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420A - Steel panel for drywall construction and drywal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eel panel for drywall construction and drywal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420A
KR20100049420A KR1020080108563A KR20080108563A KR20100049420A KR 20100049420 A KR20100049420 A KR 20100049420A KR 1020080108563 A KR1020080108563 A KR 1020080108563A KR 20080108563 A KR20080108563 A KR 20080108563A KR 20100049420 A KR20100049420 A KR 2010004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wall
panel
web
steel
stu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78219B1 (en
Inventor
백승경
이승복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8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219B1/en
Publication of KR2010004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steel panel for a dry wall and a dry wall using the same is provided to improve excellent sound absorbing performance by forming a double shielding surface. CONSTITUTION: A steel panel for a dry wall comprises a steel plate surface(11), a first stud part(12), and a second stud part(13). The first stud part is vertically bent inward from one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and is extended. The second stud is vertically bent i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and is extended.

Description

건식벽체용 강재패널 및 이를 사용한 건식벽체{Steel Panel for drywall construction and drywall using the same}Steel Panel for drywall construction and dry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식벽체용 강재패널 및 이를 사용한 건식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으로 강판을 사용한 건식벽체나 가변형 건식벽체에 적용 가능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 및 이를 사용한 건식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anel for drywall, and a drywall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wall using a steel plate as an inner wall or an outer wall of a building, or a drywall steel panel applicable to a drywall and a variable drywall, and a drywall using the sam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일반주택 및 공장 등과 같은 건축물에서는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내벽 구조물인 칸막이벽이나, 외벽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건식벽체(Dry wall)를 주로 시공하고 있다.In general, in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partments, general houses and factories, dry walls are mainly used to construct partition walls or inner wall structures that divide interior spaces.

이러한 건식벽체는 블록이나 벽돌을 쌓아 시공하는 습식공법과 달리, 경량으로 건축물에 부담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시설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한 작업 및 시설비가 저렴한 이점이 있다. 건식벽체는 기본적으로 단열성과 차음성을 갖추어야 하며 구조적인 강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Unlike the wet construction method of stacking blocks or bricks, these drywalls are lightweight and can be installed without burdening the building,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nstruction is simple and quick work and installation cost are low. Drywalls should basically have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and structural strength.

이를 위하여 통상 건식벽체는 골격을 이루는 대략 'ㄷ'자 상의 스터드를 직립 설치하고, 상기 스터드의 상부 및 하부에는 골격을 이루는 대략 'ㄷ'자 상의 런 너를 설치하며, 상기 스터드와 런너 및 외측판재를 체결 조립함으로써 시공되어진다.To this end, a general drywall is installed upright studs on the approximately 'c' to form a skeleton, and install a runner on the 'c' shaped to form a skeleton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ud, and the stud and runner and the outer plate It is constructed by fastening and assembling.

이러한 종래의 건식벽체는 "C" 형상의 스틸 스터드를 이용하여 현장 인력에 의하여 벽체를 시공하므로, 현장에서 가공, 시공하므로 해체 후 재시공을 위한 자재의 전용,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drywall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use and recycle materials for reconstruction after dismantling because the walls are constructed by field personnel using steel studs having a “C” shape.

또한, 마감재 사이에 흡음재만 설치되어 차음성능의 향상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onl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installed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상복합 아파트를 중심으로 공동주택에서의 건식벽체 적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와 함께 가변형 평면 등 주택상품의 경쟁이 가열되고 있는 실정에서, 시공이 용이하며, 해체 및 재사용이 가능하고, 연속된 강판면으로서 차폐면을 형성하고, 별도의 마감용 패널과 함께 이중의 차폐면을 구성할 수 있어 종래의 스틸스터드 건식벽체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차음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 및 이를 사용한 건식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th the trend of increasing the application of drywall in multi-unit housing mainly in residential apartments, the competition of housing products, such as variable flat, is heating up, construction Easy to dismantle and reuse, shielding surface can be formed as a continuous steel plate, and double shielding surface can be configured together with a separate finishing panel to provide better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steel stud drywall. It is to provide a steel panel for drywall that can be expected and a drywall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은, 강판면, 강판면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제 1 스터드부, 및 강판면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제 2 스터드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Steel panel for a dry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el plate surface, the first stud portion is formed by extending inwardly perpendicularly from one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and vertical 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It is formed to include a second stud portion that is bent inwardly extending.

