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391A -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391A
KR20100050391A KR20090098105A KR20090098105A KR20100050391A KR 20100050391 A KR20100050391 A KR 20100050391A KR 20090098105 A KR20090098105 A KR 20090098105A KR 20090098105 A KR20090098105 A KR 20090098105A KR 20100050391 A KR20100050391 A KR 2010005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panel
period
record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9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392B1 (ko
Inventor
미호 아키타
카즈유키 마루카와
쇼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5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04Viewfinders of direct vision type, e.g. frame, sighting 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앞면과 배면 등에 2개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도록 한 경우에, 동작 상태의 천이에 응하여, 각 표시 패널에서 적절한 표시를 실현한다.
해결 수단
촬상 장치의 동작 기간으로서, 모니터링 기간과 기록 기간과 프리뷰 기간의 천이가 행하여질 때에, 상기 각 동작 기간마다,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주표시 패널과, 장치 몸체상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상태를 제어함과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각 표시 패널이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촬상 장치와, 그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상에 복수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한 촬상 장치의 표시 동작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7-158799호 공보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보급되어 있고, 많은 촬상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에 의한 표시 패널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몸체상에 비교적 큰 면적으로 표시 패널이 마련되고, 촬상시에는 피사체 화상의 모니터링이 행하여지거나, 촬상한 화상의 재생시에는, 재생 표시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출원인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 몸체상에 2개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는 것을 신규로 생각한다.
즉 종래와 마찬가지로 촬상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촬상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는 외에, 장치 몸체상의 앞면측(피사체측이 되는 면) 등에,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표시 패널부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2개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도록 한 경우에는, 촬상에 관한 동작 상태나 상황에 응하여, 각 표시 패널에서 적절한 표시, 즉, 2개의 표시 패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표시나, 표시를 보는 사람에 있어서 유용한 표시, 나아가서는 필요없는 소비 전력을 회피하는 표시 동작을 실현할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표시 패널부를 갖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적절한 표시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 1 표시 패널부와, 장치 몸체상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 2 표시 패널부와, 상기 피사체 방향으로부터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고, 촬상 화상 신호를 얻는 촬상 처리부와,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관한 기록 매체에의 기록 처리를 행하는 기록 처리부와, 상기 촬상 처리부 또는 상기 기 록 처리부의 동작을 수반하는 서로에게 천이하는 복수종의 각종의 동작 기간마다,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 상태를 제어함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가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동작 기간으로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 기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모니터링 표시하는 모니터링 기간과,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 정지화 데이터로서 기록 처리하는 기록 기간과, 상기 기록 기간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프리뷰 기간이 천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모니터링 화상으로서 표시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 대한 시인(視認) 가능성 조건의 판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의 실행/불실행을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시인 가능성 조건의 판별 처리는, 피사체 방향에서의 인물의 존재의 판별 처리, 또는 촬상 모드의 판별 처리, 또는 내부 검출 정보에 관한 판별 처리, 또는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 처리 결과에 관한 판별 처리인 것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모니터링 화상으로서 표시시 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를 실행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중의 한쪽에서만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의 양쪽에서 실행시키는, 또는 양쪽에서 실행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중의 한쪽에서만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의 양쪽에서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는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보다 장시간, 상기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동작 기간의 하나로서,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표시하는 재생 기간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기간에 있어서, 상기 재생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중의 한쪽에서만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상기 재생 표시를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 대한 시인 가능성 조건의 판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재생 표시의 실행/불실행을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상기 재생 표시로서의 일람 표시 및 1화상 표시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서는, 1화상 표시만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동작 기간의 하나로서, 또한,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 동화 데이터로서 기록 처리하여 가는 동화 기록 기간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화 기록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상기 기록 처리에 관한 동화 표시를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 대한 시인 가능성 조건의 판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 상기의 동화 표시의 실행/불실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은, 촬상 장치의 동작 기간으로서, 적어도, 촬상 처리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기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모니터링 표시하는 모니터링 기간과, 상기 촬상 처리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정지화 데이터로서 기록 처리하는 기록 기간과, 상기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프리뷰 기간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각 동작 기간마다,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제 1 표시 패널부와, 장치 몸체상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 상태를 제어함과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 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가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촬상 장치의 동작의 과정에서 천이하는 각종 동작 기간마다, 각각 제 1 표시 패널부와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 상태를 제어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제 1 표시 패널부와 제 2 표시 패널부가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다른 표시 내용이란, 다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나, 한쪽이 표시 오프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예를 들면 시인 가능성 조건의 판단의 결과에 의해서는 다른 표시 내용이 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각 동작 기간마다, 각 표시 패널부에서 적절한 표시, 유용한 표시, 필요없는 표시의 회피 등을 실현한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기간, 정지화의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 재생 기간, 동화 기록 기간 등을 천이할 때에, 각각, 표시의 목적이나 표시를 보는 사람의 존재 등에 응하여 표시 상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 2 표시 패널부에 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 등으로는 피사체 방향에 인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판정하여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정지화 촬상일 때의 모니터링 기간(정지화 촬상을 위한 셔터 타이밍을 겨누고 있을 때)에는, 촬상 장치의 사용자(즉 촬상 장치에 의해 정지화 촬상을 행할려고 하고 있는 촬상자)는, 제 1 표시 패널부로, 피사체 화상의 모니터링을 행한다. 이 모니터링 화상은, 그 기간에 촬상 소자부에서 얻어지는 촬상 화상 신호이고, 스루화(畵)라고도 불리는, 피사체 광경의 리얼타임의 동화상이다. 촬상자는, 이로써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을 확인하고, 소망하는 타이밍에서 릴리스 조작(셔터 조작)을 행한다. 이것은 통상적인 촬상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이 모니터링 기간에는, 제 2 표시 패널부에서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즉 스루화로서의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면 알맞다. 예를 들면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 그 인물이,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를 보고, 찍히도록 되어 있는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은 어디까지나, 피사체측에 인물이 있는 때만 유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촬상자가 촬상 모드로서 풍경 모드를 선택하고, 사람이 없는 풍경을 촬상하려고 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를 보는 인물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그와 같은 때에 제 2 표시 패널부에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여도 의미가 없게 된다. 그래서 제 2 표시 패널부를 오프로 하여 전기절약을 도모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이, 그 때의 동작 기간에 응하여, 제 1,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 동작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2개의 표시 패널부에 의한 유용한 표시나 오락성이 높은 표시, 또는 2개의 표시 패널부를 장비하여도 지나치게 소비 전력이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측과 피사체측에서 각각 시인할 수 있는 2개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도록 함과 함께, 동작 기간마다 각 표시 패널에서 적절한 표시를 행할 수가 있다. 즉 2개의 표시 패널부를 유효 이용한 유용 한 표시, 오락성이 높은 표시, 나아가서는 필요없는 표시의 회피 등을 실현할 수 있고, 신규로 유용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피사체측의 인물의 존재의 유무나 표시에 관한 시인성의 양부(良否)를 추정하여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상기 효과를 촉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다음 순서로 설명하여 간다.
[1. 촬상 장치의 구성]
[2. 동작 천이]
[3. 양 표시 패널부의 화면 표시예]
[4. 표시 제어예]
<4-1 : 동작 기간 천이를 행하는 처리예>
<4-2 :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예>
<4-3 : 기록 기간의 처리예>
<4-4 : 프리뷰 기간의 처리예>
<4-5 : 재생 기간의 처리예>
<4-6 : 동화 기록 기간의 처리예>
[5. 표시 상태의 천이예]
[6. 변형례]
[1. 촬상 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 1, 도 2로 설명한다.
도 1의 (a), (b)는, 본 예의 촬상 장치(1)를 배면측(사용자측)및 앞면측(피사체측)에서 본 외관례를 도시하고 있다.
촬상 장치(1)에는, 앞면측에 촬상 렌즈부(20), 플래시 발광부(15) 등이 마련된다.
또한, 몸체 윗면이나 배면측 등의 각처에 유저 조작을 위한 조작자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릴리스 조작키(5a), 다이얼 조작부(5b), 와이드/텔레 조작키(5c), 각종 조작키(5d), 십자키(5e) 등이 마련된다.
다이얼 조작부(5b)는, 예를 들면 촬상 모드의 선택 등에 이용된다. 조작키(5d)로서, 메뉴 지시, 재생 지시, 노출 보정 지시 등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십자키(5e)는, 예를 들면 표시 패널(6)에 표시되는 조작 메뉴 항목의 선택/결정을 위시하여 각종 조작에 이용된다.
그리고 촬상 장치(1)에는, 배면측에는 도 1의 (a)와 같이,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패널 등에 의한 주표시(主表示) 패널(6M)이 마련됨과 함께, 앞면측에는 도 1의 (b)와 같이, 마찬가지로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에 의한 앞면표시(前面表示) 패널(6F)이 마련되어 있다.
이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은, 예를 들면 동등한 화면 사이즈가 되고, 각각 몸체 배면 및 몸체 앞면에서 비교적 넓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주표시 패널(6M)에서는, 기본적으로는, 모니터링 기간(촬상 모드에서 셔터 타이밍을 겨누고 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피사체의 모니터링 화상(스루화)의 표시가 행하여지고, 촬상 대상이 되어 있는 피사체 광경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생 화상이나 섬네일 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은, 피사체측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게 된다. 후술하지만, 이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모니터링 화상 등의 표시를 행하여, 피사체측으로 되어 있는 인물이 표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장치(1)의 구성례를 도 2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촬상계(2), 제어계(3), 카메라 DSP(Digital Signal Processor)(4), 조작부 5,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 표시 컨트롤러(7), 외부 인터페이스(8),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9), 매체 인터페이스(10)를 구비한다.
촬상계(2)는, 촬상 동작을 실행한 부위가 되고, 렌즈 기구부(21), 조리개/ND 필터 기구(22), 촬상 소자부(23),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 A/D 변환부(25), 렌즈 구동부(26), 렌즈 위치 검출부(27), 타이밍 생성 회로(28), 떨림 검출부(13), 발광 구동부(14), 플래시 발광부(15), 렌즈 구동 드라이버(17),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18), 촬상 소자 드라이버(19)를 구비한다.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은, 렌즈 기구부(21) 및 조리개/ND 필터 기구(22)를 통하여 촬상 소자부(23)에 유도된다.
렌즈 기구부(21)는, 상기 도 1의 (b)의 촬상 렌즈부(20)의 내부 구성이고, 커버 렌즈, 포커스 렌즈, 줌 렌즈 등의 복수의 광학 렌즈군을 갖는다. 또한 렌즈 구동부(26)는,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가 된다. 렌즈 구동부(26)는 렌즈 구동 드라이버(17)에 의해 구동 전력이 인가되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를 이송한다. 후술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1)는 렌즈 구동 드라이버(17)를 제어함으로써, 초점 제어나 줌 동작을 실행시킨다.
조리개/ND 필터 기구(22)는, 조리개 기구와, 렌즈 광학계 내에 삽입됨에 의해 입사광량을 감쇠시키는(조정하는) ND 필터 기구를 가지며, 광량 조정을 행한다.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18)는, 조리개 기구의 개폐에 의해 입사광량의 조절을 행한다. 또한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18)는, ND 필터를 입사광의 광축상(上)에 대해 출입함으로써, 입사광량의 조절을 행한다.
CPU(31)는,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18)를 제어하여 조리개 기구나 ND 필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입사광량 제어(노광 조정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렌즈 기구부(21), 조리개/ND 필터 기구(22)를 통과하여, 촬상 소자부(23)상에 피사체상이 결상된다.
촬상 소자부(23)는, 결상된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하고,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촬상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 촬상 소자부(23)는,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촬상 영역을 가지며, 각 화소에 축적된 전하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화상 신호를, 화소 단위로 순차적으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 출력한다. 촬상 소자부(23)로서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등이 이용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는, 내부에 CDS(상관 2중 샘플링) 회로나, AGC(오토 게인 컨트롤) 회로 등을 가지며, 촬상 소자부(2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대해 소정의 아날로그 처리를 행한다.
A/D 변환부(25)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서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카메라 DSP(4)에 공급한다.
타이밍 생성 회로(28)는, CPU(31)에 의해 제어되고, 촬상 소자부(23),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 A/D 변환부(25)의 각 동작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즉 타이밍 생성 회로(28)는, 촬상 소자부(23)의 촬상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노광/전하 판독의 타이밍 신호나, 전자 셔터 기능으로서의 타이밍 신호, 전송 클록, 프레임 레이트에 응한 동기 신호 등을, 촬상 소자 드라이버(19)를 통하여 촬상 소자부(23)에 공급한다. 또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서, 촬상 소자부(23)에서의 화상 신호의 전송에 동기하여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상기 각 타이밍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도 공급한다.
