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846B1 -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846B1
KR101689846B1 KR1020150099700A KR20150099700A KR101689846B1 KR 101689846 B1 KR101689846 B1 KR 101689846B1 KR 1020150099700 A KR1020150099700 A KR 1020150099700A KR 20150099700 A KR20150099700 A KR 20150099700A KR 101689846 B1 KR101689846 B1 KR 10168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ffic
signal
remote
r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혁
오태열
Original Assignee
콘텔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텔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텔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9Arrangements for range control, e.g. by using remote antennas

Abstract

개별 리모트 유닛의 이상 발생을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DAS는 하위에 연결된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Remort Unit) 및 허브유닛(Hub Unit)을 경유하는 업링크(Uplink)를 통해 올라오는 단말기의 RACH(Random Access Channel)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리모트 유닛 또는 허브 유닛 단위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DAS Capable of Detecting Traffic and the Traffic Analyzing Method}
본 발명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에 연결된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Remort Unit)에서 업링크(Uplink)를 통해 올라오는 단말기의 RACH(Random Access Channel) 신호를 획득하고 분석함으로써 개별 리모트 유닛의 트래픽 추이 및 이상 발생을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이하, 간단히 'DAS'라 함)은 기지국(Node B)과 단말기(UE)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신호의 열화를 최소화로 하면서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신호를 중계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현대 이동통신 시장에서는 인빌딩의 망 품질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고, DAS는 인빌딩 망 솔루션에 중요한 솔루션이 되고 있다. DAS는 신호 중계라는 관점에서는 강력한 솔루션인데 반해, 자신의 신호가 서비스되고 있는 커버리지의 상태에 대해서는 거의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자신의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 수, 단말기들의 신호 품질들에 대한 부분은 DAS의 주요한 관심사항이 아니었고,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기도 쉽지 않았다.
DAS를 구성하는 개별 단위 장비에서 수행되는 각종 이상 감시나 상태 체크도, DAS가 서비스하고 있는 망에 대한 것이 아니라, DAS 장비 자체(전원 이상 등)에 대한 상태 감시 위주로 되어 있다.
최근 인빌딩(In-Building) 국소에 설치된 DAS를 중심으로 서비스 안테나를 내장 또는 외장한 리모트 유닛(RU: Remote Unit)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 것과 함께, DAS에 대한 새로운 고려사항이 제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인빌딩국소에 설치되는 DAS(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DAS(100)는 빌딩 내의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Node-B)과 연결된다.
DAS(100)에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메인 유닛(DU: Donor Unit)(11)과, 인빌딩 내의 커버리지 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21~27)과, 메인 유닛(11)과 리모트 유닛(21~27)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허브 유닛(HU: Hub Unit)(13, 15)을 구비한다. 이때, 허브 유닛(13, 15)가 생략된 형태도 가능하다. 인빌딩국소의 경우, 빌딩 단위로 하나의 메인 유닛(11)이 배치되고, 해당 빌딩의 각 층 또는 복수 층별로 허브 유닛(13, 15)이 배치되고, 각 허브 유닛(13, 15)에 다시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21~27)가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빌딩의 트래픽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사업자들은 인빌딩 망 상태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파악하고, 능동적으로 대응을 해야 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이는 인빌딩 망 투자의 CAPEX와 OPEX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인빌딩 망의 강력한 솔루션인 DAS는 앞서 기술하였듯이 트래픽 사용량 분포 및 추이로 대변되는 인빌딩 망 상태에 대한 파악이 어렵다. 