여기서, 제 1 스터드부는, 강판면의 단부에 내측으로 수직하게 굴곡된 제 1 웨브, 제 1 웨브의 단부에 외측으로 강판면과 평행하게 연결된 후 그 단부에 내측으로 제 1 웨브와 평행하게 굴곡된 제 2 웨브, 제 2 웨브의 단부에 내측으로 강판면과 평행하게 굴곡된 플랜지, 및 플랜지의 단부에 내측으로 제 1 및 제 2 웨브와 평행하게 굴곡된 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Here, the first stu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web bent inwardly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the outer side to the end of the first web parallel to the steel plate surface and then bent in parallel to the first web at the end thereof. A second web, a flange curved inwardly parallel to the steel plate surface at an end of the second web, and a rib curved inwardly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webs at the end of the flange.

또한, 제 2 스터드부는, 강판면의 타단부에 내측으로 제 1 웨브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굴곡된 제 3 웨브, 제 3 웨브의 단부에 내측으로 강판면과 평행하게 굴절된 연결부, 및 연결부의 단부에 외측으로 상기 제 2 및 3 웨브와 평행하게 굴곡된 제 4 웨브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second stud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web bent vertically in parallel with the first web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sheet surface, a connecting portion refracted in parallel with the steel sheet surface to the end of the third web, and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fourth web bent outwar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and third webs.

본 실시예에서, 제 1 스터드부의 폭(W1)과 제 2 스터드부의 폭(W2)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웨브의 길이(d1)와 제 2 웨브(12b)의 길이(d2)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웨브의 길이(d1)와 제 4 웨브(12b)의 길이(d2)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W1 of the first stud portion and the width W2 of the second stud portion are preferably formed to be the same. In addition, the length d1 of the first web and the length d2 of the second web 12b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manner. In addition, the length d1 of the third web and the length d2 of the fourth web 12b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mann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은, 강판면에 대응하여 제 1 스터드부와 제 2 스터드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마감 패널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 패널은 공간에 끼워 맞춤하도록 일측면에 복수의 끼움부가 돌출 형성된다. The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nishing panel for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tud portion and the second stu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teel plate surface. Here, the finishing pane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on one side to fit in the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는 제 1 스더드부와 인접 강재패널의 제 1 스터드부가 결합되어 있다.In the dry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ud portion and the first stud portion of the adjacent steel panel are combin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는 제 1 스더드부와 인접 강재패널의 제 2 스터드부가 결합되어 있다.In the dry 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ud portion and the second stud portion of the adjacent steel panel are combined.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패널의 연결 방식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 연속 형태로 강판면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현장 절단/가공 및 시공 중심의 스틸스터드 벽체와 달리 일정 길이의 패널을 상부 및 하부 런너 사이에 삽입,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해체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가 적용되는 부위 및 용도에 따라, 단일열의 칸막이벽 및 이중열의 세대간 경계벽을 형성할 수 있다. 강판면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양방향에서 전기기배선용 설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teel plate surface in a zigzag form, a continuous form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frame panel, unlike the steel stud wall of the existing field cutting / processing and construction center, a panel of a certain leng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nners Since it can be inserted and constructed, it is easy to construc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isassembly and reuse are possib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partition wall in a single row and an intergenerational boundary wall in a double row, depending on the site and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wall is applied. When the steel plate surface is connected in a zigzag form,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equipment for electric wiring in both directions.

또한, 연속된 강판면으로서 차폐면을 형성하고, 별도의 마감용 패널과 함께 이중의 차폐면을 구성할 수 있어 종래의 스틸스터드 건식벽체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차음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shielding surface as a continuous steel plate surface, and to configure a double shielding surface together with a separate finishing panel,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expected more excellen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steel stud drywal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combin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Figure 1, Figure 3 is a drywall of Figure 2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steel panel, and FIG. 4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dry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s which concerns on 1st Example of this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은 강판을 소재로 하며, 건식벽체의 구조적인 기능을 갖는 하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프레임 패널(10)로서, 강판면(11), 제 1 스터드부(12), 및 제 2 스터드부(1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rame panel 10, which serves as a base material having a structural function of the drywall, the steel plate surface ( 11), a first stud portion 12, and a second stud portion 13.