CPU(31)는, 타이밍 생성 회로(28)에 의해 발생시키는 각 타이밍 신호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의 변경이나, 전자 셔터 제어(프레임 내의 노광 시간 가변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CPU(31)는, 예를 들면 타이밍 생성 회로(28)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 게인 제어 신호를 주도록 함으로써, 촬상 화상 신호의 게인 가변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떨림 검출부(13)는, 손떨림량이나 촬상 장치(1) 자체의 움직임의 양을 검출 한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떨림량으로서의 검출 정보를 CPU(31)에 공급한다.
플래시 발광부(15)는 발광 구동부(14)에 의해 발광 구동된다. CPU(31)는, 유저의 조작 기타에 의한 소정 타이밍에서,발광 구동부(14)에 플래시 발광을 지시하고, 플래시 발광부(15)를 발광시킬 수 있다.
카메라 DSP(4)는, 촬상계(2)의 A/D 변환부(25)로부터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해, 각종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한다.
이 카메라 DSP(4)에서는,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신호 처리부(41), 압축/해동 처리부(42), SDRAM 컨트롤러(43), 화상 해석부(44) 등의 처리 기능이 내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화상 신호 처리부(41)는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촬상 화상 신호를 이용한 촬상계(2)의 구동 제어용의 연산 처리로서, 오토 포커스(AF)용 처리, 오토 아이리스(AE)용 처리 등을 행하고, 또한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 자체에 대한 처리로서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 처리 등을 행한다.
예를 들면 오토 포커스용 처리로서는, 화상 신호 처리부(41)는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에 관해 콘트라스트 검출을 행하고, 검출 정보를 CPU(31)에 전한다. 오토 포커스 제어 방식으로서는, 각종의 제어 수법이 알려져 있는데, 이른바 콘트라스트 AF라고 불리는 수법에서는, 포커스 렌즈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시점의 촬상 화상 신호의 콘트라스트 검출을 행하고, 최적 콘트라스트 상태의 포커스 렌즈 위치를 판별한다. 즉 CPU(31)는, 촬상 동작에 앞서서, 포커스 렌즈의 이동 제 어를 실행시키면서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검출되는 콘트라스트 검출치를 확인하고, 최적의 콘트라스트 상태가 된 위치를 포커스 최적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촬상중의 포커스 제어로서는, 이른바 워블링 AF라고 불리는 검출 방식을 실행할 수 있다. CPU(31)는, 촬상 동작중에, 항상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미소하게 전후로 흔들도록 이동시키면서,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검출되는 콘트라스트 검출치를 확인한다.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는, 당연히, 피사체의 상황에 의해 변동하지만, 포커스 렌즈를 전후로 미소 변위시키면서 콘트라스트 검출을 행함으로써, 피사체의 변동에 응한 포맷 제어 방향의 변화를 판정할 수 있다. 이로써, 피사체 상황을 추적한 오토 포커스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 구동부(26)에서의 이송 기구에는, 각 이송 위치마다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고, 그 이송 위치 어드레스에 의해 렌즈 위치가 판별된다.
렌즈 위치 검출부(2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의 렌즈 위치로서의 어드레스를 판별함으로써, 초점맞춤 상태로 되어 있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것을 거리 정보로서 CPU(3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CPU(31)는, 초점맞춤 상태로 하고 있는 주(主)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별할 수 있다.
카메라 DSP(4)의 화상 신호 처리부(41)가 실행하는 오토 아이리스용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피사체 휘도의 산출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의 평균휘도를 산출하고, 이것을 피사체 휘도 정보, 즉 노광량 정보로서 CPU(31)에 공급한다. 평균휘도의 산출로서는 예를 들면 1프레임의 촬상 화상 데이 터의 전(全) 화소의 휘도 신호치의 평균치, 또는 화상의 중앙 부분에 무게를 준 휘도 신호치의 평균치의 산출 등, 각종의 방식이 생각된다.
CPU(31)는, 이 노광량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노광 제어를 할 수가 있다. 즉 조리개 기구, ND 필터, 또는 촬상 소자부(23)에서의 전자 셔터 제어,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의 게인 제어에 의해, 노광 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카메라 DSP(4)의 화상 신호 처리부(41)는, 이들의 오토 포커스 동작, 오토 아이리스 동작에 이용하는 신호 생성 처리 외에, 촬상 화상 신호 자체의 신호 처리로서, 오토 화이트 밸런스, γ 보정, 에지 강조 처리, 손떨림 보정 처리 등을 행한다.
카메라 DSP(4)에서의 압축/해동 처리부(42)는,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한 압축 처리나, 압축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해동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방식에 의한 압축 처리/해동 처리를 행한다.
SDRAM 컨트롤러(43)는, SDRAM(9)에 대한 기록/판독을 행한다. SDRAM(9)은, 예를 들면 촬상계(2)로부터 입력된 촬상 화상 신호의 일시 보존, 화상 처리부(41)나 압축/해동 처리부(42)에서의 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보존이나 워크 영역의 확보, 정보 생성부(44)에서 얻어진 정보의 보존 등에 이용되고, SDRAM 컨트롤러(43)는, 이들의 데이터에 관해 SDRAM(9)에 대한 기록/판독을 행한다.
화상 해석부(44)는, 예를 들면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처리된 촬상 화상 데이터에 관해 화상 해석을 행하고, 각종의 화상 인식을 행한다.
본 예의 경우, 화상 해석부(44)는 피사체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인물 인식이나 얼굴 인식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인물의 얼굴을 인식한 경우의, 얼굴 방향이나 시선(視線) 방향 등의 인식 처리를 행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화상 해석부(44)는 외광 상황, 촬상 장치(1)와 피사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의 크기 등, 화상 해석에 의해 인식 가능한 각종의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도 있다.
제어계(3)는, CPU(31), RAM(32), 플래시 ROM(33), 시계 회로(34)를 구비한다. 제어계(3)의 각 부분, 및 카메라 DSP(4), 촬상계(2)의 각 부분, 표시 컨트롤러(7), 외부 인터페이스(8), 매체 인터페이스(10)는, 시스템 버스에 의해 서로 화상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CPU(31)는, 촬상 장치(1)의 전체를 제어한다. 즉 CPU(31)는 내부의 ROM 등에 보존한 프로그램 및 조작부(5)에 의한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분과 제어 신호 등의 교환을 행하고, 각 부분에 필요한 동작을 실행시킨다. 특히 주표시 패널(6M)에서의 표시 제어와 함께, 후술하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동작을 위한 제어 처리 등도 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32)은, 카메라 DSP(4)에서 처리된 촬상 화상 신호(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일시적인 보존이나, CPU(31)의 각종 처리에 응한 정보가 기억된다.
플래시 ROM(33)은, 촬상 화상으로서의(유저가 정지화 또는 동화로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의 보존이나, 그 밖에 불휘발적으로 보존할 것이 요구되는 정보의 기억에 이용된다. 촬상 장치(1)의 제어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카메라의 설정 데이터 등을 기억한 경우표 있다.
시계 회로(34)는, 현재 일시 정보(연월일 시분초)를 계수한다.
조작부(5)는, 도 1에 도시한 각종 조작자(5a 내지 5e 등) 및 그 조작에 의거한 신호 발생부로 이루어진다. 각종 조작자에 의한 유저의 조작 정보는, 조작부(5)로부터 CPU(31)에 전달된다.
또한, 조작부(5)로서는, 조작자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 조작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주표시 패널(6M)에 터치 센서를 배치하고, 화면 표시에 대한 유저의 터치 조작으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표시 컨트롤러(7)는, CPU(31)의 제어에 의거하여, 주표시 패널(6M), 및 앞면표시 패널(6F)에 필요한 표시 동작을 실행시킨다.
주표시 패널(6M)에서의 표시 동작으로서는, 모니터링 표시(이른바 슬루화 표시)나,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으로부터 판독한 재생 화상 표시, 조작 메뉴 표시, 각종 아이콘 표시, 시각표시 등이 행하여진다.
또한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 동작으로서는, 모니터링 표시나, 재생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매체 인터페이스(10)는, CPU(31)의 제어에 의거하여, 촬상 장치(1)의 내부에 세트된 메모리 카드(카드상의 리무버블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90)에 대해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행한다. 예를 들면 매체 인터페이스(10)는, 촬상 결과로서의 정지화 데이터나 동화 데이터에 관해 기록 매체(90)에 기록하는 동작을 행한다. 또한 재생 모드시에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90)로부터 판독하는 동작을 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기록 매체(90)로서 가반성의 메모리 카드를 예로 들고 있지만, 촬상 결과로서 남겨 두는 정지화 또는 동화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다른 종의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 등의 가반성 디스크 미디어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고, HDD(Hard Disk Drive)를 탑재하여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외부 인터페이스(8)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신호 규격에 따라, 소정의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의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물론 USB 방식으로 한하지 않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방식 등, 다른 규격에 의한 외부 인터페이스로 하여도 좋다.
또한, 유선 전송 방식이 아니라, 적외선 전송, 근거리 무선 통신 그 밖의 무선 전송 방식으로 외부 인터페이스(8)을 구성하여도 좋다.
촬상 장치(1)는, 이 외부 인터페이스(8)을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 그 밖에 각종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촬상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근접 센서(5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근접 센서(50)는, 촬상 장치(1)의 전방(피사체측)에 인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로 한다. 예를 들면 초전 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물 검출을 화상 해석부(44)의 화상 해석 처리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는, 이 근접 센서(50)는 마련하지 않아도 좋고, 또는 화상 해석에 의한 인물 검출과 근접 센서(50)에 의한 검출을 병용하여도 좋다.
[2. 동작 천이(遷移)]
본 예의 촬상 장치(1)의 동작 기간의 천이에 관해 도 3으로 설명한다. 동작 기간이란 촬상 동작이나 기록 동작을 수반하는 기간이다.
촬상 장치(1)의 동작 기간으로서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응하여 모니터링 기간,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 재생 기간을 천이한다. 또한, 실제로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기간 등 다른 동작 상태도 있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한다.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파워 온이 되면, 모니터링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유저가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재생 조작을 행하는 경우 등, 파워 온알 때에 재생 동작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모니터링 기간이란, 촬상계(2)에 의한 촬상을 행하기 위한 동작 기간이다. 유저가, 통상적으로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정지화 촬상을 행하는 경우, 우선 이 모니터링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 모니터링 기간은, 주표시 패널(6M)에 피사체 화상(스루화)이 표시된다. 즉 CPU(31)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촬상계(2), 카메라 DSP(4)에 각각 촬상시에 필요한 동작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카메라 DSP(4)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마다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RAM(32)에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 프레임마다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표시 컨트롤러(7)에 교환하고, 주표시 패널(6M)에 모니터링 표시를 실행시킨다. 후술하지만, 이 때에 앞면표시 패널(6F)에도 모니터링 표시를 실행시키 는 경우도 있다.
이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유저는, 이 주표시 패널(6M)의 표시를 보면서, 피사체를 선택하거나, 셔터 타이밍을 겨누게 된다.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유저가 릴리스 조작키(5a)를 누르면, 즉 셔터 조작을 행하면, 기록 기간으로서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CPU(31)는, 이 릴리스 조작의 타이밍에서 촬상된 1프레임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정지화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CPU(31)는 해당 타이밍에서 받아들인 촬상 화상 데이터를 매체 인터페이스(10)에 전송하고, 기록 매체(90)에 기록시킨다.
또한 릴리스 조작에 응한 기록 동작으로서는, 기록 매체(90)가 아니라, 플래시 ROM(33)에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기록 매체(90)에 기록하지만, 기록 매체(90)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플래시 ROM(33)에 기록하는 동작 방식이라도 좋다.
이 기록 기간은, 유저에게서 본다면 릴리스 조작 직후의, 시간적으로는 한 순간의 기간이지만, 그 동안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표시 제어가 행하여진다.
릴리스 조작에 응한 기록 동작의 직후는, 예를 들면 일정 시간, 프리뷰 기간이 된다. 프리뷰 기간이란, 주표시 패널(6M)에, 직전의 기록 동작으로 기록한 화상이 표시되는 기간이다. 즉 유저가, 촬상한 정지화상을, 직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간이다.
일정 시간으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2초 내지 수초 정도의 기간이 프리뷰 기간이 된다. CPU(31)는 이 기간,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를, 주표시 패널(6M)이나 앞면표시 패널(6F)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촬상 장치(1)의 내부적인 처리로서는, 기록 기간의 처리와 프리뷰 기간의 처리가 시간적으로 겹쳐지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기록 처리에 시간을 필요로 하고, 기록이 완료되기 전에 프리뷰 처리를 시작하는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경우, 내부적으로는 완전히 기록 기간과 프리뷰 기간의 천이가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지만, 표시 동작에 관해서는, 기록 기간으로부터 프리뷰 기간으로 천이한다고 생각하면 좋다.
