCCH가 결코 맵핑되지 않는 주파수에 RACH가 맵핑되도록, RACH의 맵핑 위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PUCCH가 맵핑되는 대역폭의 최대값이 시스템 대역마다 미리 결정되어 있고, PUCCH가 결코 맵핑되지 않는 주파수에, RACH가 맵핑되도록 해도 좋다.
<홉핑(그 1)>
시스템 대역폭이 최소 대역폭보다 넓은 경우, RACH가 맵핑되는 주파수는 서브프레임에 관계없이 같게 유지되어도 좋다. 그러나,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는, RACH를 맵핑해도 좋은 주파수가 다양하게 홉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RACH가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로서 A, B, C, D의 4종류가 마련되고, 시간경과의 순으로 D, C, A, B의 주파수에 RACH가 맵핑되어도 좋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안에서 RACH는 6개의 리소스블록을 차지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이와 같은 주파수 홉핑 패턴이 어느 RACH 반복 주기마다 반복된다. 일 예로서, RACH 반복 주기는, 1ms의 서브프레임을 10개 포함하는 무선프레임을 4개 포함하는 40ms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알림채널(BCH)의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RACH의 송신 타이밍을 산출하도록 하는 관점에서는, RACH 반복 주기를, 알림정보(BCH)의 전송주기(예를 들면, 40ms)에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CH나 DL-RS는, 소정의 빈도로 전송되고 그리고 다른 스크램블 부호가 BCH 등에 순회식으로 적용되므로, 그들 다른 스크램블 부호가 일순하는 주기와 상기 RACH 반복 주기가 같게 일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RACH 반복 주기를, BCH 등의 전송주기, 스크램블 부호가 일순하는 주기 등에 일치시키는 것은, RACH의 송신 타이밍을 간이하고 또 정확하게 찾아내는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홉핑(그 2)>
도 7은 RACH를 맵핑해도 좋은 주파수의 선택지가, 넓은 시스템 대역이 될수록 많이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필수는 아니나, 도시된 예에서는 RACH의 송신빈도는 시스템 대역의 광협에 관계없이 동등하다. 5 서브프레임당 1회의 비율로, RACH가 송신되어도 좋다. 단, 5MHz의 경우, RACH의 주파수의 선택지는 2개 있고(A, B), 40MHz의 경우는 4개 있다(A-D). 이와 같이 RACH의 송신빈도를 시스템 대역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하는 것은, RACH의 다중법에 관한 제어정보를, 다양한 셀에서 가능한 공통화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홉핑(그 3)>
복수의 셀에서 같은 주파수로(또는 같은 홉핑 패턴으로) RACH가 송신되어도 좋도록 하는 것은, 셀 경계 부근의 유저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도 8은, 서로 순회 시프트한 홉핑 패턴이 인접하는 셀에서 사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인접하는 셀 1에서도 셀 2에서도 시간경과의 순으로, ..., A, C, B, D, A, C, ...의 주파수에 RACH가 맵핑되어도 좋다. 단, 셀 1에서의 패턴은 A부터 시작하나, 셀 2에서의 패턴은 D부터 시작한다. 셀 1과 셀 2는 동기하고 있어도 하고 있지 않아도 좋으나, 도시와 같이 의도적으로 패턴을 어긋나게 두는 것은, 주파수의 충돌을 가능한 피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홉핑(그 4)>
도 9는, 도 7에 도시되는 주파수의 선택지에 더하여, RACH의 송신빈도도 다른 상태를 나타낸다. 이 설명에 있어서의 '송신빈도'란 실제로 송신되는 빈도가 아니라, RACH가 맵핑되어도 좋은 리소스가 찾아오는 빈도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그 빈도로 RACH가 실제로 송신될지도 모르고,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a)에 도시되는 예에서의 송신빈도는, 반복주기당 2회이다. (b)에 도시되는 예에서의 송신빈도는, 반복주기당 4회이다. (c)에 도시되는 예에서의 송신빈도는, 반복주기당 8회이다. RACH가 맵핑되어도 좋은 리소스가 이와 같이 마련되는 경우, RACH의 홉핑 패턴은, 시스템 대역폭 및 송신빈도에 기초하여 도출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알림정보(BCH)로 시스템 대역폭 및 송신빈도를 유저에 통지하면, 유저는 RACH를 송신해도 좋은 리소스를 간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 및 송신빈도뿐만 아니라 다른 어떠한 제어정보(예를 들면, 1비트의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RACH의 홉핑 패턴이 일의적으로 특정되어도 좋다.