인빌딩 망의 트래픽 사용량 분포 및 추이를 파악/추정 할 수 있다면, 인빌딩 망 투자의 최적화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나의 리모트 유닛만 가지고 있는 DAS는 해당 DAS를 통한 트래픽을 기지국 단계에서 검출할 수 있으므로 문제되지 않지만, 도 1처럼 다수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하나의 메인 유닛으로 집중되는 형태의 DAS(100)는 트래픽 관련 망 서비스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어느 리모트 유닛에서 문제가 있는지 판단하기 곤란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이 하나의 메인 유닛에 연결되기 때문에, 하나의 리모트 유닛에서 이상이 발행하면 전체 DAS 커버리지에 영향을 주는데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리모트 유닛에서 문제가 발생한건지 파악하기 힘들었던 것이다. 물론 전원 이상이나 각종 디지털 보드(Board)의 이상과 같은 자체 감시 방법에 의해 걸러지는 문제는 확인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자체 감시항목으로 검출되지 않는 요인에 의한 트래픽 이상이나 망 서비스 이상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확인도 어렵고 당연히 즉각적인 조치를 강구할 수도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DAS에 연결된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RU: Remort Unit) 및 허브유닛(HU: Hub Unit) 단에서 업링크(Uplink)를 통해 올라오는 단말기의 RACH(Random Access Channel)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인빌딩 망내 트래픽 분석 및 추이를 파악하고 추정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안테나시스템은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 유닛과, 상기 메인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허브 유닛과, 상기 허브 유닛에 연결된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을 구비한다. 나아가, 분산안테나시스템은 신호추출부와 트래픽분석부를 포함한다.
신호추출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업링크 RACH(Random Access Channel) 신호를 파악할 수 있는 사전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업링크 신호 각각으로부터 RACH 신호를 검출한다. 트래픽분석부는 상기 신호추출부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RACH 신호를 검출한 횟수를 상기 리모트 유닛별로 계산한다. 이를 바탕으로 총 트래픽 발생량과 비례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전체 인빌딩 망에서 트래픽 분포를 측정/추정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이렇게 측정/ 추정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인빌딩 망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트래픽분석부는 상기 리모트 유닛별로 기 설정된 관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 리모트 유닛의 트래픽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리모트 유닛별로 기 설정된 관제 범위는 해당 리모트 유닛의 업링크 신호로부터 획득한 RACH 신호의 평균 검출횟수를 기초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추출부와 트래픽분석부는 상기 허브 유닛에 함께 설치되거나 리모트 유닛에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다른 방법으로 상기 신호추출부는 상기 리모트 유닛마다 혹은 허브 유닛마다 설치되고 상기 트래픽분석부는 상기 메인 유닛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안테나시스템(DAS)은 분산형 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하위에 연결된 허브 유닛 또는 개별 리모트 유닛 단위에서의 트래픽 분포를 측정/추정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인빌딩 망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상이 있는 장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수행하는 트래픽 분석은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트래픽을 측정/추정하는 것이므로, 인빌딩 망내 트래픽의 분포 및 추이를 측정/추정할 수 있고, 통상의 리모트 유닛, 허브 유닛 또는 메인 유닛 자체의 동작 감지 기능이 검출하지 못하는 망 불능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소형셀 내부의 트래픽 분포 및 추이를 측정/추정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산안테나시스템은 리모트 유닛 또는 허브 유닛을 통해 올라오는 단말기 트래픽의 양을 측정하고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산안테나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산안테나시스템의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업링크 RACH 획득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산안테나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은 기지국(Node-B)과 복수 개의 단말기(UE) 사이의 연결을 중개하며,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는 도 1의 DAS(100)와 동일하다. 하나의 메인 유닛에는 적어도 하나의 허브 유닛이 연결되고 각 허브 유닛에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유닛이 연결됨으로써, 분산안테나시스템(이하, 간단히 'DAS'라 함)에는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이 연결된다.
도 2의 예는 메인 유닛(201)에 제1 허브 유닛(210-1)과 제2 허브 유닛(210-2)이 연결되고, 제1 허브 유닛(210-1)에는 제1 리모트 유닛(231)과 제2 리모트 유닛(233)이 연결되며, 제2 허브 유닛(210-2)에는 제3 리모트 유닛(235)과 제4 리모트 유닛(237)이 연결되어 있다.