프리뷰 기간으로서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CPU(31)는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상태로 되돌려서, 모니터링 기간으로서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모니터링 기간,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이 천이하여, 정지화 촬상으로서의 일련의 동작이 행하여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동화 촬상도 가능하지만, 동화의 경우는 기록 기간이, 그 동화 촬상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계속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프리뷰 기간은 마련되지 않는다. 후에, 동화 기록에 관해서도 언급한다.
유저가 재생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 경우, 재생 동작 상태(재생 기간)로 이행한다.
재생 기간에는, 촬상 등에 의해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된 화상을 재생한 동작이 행하여진다.
CPU(31)는,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판독하고,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하여, 주표시 패널(6M)에서 섬네일 화상이나 1장의 재생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재생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도 있다.
[3. 양(兩) 표시 패널부의 화면 표시예]
본 예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행하여지는 화면 표시예를 도 4, 도 5로 설명한다.
도 4의 (a)는, 주표시 패널(6M)에서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표시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되는 화상은,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의 모니터링 화상(스루화)이나 기록 기간에 있어서의 기록 화상(정지화로서 기록 처리한 화상), 프리뷰 기간에 있어서의 프리뷰 화상(직전에 정지화로서 기록 처리한 화상) 등이다. 또한 재생 기간에 있어서의 재생 화상인 경우도 있다.
재생 화상이란,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되어 있는, 과거에 촬상한 화상의 재생 화상을 상정하지만, 예를 들면 미리 촬상 장치(1) 내에 기억된 화상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때 등에 표시시키는 화상 데이터를 준비하여 플래시 ROM(33) 등에 미리 프리세트 화상으로서 기억시켜 두고, 그 프리세트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시키는 예이다.
나아가서는 이른바 촬상 화상으로서의 화상 데이터로 한정되지 않고, 텍스트 데이터, 애니메이션 데이터, 컴퓨터 그래픽 데이터 등을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시켜 두고, 이들을 재생하여 표시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즉 재생 화상이란, 표시 가능한 모든 화상을 포함한다.
도 4의 (b)는,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이나 재생 화상 등의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같은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c)는,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다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는, 주표시 패널(6M)에서는 표시를 오프로 하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모니터링 화상 등의 표시를 행하고 있는 예이다.
도 5의 (b)는, 재생 기간의 표시예로서, 주표시 패널(6M)에서 재생 화상의 섬네일 화상에 의한 일람 표시가 행하여지고,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섬네일 화상중에서 커서(K)에 의해 선택중으로 되어 있는 재생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c)도 재생 기간의 표시예로서, 주표시 패널(6M)에서 1장의 재생 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지고, 앞면표시 패널(6F)라도, 마찬가지로 1장의 재생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상은, 표시 상태의 예의 한 예이지만, 본 예에서는, 각 동작 기간마다, 각각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에서 적절한 표시 제어가 행하여지고, 다양한 표시 상태가 실현된다.
CPU(31)는,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각 동작 기간에 있어서의 표시의 목적이나 추정되는 상황에 응하여, 표시 제어를 행하고,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양 표시 패널(6M, 6F)의 표시 상태가 다양한 것으로 된다.
이하에서는, 동작 기간의 천이와, 각 기간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예에 관해 각종 설명하여 간다.
[4. 표시 제어예]
<4-1 : 동작 기간 천이를 행하는 처리예>
우선 도 6에서, CPU(31)의, 동작 기간의 천이를 수반하는 전체적인 동작 제어예를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촬상 장치(1)가 전원 온이 되고, 기동되면, 최초에 모니터링 기간으로서의 동작이 행하여지는 예(도 3에 대응한 예)로 기술한다.
CPU(31)는, 촬상 장치(1)가 전원 온이 되면, 도 6의 스텝 F101에서 모니터링 기간의 시작 처리를 행한다.
즉 CPU(31)는, 필요한 기동 처리를 행함과 함께, 촬상계(2), 카메라 DSP(4)에 촬상 동작의 시작을 지시한다. 이로써 촬상계(2), 카메라 DSP(4)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모니터링 화상으로서의 각 프레임 데이터가 받아들여져 오게 된다.
CPU(31)는, 스텝 F102에서, 모니터링 기간으로서의 표시 제어 처리를 행한다. CPU(31)는, 모니터링 기간에는, 기본적으로는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앞면표시 패널(6F)에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키는 경우도 있다. 스텝 F102의 구체적인 처리예에 관해서는 도 7 등에서 기술한다.
모니터링 기간은, 유저가, 모니터링 화상을 보면서, 피사체나 구도를 정하거나 릴리스 타이밍을 겨누는 기간이다. 또한 유저는, 촬상 장치(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상태로부터 재생 동작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CPU(31)는 스텝 F103에서, 유저의 재생 지시 조작을 감시하고, 또한 스텝 F104에서 유저의 릴리스 조작을 감시하고 있다.
유저가 릴리스 조작키(5a)의 조작을 행한 것을 검지하면, CPU(31)는 스텝 F105로서 기록 기간으로 이행하여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즉 정지화 기록 처리 및 표시 제어를 행한다.
정지화 기록 처리로서 CPU(31)는, 릴리스 조작의 타이밍에서 촬상되는 1프레임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정지화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CPU(31)는 해당 타이밍에서 받아들인 촬상 화상 데이터를 매체 인터페이스(10)에 전송하고, 기록 매체(90)에 기록시킨다. 또는, 플래시 ROM(33)에 기록시킨다.
또한 이 기록 기간은, 유저에게서 본다면 릴리스 조작 직후의 시간적으로는 한 순간의 기간이지만, CPU(31)는, 이 기록 기간에 있어서,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그때까지의 모니터링 기간과는 다른 표시 제어를 행한다. 구체예는 후술한다.
도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릴리스 조작에 응한 기록 동작의 직후는, 예를 들면 일정 시간, 프리뷰 기간이 된다.
CPU(31)는, 스텝 F106의 프리뷰 기간의 처리로서, 직전의 기록 동작에서 기록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하는데, 이 경우도, 기록 기간이나 모니터링 기 간과는 다른 표시 제어로서,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한다. 프리뷰 처리를 행하엿으면, CPU(31)는 스텝 F101로 되돌아와, 재차 모니터링 기간의 시작 처리를 행하고, 또한 스텝 F102에서 모니터링 기간으로서의 표시 동작 제어를 행한다.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유저가 재생 지시의 조작을 행한 경우는, CPU(31)는 스텝 F107로 진행하여, 재생 표시 처리를 행한다.
즉, 매체 인터페이스(10)에 의한 기록 매체(9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 처리의 제어, 또는 플래시 ROM(33)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후술하지만, 이 재생 기간은, CPU(31)는, 후술하는 재생 기간용의 표시 제어 처리를 실행하고,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게 된다.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재생 동작을 종료하는 경우는, CPU(31)는 스텝 F108로부터 F101로 되돌아와, 재차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이 도 6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유저 조작이나 무조작(無操作) 상태에서의 소정 시간의 경과 등에 의해, CPU(31)는 전원 오프 처리를 행하게 된다.
<4-2 :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예>
도 6의 처리에 의해 촬상 장치(1)는, 유저 조작 등에 응하여, 그 동작 상태로서, 모니터링 기간,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 재생 기간의 천이를 행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이들의 동작 기간의 천이에 응하여, CPU(31)는 각각 주표시 패널(6M) 및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나 표시 내용의 전환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각 동작 기간마다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여 간다.
우선 도 7의 (a), (b)에서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의 처리예를 설명한다. 즉 상기 도 6의 스텝 F102로서의 CPU(31)의 처리예이다.
도 7의 (a)의 예에서는, 우선 CPU(31)는 스텝 F201에서, 주표시 패널(6M)에서의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로써, 촬상계(2), 카메라 DSP(4)의 동작에서 얻어지는 피사체 화상(스루화)으로서의 모니터링 화상이 주표시 패널(6M)에서 표시되고, 유저는, 이것을 보고, 피사체나 구도의 선정 등을 행할 수가 있다.
이 때 CPU(31)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로서 스텝 F202 내지 F205의 처리를 행한다.
우선 스텝 F202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관한 조건 판정을 행한다. 이것은,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 조건의 판별 처리가 된다. 시인 가능성이란,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가 유효하게 행하여지는 가능성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인물이 존재하는 것이나, 해당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을 볼려고 한 경우에 통상적으로 시인할 수 있는 상황일 것, 또는 해당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을 볼려고 하는 의지가 있는 것 등이, 시인 가능성으로서 추정된다.
이 시인 가능성의 판정은, 예를 들면 피사체 방향에서의 인물의 존재의 판별 처리, 또는 촬상 모드의 판별 처리, 또는 내부 검출 정보에 관한 판별 처리, 또는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 처리 결과에 관한 판별 처리로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시인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203부터 F2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도 4의 (b)와 같이, 주표시 패널(6M)과 같이 모니터링 화상이 앞면표시 패널(6F)에 표시된다.
한편, 시인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203부터 F2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을 무 표시 상태와 하거나,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전원 오프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도 4의 (a)와 같이, 주표시 패널(6M)만에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도 6의 스텝 F102에서, CPU(31)가 도 7의 (a)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시인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되는 조건이 충족되면, 스텝 F204의 처리에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게 된다.
모니터링 기간에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면 알맞다. 예를 들면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 그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보고, 찍혀질려고 하고 있는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피사체측에 인물이 있을 때만 유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촬상자가 사람이 없는 풍경을 촬상하려고 하고 있을 때에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보는 인물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피사체로서 인물이 있다고 하여도, 주위의 밝기 상황 등으로 실제적으로 표시를 볼 수가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피사체로서 인물이 있다고 하여도, 그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보고 있지 않는, 또는 볼 수가 없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
이들의 경우에는, 제 2 표시 패널부에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여도 의미가 없게 되고, 그래서 제 2 표시 패널부를 오프로 하여 전기절약을 도모하는 것이 적절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는 스텝 F205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한다.
즉 조건 판정에 의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가 유효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행하고, 피사체 인물 등이 피사체(예를 들면 자신의 표정이나 모습)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가 유효하지가 않다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한다. 즉 누구도 보고 있지 않는 필요없는 표시, 또는 시인성이 나쁜 필요없는 표시는 행하지 않음으로써, 소비 전력의 절감 등을 도모한다.
이하, 시인 가능성의 조건 판정의 예를 들고 간다.
조건 판정의 수법의 하나로서, 촬상 모드에 의한 판정을 들 수 있다.
촬상 모드란, 야경 모드,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풍경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노우 모드, 비치 모드, 고속 셔터 모드, 고감도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 각종의 상황에서 적절한 상태에서 촬상을 행할 수가 있도록 유저가 선택하는 모드이다.
이들의 촬상 모드로서는, 각각 적절한 셔터 속도, 노출 설정,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한 신호 게인 설정, 에지 강조나 색 처리 등의 신호 처리 설정 등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다이얼 조작부(5b)의 조작에 의해, 유저가 선택할 수 있다.
야경 모드는, 야경 촬상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야경&인물 모드는, 백(back)의 야경과 인물의 표정을 각각 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도록 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포트레이트 모드는, 인물 촬상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풍경 모드는, 풍경 촬상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소프트 스냅 모드는, 인물의 피부의 질감을 밝게 부드러운 인상으로 하는 설정으로 촬상되도록 한 촬상 모드이다.
고속 셔터 모드는,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고감도 모드는, 어두운 장면도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스마일 셔터 모드는, 피사체 인물이 웃는 얼굴이 되면, 자동으로 셔터 처리(릴리스)가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이들의 촬상 상황에 적합한 촬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촬상 모드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데, CPU(31)는, 모니터링 기간으로부터 기록 기간까지의 정지화 촬상의 과정에서는, 촬상 모드 설정에 응하여 촬상 처리 제어를 행한다. 즉 다이얼 조작부(5b)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촬상 모드에 응하여, 촬상계(2)나 카메라 DSP(4)에 각종 파라미터 지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셔터 속도, 노출 설정, 신호 처리 설정 등의 지시이다.
이들의 촬상 모드를 예를 들면 도 7의 스텝 F202에서의 조건 판정에 이용하는 경우, 현재의 촬상 모드가, 미리 정한 소정의 촬상 모드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현재의 주위의 상황이나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 등을, 촬상 모드에 의해 추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 촬상 모드중에서,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표시에 적합한 상황을 추정할 수 있는 소정의 촬상 모드란,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으로 한다. 즉 CPU(31)는, 이들의 촬상 모드를, 조건 판정할 때에, 소정의 촬상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미리 정하여 둔다.