<유저장치>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0에는 RACH 계열 생성부(102), 송신 서브프레임 제어부(104), 주파수 시프트부(106) 및 무선부(108)가 도시되어 있다.
RACH 계열 생성부(102)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에 포함되는 정보를 마련한다. 초기 액세스, 리소스 할당요구, 동기확립요구 등의 RACH의 목적에 따라서 필요한 정보가 마련된다.
송신 서브프레임 제어부(104)는, RACH를 송신해도 좋은 서브프레임이 어느 타이밍인지를 특정하고, RACH를 그 서브프레임에 대응짓는다. RACH를 송신해도 좋은 서브프레임은, 알림정보(BCH)로부터 판정된다. 알림정보(BCH)에는 재권 셀의 다수의 유저에 공통되는 일반적인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재권 셀의 시스템 대역폭, 순회 시프트량, 빈도 등에 관한 정보가 알림정보(BCH)에 포함된다.
주파수 시프트부(106)는, RACH를 송신해도 좋은 주파수에 RACH를 맵핑한다. RACH를 송신해도 좋은 주파수는, 예를 들면, 주파수 홉핑 패턴이나, PUCCH가 맵핑되는 대역이 어떠한지를 특정함으로써 결정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와 같은 주파수 홉핑 패턴은, 시스템 대역폭 및 순회 시프트량 등에 기초하여 도출되어도 좋다.
무선부(108)는, RACH를 무선신호로서 송신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기지국장치>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1에는 RACH 슬롯 제어부(111), BCH 정보 생성부(112), 무선부(113), FFT부(114), RACH 리소스 특정부(115) 및 RACH 검출부(116)가 도시되어 있다.
RACH 슬롯 제어부(111)는, 자 셀 내의 유저장치가 RACH를 어떤식으로 송신해도 좋은지를 결정한다(구체적으로는, RACH를 송신해도 좋은 주파수 및 시간의 리소스를 특정한다.). 결정되는 내용은 시스템에 고정적이어도 좋으며, 상황에 따라서 가변으로 제어되어도 좋다. RACH 슬롯 제어부(111)는, 예를 들면, RACH용의 주파수 리소스의 홉핑 패턴, 홉핑 패턴의 순회 시프트량, RACH를 송신해도 좋은 빈도를 결정해도 좋다. 이들의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수용하는 유저 수, 인접 셀의 홉핑 패턴, PUSCH에 부수하지 않는 PUCCH의 최대 대역폭 등을 가미하여 도출되어도 좋다.
BCH 정보 생성부(112)는, RACH에 사용가능한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RACH용의 주파수 리소스의 홉핑 패턴, 홉핑 패턴의 순회 시프트량, RACH를 송신해도 좋은 빈도 등)를 알림정보에 포함시킨다. 알림정보에는 셀 ID 등과 같은 다른 일반적인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무선부(113)는 기지국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베이스밴드 신호와, 유저장치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무선신호와의 사이의 신호변환을 수행한다.
FFT부(114)는 수신신호를 푸리에 변환하고,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기지의 맵핑이 수행되고 있던 경우에는, 그것에 대응하는 디맵핑(demapping)도 수행된다.
RACH 리소스 특정부(115)는, RACH가 송신되고 있을지도 모르는 리소스를 특정한다. 그 리소스의 장소(시간, 주파수)는, RACH 슬롯 제어부(111)에서 결정된 것이다.
RACH 검출부(116)는, RACH 리소스 특정부(115)에서 특정된 리소스에 RACH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RACH가 포함되어 있던 경우에는, 그 RACH의 목적(초기 액세스, 리소스 할당, 동기 등)에 따라서 유저장치에 필요한 제어정보가 통지된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설명내용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또는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 또는 구분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서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8월 14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21159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501, 502
1001, 1002, 1003, 100n 이동국
2001, 2002 기지국장치
300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400 코어 네트워크
102 RACH 계열 생성부
104 송신 서브프레임 제어부
106 주파수 시프트부
108 무선부
111 RACH 슬롯 제어부
112 BCH 정보 생성부
113 무선부
114 FFT부
115 RACH 리소스 특정부
116 RACH 검출부

Claims (18)

  1.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있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는,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없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는,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시간 분할 다중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은,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기지국장치에 피드백하는 것을 요하지 않는 하향신호가 전송되는 기간에 전송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신호에 랜덤 액세스 채널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한 유저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없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시간 분할 다중된 신호가 상향링크에서 수신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은,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기지국장치에 피드백하는 것을 요하지 않는 하향신호가 전송되는 기간에 전송되는 기지국장치.