메인 유닛(201), 허브 유닛(210-1, 210-2)들, 그리고 리모트 유닛(231~237)들의 다운링크(DL: Dowlink)와 업링크(UL: Uplink) 채널 중개라는 기본적인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메인 유닛(11), 허브 유닛(13, 15) 및 리모트 유닛(21~27)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기지국(50)과의 연결은 메인 유닛(201)이 수행하며, 단말기(31, 33)들과의 무선 연결은 각 리모트 유닛(231~237)이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각 허브 유닛(210-1, 21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모트 유닛과 연결되어,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의 신호를 메인 유닛(201)으로 전달하거나 메인 유닛(201)이 각 단말기(31, 33)로 전달할 신호를 해당 리모트 유닛(231~237)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본 발명의 DAS(200)는 일정한 수준 이상의 트래픽이 유지되는 빌딩 내부에서의 3G(WCDMA 방식) 또는 4G (LTE 방식) 음성 또는 데이터 트래픽을 중개하게 된다. 예컨대, 제2 리모트 유닛(233)에서 수신한 단말기(31)의 업링크 신호는 제1 허브 유닛(210-1)과 메인 유닛(201)을 경유하여 기지국(50)으로 제공되며, 그에 따른 기지국(50)의 다운링크는 그 반대방향으로 전달된다.
한편, 메인 유닛(201)은 별도로 관리자 단말기(미도시)과 연결되어, DAS(200)의 관리 상태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경보 이벤트'에 따른 리포트를 관리자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메인 유닛(201), 허브 유닛(210-1, 210-2) 및 리모트 유닛(231~237)은 자체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상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는 감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DAS(200)는 인빌딩 망의 트래픽 분포 및 추이를 측정/추정 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빌딩 망 투자 비용 절감을 유도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감시 기능으로 검출되지 않는 데이터 트래픽 이상과 같은 망 서비스 불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DAS(200)에서의 트래픽 분석은 메인 유닛(201)이나 허브 유닛(210-1, 210-2)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리모트 유닛(231, 233, 235, 237) 단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메인 유닛(201)에서 수행되면 전체 트랙픽 측정/추정, 또는 각 허브 단위별 트래픽 측정/추정, 또는 리모트 유닛 단위별 트래픽 측정/추정이 가능하고, 허브 유닛(210-1, 210-2)에서 이루어지면 자신의 하위에 연결된 리모트 유닛들 전체에 대한 트래픽 측정/추정 혹은 리모트 유닛 단위별 트래픽 측정/추정이 가능하다. 개별 리모트 유닛(231, 233, 235, 237)에서 본 발명이 수행되면, 리모트 유닛 단위의 트래픽 분석이 수행될 것이다. 우선은 허브 유닛 단위에서의 트래픽 분석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허브 유닛(210-1)과 제2 허브 유닛(210-2)의 동작은 동일하게 설명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제1 허브 유닛(210-1)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허브 유닛(210-1)은 신호추출부(211)와 트래픽분석부(213)를 더 구비한다. 당연히, 제1 허브 유닛(210-1)은 제1 리모트 유닛(231) 및 제2 리모트 유닛(233)과 함께 기지국(50)과 복수 개의 단말기(31,33) 사이의 다운링크(Downlink) 채널과 업링크(Uplink) 채널을 중개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그를 위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적인 사항이 아니므로 도 2에 도시하지 않고 설명도 생략한다.
신호추출부(211)와 트래픽분석부(213)는 기지국(50)에서 단말기(31, 33)로 전달되는 다운링크 채널로부터 RACH(Random Access Channel) 정보를 획득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31, 33)에서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업링크 채널로부터 RACH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트래픽 측정/ 추정을 수행한다.