이들의 촬상 모드는, 인물의 촬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것이고, 따라서 피사체로서 인물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즉,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볼 수 있는 인물이 피사체로서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CPU(31)는, 촬상 모드가,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의 어느 하나라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의 조건이 충족된다고 한다.
이들 이외의 촬상 모드, 즉 야경 모드, 풍경 모드, 고속 셔터 모드, 고감도 모드인 경우는, 인물의 촬상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 선택되거나, 또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성이 나쁜 상태로 추정된다.
예를 들면 야경 모드, 풍경 모드는, 풍경 촬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피사체에 인물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였다고 하여도, 화상 내의 중심적인 존재가 아니라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야경 모드나 고감도 모드인 경우는, 만약 전방에 인물이 있다고 하여도, 어두운 풍경을 촬상하고 있을 때의 모니터링 화상은, 앞면표시 패널(6F)에 표시시켰다고 하여도, 해당 전방의 인물에게는 시인성이 나쁘다.
또한 고속 셔터 모드의 피사체는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가 된다. 예를 들면 사람이 피사체였다고 하여도, 그 사람은 스포츠 경기중, 댄스중 등의 상황에 있고, 안정되게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상황이 아니다.
즉, 이들의 촬상 모드인 경우, 전방에 사람이 있지 않거나, 또는 인물이 있다고 하여도 앞면표시 패널(6F)이 시인성 좋게 표시되는 상황이 아니다, 또는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상황이 아니라고 추정된다.
그래서 CPU(31)는 촬상 모드가 야경 모드, 풍경 모드, 고속 셔터 모드, 고감도 모드의 어느 하나인 경우는, 조건 판정에 있어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이상은 예시이고, 이들 이외에도, 황혼 촬상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황혼 모드, 식물이나 곤충 등의 접사(接寫)에 적합한 매크로 모드, 불꽃의 촬상에 적합한 불꽃 모드, 수중에서의 촬상에 적합한 수중 모드 등이 준비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스키장 슬로프나 설경색(雪景色)의 백은(白銀)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스노우 모드나, 바다나 하늘의 청색을 두드러지게 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비치 모드 등도 준비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경우도, 각각 인물의 존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내용의 시인성, 피사체측의 인물이 상황에 응하여, 조건 판정할 때에 어떻게 판단하여야 하는지(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행하여야 할 소정의 촬상 모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미리 설정하여 두면 좋다.
또한, 조건 판정의 수법의 하나로서, 상기한 촬상 모드 이외의 유저 설정에 의한 판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유저 설정이란, 예를 들면 플래시 발광 설정, 줌 위치 조작 등, 촬상 모드 설정 이외의 유저의 조작에 응한 설정 상태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조건 판정으로서는, 현재의 촬상 모드 이외의 유저 설정 상태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에 적합한 설정 상태인지의 여부라는 판정을 행한다.
유저 설정중의 플래시 발광 설정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플래시 발광 설정이란, 플래시 발광을 실행시키는지(플래시 : 온), 시키지 않는지(플래시 : 오프), 또는 자동 제어로 플래시 온/오프를 행하는지(플래시 : 오토)를 유저가 선택하는 설정이다. 이 경우, 유저가 플래시 : 온으로 설정으로 하는 경우는, 주위가 어두운 상황인 것이 통상이다.
어두운 상황인 경우, 모니터링 기간의 모니터링 화상도 휘도가 낮은 상태가 되고,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의 시인성은 좋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플래시 발광 설정에 관해서는, 「플래시 :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CPU(31)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유저 설정중에서 줌 위치 조작 설정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줌 위치 조작 설정이란, 예를 들면 유저가 도 1의 와이드/텔레 조작키(5c)를 조작하여 줌 조작한 경우의 줌 위치의 설정인 것이다.
예를 들면 인물을 피사체로 하고 있다고 하여도, 줌 위치가 소정 이상으로 텔레측(망원)에 있을 때는, 그 피사체 인물은 촬상 장치(1)보다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당연히, 너무 멀으면, 그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적절히 볼 수가 없다.
그래서 CPU(31)는, 유저의 조작에 의한 줌 위치가, 소정 이상의 망원 상태의 위치인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유저 설정으로서, 플래시 발광 설정, 줌 위치 조작에 관해 설명했지만, 유저 설정으로서는, 상기한 이외에, 감도 설정, 노광 설정, 손떨림 보정 온/오프 설정, 특수 촬상 설정 등이 상정된다. 이들의 각각에 관해서도, 피사체 인물이 적절히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본다는 행위에 관해 적절한 상황(시인 가능성)이 추정되는지의 여부로서, 조건 판정에 반영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조건 판정의 수법의 하나로서, 내부 검출 정보를 이용하는 판정을 들 수 있다.
내부 검출 정보란, 촬상 장치(1)가 내부적으로 검출하는 각종의 카메라 검출 정보이다. 여기서 말하는 카메라 검출 정보란, 촬상 장치(1)의 내부 센서로 검출되는 정보나, 촬상 장치의 동작 제어에 수반하여 CPU(31)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 등이다. 예를 들면 플래시 제어나 노광 제어에 이용하는 외광 광량 검출 정보, 줌 위치 정보, 포커스 정보, 손떨림 검출 정보, 피사체 거리 정보 등이다.
그리고 조건 판정으로서는, CPU(31)는, 현재 얻어지고 있는 카메라 검출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상황이,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에 적합한 설정 상태인지의 여부라는 판정을 행한다.
외광 광량은, 촬상 화상 데이터의 휘도 평균치나, 화면 내의 일부에 무게 부여를 행하여 얻은 무게 부여 휘도 평균치 등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고, 이들은 통상적으로, 자동 노광 제어나, 플래시 발광 설정이 오토인 경우의 플래시 발광 제어 등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 DSP(4)의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이들의 휘도치가 산출되기 때문에, CPU(31)는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외광 광량 센서 등을 마련하여 직접적으로 외광 광량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의 수법으로 검출되는 외광 광량이 낮은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등의 표시를 행하여도, 화상 자체의 휘도가 낮고,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른바 역광 상태 등, 너무 외 광 광량 레벨이 높은 경우도,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는 양호하게 시인할 수가 없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외광 광량이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경우나 역광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화상 표시에 적절한 상황이 아닌, 즉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줌 위치 정보에 관해서는, CPU(31)는 유저 조작 등에 응하여 줌 렌즈를 구동 제어를 하기 때문에, 줌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인물을 피사체로 하고 있다고 하여도, 줌 위치가 소정 이상으로 텔레측(망원)에 있을 때는, 그 피사체 인물은 촬상 장치(1)보다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피사체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적절히 볼 수가 없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줌 위치가 소정 이상의 망원 상태의 위치인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피사체 거리 정보란, 촬상 장치(1)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정보이고, 예를 들면 CPU(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위치 검출부(27)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물을 피사체로 하고 있다고 하여도, 피사체 거리 정보에 의해, 그 피사체 인물이 촬상 장치(1)보다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 있다고 판별할 수 있는 경우는, 피사체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적절히 볼 수가 없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피사체 거리 정보에 의해, 피사체가 소정 이상의 먼 위치 에 있다고 검출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포커스 정보란,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의 오토 포커스를 위한 처리에 이용하는 초점맞춤 상태의 판정의 정보이다.
CPU(31)는, 촬상 화상 신호가 초점맞춤 상태가 아닌 화상인 경우는, 적절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할 수가 없다. 즉 흐려진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되어 버린다.
그래서, CPU(31)는, 초점맞춤 상태가 아닌 때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또한, 이것은 모니터링 화상 표시의 경우에 유효한 조건 판정이 된다.
떨림 검출 정보는, 손떨림이나 촬상 장치(1)의 움직임의 검출 정보이다. CPU(31)는 예를 들면 떨림 검출부(13)로부터의 정보로서 떨림 검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손떨림이 큰 경우, 또는 유저가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에 추종하는 등으로 촬상 장치(1)를 움직이고 있는 경우 등은, 근처에 있는 사람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화상은 적정하게 시인할 수가 없다. 그래서 CPU(31)는, 떨림 검출 정보에 의해, 떨림이나 촬상 장치(1)의 움직임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또한 조건 판정의 수법의 하나로서, 화상 해석 정보를 이용하는 판정을 들 수 있다.
화상 해석 정보란, 화상 해석부(44)가 실행하는 화상 해석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이다.
화상 해석부(44)에서는, 모니터링 기간 등에 있어서, 촬상계(2)에서 촬상되고, 카메라 DSP(4)에 받아들여진 촬상 화상 데이터에 관한 화상 해석 처리를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처리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에 관해, 또는 간헐적으로 프레임을 추출하여, 화상 해석 처리를 행한다.
화상 해석 정보로서, 피사체에 인물이 포함되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조건 판정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해석부(44)에서는, 해석 대상으로 한 촬상 화상 데이터 내에, 인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한다. 즉 인물로 인식할 수 있는 윤곽 부분이 화상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그 화상 해석 결과를 CPU(31)에 공급한다.
이 때문에 CPU(31)는, 그 화상 해석 결과로서, 인물의 존재가 인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CPU(31)는, 인물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면,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인물의 존재가 인식될 수 없으면,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은 조건 판정을 행하면, 예를 들면 모니터링 기간중에, 사용자가, 인물이 피사체가 되도록 촬상 장치(1)를 향하고 있을 때에는, 앞면표시 패널(6F)에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풍경 등, 인물을 포함하지 않는 피사체 광경을 겨누고 있을 때에는, 앞면표시 패널(6F)은 오프로 되게 된다.
또한, 화상 해석에 의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볼 수 있는 인물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화상 해석이 아니라, 도 2에 도시한 근접 센서(50)의 검출 결과를 확인함으로서 조건 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는, 화상 해석 결과와 근접 센서(50)의 검출 결과의 양쪽을 확인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런데, 화상 해석에 의한 인물 검출으로서, 「얼굴」의 검출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화상 해석부(44)에서는, 촬상 화상 데이터에서, 얼굴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윤곽이나, 눈, 코, 입 등의 얼굴의 요소의 존재를 판정하고, 촬상 화상 데이터에 피사체로서의 인물의 「얼굴」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31)는, 화상 해석 결과로서 인물의 얼굴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면,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인물의 얼굴의 존재를 인식할 수가 없으면,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인물의 신체의 전체의 판정이 아니라, 얼굴의 판정에 의해, 전방의 인물의 존재를 확인하여도 좋다.
화상 해석부(44)에서의 화상 해석 처리에 의해서는, 인물 인식이나 얼굴 인식 이외에서도 각종의 화상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광 광량의 판 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비교에서의 움직임 검출이나 화소마다의 흐려짐 량으리 해석 등으로, 촬상 장치(1)와 피사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의 양을 판정할 수도 있다. 또한 얼굴 화상이 검출된 경우의 화상 인식 처리로서, 화면 내에서의 얼굴의 사이즈(1프레임의 화상 내에 차지하는 얼굴 부분의 비율)나, 얼굴 방향, 시선 방향 등을 해석 결과로서 얻을 수도 있다.
이들과 같이 함에 의해 다양한 화상 해석 결과도, 조건 판정에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해석으로서 외광 광량을 판정하는 경우, 상술한 카메라 검출 정보로서도 설명하였지만, 외광 광량이 낮은 경우나, 역광 상태 등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는 양호하게 시인할 수가 없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외광 광량이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경우나 역광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또한 화상 해석 결과로서, 촬상 장치(1)와 피사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의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즉, 촬상 장치(1) 자체가 떨리거나 움직이고 있는(유저가 촬상 장치(1)를 움직이고 있는) 경우, 또는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 경우, 또는 쌍방이 움직이고 있는 경우를 판정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움직임의 양이 큰 때는, 피사체로 되어 있는 인물이 있다고 하여도 적절히 앞면표시 패널(6F)을 시인할 수가 없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CPU(31)는, 촬상 장치(1)와 피사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화상 해석으로서, 단지 얼굴 검출뿐만 아니라, 얼굴의 크기(화면 내에서의 얼굴 부분의 비율)를 판정할 수 있다.
줌 위치 상태에도 따르지만, 어떤 일정한 줌 상태를 생각하면, 얼굴의 크기는, 촬상 장치(1)로부터의 피사체로 되어 있는 인물까지의 거리를 판정하는 지표의 하나가 된다.