강판면(11)은 건식벽체의 외면 또는 내면을 형성하는 강판으로서, 대략 사각형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층고 혹은 천장고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거나 그 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steel plate surface 11 is a steel plate for forming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drywall, the substantially square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may be form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loor height or ceiling height, or may be formed shorter.

제 1 스터드부(12)는 강판면(11)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스터드부(12)는 제 1 웨브(12a)와 제 2 웨브(12b)로 이루어지며, 양 웨브(12a,12b)가 단차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웨브(12b)의 단부에서 강판면(11)과 평행하게 절곡된 플랜지(12c)가 연장 형성된다. 플랜지(12c)에는 내향 절곡된 리브(12d)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스터드부(12)는 강판면(11)의 단부에 내측으로 수직하게 굴곡된 제 1 웨브(12a), 제 1 웨브(12a)의 단부에 외측으로 강판면(11)과 평행하게 연결된 후 그 단부에 내측으로 제 1 웨브(12a)와 평행하게 굴곡된 제 2 웨브(12b), 제 2 웨브(12a)의 단부에 내측으로 강판면(11)과 평행하게 굴곡된 플랜지(12c), 및 플랜지(12c)의 단부에 내측으로 제 1 및 제 2 웨브(12a,12b)와 평행하게 굴곡된 리브(12d)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first stud portion 12 is bent inwardly and vertically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to extend. The first stud portion 12 is composed of a first web 12a and a second web 12b, and both webs 12a and 12b are formed in a stepped shape. At the end of the second web 12b, a flange 12c bent in parallel with the steel plate surface 11 is formed. Inwardly bent ribs 12d are formed in the flange 12c. That is, the first stud portion 12 is parallel to the steel plate surface 11 outwardly at the end of the first web 12a, the first web 12a, which is bent inwardly perpendicular to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The second web 12b bent in parallel to the first web 12a at its end after being connected, and the flange 12c bent in parallel to the steel plate surface 11 at the end of the second web 12a inward. And ribs 12d bent in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webs 12a, 12b at the ends of the flange 12c.

제 2 스터드부(13)는 강판면(11)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 장 형성된다. 제 2 스터드부(13)는 제 3 웨브(13a) 및 제 4 웨브(13c)로 이루어지며, 양 웨브(13a,13b))가 연결부(13b)를 사이에 두고 단차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연결부(13b)에는 제 2 스터드부(13)의 중심점(C)이 형성되며, 제 2 스터드부(13)는 이 중심점(C)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스터드부(13)는 강판면(11)의 타단부에 내측으로 제 1 웨브(12a)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굴곡된 제 3 웨브(13a), 제 3 웨브(13a)의 단부에 내측으로 강판면(11)과 평행하게 굴절된 연결부(13b), 및 연결부(13b)의 단부에 외측으로 제 2 및 3 웨브(12b,13a)와 평행하게 굴곡된 제 4 웨브(13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second stud portion 13 is bent inwardly and vertic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to extend. The second stud portion 13 is composed of a third web 13a and a fourth web 13c, and both webs 13a and 13b are formed in a stepped shape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3b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enter point C of the 2nd stud part 13 is formed in this connection part 13b, and the 2nd stud part 13 is formed in point symmetry based on this center point C.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econd stud portion 13 is formed at the ends of the third web 13a and the third web 13a, which are bent in parallel to the first web 12a i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inwardly. A connection portion 13b refracted in parallel with the steel plate surface 11 inward, and a fourth web 13c bent outwar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and third webs 12b, 13a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3b. Is form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은 각각 중심점(C)을 기준으로 제 2 스터드부(13)가 상호 맞물려 접합되도록 교차 결합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teel panel for drywall is cross-coupled such that the second stud portions 1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point C, respectively.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식벽체는 일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2 스터드부(13)와 타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2 스터드부(13)가 서로 끼워 맞춤되어 연속적인 건식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일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2 스터드부(13)에 타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2 스터드부(13)가 접촉하여 결합하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웨브(12a)의 길이(d1)는 제 2 웨브(12b)의 길이(d2)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매 마감재의 교번 부착이 용이하도록 일측의 프레임 패널(10)의 강판면(11)의 폭은 타측의 프레임 패널(10)의 강판면(11)의 폭과 동일하고, 제 1 스터드부(12)의 폭(W1)과 제 2 스터드부(13)의 폭(W2)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in the drywall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tud portion 13 of the frame panel 10 on one side and the second stud portion 13 of the frame panel 10 on the other side are fitted with each other to continuously dry the wall. Will form the sides.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stud portion 13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panel 10 and the second stud portion 13 on the one si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web 12a is shown in FIG. 3. Length d1 is preferably equal to the length d2 of the second web 12b.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of the frame panel 10 on one side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of the frame panel 10 on the other side to facilitate the alternating attachment of a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and the first stud portion ( The width W1 of 12 and the width W2 of the second stud portion 13 are preferably formed to be the same.

