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349A -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349A
KR20100049349A KR1020080108468A KR20080108468A KR20100049349A KR 20100049349 A KR20100049349 A KR 20100049349A KR 1020080108468 A KR1020080108468 A KR 1020080108468A KR 20080108468 A KR20080108468 A KR 20080108468A KR 20100049349 A KR20100049349 A KR 2010004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weight
butadiene
organic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751B1 (ko
Inventor
곽광훈
김후채
이승훤
박휘언
최형규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751B1/ko
Priority to US12/608,717 priority patent/US8242204B2/en
Publication of KR2010004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8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38/00Living radical polymerisation
    • C08F2438/03Use of a di- or tri-thiocarbonylthio compound, e.g. di- or tri-thioester, di- or tri-thiocarbamate, or a xanthate as chain transfer agent, e.g .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RAFT] or Macromolecular Design via Interchange of Xanthates [MAD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계 단량체;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실리카;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방사선 모양을 극대화시킨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는 구형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리빙라디칼 중합방법으로 나노크기의 구형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를 커플링제로 커플링(coupling)시켜서 복합재를 제조하는 제 3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는 가공성, 인장특성, 인열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습윤정지특성이 탁월하여 타이어의 유기필러로 사용시 히스테리시스를 작게 할 수 있으며, 타이어의 습윤저항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하드코팅재료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실리카,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유기-무기 나노복합재

Description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Organic-Inorganic Nano composite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실리카;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는 구형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공중합체와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를 리빙라디칼 중합방법으로 나노크기의 구형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공중합체와 실리카를 커플링(coupling)시켜서 복합재를 제조하는 제 3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혹은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주로 에멀젼 공중합체 기술로 제조되었으며, 이러한 공중합체는 타이어, 코팅물질, 토너 등에 사용된다. 에멀젼 공중합체 기술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혹은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여 러 특허발명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3575913호 및 제 3563946호에는 스티렌-부타디엔 혹은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에멀젼상태에서 과황산화 칼륨 혹은 아조비스이소부트리로나이트릴을 이용해 제조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4064081호에는 부타디엔-스티렌-이타코닉산의 공중합체의 에멀젼 중합법을 이용한 방법이 서술되어 있으며, 중합시 사용되는 개시제로는 과황산칼륨이 사용되었다. 미국특허 제 5274027호 및 제 5302655호에서는 아크릴레이트 계통의 화합물로 이타코닉 산, 메틸메타아크릴산 등을 사용하였고, 개시제로 과산화황 암모늄 등을 사용하여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계통의 공중합체를 에멀젼 중합을 통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서술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5395891호 및 제 6127488호에서는 유기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한 에멀젼 중합에 의해 가교된 폴리부타디엔이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제조방법이 서술되어 있으나, 상기 유기 충진제는 히스테리시스(tan δ)가 작고, 내마모성이 크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 6780937호에는 25% 디엔과 70% 이상의 비닐 방향족 화합물 및 0.1% ~ 30%의 기능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복합재는 유리전이온도가 150℃이상이며, 저온에서 히스테리시스가 커서 습윤정지 능력이 우수하나, 경도나 모듈로스가 너무 큰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기존의 에멀젼 중합에 의해 제조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혹은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라디칼에 의한 반응으로 입자와 입자사이가 붙고, 입자안에서도 가교되는 현상이 클 뿐만 아니라, 입자 위에 실리카의 코 팅이나 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에멀젼 중합은 나노공 모양의 공중합체 및 실리카 나노 복합재를 제조하기 힘들었다.