  3.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알림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알림정보로부터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해도 좋은 리소스를 확인하는 수단;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없을 정도로 재권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시간 분할 다중된 신호가 상향링크에서 송신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은,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기지국장치에 피드백하는 것을 요하지 않는 하향신호가 전송되는 기간에 전송되는 유저장치.
  4.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해도 좋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단계;
    랜덤 액세스 채널이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가지며,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없을 정도로 재권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시간 분할 다중된 신호가 상향링크에서 전송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은,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를 기지국장치에 피드백하는 것을 요하지 않는 하향신호가 전송되는 기간에 전송되는 방법.
  5.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있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는,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없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는,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은,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보다 좁은 이동통신시스템.
  6.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신호에 랜덤 액세스 채널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한 유저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없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주파수 분할 다중된 신호가 상향링크에서 수신되고,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은,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보다 좁은 기지국장치.
  7.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알림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알림정보로부터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해도 좋은 리소스를 확인하는 수단;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없을 정도로 재권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주파수 분할 다중된 신호가 상향링크에서 송신되고,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은,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보다 좁은 유저장치.
  8.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해도 좋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단계;
    랜덤 액세스 채널이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가지며,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없을 정도로 재권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주파수 분할 다중된 신호가 상향링크에서 전송되고,
    시스템 대역폭이 좁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은,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셀에서 차지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대역폭보다 좁은 방법.
  9.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신호에 랜덤 액세스 채널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한 유저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있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기지국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이 차지하는 대역폭의 최대값이, 시스템 대역폭의 넓이에 따라서 미리 결정되어 있고,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은, 상기 상향 제어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대역 이외의 대역에밖에 맵핑되지 않는 기지국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소정의 홉핑 주기 안에서, 어느 서브프레임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와,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가 다른 기지국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소정의 빈도로 전송되는 하향신호 각각에, 다른 스크램블 부호가 소정의 기간 안에서 순회식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홉핑 주기가 상기 소정의 기간과 동등한 기지국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 리소스가, 시스템 대역폭이 넓을수록 많이 마련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주기 안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 및 시간의 어느 셀에서의 패턴은, 다른 셀에서의 패턴을 순회 시프트량만큼 시간적으로 옮긴 것과 동등한 기지국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주기 안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주파수 및 시간의 패턴과, 시스템 대역폭과, 상기 순회 시프트량과의 사이의 소정의 대응관계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주기 안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 맵핑되어도 좋은 서브프레임 수 및 상기 순회 시프트량이 알림정보로서 유저에 통지되는 기지국장치.
  17.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알림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알림정보로부터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해도 좋은 리소스를 확인하는 수단;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있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된 신호가 송신되는 유저장치.
  18. 시스템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해도 좋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단계;
    랜덤 액세스 채널이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가지며,
    어느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과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을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할 수 있을 정도로 시스템 대역폭이 넓은 경우, 상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지 않는 상향 제어 채널과 랜덤 액세스 채널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된 신호가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방법.





KR1020107003379A 2007-08-14 2008-08-12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KR20100050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11594 2007-08-14
JP2007211594A JP5038060B2 (ja) 2007-08-14 2007-08-14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507A true KR20100050507A (ko) 2010-05-13

Family

ID=4035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379A KR20100050507A (ko) 2007-08-14 2008-08-12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11026B2 (ko)
EP (1) EP2180730A1 (ko)
JP (1) JP5038060B2 (ko)
KR (1) KR20100050507A (ko)
CN (1) CN101822117B (ko)
WO (1) WO200902269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216A3 (ko) * 2010-07-26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011775A3 (ko) * 2010-07-22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2111937A2 (ko) * 2011-02-14 2012-08-23 (주)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참조신호 할당방법과 할당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참조신호 수신방법과 장치
WO2012128456A2 (ko) * 2011-01-14 2012-09-27 (주)팬택 이종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참조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689846B1 (ko) * 2015-07-14 2016-12-26 콘텔라 주식회사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1122A1 (de) * 2008-02-26 2009-09-03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und System zur Bandbreitendetektion
WO2010002301A1 (en) * 2008-07-02 2010-01-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automatic tuning of the rach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2731001C (en) 2008-07-18 2018-01-09 Amerigon Incorporated Climate controlled bed assembly