이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 패널(10)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이웃하 는 프레임 패널과 지그재그로 교차 결합되어 건식벽체를 형성한다. As such, each frame panel 10 has the same size and shape and cross-couples with a neighboring frame panel in a zigzag form to form a drywall.

또한, 프레임 패널(10)의 강판면(11)의 내면에 흡음재(30)가 각각 설치되고, 프레임 패널(10)의 강판면(11)의 외면에 복수의 마감재(40)가 각각 설치된다. 즉, 제 1 웨브(12a)와 제 3 웨브(13a)와의 사이 및 제 2 웨브(12b)와 제 4 웨브(13c)와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흡음재(30)가 삽입되어 끼워 맞춤하게 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is provi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of the frame panel 10, respectively, and the several finishing material 40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of the frame panel 10, respectively. That is,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can be inserted into and fit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web 12a and the third web 13a and between the second web 12b and the fourth web 13c. Of cours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of Figure 5, Figure 7 is a drywall of Figure 5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anel.

본 실시예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은 마감 패널(20)이 더 구비된 구성 외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finishing panel 20 is further provide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arts as the fir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은 상기 실시예의 프레임 패널(10)과 이 프레임 패널(10)에 결합되는 마감 패널(20)을 포함한다. 5 to 7,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frame panel 10 of the embodiment and a finishing panel 20 coupled to the frame panel 10.

마감 패널(20)은 건식벽체의 외면 또는 내면을 형성하는 강판으로서,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천장면과 바닥면에 접촉하는 높이로서 상, 하부의 런너 플랜지 길이의 합만큼 작게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감 패널(20)은 마감면(21)과, 이 마감면(21)의 내면 양측 영역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22)와, 끼움부(22)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2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감 패널(20)은 제 1 스터드부(12)와 제 2 스터드부(13) 사이에 강판면(11)에 대응하여 결합되어, 그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게 된다. The finishing panel 20 is a steel plate forming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drywall,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as small as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upper and lower runner flanges as the height of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7, the finishing panel 20 includes a finishing surface 21, fitting portions 2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nishing surface 21, and outer portions of the fitting portions 22,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part (23). Therefore, the finishing panel 20 is coupled to the steel plate surface 11 between the first stud portion 12 and the second stud portion 13 to close the space therebetween.

또한, 제 1 스터드부(12)에는, 끼움부(22)와 접촉하도록 플랜지(12c)의 일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리브(12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감 패널(20)의 양측 끼움부(22)가 리브(12d)와 제 4 웨브(13c)에 접촉하게 되어, 프레임 패널(10)과 마감 패널(2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The first stud portion 12 is formed with a rib 12d having one end portion of the flange 12c bent inward so as to contact the fitting portion 22. Accordingly, both fitting portions 22 of the finishing panel 20 come into contact with the ribs 12d and the fourth web 13c, so that the frame panel 10 and the finishing panel 20 are easily coupl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강재패널을 적용한 건식벽체의 설치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drywall to which the steel panel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 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 및 바닥에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프레임 패널(10)과 마감 패널(20)을 끼워 맞춤하여 삽입설치하고, 프레임 패널(10) 내에 흡음재(30)를 삽입한다. 다음에 프레임 패널(10)과 마감 패널(20)의 외면에 보드 등의 마감재(40)를 번갈아 부착하여 건식벽체를 완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8,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bottom, and the frame panel 10 and the finishing panel 20 are fitted and inserted therebetween, and the frame panel is installe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 10. Next, alternately attaching finishing materials 40 such as boards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rame panel 10 and the finishing panel 20 to complete the drywall.

또한, 프레임 패널(10)에 흡음재(30)를 삽입한 다음에, 상부 런너(110)와 하부 런너(120) 사이에 프레임 패널(10)과 마감 패널(20)을 끼워 맞춤하여 삽입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the frame panel 10, and then the frame panel 10 and the finishing panel 20 are fitted and inserted between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It is possible.