신호추출부(211)는 최초에 단말기(31, 33)의 업링크에 포함된 RACH에 대한 정보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기지국(50)과 단말기(31, 33) 사이의 다운링크(DL: DOWNLINK) 신호를 분석하여, RACH에 대한 정보를 동기신호로서 획득한다. RACH에 대한 정보는 다운링크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블록(SIBs: System Information Blocks)에 포함된 SIB2로부터 획득한다. 신호추출부(211)는 획득한 RACH 정보를 기초로 업링크(Uplink) 신호에서 RACH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신호추출부(211)는 자신의 하위에 연결된 모든 리모트 유닛을 경유하여 올라오는 모든 업링크 신호에서 RACH 신호를 획득한다. 따라서 제1 허브 유닛(210-1)은 제1 리모트 유닛(231)과 제2 리모트 유닛(233)을 경유해서 올라오는 모든 업링크 신호에서 RACH 신호를 획득하고, 제2 허브 유닛(210-2)은 제3 리모트 유닛(235)과 제4 리모트 유닛(237)을 경유해서 올라오는 모든 업링크 신호에서 RACH 신호를 획득한다.
트래픽분석부(213)는 신호추출부(211)가 획득하는 RACH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트래픽을 분석하게 된다.
RACH 프로세스는 (1) RRC(Radio Resource Control) 아이들(Idle) 상태에서 초기 접속을 시도하거나 (2) RRC 연결 중에 중단된 연결을 재성립(Re-establishment)하는 경우, (3) 핸드오버 (4) 업링크 동기(UL synchronisation)가 비동기(non-synchronised)상태가 된 중에 다운링크 데이터(DL Data)가 도착할 때 등의 경우처럼, 실질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발생과 관련된다. 다만, 단말기(31, 33)에서 RACH가 기지국(50)으로 제공되라도 기지국(50)에서 RACH를 검출 하지 못하여 정상적인 호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RACH의 횟수와 데이터 트래픽의 횟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단말기(31, 33)가 제공하는 업링크 신호에서 RACH를 읽어 냈다면, 데이터 트래픽의 발생을 추정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임에는 분명하다.
트래픽분석부(213)는 신호추출부(211)가 RACH 신호를 획득한 횟수를 단위 시간별 그리고 단위 리모트 유닛별로 검토하여, 제1 리모트 유닛(231)과 제2 리모트 유닛(233) 각각에서의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트래픽을 추정하고, 이력관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이력관리를 통해, 트래픽분석부(213)는 통상적이고 평균적인 RACH의 획득 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데이터 트래픽의 정도, 즉 망 서비스 상태와 관련된다. 이런 분석을 통해 인빌딩 망내 데이터 트래픽의 분포 및 추이를 측정/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한 DATA의 활용 범위 중 하나로, 트래픽분석부(213)는 계산된 평균 RACH 획득 수준에 ±여유분을 부가한 '관제 범위'를 설정하고, 직전 기준 시간동안 누적된 RACH 횟수가 관제범위를 벗어나면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기 설정된 '경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경보 이벤트는 데이터 트래픽 이상 또는 망 서비스 이상을 의미한다. 당연히, 관제범위는 리모트 유닛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단위시간을 24시간으로 정하고 제1 리모트 유닛(231)의 관제범위를 1000 내지 1800 회로 정하였다고 가정하자. 통상적인 경우 일간 RACH 횟수가 1200회, 1450회, 1600회 정도로 나오다가, 예상치 못한 어떤 원인에 의해 제1 리모트 유닛(231)을 경유한 신호로부터 획득한 RACH의 검출 수준이 1000 회 이하로 급격하게 낮아지면, 트래픽분석부(213)는 경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경보 이벤트의 처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며, 예컨대 트래픽분석부(213)는 메인 유닛(201)에게 해당 리모트 유닛에서의 트래픽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메인 유닛(201)으로 하여금 관리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인빌딩국사의 경우,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것처럼 허브 유닛(210-1, 210-2)이 빌딩의 각 층별로 배치될 경우에, 본 발명의 DAS(200)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각 층별 트래픽을 분석할 수도 있다.