US8842608B2 (en) * 2008-09-22 2014-09-23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761059B2 (en) * 2008-10-10 2014-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relay node-specific control channel
EP2406999A2 (en) * 2009-03-12 2012-0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reselecting an uplink primary carrier
US8797942B2 (en) * 2009-09-25 2014-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with full coverage on selected resources
KR101285398B1 (ko) 2010-09-08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8670410B2 (en) * 2010-09-17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mapping for carrier aggregation
CN105846963B (zh) * 2010-11-02 2020-01-1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接收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EP3687090B1 (en) 2010-11-02 2022-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25411B2 (en) 2010-12-02 2016-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CK/NACK in TD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693996B2 (ja) * 2011-02-23 2015-04-01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周波数帯域共用方法
US9232540B2 (en) 2011-09-30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channel design for narrow bandwidth operation in a wide bandwidth system
CN102790665A (zh) * 2012-03-13 2012-1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ck/nack信息的发送系统、发送方法及资源配置方法和基站
US20150195854A1 (en) 2012-07-03 2015-07-09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ntion based transmission
CN104756562B (zh) 2012-11-01 2019-06-14 索尼公司 通信控制装置、程序、通信控制方法和终端装置
US20140169325A1 (en) * 2012-12-14 2014-06-19 Nokia Siemens Networks Oy Carrier deployment method for reduced bandwidth mtc devices
US9392622B2 (en) * 2013-05-14 2016-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radio access network
KR20220104072A (ko) 2015-07-27 2022-07-2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Nb lte prach 설계
KR20170033198A (ko) * 2015-09-16 2017-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장치
KR102017608B1 (ko) * 2015-12-08 2019-09-0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 디바이스
US10334633B2 (en) * 2016-01-07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Narrow 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frequency hopping patterns and detection schemes
DE102016220883A1 (de) 2016-10-24 2018-04-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Optimierte Kombination aus Präambel und Datenfeldern für Sensornetzwerke mit geringem Stromverbrauch auf Basis des Telegram Splitting Verfahrens
DE102016220882A1 (de) * 2016-10-24 2018-04-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Optimierte Sprungmuster für verschiedene Sensorknoten und variable Datenlängen auf Basis des Telegram Splitting Übertragungsverfahrens
CN110234129B (zh) * 2019-06-12 2021-08-17 东北大学 一种NB-IoT网络中终端重传次数优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5752C2 (sv) * 1995-08-28 2001-10-08 Telia Ab Direktåtkomst i OFDM-system
CN1549610A (zh) * 2003-05-09 2004-11-2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公共接入信道中提供多级接入服务的方法
CN101300756B (zh) * 2005-11-04 2016-01-20 Lg电子株式会社 用于频分复用接入系统的随机接入确定方法
US8559362B2 (en) * 2005-11-04 2013-10-15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channel hopping fo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systems
KR100998550B1 (ko) * 2006-05-09 2010-12-07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Ofdm-mimo 시스템을 위한 랜덤 액세스 채널
JP5091942B2 (ja) * 2007-02-28 2012-12-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283423B2 (ja) * 2008-05-02 2013-09-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775A3 (ko) * 2010-07-22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9030957B2 (en) 2010-07-22 2015-05-1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ultiple carrier system
WO2012015216A3 (ko) * 2010-07-26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084243B2 (en) 2010-07-26 2015-07-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WO2012128456A2 (ko) * 2011-01-14 2012-09-27 (주)팬택 이종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참조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2128456A3 (ko) * 2011-01-14 2012-10-18 (주)팬택 이종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참조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2111937A2 (ko) * 2011-02-14 2012-08-23 (주)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참조신호 할당방법과 할당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참조신호 수신방법과 장치
WO2012111937A3 (ko) * 2011-02-14 2012-11-01 (주)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참조신호 할당방법과 할당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참조신호 수신방법과 장치
KR101689846B1 (ko) * 2015-07-14 2016-12-26 콘텔라 주식회사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38060B2 (ja) 2012-10-03
JP2009049538A (ja) 2009-03-05
WO2009022696A1 (ja) 2009-02-19
CN101822117A (zh) 2010-09-01
CN101822117B (zh) 2013-05-22
EP2180730A1 (en) 2010-04-28
US8311026B2 (en) 2012-11-13
US20120002613A1 (en)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806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KR101380558B1 (ko) 사운딩 기준신호의 전송방법
US9848410B2 (e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mapping according to comb configuration
CN110214466B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和集成电路
US987661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0956828B1 (ko) 반(半)-지속적 스케줄링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4358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601637B2 (ja) 移動局、送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RU2461992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US201802495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nb-iot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507230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EP2129159A1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JP2016136733A (ja) アップリンク基準信号の特徴を向上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4001045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9011338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장치, 유저 장치 및 방법
JP2012005035A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12080328A (ja) 移動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6128692B2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510733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及び方法
JP5856191B2 (ja) アップリンク基準信号の特徴を向上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1249984A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4755297B2 (ja) 基地局装置及び送信方法
JP5066236B2 (ja) 基地局装置、及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