건식벽체의 설치는 사전에 제작하여 일정단위의 프레임 패널(10)과 마감패널(20)을 현장에 반입하여, 시공하거나 현장에서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 설치 후 패널을 끼워 넣는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는 상부 런너(110)의 플랜지 길이가 하부 런너(120)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패널(10)은 전체 벽 높이(천장고) 보다 약간 짧은 형태로 사전에 절단되어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 사이에 삽입되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stallation of drywall is carried out in advance by bringing the frame panel 10 and the finishing panel 20 of a predetermined unit into the site, and constructing or inserting the panel after installing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at the site. Can be constructed in the form.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may have a flange length of the upper runner 110 longer than the lower runner 120. The frame panel 10 is preferably cut in advance to a shape slightly shorter than the total wall height (ceiling) so that the frame panel 10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물론,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 사이에 패널을 적정한 개수로 연속되어 삽입한 후 패널형태로 현장에 반입하여 샷핀,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건식벽체는 패널 설치 후 흡음재(30)를 삽입 설치하고 바로 석고보드 등의 마감재(40)로 마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더욱 우수한 차음 및 차폐성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panel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in an appropriate number in a continuous number, and then brought into the site in the form of a panel, and can be constructed using shot pins, screws, or the like. Drywall is installed after the panel is installed by insert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and can be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40, such as gypsum board. Therefore, more excellent sound insulation and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한편, 건식벽체의 성능을 감안하여 보다 높은 차음성능을 갖고자 할 경우에는, 마감 패널(20)을 프레임 패널(10)의 양 단부 플랜지 사이에 위치시켜 스크류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흡음재(30) 등은 마감 패널(20)의 부착 전에 미리 삽입할 수 있다. 마감 패널(20)을 부착한 후 최종 마감재(40)로서 석고보드 등을 추가로 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have a higher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drywall, the finishing panel 2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langes of both ends of the frame panel 10 can be attached using a screw. At this tim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may be inserted in advance before the finishing panel 20 is attached. After attaching the finishing panel 20, the final finishing material 40, such as gypsum board can be additionally constructed.

도 9는 도 4 및 도 5의 구조를 결합한 제 2 실시예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y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structures of FIGS. 4 and 5 are combined. FIG.

즉, 도 9의 건식벽체는 프레임 패널(10)의 개방 영역에 마감 패널(20)을 부 착하고, 이후 마감 패널(20)의 외면과 프레임 패널(10)의 외면에 마감재(40)를 부착함으로써, 이에 따라 더욱 우수한 차음 및 차폐성능을 갖는 건식벽체를 제작할 수 있다. That is, the drywall of FIG. 9 attaches the finishing panel 20 to the open area of the frame panel 10, and then attaches the finishing material 4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panel 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dry wall having a better sound insulation and shielding performance.

도 10은 도 1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동일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 구조를 갖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결합 구조를 갖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이중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이중 건식벽체에 사용된 이중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이중 건식벽체에 사용된 이중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FIG. 1 is coupled in the same direc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having a coupling structure of FIG. 10, and FIG. 12 is a coupling structure of FIG. 10.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uble drywall us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having a structure,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anel for double drywall used in the double drywall of FIG. 12, and FIG. 14 is used for the double drywall of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anel for double drywall.

도 10 및 도 11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은 일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2 스터드부(13)와 타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1 스터드부(12)가 상호 맞물려 접합되도록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속된 구조를 갖는다. 10 and 11, in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stud portion 13 of the frame panel 10 on one side and the first stud portion 12 of the frame panel 10 on the other sid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Coupled to be bonded to have a continuous structure in one direction.