예를 들면 줌 상태가 와이드 상태라도 얼굴이 작게 찌혀져 있는 경우는, 그 인물은 멀리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줌 위치를 고려하여, 얼굴의 크기에 의해 피사체 인물의 원근을 판단한다. 그리고, 그 인물은 멀리에 있고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내용을 볼 수가 없다고 판정하는 경우,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또한 화상 해석으로서, 얼굴 방향이나 시선 방향을 인식할 수도 있다. 촬상 화상상(上)에서 얼굴이 정면 방향이 아닌 경우, 또는 시선이 정면 방향이 아닌 경우는, 그 피사체 인물은 촬상 장치(1)를 보고 있지 않는 것이 된다. 즉 앞면표시 패널(6F)을 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얼굴 방향, 또는 시선 방향을 확인한다. 그리고, 그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내용을 보고 있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 가능성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상, 조건 판정으로서의 예를 열거하여 왔지만, 실제의 시인 가능성의 조건 판단의 처리에서는, 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하면 좋다.
물론 상기 이외에도, 조건 판정 처리의 예는 생각된다. 조건 판정으로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관한 시인 가능성이라는 점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도 7의 (a)의 처리에서는, 이와 같은 조건 판정에 응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가 적절히 행하여지게 된다.
다음에 도 7의 (b)는, 도 6의 스텝 F102의 처리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CPU(31)는,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스텝 F201에서 주표시 패널(6M)에서의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또한, 스텝 F206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는 오프로 한다.
즉 이 예는, 모니터링 기간에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는 행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4-3 : 기록 기간의 처리예>
다음에 도 8, 도 9로 기록 기간에 있어서의 처리예를 설명한다. 즉 상기 도 6의 스텝 F105에서의 CPU(31)의 처리예이다.
도 8의 (a)의 예는, 기록 기간에 있어서, 기록 처리 대상의 화상 표시를 행 하지 않는 예이다.
즉 CPU(31)는, 유저의 릴리스 조작 등에 의거한 처리로서, 릴리스 타이밍에서 촬상되고, 받아들여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매체 인터페이스(10)에 전송하고, 기록 매체(90)에 기록시킨다. 또는, 플래시 ROM(33)에 기록시킨다.
또한 이 기록 기간에 있어서 CPU(31)는,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의 각각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 8의 (b)의 예는, 기록 기간에 있어서, 주표시 패널(6M)에만 기록 처리 대상의 화상 표시를 행하는 예이다.
즉 CPU(31)는, 유저의 릴리스 조작 등에 의거한 처리로서, 릴리스 타이밍에서 촬상되고, 받아들여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90) 또는 플래시 ROM(33)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이 기록 기간에 있어서 CPU(31)는, 주표시 패널(6M)에서, 해당 기록 처리에 관한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실행시킨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로써, 촬상 장치(1)의 유저는, 셔터 타이밍에서 촬상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8의 (c)의 예는, 기록 기간에 있어서, 앞면표시 패널(6F)에만 기록 처리 대상의 화상 표시를 행하는 예이다.
즉 CPU(31)는, 유저의 릴리스 조작 등에 의거한 처리로서, 릴리스 타이밍에서 촬상되고, 받아들여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90) 또는 플래시 ROM(33)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이 기록 기간에 있어서 CPU(31)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해당 기록 처리에 관한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실행시킨다. 주표시 패널(6M)에 대해 서는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로써, 피사체로 되어 있는 인물은, 셔터 타이밍에서 촬상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8의 (d)의 예는, 기록 기간에 있어서,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양쪽에서 기록 처리 대상의 화상 표시를 행하는 예이다.
즉 CPU(31)는, 유저의 릴리스 조작 등에 의거한 처리로서, 릴리스 타이밍에서 촬상되고, 받아들여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90) 또는 플래시 ROM(33)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이 기록 기간에 있어서 CPU(31)는, 주표시 패널(6M) 및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해당 기록 처리에 관한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실행시킨다.
이로써, 촬상 장치(1)의 유저 및 피사체로 되어 있는 인물은, 셔터 타이밍에서 촬상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9는, 릴리스 조작키(5a)에 관한 유저의 조작으로서, 이른바 「반누름」의 경우를 고려한 처리예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로는, 반누름의 상태에서, 피사체에 핀트를 맞추는 포커스 제어를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예의 촬상 장치(1)에 관해서도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 경우에, 그 반누름의 기간을 기록 기간에 포함한 예가 도 9이다.
도 9는, 예를 들면 상기 도 6의 처리에서, 스텝 F104가, 반누름의 검출이라고 한 경우로서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CPU(31)는, 도 6의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유저가 릴리스 조작키(5a)를 반 누름한 것을 검지하면, 스텝 F104로부터 도 9의 스텝 F501로 처리를 진행한다.
그리고 CPU(31)는, 그 때의 피사체 화상을 대상으로 하여서의 포커스 제어를 행한다.
CPU(31)는 스텝 F502에서 릴리스 조작키(5a)의 압입을 감시한다. 즉, 유저가 반누름의 상태로부터 릴리스 조작키(5a)를 압입한 때에, 릴리스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인식한다. 또한, 도 9에는 표현하고 있지 않지만, 유저가 릴리스 조작키(5a)의 압입을 행하는 일 없이 반누름을 그만둔 경우는, 도 6의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 되돌아오도록 하면 좋다.
반누름이 계속해서 있는 기간은, CPU(31)는 스텝 F503 내지 F507 및 스텝 F501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우선 스텝 F503에서 CPU(31)는, 주표시 패널(6M)에서의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유저는 반누름의 상태에서 셔터 찬스를 겨누고 있을 때이기 때문에,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우선 스텝 F504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관한 시인 가능성에 관한 조건 판정을 행한다. 조건 판정의 예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고, 예를 들면 피사체 방향에서의 인물의 존재의 판별 처리, 또는 촬상 모드의 판별 처리, 또는 내부 검출 정보에 관한 판별 처리, 또는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 처리 결과에 관한 판별 처리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한다. 이로써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인물이 존재하는 것이나, 그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을 볼려고 한 경우에 통상적으로 시인할 수 있는 상황인 것, 또는 해 당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을 볼려고 하는 의지가 있는 것 등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시인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505로부터 F506으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한편, 시인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505로부터 F507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을 무표시 상태로 하거나,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전원 오프 제어를 행한다.
즉, 피사체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을 볼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만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유저가 릴리스 조작키(5a)의 압입을 행하는 것을 검지하면, CPU(31)는 스텝 F508로 진행하여, 릴리스 처리를 행한다.
즉 CPU(31)는, 유저의 릴리스 조작에 의거한 처리로서, 릴리스 타이밍에서 촬상되고, 받아들여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매체 인터페이스(10)에 전송하고, 기록 매체(90)에 기록시킨다. 또는, 플래시 ROM(33)에 기록시킨다.
또한 CPU(31)는,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의 각각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 스텝 F508은, 상기 도 8의 (a)와 마찬가지로 하였지만, 상기 도 8의 (b) 또는 도 8의 (c) 또는 도 8의 (d)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기록 기간의 제어 처리로서는, 이상의 도 8, 도 9와 같은 각 예가 생각된다.
<4-4 : 프리뷰 기간의 처리예>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3로 프리뷰 기간에 있어서의 처리예를 설명한다. 즉 상기 도 6의 스텝 F106에서의 CPU(31)의 처리예이다.
도 10은, 프리뷰 기간에 있어서, 일정 시간, 주표시 패널(6M)에서 프리뷰 표시를 행하고,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조건에 응하여 프리뷰 표시를 행하도록 한 예이다.
상기한 기록 기간의 처리를 종료하면, 계속해서 CPU(31)는 도 6의 스텝 F106으로서 도 10의 처리를 행한다. CPU(31)는 우선 스텝 F601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대한 시인 가능성에 관한 조건 판정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피사체 방향에서의 인물의 존재의 판별 처리, 또는 촬상 모드의 판별 처리, 또는 내부 검출 정보에 관한 판별 처리, 또는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 처리 결과에 관한 판별 처리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한다.
이로써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인물이 존재하는 것이나, 그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을 볼려고 한 경우에 통상적으로 시인할 수 있는 상황인 것, 또는 해당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을 볼려고 하는 의지가 있는 것 등의 시인 가능성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602로부터 F604로 진행하여,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양쪽에서 프리뷰 표시 제어를 행한다. 즉 직전의 기록 기간의 처리에서 기록을 행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표시시킨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602로부터 F603으로 진행하여, 주표시 패널(6M)에서 프리뷰 표시 제어를 행한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오프로 한다. 이로써, 직전의 기록 기간의 처리에서 기록을 행한 화상 데이터가 주표시 패널(6M)에만 표시된다.
스텝 F604 또는 F603에서 시작한 프리뷰 표시는, 스텝 F605에서 일정한 표시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예를 들면 수초 정도로 한다. CPU(31)는 스텝 F604 또는 F603에서 프리뷰 표시를 시작한 시점부터 타임 카운트를 행하고, 스텝 F605에서 일정 시간의 경과를 감시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F606에서 프리뷰 표시를 종료시킨다.
이상으로 도 6의 스텝 F106의 처리가 종료되고, CPU(31)는 도 6의 스텝 F101로 되돌아와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를 재개한다.
이 도 10의 처리에 의하면, 프리뷰 표시는, 주표시 패널(6M)에서는 항상 일정 시간 행하여짐과 함께,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보는 사람이 있다고 추정되는 상황에서, 일정 시간 행하여지게 된다.
다음에 도 11의 처리예를 설명한다. 이 도 11은, 앞면표시 패널(6F)에만 프리뷰 표시를 일정 시간 행하도록 한 처리예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 6의 스텝 F106의 프리뷰 처리에 상당하는 것은 스텝 F610뿐이고, 스텝 F101은 도 6의 스텝 F101을, 또한 스텝 F201, F210, F211은 도 6의 스텝 F102의 처리로서 기재하고 있다.
상술한 기록 기간의 처리를 종료하면, CPU(31)는 도 6의 스텝 F106으로서 도 11의 스텝 F610의 처리를 행한다. 즉 CPU(31)는 직전의 기록 기간의 처리에서 기록 을 행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프리뷰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CPU(31)는 스텝 F101로 진행하여,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를 재개한다. 그리고 스텝 F201에서,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주표시 패널(6M)은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프리뷰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CPU(31)는, 스텝 F610에서 프리뷰 표시를 시작한 시점부터 타임 카운트를 행하고 있고, 스텝 F210에서 일정 시간의 경과를 감시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F211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프리뷰 표시를 종료시킨다.
도 6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CPU(31)는 스텝 F103, F104의 감시 처리를 행하면서 스텝 F102의 처리를 반복한다. 따라서 이 도 11의 경우도, 재생 지시(F103)나 릴리스 조작(F104)이 검지되지 않으면, CPU(31)는 스텝 F104로부터 F201로 되돌아오면서, 스텝 F201, F210, F211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결국, 이 도 11의 처리에 의하면, 프리뷰 기간에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프리뷰 표시가 시작된 후, 곧바로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시작된다. 그리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프리뷰 표시가 일정 시간 행하여지면,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프리뷰 표시가 종료되고, 앞면표시 패널(6F)은 오프로 되게 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의 유저는 프리뷰 표시를 보지 않고, 곧바로 모니터링 화상을 볼 수 있고, 다음 정지화 기록의 준비로 이전될 수 있음과 함께, 피사체 인물은, 일정 시간, 자신이 찍혀진 정지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처리의 변형례로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프리뷰 표시를 종료한 후는, 도 7의 스텝 F202 내지 F205의 처리를 행하여, 조건에 응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2의 처리예를 설명한다. 이 도 12는,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프리뷰 표시를 행하지만,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프리뷰 표시를 길게 행하도록 한 예이다.
또한 도 12에서는, 도 6의 스텝 F106의 프리뷰 처리에 상당한 것은 스텝 F620, F621이고, 스텝 F101은 도 6의 스텝 F101을, 또한 스텝 F201 내지 F205 및 F220은 도 6의 스텝 F102의 처리로서 기재하고 있다.
상술한 기록 기간의 처리를 종료하면, CPU(31)는 도 6의 스텝 F106으로서 도 12의 스텝 F620의 처리를 행한다. 즉 CPU(31)는 직전의 기록 기간의 처리에서 기록을 행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양쪽에서 프리뷰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CPU(31)는, 스텝 F620에서 프리뷰 표시를 시작한 시점부터 타임 카운트를 행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F621에서는, 일정 시간의 경과를 감시한다. 단 이 경우는, 주표시 패널(6M)에서의 프리뷰 표시로서의 소정 시간(T1)의 경과를 감시하게 된다.
소정 시간(T1)을 경과할 때까지는, 프리뷰 기간으로서,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프리뷰 표시가 계속된다.
소정 시간(T1)을 경과하면, CPU(31)는 스텝 F621로부터 F101로 진행하여,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를 재개한다. 또한, 타임 카운트는 그대로 계속한다.