이에 산업계에서는 상기 기존 타이어 등의 제조에 사용하여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복합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에멀젼 중합에 의한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 연구한 결과,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제조시 리빙 라티칼 중합법을 도입하여 극성기 도입 및 겔 형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나노크기의 구형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공중합체와 실리카의 혼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기를 가진 유기 실란 화합물을 커플링제로 도입하여 상기 공중합체와 실리카를 커플링 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가 오로라 형태로 커플링된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는 (a)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b)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 (c)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d)실리카; 및 (e)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807621474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R1은 C2 ~ C4을 갖는 알케닐기(alkenyl)이며, R2는 C1 ~ C12을 갖는 알킬기 또는 수소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형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를 리빙라디칼 중합방법으로 나노크기의 구형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를 커플링제로 커플링(coupling)시켜서 복합재를 제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6214743-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R1은 C2 ~ C4을 갖는 알케닐기(alkenyl)이며, R2는 C1 ~ C12을 갖는 알킬기 또는 수소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는 유기 고분자와 실리카의 친 화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가공성, 인장특성, 인열특성이 우수고 습윤정지특성이 탁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타이어의 유기필러로 사용시 히스테리시스를 작게 할 수 있으며, 타이어의 습윤저항을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 하드코팅재료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써,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가 오로라 형태로 커플링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a)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b)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 (c)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d)실리카; 및 (e)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6214743-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R1은 C2 ~ C4을 갖는 알케닐기(alkenyl)이며, R2는 C1 ~ C12을 갖는 알킬기, 또는 수소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R2는 C1 ~ C12을 갖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질 중 하나인 상기 (a)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부타디엔계 단량체; 라디칼 개시제; 유화제; 및 메르캅탄계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메틸스티렌 및 디메틸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1, 3-부타디엔, 클로로부타디엔 및 이소프렌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과 같은 과황산계, 아세틸 아세톤 퍼옥사이드, 벤질 퍼옥사이드,디큐밀 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질 퍼옥사이드, t-부틸 퍼아세테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딘)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틸로나이트릴 과산화수소, 레독스 시스템 및 유화중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시제 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금속염 및 암모니윰염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킬설페이트 금속염, 알킬알릴설포닉산 금속염, 알킬포스페이트 금속염, 알킬설페이트 암모니윰염, 알킬알릴설포닉산 암모니윰염, 알킬아릴설포닉산 암모니윰염, 알릴설포닉산 암모니윰염 및 알킬포스페이트 암모니윰염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 는 도데실벤젠 설포닉산, 로릴 설포닉산(lauryl sulfonic acid) 및 헥사데실설포닉산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알킬(alkyl), 알릴(allyl) 및 아릴(aryl) 각각은 탄소수가 5 ~ 20 개이며, 탄소수가 5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미셀(micelle)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탄소수가 20 초과시 친수성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 및 알릴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메르캅탄계 분자량 조절제는 탄소수 8 ~ 20를 갖는 티올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옥탄티올, 데칸티올, 도데칸티올 및 헥사데칸티올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사용량을 조절하여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a)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100,000 ~ 2,000,000 g/mol이며, 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 미만이면 물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00,000 g/mol 초과시 컴파운드 점도, 강도 상승으로 가공에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조성물질 중 하나인 (b)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여기서, R2는 C1 ~ C12을 갖는 알킬기 또는 수소이며, 바람직하게는 C1 ~ C12을 갖는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킬기이다. 이러한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를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산 또는 에스터 형태의 아크릴레이트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레이트류 화합물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타코닉산, 시트라코닉산, 말레익산 및 푸마릭산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타크릴레이트류 화합물은 메틸메타크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성물질 중 하나인 상기 (c)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는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제조시 리빙 라디칼 중합법을 위한 극성기 도입 및 겔 형성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리빙라디칼 개시제는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ATRP,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니트로옥시드 매개 중합(NMP, nitroxide-mediated polymerization)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및 가역적 첨가-분절(RAFT, 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며, 바람직하게는 RAFT 리빙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RAFT 리빙 라디칼 중합개시제는 S-(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S'-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 S,S'-비스(α,α'-디메틸-α''-아세틱산)-트리티오카보네이트, S-1-도데실-S'-(α,α'-디메틸-α''-아세틱산)-트리티오카보네이트, 2-페닐프로필페닐디티오아세테이트 및 2-(에틸티오카보노티오일티오)-2-메틸-프로판오익 산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질 중 하나인 상기 (d) 실리카는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효 과와 히스테리시스(tan δ) 효과를 위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실리카는 흄드(fumed) 실리카, 퓨즈드(fused) 실리카, 실리카겔 및 침강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조성물질 중 하나인 상기 (e) 커플링제는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의 혼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기를 가진 유기 실란 화합물을 커플링제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커플링제는 아민 또는 비닐(vinyl) 기능기를 갖는 C4 ~ C25인 알콕시 실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6-아미노헥실)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시실란, 2-(트리메톡시실릴)에틸-2-피리딘, N-[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4,5-디하이드로이미다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N'-(디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디메틸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 트리-t-부톡시실란, 비닐 트리페녹시실란, 비닐트리이소부톡시실란, n-헥실트리메톡시실란, n-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n-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캡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캡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조성물질들의 조성비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는