이에 따라, 일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2 스터드부(13)의 제 3 웨브(13a)와 타측의 프레임 패널(10) 제1 스터드부(12)의 제 1 웨브(12a)가 맞물려 결합되고, 일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2 스터드부(13)의 제 4 웨브(13c)와 타측의 프레임 패널(10) 제1 스터드부(12)의 제 2 웨브(12b)가 맞물려 결합된다. Accordingly, the third web 13a of the second stud portion 13 of the frame panel 10 of one side and the first web 12a of the first stud portion 12 of the frame panel 10 of the other sid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ourth web 13c of the second stud portion 13 of the frame panel 10 of one side and the second web 12b of the first stud portion 12 of the frame panel 10 of the other sid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식벽체는 도 10을 이용한 이중 구조의 벽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일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2 스터드부(13)와 타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1 스터드부(12)가 서로 끼워 맞춤되어 연속적인 건식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일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2 스터드 부(13)에 타측의 프레임 패널(10) 제 1 스터드부(11)가 접촉하여 결합하므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웨브(12a)의 길이(d1)는 제 2 웨브(12b)의 길이(d2)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매 마감재의 일 방향으로 연속 부착이 용이하도록 일측의 프레임 패널(10)의 강판면(11)의 폭은 타측의 프레임 패널(10)의 강판면(11)의 폭과 동일하고, 제 1 스터드부(12)의 폭(W1)과 제 2 스터드부(13)의 폭(W2)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2 to 14, the drywall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 wall structure having a double structure using FIG. 10, wherein the second stud portion 13 of the frame panel 10 on one side and the frame panel 10 on the other side are shown. The first studs 12 are fitted together to form a continuous dry side surface.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stud portion 11 of the other side of the frame panel 10 contacts the second stud portion 13 of the frame panel 10 of the one side, the first web 12a is shown in FIG. 11. Length d1 is preferably equal to the length d2 of the second web 12b.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of the frame panel 10 on one side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of the frame panel 10 on the other side to facilitate continuous attachment in on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the first The width W1 of the stud portion 12 and the width W2 of the second stud portion 13 are preferably formed to be the same.

이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 패널(10)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이웃하는 프레임 패널과 일 방향으로 연속 결합되어 건식벽체를 형성한다. As such, each frame panel 10 has the same size and shape and is continuously coupled to the neighboring frame panel in one direction to form a drywall.

또한, 프레임 패널(10)의 강판면(11)의 내면에 흡음재(30)가 각각 설치되고, 프레임 패널(10)의 강판면(11)의 외면에 복수의 마감재(40)가 각각 설치된다. 즉, 제 1 웨브(12a)와 제 3 웨브(13a) 사이에 흡음재(30)가 삽입되어 끼워 맞춤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is provi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of the frame panel 10, respectively, and the several finishing material 40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surface 11 of the frame panel 10, respectively. That is,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is inserted and fitted between the first web 12a and the third web 13a.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 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 및 바닥에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프레임 패널(10)을 일 방향으로 이중으로 연속 연결하여 설치하고, 프레임 패널(10) 내에 흡음재(30)를 삽입한다. 다음에 프레임 패널(10)의 외면에 보드 등의 마감재(40)를 번갈아 부착하여 건식벽체를 완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5,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floor, and the frame panel 10 is continuously connected in one direction and installed in between, and the frame panel 10 is disposed therebetwee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the (). Next, finishing materials 40 such as boards are alternate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panel 10 to complete the drywall.

또한, 프레임 패널(10)에 흡음재(30)를 삽입한 다음에, 상부 런너(110)와 하 부 런너(120) 사이에 프레임 패널(10)을 끼워 맞춤하여 삽입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the frame panel 10, and then the frame panel 10 may be fitted and inserted between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건식벽체의 설치는 사전에 제작하여 일정단위의 프레임 패널(10)과 마감패널(20)을 현장에 반입하여, 시공하거나 현장에서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 설치 후 패널을 끼워 넣는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는 상부 런너(110)의 플랜지 길이가 하부 런너(120)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패널(10)은 전체 벽 높이(천장고) 보다 약간 짧은 형태로 사전에 절단되어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 사이에 삽입되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stallation of drywall is carried out in advance by bringing the frame panel 10 and the finishing panel 20 of a predetermined unit into the site, and constructing or inserting the panel after installing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at the site. Can be constructed in the form.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may have a flange length of the upper runner 110 longer than the lower runner 120. The frame panel 10 is preferably cut in advance to a shape slightly shorter than the total wall height (ceiling) so that the frame panel 10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물론, 상부 런너(110) 및 하부 런너(120) 사이에 패널을 적정한 개수로 연속되어 삽입한 후 패널형태로 현장에 반입하여 샷핀,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건식벽체는 패널 설치 후 흡음재(30)를 삽입 설치하고 바로 석고보드 등의 마감재(40)로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중으로 벽체를 형성함에 따라, 더욱 우수한 차음 및 차폐성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panel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in an appropriate number in a continuous number, and then brought into the site in the form of a panel, and can be constructed using shot pins, screws, or the like. Drywall is installed after the panel is installed by insert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and can be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40, such as gypsum board. As such, by forming a wall in a double, it is possible to exhibit more excellent sound insulation and shielding performance.