그리고 CPU(31)는 스텝 F201에서,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주표시 패널(6M)은 프리뷰 표시로부터 모니터링 화상 표시로 전환되게 되고,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프리뷰 표시가 계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한 후는, CPU(31)는, 상기 스텝 F620의 프리뷰 표시를 시작한 시점부터 타임 카운트에 관해, 스텝 F220에서 일정 시간의 경과를 감시한다. 이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프리뷰 표시로서의 소정 시간(T2)(T1<T2)의 경과를 감시하게 된다.
도 6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CPU(31)는 스텝 F103, F104의 감시 처리를 행하면서 스텝 F102의 처리를 반복한다. 따라서 이 도 12의 경우도, 재생 지시(F103)나 릴리스 조작(F104)이 검지되지 않으면, CPU(31)는 스텝 F104로부터 F201로 되돌아와, 스텝 F220, F202 내지 F205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링 기간에 들어가도, 스텝 F220에서 소정 시간(T2)의 경과라고 판단될 때까지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프리뷰 표시가 계속된다.
그 후, 소정 시간(T2)이 경과한 이후는, 스텝 F102의 처리로서 CPU(31)는, 도 12의 스텝 F202 내지 F205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즉 CPU(31)는 스텝 F202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관한 시인 가능성 에 관한 조건 판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피사체 방향에서의 인물의 존재의 판별 처리, 또는 촬상 모드의 판별 처리, 또는 내부 검출 정보에 관한 판별 처리, 또는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 처리 결과에 관한 판별 처리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한다.
그리고,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203으로부터 F2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 제어를 행한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203으로부터 F2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한다.
결국, 이 도 12의 처리에 의하면, 프리뷰 기간으로서,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프리뷰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주표시 패널(6M)에서의 프리뷰 표시가 우선 종료되고,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 이행하여, 주표시 패널(6M)에서는 모니터링 화상 표시로 전환된다.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모니터링 기간에 이르러도, 어느 정도의 시간(T2)의 경과까지는 프리뷰 표시가 계속된다. 그리고 프리뷰 표시가 종료된 후는, 시인 가능성에 응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의 유저는 프리뷰 표시를 단시간만 확인한 후, 곧바로 모니터링 화상을 볼 수 있고, 다음의 정지화 기록의 준비로 이동할 수 있다. 피사체 인물은, 비교적 긴 시간, 자신이 찍혀진 정지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처리의 변형례로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프리뷰 표시를 종료한 후는, 모니터링 기간중에 있어서, 앞면표시 패널(6F)을 강제적으로 오프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3의 처리예를 설명한다. 이 도 13은,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프리뷰 표시를 행하지만, 프리뷰 기간은, 유저의 조작으로 종료되도록 하고, 게다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프리뷰 표시는, 보다 긴 시간, 행하도록 한 예이다.
또한 도 13에서는, 도 6의 스텝 F106의 프리뷰 처리에 상당하는 것은 스텝 F630, F631이고, 스텝 F101은 도 6의 스텝 F101을, 또한 스텝 F201 내지 F205 및 F220은 도 6의 스텝 F102의 처리로서 기재하고 있다.
상술한 기록 기간의 처리를 종료하면, CPU(31)는 도 6의 스텝 F106으로서 도 13의 스텝 F630의 처리를 행한다. 즉 CPU(31)는 직전의 기록 기간의 처리에서 기록을 행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양쪽에서 프리뷰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CPU(31)는, 스텝 F631에서, 유저 조작으로서 프리뷰 표시의 종료의 지시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프리뷰 표시의 종료 조작이 행하여질 때까지는, 프리뷰 기간으로서,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프리뷰 표시가 계속된다.
프리뷰 표시의 종료 조작을 검지하면, CPU(31)는 스텝 F631으로부터 F101로 진행하여,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를 재개한다. 그리고 CPU(31)는 스텝 F201에서,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주표시 패널(6M)은 프리뷰 표시로부터 모니터링 화상 표시로 전환되게 되고,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프리뷰 표시가 계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한 후는, CPU(31)는, 상기 스텝 F620의 프리뷰 표시를 시작한 시점부터 타임 카운트에 관해, 스텝 F220에서 일정 시간의 경과를 감시한다. 또는 타임 카운트는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한 시점에서 시작하여도 좋다.
도 6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CPU(31)는 스텝 F103, F104의 감시 처리를 행하면서 스텝 F102의 처리를 반복한다. 따라서 이 도 13의 경우도, 재생 지시(F103)나 릴리스 조작(F104)이 검지되지 않으면, CPU(31)는 스텝 F104로부터 F201로 되돌아와, 스텝 F220, F202 내지 F205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링 기간에 들어가고도, 스텝 F220에서 일정 시간 경과라고 판단될 때까지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프리뷰 표시가 계속된다. 그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는, 스텝 F102의 처리로서 CPU(31)는, 도 13의 스텝 F202 내지 F205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즉 CPU(31)는 스텝 F202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관한 시인 가능성에 관한 조건 판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피사체 방향에서의 인물의 존재의 판별 처리, 또는 촬상 모드의 판별 처리, 또는 내부 검출 정보에 관한 판별 처리, 또는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 처리 결과에 관한 판별 처리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한다.
그리고,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면, CPU(31) 는 처리를 스텝 F203으로부터 F2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 제어를 행한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203으로부터 F2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한다.
결국, 이 도 13의 처리에 의하면, 유저의 프리뷰 표시의 종료 조작이 행하여질 때까지는, 프리뷰 기간으로서,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프리뷰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유저의 프리뷰 표시의 종료 조작이 이루어지면, 주표시 패널(6M)에서의 프리뷰 표시가 종료되고,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 이행하여, 주표시 패널(6M)에서는 모니터링 화상 표시로 전환된다.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모니터링 기간에 이르러도, 일정 시간의 경과까지는 프리뷰 표시가 계속된다. 그리고 프리뷰 표시가 종료된 후는, 시인 가능성에 응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의 유저는 프리뷰 표시를, 임의의 시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의 의지로 프리뷰 표시를 종료시킴으로써, 그 시점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볼 수 있고, 다음의 정지화 기록의 준비로 이동할 수 있다. 피사체 인물은,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한 후도, 어느 정도의 시간, 자신이 찍혀진 정지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처리의 변형례로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프리뷰 표시를 종료한 후는, 모니터링 기간중에 있어서, 앞면표시 패널(6F)을 강제적으로 오프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유저가 언제까지나 프리뷰 표시의 종료 조작을 행하지 않는 일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장시간, 스텝 F631에서 조작이 검지되지 않는다면, 자동적으로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하는 처리예도 생각된다.
<4-5 : 재생 기간의 처리예>
다음에 도 14, 도 15에서 재생 기간에 있어서의 처리예를 설명한다. 즉 상기 도 6의 스텝 F107로서의 CPU(31)의 처리예이다.
도 14의 (a)는, 재생 기간에 있어서 주표시 패널(6M)에만 재생 표시를 행하는 예이다. CPU(31)는,
도 6의 스텝 F107로 진행하는 경우, 도 14의 (a)의 스텝 F701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 F702에서는,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기록 매체(90) 또는 플래시 ROM(33)으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제어를 행하고,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주표시 패널(6M)에서 재생 표시시킨다.
즉, 재생 표시에 관해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을 사용하지 않는 예이다.
도 14의 (b)는, 경우에 따라서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재생 표시를 행하도록 한 예이다.
CPU(31)는, 도 6의 스텝 F107로 진행한 경우, 도 14의 (b)의 스텝 F710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관한 시인 가능성에 관한 조건 판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피사체 방향에서의 인물의 존재의 판별 처리, 또는 촬상 모드의 판별 처리, 또는 내부 검출 정보에 관한 판별 처리, 또는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 처리 결과에 관한 판별 처리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한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711로부터 F713로 진행하여,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기록 매체(90) 또는 플래시 ROM(33)으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양쪽에서 재생 표시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711로부터 F712로 진행하여,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기록 매체(90) 또는 플래시 ROM(33)으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주표시 패널(6M)에서 재생 표시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오프로 한다. 이로써, 재생 화상이 주표시 패널(6M)에만 표시된다.
이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가 유효하다고 추정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재생 화상 표시를 행한다. 이로써 앞면측에 있는 사람도, 재생 화상을 즐길 수 있다.
도 15의 처리는, 재생 기간에는,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재생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표시가 다른 경우가 생기는 예이다.
CPU(31)는, 도 6의 스텝 F107로 진행한 경우, 도 15의 스텝 F720에서, 주표시 패널(6M)에서의 재생 표시 제어를 행한다. 즉 CPU(31)는,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기록 매체(90) 또는 플래시 ROM(33)으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제어를 행하고,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주표시 패널(6M)에서 재생 표시시킨다.
그리고,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주표시 패널(6M)에서의 재생 표시 상태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주표시 패널(6M)에서의 재생 화상 표시로서는,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표시 상태가 전환된다. 예를 들면 1화상씩을 유저 조작에 응하여 전환하고 있거나, 또는 섬네일 화상으로서의 일람 표시를 행하는 경우도 있다. 스텝 F721에서는, 주표시 패널(6M)에서, 현재, 재생 화상의 섬네일 일람 표시를 행하고 있는지, 또는 하나의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현재, 주표시 패널(6M)에서 1장의 재생 화상을 표시시키고 있는 것이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722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도, 그 같어 재생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키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5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현재, 주표시 패널(6M)에서 섬네일 일람 표시를 실행시키고 있는 것이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723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앞면표시 패널(6F)에는, 섬네일 일람 표시상에서 커서(K)로 선택중으로 되어 있는 재생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키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5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앞면측에 사람이 있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측에서도 동시에 재생 화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의 유저와, 앞면측에 있는 인물이, 재생 화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주표시 패널(6M)에서 섬네일 일람 표시를 행하고 있는 경우는, 촬상 장치(1)의 유저가 커서(K)를 이동시켜 감으로써, 앞면표시 패널(6F)측에서, 선택한 재생 화상을 앞면측에 있는 인물에게 보일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처리의 변형례로서, 예를 들면 도 15의 스텝 F721 전에 도 7의 스텝 F202 내지 F205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조건에 응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스텝 F722 또는 F723의 재생 표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4-6 : 동화 기록 기간의 처리예>
이상으로는, 촬상 장치(1)에서 정지화 촬상을 행하는 경우의 각 동작 기간에서의 처리를 설명하여 왔다. 촬상 장치(1)에서 동화 기록을 행하는 경우도 상정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동화 기록의 경우의 처리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동화 기록을 행하는 경우의 각 동작 기간의 천이에 관한 처리예이다. 스텝 F101 내지 F103, F107, F108은, 도 6과 마찬가지이다. 도 6에서는 정지화 기록에 관한 동작 처리로 하고 있던 처리(F104 내지 F106)를, 도 16에서는 동화 기록에 관한 처리로서 스텝 F150 내지 F153로 나타내고 있다.
모니터링 기간은 동화 기록을 시작하기 까지의 스탠바이 상태의 기간이 되지만, 스텝 F102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7의 (a) 또는 도 7의 (b)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유저가 기록 스타트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응하여, CPU(31)는 스텝 F150부터 F151로 진행하여, 동화 기록 처리 및 기록중의 표시 제어 를 행하게 된다. 이 스텝 F151의 처리는, 유저가 기록 정지의 조작을 행하던지, 또는 기록 매체(90) 등의 용량 풀 상태여서 기록할 수가 없게 되는 등으로서, 기록 정지라고 판단될 때까지 계속된다.
유저 조작 등에 의해 기록 정지가 되면, CPU(31)는 스텝 F152로부터 F153로 진행하여, 동화 기록의 종료 처리를 행하고. 스텝 F101로 되돌아와, 모니터링 기간의 동작을 재개시킨다.
여기서, 스텝 F151에서의 처리예를 도 17의 (a), (b), (c)에 도시한다.
도 17의 (a)는, 동화 기록중의 화상 표시를, 상황에 응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행하도록 하는 예이다.
CPU(31)는, 도 16의 스텝 F151로 진행한 경우, 도 17의 (a)의 스텝 F800에서 동화 기록 처리를 행한다. 즉 촬상계(2), 카메라 DSP(4)에서 얻어지는 각 프레임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관해, 소정의 압축 인코드 처리 등을 시핸시키고,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동화로서 기록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 동화 기록 처리할 때에, 스텝 F801에서는, CPU(31)는 주표시 패널(6M)에서의 동화 표시 제어를 행한다. 즉 기록중의 모니터 화상으로서의 동화 표시를 주표시 패널(6M)에서의 실행시킨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스텝 F802 내지 F805를 행한다.
스텝 F802에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관한 시인 가능성에 관한 조건 판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피사체 방향에서의 인물의 존재의 판별 처리, 또는 촬상 모드의 판별 처리, 또는 내부 검출 정보에 관한 판별 처리, 또는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 처리 결과에 관한 판별 처리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한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803으로부터 F8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기록중의 모니터 화상으로서의 동화 표시를 실행시킨다.