(a)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b)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 1 ~ 50 중량부; (c)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0.1 ~ 3 중량부; (d)실리카 10 ~ 50 중량부; 및 (e)커플링제 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질 중 하나인 상기 (a)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10 ~ 50 중량%; 부타디엔계 단량체 49 ~ 89 중량%; 라디칼 개시제 0.05 ~ 3 중량%; 유화제 0.1 ~ 5 중량%; 및 메르캅탄계 분자량 조절제 0.001 ~ 2 중량%;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이면 인장물성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50 중량% 초과시 탄성 및 내마모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부타디엔계 단량체가 49 중량% 미만시에는 탄성 및 내마모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89 중량% 초과시 인장물성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라디칼 개시제를 0.05 중량% 미만으로 사용시에는 충분한 중합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3 중량% 초과시 저분자량이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시에는 미셀이 형성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5 중량% 초과시 마이크로에멀젼이 형성되어 저분자가 생성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르캅탄계 분자량 조절제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0.0001 ~ 0.1 중량% 사용하면 고분자량을 갖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고, 0.5 ~ 2 중량%를 사용하면 저분자량을 갖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메르캅탄계 분자량 조절제를 0.0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겔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 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면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b)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는 (a)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아크릴계 단량체를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그 사용량이 적어서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친수성발현에 한계가 있으며, 50 중량부 초과시 그 사용량이 너무 많아서 탄성저하 및 강도가 높아져 가공성 문제가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c)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 1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시 초고분자 생성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 중량부 초과시 저분자가 과량 생성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d) 실리카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 4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실리카를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에는 실리카 보 강효과가 작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 중량부 초과시에는 제조시 침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e)커플링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여기서, 상기 커플링제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시 그 사용량이 적어서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간에 커플링이 잘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부 초과시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하겠다.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은
구형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를 리빙라디칼 중합방법으로 나노크기의 구형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를 커플링제로 커플링(coupling)시켜서 복합재를 제조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6214743-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R1은 C2 ~ C4을 갖는 알케닐기(alkenyl)이며, R2는 C1 ~ C12을 갖는 알킬기 또는 수소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R2는 C1 ~ C12을 갖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다.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조성물질 및 이들의 조성비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을 하겠다.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10 ~ 70℃온도에서 5 ~ 20 시간 정도 일반적인 에멀젼 중합을 통하여 평균분자량 100,000 ~ 2,000,000 g/mol 제조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메르캅탄계 분자량 조절제의 사용량에 따라서 고분자량 또는 저분자량을 갖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면, 탄성과 높은 기계적물성을 원하면 고분자량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사용하고, 가공성 개선 효과를 원하면 저분자량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제조시 10℃ 미만에서 에멀젼 중합 반응시 반응의 활성이 어렵고, 70℃ 초과하는 온도에서 중합 반응시 고분자의 물성을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제 2 단계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제조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상 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와 혼합한 후,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20 ~ 90℃온도에서 리빙라디칼 중합반응 시켜서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반응온도가 20℃ 미만에서 중합반응시 반응의 활성화가 어렵고 90℃ 초과시 반응열의 제어가 어려워서 고분자의 물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의 온도에서 중합반응시키는 것이 좋으며, 반응시간은 반응온도에 의존하며, 5 ~ 20 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리빙라디칼 중합반응은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ATRP,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리빙라디칼 중합반응, 니트로옥시드-매개 중합(NMP, nitroxide-mediated polymerization) 리빙라디칼 중합반응 또는 가역적 첨가-분절(RAFT, 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리빙라디칼 중합반응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AFT 리빙라디칼 중합반응을 하는 것이 좋은데, RAFT 리빙라디칼 중합반응은 극성분자중합 또는 수용액에서 반응성이 우수하고, 분자량, 분자구조의 조절, 극성기 도입 및 겔 형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나노크기의 구형으로서, 20 ~ 200 nm의 나노크기를 갖는데, 여기서, 크기가 20 nm 미만이면 미크로에멀젼으로 분자량이 작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0 nm 초과시 겔생성과 엉김 문제가 발생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평균분자량이 100,000 ~ 3,000,000 g/mol으로서, 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 미만이면 물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00,000 g/mol 초과시 겔발생 및 경도가 높아 가공성에 어 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 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제 2 단계에서 제조한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의 혼화성 및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민기 또는 비닐기를 갖는 유기 실란 화합물을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종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 1 ~ 3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는 후 처리를 거친 후,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면서 기존의 응집 방법으로 응집, 여과 및 건조시켜 백색 혹은 노란색의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을 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RAFT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의 합성
1) 벤질 디티오아세테이트의 제조
브로모메틸벤젠 1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섞은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쇼듐 메틸티오카보네이트 1.5 g를 가하고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에 물 100 mL을 집어 넣고, 에틸에테르를 통해 추출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통하여 건조시켜서, 벤질 디티오아세테이트를 제조하였다.