한편, 건식벽체의 성능을 감안하여 보다 높은 차음성능을 갖고자 할 경우에는, 마감 패널(20)을 프레임 패널(10)의 양 단부 플랜지 사이에 위치시켜 스크류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흡음재(30) 등은 마감 패널(20)의 부착 전에 미리 삽입할 수 있다. 마감 패널(20)을 부착한 후 최종 마감재(40)로서 석고보드 등을 추가로 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have a higher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drywall, the finishing panel 2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langes of both ends of the frame panel 10 can be attached using a screw. At this tim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0 may be inserted in advance before the finishing panel 20 is attached. After attaching the finishing panel 20, the final finishing material 40, such as gypsum board can be additionally construct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프레임 패널(10)의 연결 방식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 연속 형태로 강판면(11)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현장 절단/가공 및 시공 중심의 스틸스터드 벽체와 달리 일정 길이의 패널을 상부 및 하부 런너 사이에 삽입,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해체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가 적용되는 부위 및 용도에 따라, 단일열의 칸막이벽 및 이중열의 세대간 경계벽을 형성할 수 있다. 강판면(11)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양방향에서 전기기배선용 설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steel plate surface 11 in a zigzag form, a continuous form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frame panel 10, unlike the existing field cutting / machining and construction center steel stud wall of a certain length Since the panel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nners,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isassembly and reuse are possib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partition wall in a single row and an intergenerational boundary wall in a double row, depending on the site and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wall is applied. When the steel plate surface 11 is connected in a zigzag form,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equipment for electric wiring in both directions.

또한, 연속된 강판면(11)으로서 차폐면을 형성하고, 별도의 마감용 패널과 함께 이중의 차폐면을 구성할 수 있어 종래의 스틸스터드 건식벽체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차음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ielding surface can be formed as a continuous steel plate surface 11, and a double shielding surface can be configured together with a separate finishing panel, so that better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expected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steel stud drywall.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Other implementations may b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Figure 1 combined.

도 3은 도 2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 wall us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of FIG.

도 7은 도 5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of Figure 5;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 wall us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4 및 도 5의 구조를 결합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 wall us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combined with the structure of Figures 4 and 5.

도 10은 도 1의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동일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Figure 1 coupled in the same direction.

도 11은 도 10의 결합 구조를 갖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el panel for drywall having a bonding structure of FIG.

도 12는 도 10의 결합 구조를 갖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이중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uble dry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having a bonding structure of FIG.

도 13은 도 12의 이중 건식벽체에 사용된 이중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의 사시도.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anel for double drywall used in the double drywall of FIG.

도 14는 도 13의 이중 건식벽체에 사용된 이중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의 분해 사시도.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anel for double drywall used in the double drywall of FIG.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 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프레임 패널 20: 마감 패널10: frame panel 20: finish panel

30: 흡음재 40: 마감재30: Sound absorbing material 40: Finishing material

Claims (10)