즉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양쪽에서 동화 모니터 표시가 실행되게 된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시인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803으로부터 F8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은 오프로 한다. 이로써, 동화 모니터 표시가 주표시 패널(6M)에만 표시된다.
이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가 유효하다고 추정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기록중의 동화 표시를 행한다. 이로써 앞면측에 있는 사람도,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의 모니터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17의 (b)는,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동화 기록중의 모니터 화상 표시를 행하는 예이다.
CPU(31)는, 도 16의 스텝 F151로 진행한 경우, 도 17의 (b)의 스텝 F810에서 동화 기록 처리를 행한다. 즉 촬상계(2), 카메라 DSP(4)에서 얻어지는 각 프레임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관해, 소정의 압축 인코드 처리 등을 시행시키고,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동화로서 기록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이 동화 기록 처리할 때에, 스텝 F811에서, CPU(31)는 주표시 패널(6M) 및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동화 표시 제어를 행한다. 즉 기록중의 모니터 화상으로서의 동화 표시를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실행시킨다.
도 17의 (c)는, 주표시 패널(6M)에만 동화 기록중의 모니터 화상 표시를 행하는 예이다.
CPU(31)는, 도 16의 스텝 F151로 진행한 경우, 도 17의 (c)의 스텝 F820에서 동화 기록 처리를 행한다. 즉 촬상계(2), 카메라 DSP(4)에서 얻어지는 각 프레임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관해, 소정의 압축 인코드 처리 등을 시핸시키고,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동화로서 기록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CPU(31)는 스텝 F821에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고, 또한 스텝 F822에서, 주표시 패널(6M)에서의 동화 표시 제어를 행한다. 즉 기록중의 모니터 화상으로서의 동화 표시에 관해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은 사용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동화 기록을 행하는 경우로서는, 이상의 도 17의 (a), (b), (c)와 같은 표시 제어예가 생각된다.
[5. 표시 상태의 천이예]
이상, 모니터링 기간, 정지화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 재생 기간, 및 동화 기록 기간에 관한, 주표시 패널(6M) 및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에 관한 제어예를 설명하여 왔다.
본 예의 촬상 장치(1)에서는, 이들 각 동작 기간이 천이하면서, 일련의 정지화 촬상 동작, 재생 동작, 동화 기록 동작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각 동작 기간에 있어서, 상술한 처리예의 하나를 채용함으로써, 양 표시 패널(6M, 6F)에서 유효한 표시가 실현된다.
도 18, 도 19에서는, 예#1 내지 #8로서, 동작 기간의 추이에 수반한, 양 표시 패널(6M, 6F)에서의 표시 상태를 예시하였다.
예#1 내지 #5는, 모니터링 기간 →정지화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 →모니터링 기간 →재생 기간으로 천이한 경우의 표시 상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모니터링 기간 →정지화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으로서 1장의 정지화 기록이 행하여지고, 그 후 모니터링 기간중에 유저 조작 등에 의해 재생 기간으로 이행한 경우이다.
우선 도 18에 도시하는 예#1은,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서 도 7의 (a)의 처리, 정지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 도 8의 (a)의 처리, 프리뷰 기간의 처리로서 도 10의 처리, 재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4의 (a)의 처리를 채용한 경우이다.
주표시 패널(6M)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항상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정지화 기록 기간으로서의 한 순간은 표시 오프로 되고, 프리뷰 기간에는 소정 시간, 프리뷰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재생 표시가 행하여진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시인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된 경우에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지만, 시인 가능성이 없다고 추정되는 경우는 표시 오프로 되어, 필요없는 표시는 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정지화 기록 기간으로서의 한 순간은 표시 오프가 된다. 프리뷰 기간에는 시인 가능성이 있으면 소정 시간, 프리뷰 표시가 행하여지지만, 시인 가능성이 없으면 프리뷰 표 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재생 표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즉, 이 예#1은,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시인 가능성의 조건에 응하여 모니터링 화상 표시나 프리뷰 표시를 행하도록 한 예이다.
예#2는,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서 도 7의 (b)의 처리, 정지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 도 8의 (b)의 처리, 프리뷰 기간의 처리로서 도 10의 처리, 재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4의 (b)의 처리를 채용한 경우이다.
주표시 패널(6M)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항상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정지화 기록 기간으로부터 프리뷰 기간에 걸쳐서는 기록한 정지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재생 표시가 행하여진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표시 오프가 된다. 정지화 기록 기간도 표시 오프인 채로 된다. 프리뷰 기간에는 시인 가능성이 있으면 소정 시간, 프리뷰 표시가 행하여지지만, 시인 가능성이 없으면 프리뷰 표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시인 가능성의 유무에 응하여, 재생 표시는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즉, 이 예#2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기록한 정지화상이나 재생 화상에 관해, 시인 가능성의 조건에 응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한 예이다.
예#3은,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서 도 11의 F102의 처리, 정지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 도 8의 (c)의 처리, 프리뷰 기간의 처리로서 도 11의 F106의 처리, 재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5의 처리를 채용한 경우이다.
주표시 패널(6M)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항상 모니터링 화상 표시 가 행하여진다. 정지화 기록 기간과 프리뷰 기간에서는 표시는 행하여지지 않지만, 정지화 기록 기간과 프리뷰 기간은 유저에게서 보아 한 순간이 되고, 즉석에서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하여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1장 표시나 섬네일 일람 표시 등의 형식으로 재생 표시가 행하여진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표시 오프가 된다. 정지화 기록 기간에서는 기록 대상의 정지화상이 표시되고, 그 화상이 프리뷰 기간도 계속된다. 이 경우,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하여도 프리뷰 표시는 계속된다. 일정 시간의 프리뷰 표시를 종료하면, 표시 오프가 된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주표시 패널(6M)과 마찬가지의 1장 화상, 또는 주표시 패널(6M)이 섬네일 일람 화상인 경우의 선택중의 화상의 1장 표시가 행하여진다.
즉, 이 예#3은, 주표시 패널(6M)에서는, 기록 화상의 프리뷰는 행하지 않도록 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모니터링 화상 표시는 행하지 않고, 기록한 정지화상(프리뷰 화상)이나 재생 화상에 관해 표시를 행하도록 한 예이다.
예#4는,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서 도 12의 F102의 처리, 정지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 도 8의 (d)의 처리, 프리뷰 기간의 처리로서 도 12의 F106의 처리, 재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4의 (b)의 처리를 채용한 경우이다.
주표시 패널(6M)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항상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정지화 기록 기간으로부터 프리뷰 기간에서 기록한 정지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프리뷰 기간이 종료되면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하여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재생 표시가 행하여진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시인 가능성의 유무에 응하여,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정지화 기록 기간으로부터 프리뷰 기간으로서, 기록한 정지화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보다 긴 시간, 프리뷰 표시가 행하여진다. 즉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해도, 어느 정도의 시간 프리뷰 표시가 계속된다. 프리뷰 표시를 종료한 후는, 시인 가능성의 유무에 응하여,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도, 시인 가능성의 유무에 응하여, 재생 표시가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이 예#4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가능한 한 길게 프리뷰 표시가 실행되도록 하면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나 재생 표시에 관해서는 시인 가능성의 조건에 응한 것으로 한 예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예#5는,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서 도 13의 F102의 처리, 정지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 도 9의 처리, 프리뷰 기간의 처리로서 도 13의 F106의 처리, 재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5의 처리를 채용한 경우이다.
주표시 패널(6M)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항상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정지화 기록 기간에서의 반누름의 동안은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계속한다. 릴리스 처리시는 표시 오프로 한다. 프리뷰 기간은 유저의 프리뷰 표시의 종료 조작이 있을 때까지 프리뷰 표시를 행한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1장 표시나 섬네일 일람 표시 등의 형식으로 재생 표시가 행하여진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시인 가능성의 유무에 응하여,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정지화 기록 기간에 있어서의 반누름 동안도, 조건에 응한 표시 동작이 계속된다. 릴리스 처리시는 표시 오프로 한다. 프리뷰 기간은 프리뷰 표시를 행하지만,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하여도 프리뷰 표시는 계속된다. 일정 시간의 프리뷰 표시를 종료하면, 시인 가능성의 유무에 응한 모니터링 화상 표시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주표시 패널(6M)과 마찬가지의 1장 화상, 또는 주표시 패널(6M)이 섬네일 일람 화상인 경우의 선택중의 화상의 1장 표시가 행하여진다.
즉, 이 예#5는, 주표시 패널(6M)에서는, 기록 화상의 프리뷰은 유저의 조작에 의해 종료되지만, 프리뷰 기간을 종료하고 모니터링 기간으로 이행하여도, 어느 정도의 시간,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프리뷰 표시를 계속하도록 한 예이다.
예#6 내지 #8은, 모니터링 기간 →동화 기록 기간 →모니터링 기간 →재생 기간으로 천이한 경우의 표시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모니터링 기간 →동화 기록 기간으로서 동화 기록이 행하여지고, 그 후 모니터링 기간중에 유저 조작 등에 의해 재생 기간으로 이행한 경우이다.
예#6은,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서 도 7의 (a)의 처리, 동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7의 (a)의 처리, 재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4의 (b)의 처리를 채용한 경우이다.
주표시 패널(6M)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항상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동화 기록 기간도 기록중의 모니터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는, 재생 표시가 행하여진다.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시인 가능성의 유무에 응하여,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동화 기록 기간도, 시인 가능성의 유무에 응하여, 기록중의 모니터 표시가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또한 재생 기간에서도, 시인 가능성의 유무에 응하여, 재생 표시가 행하여지던지, 또는 표시 오프가 된다.
즉, 이 예#6은,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항상 시인 가능성의 조건에 응하여 모니터링 화상 표시, 기록 모니터 표시, 재생 표시를 행하도록 한 예이다.
예#7은,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서 도 7의 (a)의 처리, 동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7의 (b)의 처리, 재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4의 (b)의 처리를 채용한 경우이다. 동화 기록 기간 이외는 예#6과 마찬가지이다.
주표시 패널(6M)에 대해서는, 동화 기록 기간도 기록중의 모니터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동화 기록 기간은 항상 기록중의 모니터 표시가 행하여진다.
즉, 이 예#7은, 동화 기록중은 항상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기록 모니터 표시를 행하도록 한 예이다.
예#8은,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서 도 7의 (a)의 처리, 동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7의 (c)의 처리, 재생 기간의 처리로서 도 14의 (b)의 처리를 채용한 경우이다. 동화 기록 기간 이외는 예#6과 마찬가지이다.
주표시 패널(6M)에 대해서는, 동화 기록 기간도 기록중의 모니터 화상 표시 가 행하여진다.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동화 기록 기간은 표시 오프가 된다.
즉, 이 예#8은, 동화 기록중은 앞면표시 패널(6F)에서 기록 모니터 표시를 행하지 않도록 한 예이다.
이상, 예#1 내지 #8로서, 동작 기간 천이에 수반하는 표시 상태의 변천의 예를 기술하였지만, 물론 이들 각 예 이외에도, 다양한 표시 처리예가 생각된다.
도 6 내지 도 17으로서 설명하여 온 처리에서,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로서는 도 7의 (a), (b), 도 11의 F102, 도 12의 F102, 도 13의 F102의 어느 한쪽(또는 그들의 변형례)을 채용할 수 있다.
정지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는 도 8의 (a), (b), (c), (d), 도 9의 어느 한쪽(또는 그들의 변형례)을 채용할 수 있다.
프리뷰 기간의 처리로서는 도 10, 도 11의 F106, 도 12의 F106, 도 13의 F106의 어느 한쪽(또는 그들의 변형례)을 채용할 수 있다.
재생 기간의 처리로서는 도 14의 (a), (b), 도 15의 어느 한쪽(또는 그들의 변형례)을 채용할 수 있다.
동화 기록 기간의 처리로서는 도 17의 (a), (b)의 어느 한쪽(c)(또는 그들의 변형례)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이들의 처리예를 조합시킨으로써, 동작 천이에 의한 표시 상태의 변천의 예는 매우 다양하게 상정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1)에서는, 동작의 과정에서 천이하는 각 종 동작 기간마다, 상기한 예#1 내지 #8과 같이,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기간, 정지화의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 재생 기간, 동화 기록 기간 등을 천이할 때에, 각각, 표시의 목적이나 표시를 보는 사람의 존재 등에 응하여 표시 상태를 제어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것이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다른 표시 내용이란, 다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나, 한쪽이 표시 오프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예를 들면 조건 판단의 결과에 의해서는 다른 표시 내용이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예#1에서는, 모니터링 기간, 프리뷰 기간은,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이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다. 또한 재생 기간은 다른 표시 내용으로 된다. 다른 예#2 내지 #8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이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각 동작 기간마다, 각 표시 패널부에서 적절한 표시, 유용한 표시, 필요없는 표시의 회피 등을 실현한다.