<실시 예>
한편, 도 2처럼, 허브 유닛(210-1, 210-2)이 신호추출부(211)와 트래픽분석부(213)을 모두 구비하는 것을 대신하여, 트래픽분석부(213)는 메인 유닛(201)에 마련되고, 신호추출부(211)는 각 허브 유닛(210-1, 210-2)마다 및/또는 리모트 유닛(231~237)마다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허브 유닛(210-1, 210-2)마다 및/또는 리모트 유닛(231~237) 마다 설치된 신호추출부는 RACH 획득 정보를 메인 유닛(201)에 마련된 트래픽분석부에게 제공하여 트래픽 분석에 활용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RACH 신호 획득 방법: 도 3>
도 3을 참조하여 신호추출부(211)가 단말기(31, 33)의 업링크를 통해 제공되는 RACH 신호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RACH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우선 신호추출부(211)는 하위의 리모트 유닛(231, 233)와의 사이에 전송되는 다운링크(Downlink) 신호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SIBs) 중에서 SIB1와 SIB2를 추출한다. 이후에 신호추출부(211)는 다운링크 SIB 2 정보에서 업링크의 RACH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다음, 업링크 신호에 동기되어 업링크 신호로부터 단말기(31, 33)가 제공하는 RACH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SIB 1, SIB 2 추출-
신호추출부(211)는 기지국(50)과 단말기(31, 33) 사이의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셀 검색과 동기에 사용하는 PSS(Primary Synchronisation Signal)가 감지되면(S301), PSS로부터 절반 프레임 경계(Half Frame Boundary)와 함께 504개의 셀 아이디(Cell ID)에서 168개의 셀 아이디를 추출한다(S303).
이후에, 신호추출부(211)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에 있는 SSS(Secondary Synchronisation Signal)를 감지하고, SSS로부터 프레임 경계(Frame Boundary)와, 전체 셀 아이디, CP(Cyclic Prefix) 값, 두 개의 무선 프레임 구조인 FDD(Frequency Division Duplex)/TDD(Time Division Duplex) 정보를 추출한다(S305).
신호추출부(211)는 셀 아이디의 Cell Specific RS(Reference Signal)에 동기되어(S307), 물리계층에서 전송되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로부터 다중 안테나 구조 및 MIB(Master Information Block) 정보를 취득한다(S309).
신호추출부(211)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로부터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서의 SIBs(System Information Blocks) 위치를 파악한 다음(S311), PDSCH에서 SIBs를 추출하고(S313), SIBs에서 SIB1와 SIB2를 추출한다(S315).
- 다운링크 SIB 2정보에서 RACH 정보 획득-
신호추출부(211)는 다운링크 SIB 2 정보에서 업링크의 RACH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 업링크 신호로 부터 RACH 신호 획득-
신호추출부(211)는 업링크 신호에 동기되어 업링크 신호로부터 단말기(31, 33)가 제공하는 RACH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신호추출부(211)은 RACH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 유닛과 상기 메인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허브 유닛과, 상기 허브 유닛에 연결된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을 구비한 분산안테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업링크 신호 각각으로부터 RACH(Random Access Channel)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추출부; 및
    상기 신호추출부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RACH 신호를 검출한 횟수를 상기 리모트 유닛 또는 허브 유닛 별로 계산하여 인빌딩 망 내 트래픽 분포 및 추이를 측정 및 추정하는 트래픽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분석부는 상기 RACH 신호의 검출 횟수가 상기 리모트 유닛 또는 허브 유닛별로 기 설정된 관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 리모트 유닛 또는 허브 유닛의 트래픽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안테나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별로 기 설정된 관제 범위는 해당 리모트 유닛의 업링크 신호로부터 획득한 RACH 신호의 평균 검출횟수를 기초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안테나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추출부와 트래픽분석부는 상기 허브 유닛 내에 모두 설치되거나, 상기 리모트 유닛 내에 모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안테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추출부는 상기 리모트 유닛 또는 허브 유닛마다 설치되고,
    상기 트래픽분석부는 상기 메인 유닛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안테나시스템.