강판면;Steel plate surface; 상기 강판면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제 1 스터드부; 및 A first stud portion which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inward from one end of the steel sheet surface; And 상기 강판면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제 2 스터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Steel panel for dry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tud portion which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i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스터드부는, The first stud portion, 상기 강판면의 단부에 내측으로 수직하게 굴곡된 제 1 웨브;A first web bent inwardly perpendicular to an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상기 제 1 웨브의 단부에 외측으로 상기 강판면과 평행하게 연결된 후 그 단부에 내측으로 상기 제 1 웨브와 평행하게 굴곡된 제 2 웨브;A second web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web outward in parallel with the steel plate surface and then bent inward at the e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web; 상기 제 2 웨브의 단부에 내측으로 상기 강판면과 평행하게 굴곡된 플랜지; 및 A flange bent in parallel with the steel plate surface inwardly at an end of the second web; And 상기 플랜지의 단부에 내측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웨브와 평행하게 굴곡된 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And a rib bent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webs inwardly at an end of the flang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스터드부는, The second stud portion, 상기 강판면의 타단부에 내측으로 상기 제 1 웨브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굴곡된 제 3 웨브; A third web bent vertically in parallel with the first web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late surface; 상기 제 3 웨브의 단부에 내측으로 상기 강판면과 평행하게 굴절된 연결부; 및 A connection portion refracted in parallel with the steel plate surface inwardly at an end of the third web; And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외측으로 상기 제 2 및 3 웨브와 평행하게 굴곡된 제 4 웨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Steel panel for dry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web bent in parallel to the second and third web outwar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스터드부의 폭(W1)과 상기 제 2 스터드부의 폭(W2)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The width W1 of the first stud portion and the width W2 of the second stud portion are formed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the steel panel for drywall.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웨브의 길이(d1)와 상기 제 2 웨브의 길이(d2)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The length d1 of the said first web and the length d2 of the said second web are formed the same, The steel panel for drywall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3 웨브의 길이(d1)와 상기 제 4 웨브의 길이(d2)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The length d1 of the said third web and the length d2 of the said fourth web are formed the same, The steel panel for drywall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강판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스터드부와 상기 제 2 스터드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마감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And a finish panel for clos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stud portion and the second stu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teel plate surfac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마감 패널은 상기 공간에 끼워 맞춤하도록 일측면에 복수의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The finish panel is a steel panel for drywal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tting portions are formed protruding on one side to fit in the space. 상기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로서, As a dry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any one of the said Claims 1-8, 상기 제 1 스더드부와 인접 강재패널의 제 1 스터드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Dry 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ud portion and the first stud portion of the adjacent steel panel is coupled. 상기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로서, As a dry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of any one of the said Claims 1-8, 상기 제 1 스더드부와 인접 강재패널의 제 2 스터드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용 강재패널을 사용한 건식벽체.Dry wall using the steel panel for dry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ud portion and the second stud portion of the adjacent steel panel is coupled.
KR1020080108563A 2008-11-03 2008-11-03 Steel Panel for drywall construction and drywall using the same KR101078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563A KR101078219B1 (en) 2008-11-03 2008-11-03 Steel Panel for drywall construction and drywal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563A KR101078219B1 (en) 2008-11-03 2008-11-03 Steel Panel for drywall construction and drywal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420A true KR20100049420A (en) 2010-05-12
KR101078219B1 KR101078219B1 (en) 2011-11-01

Family

ID=4227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563A KR101078219B1 (en) 2008-11-03 2008-11-03 Steel Panel for drywall construction and drywal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2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2527A (en) * 2013-07-19 2013-10-16 湖南省金为型材有限公司 Steel T-bar framework for staggered installation of curtain wa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873A (en) 2021-07-12 2023-01-20 문기수 A Graphene Enhanced Ultra Lightweight Polyurethane Rigid Composi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A Graphene Enhanced Ultra Lightweight Polyurethane Rigid Composite Panel thereb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2527A (en) * 2013-07-19 2013-10-16 湖南省金为型材有限公司 Steel T-bar framework for staggered installation of curtain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219B1 (en)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6969C2 (en) Modular system for creating structure, module connector and structure comprising modular system
KR101385150B1 (en) Steel panel for drywall
KR100842115B1 (en)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US3740912A (en) Fire retardant shaft wall
KR101078219B1 (en) Steel Panel for drywall construction and drywall using the same
US2087867A (en) Partition construction
KR100655890B1 (en) Drywall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panel type steel plates
KR101835071B1 (en) Assembly type light weight partition pannel having fire-resistant
KR100851878B1 (en) Panel box module in modular housing
KR20060112277A (en) Closed section type stud member and wall pannel system using the same
JP6077197B2 (en) Standardized building
KR20110039933A (en) 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ion wall
KR20110103632A (en) Drywall and installing method of the same
KR19990019928U (en) Panel for assembly building
KR20130083192A (en) Panel of dry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drywall using the same
CN211646857U (en) Partition wall connection structure, house type variable building comprising same
KR20170029739A (en) Stud That Sound Insulation is Improved And Dry Wall With Highly Efficient Sound Insulation Using The Same
CN110894741A (en) Partition wall connecting structure and partition wall combination mode
JP5484511B2 (en) Extension hardware, extension structure and extension method
JP2013079545A (en) Unit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it building
TWI785218B (en) Bearing deck
JPH0313642A (en) Fire-resistant sound-insulating partition wall
JP4656750B2 (en) Unit building
JPH05133026A (en) Mailbox made of sheet metal used for bearing wall structure
KR200279551Y1 (en) Wall stud and Wall for a structure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