1 H NMR(CDCl 3 ): δ 2.91(SCH 3 ), 4.48(benzyl CH 2 ), 7.38 (ArH).
2) 벤질 에톡시디티오포메이트의 제조
에탄올 1 g을 디메틸포아마드 50 g에 녹인 후, 쇼듐 하이드라이드(60% 파라핀) 0.44 g를 가하여 4 시간 동안 교반하여 한 후, 카본디설파이드 1.8 mL을 천천히 가하고, 12 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에 벤질브로마이드 1.3 mL을 천천히 추가하고,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다. 그 다음 메탄올 1 mL을 추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물에 얼음을 집어 넣고, 에틸에테르를 통해 추출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통하여 건조시켜서, 벤질 메톡시디티오포메이트를 제조하였다.
1 H NMR(CDCl 3 ): δ 1.51(CH 3 ), 4.52(CH 2 ), 4.55(benzyl CH 2 ), 7.34(ArH).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
실시예 1
30℃에서 5 L의 압력반응기에 물 400 mL, 도데실 설페이트 나트륨염 2 g, 스티렌 80 g, 1,3-부타디엔 200 g, n-도데실메르캅탄 0.02 g 및 과황산칼륨 2 g을 연속 투입하면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평균분자량 245,000 g/mol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앞서 제조한 벤질 디티오아세테이트 RAFT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0.6 g, 과황산칼륨 0.2 g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 g, 물 200 mL을 투입하고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리빙라디칼 중합반응시켜서, 평균분자량 273,000 g/mol이고, 평균 30 ~ 300 nm 크기의 구형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얻었으며,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측정한 결과 도 1과 같다.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있는 상기 압력반응기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6 g을 넣고 교반한 후, 침강실리카 100 g을 넣고 80 ℃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1 시간 동안 수증기를 가하여 응고된 제품을 얻었으며, FE-SEM(도 2)과 적외선 분광기(도 3) 및 열분석(도 4)으로 결과물인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조성물질들의 조성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그리고 상기 FE-SEM 측정조건은 라텍스(latex) 상태의 시료를 약 0.1% 정도 물로 희석 시킨 용액을 유리판위에 1~2 방울 떨어 뜨린 다음 60 ℃ 오븐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스푸더링 코터(sputtering coater)를 이용하여 금표면에 코팅한 후, Field Emission SEM (model: JEOL JSM-7500F, 2kV, secondary electron image)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50℃에서 5 L의 압력반응기에 물 400 mL, 도데실 설페이트 나트륨염 2 g, 스티렌 80 g, 1,3-부타디엔 200 g, n-도데실메르캅탄 0.02 g 및 과황산칼륨 2 g을 연속 투입하면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평균분자량 236,000 g/mol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앞서 제조한 벤질 디티오아세테이트 RAFT 리 빙라디칼 중합개시제(in 10% CH2Cl2) 0.6 g, 과황산칼륨 0.2 g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 g과 물 200 mL을 투입하고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리빙라디칼 중합반응시켜서, 평균분자량 259,000 g/mol이고, 평균 30 ~ 300 nm 크기의 구형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후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있는 상기 압력반응기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6.0 g을 넣고 80℃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침강실리카 100 g을 넣고 12 시간 교반한 후, 1 시간 동안 수증기를 가하여 응고된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3 ~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물질 및 조성비를 갖도록 실시예 3 ~ 5를 실시하여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76214743-PAT00005
비교예 1
RAFT 리빙라디칼 중합반응 없이 유기-무기 복합재를 제조
50℃에서 5 L의 압력반응기에 물 400 mL, 도데실 설페이트 나트륨염 2.0 g, 스티렌 80 g, 1,3-부타디엔 200 g, 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40 g, n-도데실메르캅탄 0.02 g 및 2.0 g의 과황산칼륨을 연속 투입하면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켜서,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FE-SEM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있는 상기 압력반응기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6 g을 넣고 교반한 후, 침강실리카 100 g을 넣고 80℃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1 시간 동안 수증기를 가하여 응고된 제품을 얻었다.