  6.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 유닛과 상기 메인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허브 유닛과, 상기 허브 유닛에 연결된 복수 개의 리모트 유닛을 구비한 분산안테나시스템의 트래픽 분석방법에 있어서,
    신호추출부가 상기 리모트 유닛로부터 제공되는 업링크 신호 각각으로부터 RACH(Random Access Channel)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트래픽분석부가 상기 신호추출부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RACH 신호를 검출한 횟수를 상기 리모트 유닛별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분석부가 상기 리모트 유닛별로 계산된 RACH 검출 횟수를 상기 리모트 유닛별로 기 설정된 관제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관제범위를 벗어나는 리모트 유닛에서 트래픽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안테나시스템의 트래픽 분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ACH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추출부가 상기 허브 유닛 단위에서 상기 리모트 유닛별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안테나시스템의 트래픽 분석방법.
KR1020150099700A 2015-07-14 2015-07-14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 KR10168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700A KR101689846B1 (ko) 2015-07-14 2015-07-14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700A KR101689846B1 (ko) 2015-07-14 2015-07-14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846B1 true KR101689846B1 (ko) 2016-12-26

Family

ID=5773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700A KR101689846B1 (ko) 2015-07-14 2015-07-14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45A (ko) *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KR20220133646A (ko) 2021-03-25 2022-10-05 이준아 매시브 IoT 기반 통신중계기용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상태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507A (ko) * 2007-08-14 2010-05-13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KR20110001674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케이티 트래픽 이상 상태 판별 방법
KR101185851B1 (ko) * 2012-04-25 2012-09-27 대한민국 통신 채널 내 신호의 출현 횟수와 측정 횟수에 기초한 전파 트래픽 산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507A (ko) * 2007-08-14 2010-05-13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KR20110001674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케이티 트래픽 이상 상태 판별 방법
KR101185851B1 (ko) * 2012-04-25 2012-09-27 대한민국 통신 채널 내 신호의 출현 횟수와 측정 횟수에 기초한 전파 트래픽 산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45A (ko) *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KR102466636B1 (ko) * 2020-09-01 2022-11-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KR20220133646A (ko) 2021-03-25 2022-10-05 이준아 매시브 IoT 기반 통신중계기용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상태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5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neighbor cell information
KR1018505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A2935102C (en) Improved coverage estimation of wireless cellular networks by user equipment (ue) idle mode measurements
JP2018142993A (ja) 無線端末、無線ネットワーク、及び通信方法
US20130170362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radio terminal, radio station, and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server apparatus
GB2484117A (en) Automated network coverage hole detection by systematically modifying a connection reestablishment timer (T311) in a number of UEs
US10015677B2 (en) Coverage estimation of wireless cellular networks by user equipment (UE) idle mode measurements
KR101861977B1 (ko) 무선 신호 측정 방법 및 디바이스
EP2777335B1 (en) Antenna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receiving power of the same
CN109379751A (zh) 邻区上报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用户设备、基站
KR101689846B1 (ko) 트래픽 추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산안테나시스템 및 그 트래픽 분석 방법
KR101858439B1 (ko) 탐색 신호 측정의 방법, 장치 및 사용자 단말
US10375701B2 (en) Controlling adaptive reference signal patterns
EP3424172B1 (en) Adaptive reference signal patterns
US94799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based on carrier aggregation for small base station
US10382179B2 (en) Adapting reference signal density
US9918246B2 (en) Enhancing the usage of resources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200145830A1 (en) Detection of surveillance device by long-term evolution classifier
KR2014011186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환경 파악을 위한 로그 측정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982400B (zh) 一种无线通信小区网络切换方法和系统
GB2547721B (en) Controlling adaptive reference signal patterns
GB2547724A (en) Adapting reference signal density
GB2547725B (en) Adaptive reference signal patte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