[6. 변형례]
이상, 실시의 형태로서의 각종의 처리예나 변형례를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는 더욱 다양한 변형례가 생각된다.
상기 예에서는, 앞면표시 패널(6F)에 관해, 예를 들면 시인 가능성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표시를 오프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에, 표시 오프로 하지는 않고서, 앞면표시 패널(6F)을 저휘도 표시 상태로 하거나, 재생 화상이나 프리세트 화상을 표시한다는 예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도 7의 (a)의 처리에서 스텝 F205로 진행한 경우에,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휘도를 저하시킨 상태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로서 예를 들면 유기 EL 패널과 같은 자발광 소자에 의한 표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표시 휘도를 내리는 것은, 소비 전력 삭감에 유용하다. 따라서, 전방에 사람이 있지 않은, 또는 시인성이 나쁘고 표시를 볼 수가 있는 시인 가능성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때에는, 표시휘도를 내림으로써,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7의 (a)의 처리에서 스텝 F205로 진행한 경우, 프리세트 화상이나 재생 화상 등, 앞면표시 패널(6F)에 모니터링 화상과는 무관계한 화상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전방에 피사체로 되어 있는 사람이 없는, 또는 시인성이 나쁘고 표시를 볼 수가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추정된 때라도, 옆에 사람이 있는 상황은 많이 있다. 또한 사람의 위치에 따라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보기 쉬운 상황인 경우도 있다.
그들의 주위에 있는 사람에 잇어서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가 촬상 장치(1)의 외관 디자인의 일부로서 인식되고, 흥미 깊은 것으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 앞면표시 패널(6F)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유저가 선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저가 자신의 촬상 장치(1)의 외관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고, 카메라 사용상의 즐거움을 넓힐 수 있다.
이들의 처리는 도 8의 (a), (b)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하는 경우의 처리의 변형례, 도 9의 스텝 F507, F508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하는 경우의 처리의 변형례로서도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도 10의 스텝 F603, 도 11의 스텝 F211, 도 12의 스텝 F205, 도 13의 스텝 F205, 도 14의 (a)의 스텝 F701, 도 14의 (b)의 스텝 F713, 도 17의 (a)의 스텝 F805, 도 17의 (c)의 스텝 F821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통상적인 모니터링 화상 표시나 프리뷰 표시 등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지, 저휘도 표시로 하는지, 재생 화상이나 프리세트 화상을 표시하는지 라는 것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본 예에서는 촬상 장치(1)로서,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라고 불리는 기기를 예로 들었지만,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 촬상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다양한 기기에서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외관례의 설명도.
도 2는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동작 천이의 설명도.
도 4는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화상 표시예의 설명도.
도 5는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화상 표시예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의 형태의 각 동작 기간의 천이를 행하는 제어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7은 실시의 형태의 모니터링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8은 실시의 형태의 기록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9는 실시의 형태의 기록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10은 실시의 형태의 프리뷰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11은 실시의 형태의 프리뷰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12는 실시의 형태의 프리뷰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13은 실시의 형태의 프리뷰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14는 실시의 형태의 재생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15는 실시의 형태의 재생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16은 실시의 형태의 동화 기록 기간을 포함하는 제어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17은 실시의 형태의 동화 기록 기간의 처리예의 플로우 차트.
도 18은 실시의 형태의 표시 상태의 천이의 예의 설명도.
도 19는 실시의 형태의 표시 상태의 천이의 예의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 촬상장치 2 : 촬상계
3 : 제어계 4 : 카메라 DSP
5 : 조작부 6M : 주표시 패널
6F : 앞면표시 패널 7 : 표시 컨트롤러
8 : 외부 인터페이스 9 : SDRAM
10 : 매체 인터페이스 13 : 떨림 검출부
14 : 발광 구동부 15 : 플래시 발광부
17 : 렌즈 구동 드라이버 18 :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
19 : 촬상 소자 드라이버 21 : 렌즈 기구부
22 : 조리개/ND 필터 기구 23 : 촬상 소자부
24 :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25 : A/D 변환부
28 : 타이밍 생성 회로 26 : 렌즈 구동부
27 : 렌즈 위치 검출부 31 : CPU
32 : RAM 33 : 플래시 ROM
34 : 시계 회로 41 : 화상 신호 처리부
42 : 압축/해동 처리부 43 : SDRAM 컨트롤러
44 : 화상 해석부 50 : 근접 센서

Claims (14)

  1.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 1 표시 패널부와,
    장치 몸체상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 2 표시 패널부와,
    상기 피사체 방향으로부터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고, 촬상 화상 신호를 얻는 촬상 처리부와,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관한 기록 매체에의 기록 처리를 행하는 기록 처리부와,
    상기 촬상 처리부 또는 상기 기록 처리부의 동작을 수반하는 서로에게 천이하는 복수종의 각종의 동작 기간마다,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 상태를 제어함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가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기간으로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 기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모니터링 표시하는 모니터링 기간과,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 정지화 데이터로서 기록 처리하는 기록 기간과,
    상기 기록 기간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프리뷰 기간이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모니터링 화상으로서 표시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 대한 시인 가능성 조건의 판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의 실행/불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가능성 조건의 판별 처리는, 피사체 방향에서의 인물의 존재의 판별 처리, 또는 촬상 모드의 판별 처리, 또는 내부 검출 정보에 관한 판별 처리, 또는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 처리 결과에 관한 판별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에 있어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모니터링 화상으로서 표시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를 실행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중의 한쪽에서만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의 양쪽에서 실행시키는, 또는 양쪽에서 실행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중의 한쪽에서만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기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의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의 양쪽에서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는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보다 장시간, 상기 정지화 데이터의 표시를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기간의 하나로서,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표시하는 재생 기간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기간에 있어서, 상기 재생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중의 한쪽에서만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기간의 하나로서,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표시하는 재생 기간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상기 재생 표시를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 대한 시인 가능성 조건의 판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재생 표시의 실행/불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기간의 하나로서,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 표시하는 재생 기간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상기 재생 표시로서의 일람 표시 및 1화상 표시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서는, 1화상 표시만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기간의 하나로서, 또한,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상기 기록 처리부에서 동화 데이터로서 기록 처리하여 가는 동화 기록 기간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화 기록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상기 기록 처리에 관한 동화 표시를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에 대한 시인 가능성 조건의 판별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동화 표시의 실행/불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촬상 장치의 동작 기간으로서, 적어도,
    촬상 처리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기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모니터링 표시하는 모니터링 기간과,
    상기 촬상 처리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를 정지화 데이터로서 기록 처리하는 기록 기간과,
    상기 기록 처리에 관한 정지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프리뷰 기간을 갖음과 함께,
    상기 각 동작 기간마다,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제 1 표시 패널부와, 장치 몸체상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와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가 다른 표시 내용이 될 수 있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KR1020090098105A 2008-11-05 2009-10-15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KR101609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84294 2008-11-05
JP2008284294A JP4697289B2 (ja) 2008-11-05 2008-11-05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391A true KR20100050391A (ko) 2010-05-13
KR101609392B1 KR101609392B1 (ko) 2016-04-05

Family

ID=4149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105A KR101609392B1 (ko) 2008-11-05 2009-10-15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7) US8325264B2 (ko)
EP (1) EP2184636B1 (ko)
JP (1) JP4697289B2 (ko)
KR (1) KR101609392B1 (ko)
CN (1) CN102333188A (ko)
BR (1) BRPI0904355A2 (ko)
RU (1) RU2511499C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089A (ko) * 2015-07-29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45292B2 (en) 2015-07-29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8204B2 (ja) * 2008-11-05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70939B2 (ja) * 2008-11-0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97289B2 (ja) 2008-11-0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5495602B2 (ja) * 2009-04-02 2014-05-2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JPWO2013089267A1 (ja) * 2011-12-16 2015-04-27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1337520B1 (ko) * 2012-05-17 201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338355B2 (ja) * 2013-11-07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05072336A (zh) * 2015-07-31 2015-11-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调节拍摄功能的控制方法、装置和设备
CN105491284B (zh) 2015-11-30 2018-12-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预览图像的显示方法和装置
CN107257439B (zh) * 2017-07-26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US10785384B2 (en) * 2017-09-27 2020-09-22 Apple Inc. Submersible electronic devices with imaging capabilities
DE202019105178U1 (de) * 2018-09-19 2020-01-28 Gopro, Inc. Kamera und graphische Anwenderschnittstelle
JP7204434B2 (ja) 2018-11-15 202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149304A (ja) * 2019-03-13 2020-09-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情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0306D0 (en) * 1991-09-24 1991-11-06 Graham Herbert K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CN1139934C (zh) * 1995-04-08 2004-02-25 索尼公司 编辑系统
WO1999031663A1 (fr) * 1997-12-17 1999-06-24 Sony Corporation Dispositif pour generer une liste de montage, procede et dispositif de montage
JP3873463B2 (ja) * 1998-07-15 2007-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装置
JP3501035B2 (ja) * 1999-09-16 2004-02-23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6665805B1 (en) * 1999-12-27 2003-12-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monitoring of user presence to prolong a portable computer battery operation time
GR1004180B (el) * 2000-03-28 2003-03-11 ����������� ����� ��������� (����) Μεθοδος και συστημα χαρακτηρισμου και χαρτογραφησης αλλοιωσεων των ιστων
US7224851B2 (en) * 2001-12-04 2007-05-29 Fujifil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modification pattern of transmission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same
KR100454965B1 (ko) * 2001-12-2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JP4536311B2 (ja) * 2002-04-30 2010-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2004248055A (ja) * 2003-02-14 2004-09-02 Pentax Corp 被写体像を表示可能なデジタルカメラ及び撮影用表示装置
JP2004260501A (ja) * 2003-02-26 2004-09-16 Nec Corp 折り畳み型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画像表示方法
KR20040077189A (ko) * 2003-02-28 2004-09-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543644B2 (ja) * 2003-09-16 2010-09-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データ認識装置
JP4254529B2 (ja) * 2003-12-25 2009-04-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モニタ付き撮像機器
JP4095071B2 (ja) * 2004-03-19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装置、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89608B2 (ja) * 2004-03-31 2010-06-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画像再生装置および顔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4421369B2 (ja) 2004-04-28 2010-02-24 株式会社東芝 画像撮影装置
JP2006101466A (ja) * 2004-09-03 2006-04-13 Nikon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6140677A (ja) * 2004-11-11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
KR101128075B1 (ko) 2005-03-15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두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제어 방법
US7424218B2 (en) * 2005-07-28 2008-09-09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preview for panoramic images
JP4452853B2 (ja) * 2005-08-31 2010-04-21 ソニー株式会社 撮影装置
US7969497B2 (en) * 2005-11-21 2011-06-28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display screen
JP2007158799A (ja) 2005-12-06 2007-06-21 Sony Corp 撮像装置
JP2007288530A (ja) * 2006-04-17 2007-11-01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装置による異物除去方法
JP2008228053A (ja) * 2007-03-14 2008-09-25 Nikon Corp カメラ
US20080231740A1 (en) * 2007-03-21 2008-09-25 Mcintyre Dale F Camera with multiple displays
JP4670939B2 (ja) * 2008-11-0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97289B2 (ja) * 2008-11-0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089A (ko) * 2015-07-29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45292B2 (en) 2015-07-29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01273B1 (en) 2015-07-29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28493A (ko) * 2015-07-29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30170A1 (en) 2022-01-27
US20100110268A1 (en) 2010-05-06
US8325264B2 (en) 2012-12-04
US20230291997A1 (en) 2023-09-14
US20150125128A1 (en) 2015-05-07
KR101609392B1 (ko) 2016-04-05
US10225477B2 (en) 2019-03-05
RU2009140825A (ru) 2011-05-10
EP2184636B1 (en) 2013-01-16
US20170237906A1 (en) 2017-08-17
EP2184636A1 (en) 2010-05-12
JP2010114570A (ja) 2010-05-20
US8977101B2 (en) 2015-03-10
US9674446B2 (en) 2017-06-06
US20190149737A1 (en) 2019-05-16
CN102333188A (zh) 2012-01-25
US11696016B2 (en) 2023-07-04
JP4697289B2 (ja) 2011-06-08
US11223770B2 (en) 2022-01-11
BRPI0904355A2 (pt) 2011-02-01
US20130044993A1 (en) 2013-02-21
RU2511499C2 (ru) 2014-04-10
CN101742100A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7289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748204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70939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EP2109307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868054B1 (ko) 촬상장치 및 상블러링 경감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5510353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
JP4807218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742100B (zh) 成像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JP646090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