제조예 1
타이어트레드(tire tread) 시트(sheet)의 제조
실시예 1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12g, 1,4-시스-폴리부타디엔(NdBR-40, 금호석유화학) 68 g,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SBR 6270S, 금호석유화학 , 오일함량 27.3%) 27.5 g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4 중량부, 스테아르산 2 중량부, 실리카(Zeosil 175) 50 중량부, 커플링제 4 중량부, 프로세스오일 15 중량부, 산화방지제 2 중량부를 순차적으로 밀폐식 혼합기(밴버리믹서)에 투입하여 120 ℃, 60 rpm의 조건으로 6분 30초간 혼련하는 1차 배합 단계를 거친 후, 가공온도를 60 ℃로 냉각한 다음 황 1.5 중량부, 가황촉진제 2.5 중량부와 1차 배합물을 혼합시키기 위해 60℃에서 50 rpm의 속도로 3 분간 교반 및 혼합하여 2차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2 mm 두께의 롤에서 평평한 시트 형태로 가공한 후 24 시간을 방치하였다. 가황 공정은 160℃의 핫프레스에서 160 kgf/cm2 이상의 압력으로 160 ℃에서 10 분간 가압하여 물성 측정용 시편 2 mm 두께의 시트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5 및 비교제조예 1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대신 실시예 2 ~ 5 및 비교예 1의 복합재를 사용하여 제조예 2 ~ 5 및 비교제조예 1을 실시하여 타이어 트레드 시트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2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를 사용하지 않은 타이어트레드 시트의 제조
1,4-시스-폴리부타디엔(NdBR-40, 금호석유화학) 80 g과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SBR 6270S, 금호석유화학 , 오일함량 27.3%) 27.5 g의 혼합물에 대하여, 산화아연(ZnO) 4 중량부, 스테아르산 2 중량부, 실리카(Zeosil 175) 50 중량부, 커플링제 4 중량부, 프로세스오일 15 중량부, 산화방지제 2 중량부를 순차적으로 밀폐식 혼합기(밴버리믹서)에 투입하여 120 ℃, 60 rpm의 조건으로 6분 30초간 혼련하는 1차 배합 단계를 거친 후, 가공온도를 60 ℃로 냉각하고 황 1.5 중량부, 가황촉진제 2.5 중량부와 1차 배합물을 혼합시키기 위하여 60 ℃에서 50 rpm의 속도로 3 분간 교반혼합하여 2차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2차 배합물을 2 mm 두께의 롤에서 평평한 시트 형태로 가공한 후 24 시간을 방치하였다. 가황 공정은 160 ℃의 핫프레스에서 160 kgf/cm2 이상의 압력으로 160 ℃에서 10 분간 가압하여 물성 측정용 시편 2 mm 두께의 시트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물성측정실험
상기 제조예 1 ~ 5 및 비교제조예 1 ~ 2에서 제조한 시편을 이용하여 이들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가공성은 컴파운드 무니점도로 비교하며, 인장특성은 ASTM D412 방법, 마모성은 DIN 방법 및 습윤정지특성은 히스테리시스(tan δ)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8076214743-PAT00006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비교제조예 1이나 2에 비해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로 기능화된 제조예 1 ~ 5의 경우 가공성은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장 및 인열특성은 매우 우수하며, 내마모성과 습윤정지능력 (tan δ, 0℃)이 탁월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는 타이어, 벨트, 호스, 페이퍼코팅 등의 소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FE-SEM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FE-SEM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IR 데이터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TGA 데이터이다.
도 5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 복합재의 FE-SEM 사진이다.

Claims (10)

  1. (a)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b)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 (c)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d)실리카; 및 (e)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화학식 1]
    Figure 112008076214743-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R1은 C2 ~ C4을 갖는 알케닐기(alkenyl)이며, R2는 C1 ~ C12을 갖는 알킬기 또는 수소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a)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b)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 1 ~ 50 중량부; (c)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 0.1 ~ 3 중량부; (d)실리카 10 ~ 50 중량부; 및 (e)커플링제 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류 화합물; 및
    메틸메타크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메타크릴레이트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빙라디칼 중합개시제는
    S-(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S'-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 S,S'-비스(α,α'-디메틸-α''-아세틱산)-트리티오카보네이트, S-1-도데실-S'-(α,α'-디메틸-α''-아세틱산)-트리티오카보네이트, 2-페닐프로필페닐디티오아세테이트 및 2-(에틸티오카보노티오일티오)-2-메틸-프로판오익 산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RAFT(reversible-addition fragmentation) 리빙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아민 또는 비닐(vinyl) 기능기를 갖는 C4 ~ C25인 알콕시 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10 ~ 50 중량%; 부타디엔계 단량체 49 ~ 89 중량%; 라디칼 개시제 0.05 ~ 3 중량%; 유화제 0.1 ~ 5 중량%; 및 메르캅탄계 분자량 조절제 0.001 ~ 2 중량%;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
  7. 구형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단량체를 리빙라디칼 중합방법으로 나노크기의 구형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실리카를 커플링제로 커플링(coupling)시켜서 복합재를 제조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76214743-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상기 R1은 C2 ~ C4을 갖는 알켄기이며, R2는 C1 ~ C12을 갖는 알킬기 또는 수소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빙라디칼 중합방법은 가역적 첨가-분절(RAFT, 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리빙라디칼 중합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아민 또는 비닐(vinyl) 기능기를 갖는 C4 ~ C25인 알콕시 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080108468A 2008-11-03 2008-11-03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1116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468A KR101116751B1 (ko) 2008-11-03 2008-11-03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US12/608,717 US8242204B2 (en) 2008-11-03 2009-10-29 Organic-inorganic nano composit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468A KR101116751B1 (ko) 2008-11-03 2008-11-03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349A true KR20100049349A (ko) 2010-05-12
KR101116751B1 KR101116751B1 (ko) 2012-02-22

Family

ID=4227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468A KR101116751B1 (ko) 2008-11-03 2008-11-03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42204B2 (ko)
KR (1) KR101116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7369B2 (en) * 2011-04-05 2015-03-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crylic acid polymer nanocomposites from aminosilane-modified colloidal silica
WO2012138365A1 (en) 2011-04-05 2012-10-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mine-accelerated process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colloidal silica and products thereof
US8865829B2 (en) 2011-11-22 2014-10-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Functionalized polymer, rubber composition and pneumatic tire
JP6329063B2 (ja) * 2014-06-23 2018-05-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及び該ゴム組成物を用いて作製したトレッド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
DE102015208810A1 (de) 2015-05-12 2016-11-1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RAFT-Agens, Verfahren zur Polymerisation, Polymer und Kautschukmischung sowie deren Verwendung
CN110818974A (zh) * 2018-08-07 2020-02-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低滚阻、低生热超高性能轮胎胎面胶配方及轮胎胎面胶的制备方法
EP3992219A1 (en) * 2020-10-28 2022-05-0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Sulfur-crosslinkable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a graft copolymer
CN113880987B (zh) * 2021-10-09 2023-05-16 安徽工程大学 一种橡胶用无机填料大分子改性剂及其制备方法、改性无机填料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3946A (en) * 1968-01-08 1971-02-16 Dow Chemical Co Process for latex manufacture
US3575913A (en) * 1968-04-08 1971-04-20 Dow Chemical Co Stable latex for paper coating compositions
US4064081A (en) * 1976-01-07 1977-12-20 Uniroyal, Inc. Emul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lignosulfonate salt
GB8907534D0 (en) * 1989-04-04 1989-05-17 Dow Europ Sa Monovinylidene aromatic and conjugated diene copolymer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sulfoalkyl monomeric emulsifier
US5274027A (en) * 1989-04-04 1993-12-28 The Dow Chemical Company Monovinylidene aromatic and conjugated diene copolymer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sulfoalkyl monomeric emulsifier
DE4220563A1 (de) * 1992-06-24 1994-01-13 Bayer Ag Kautschukmischungen enthaltend Polybutadien-Gel
US5447995A (en) 1994-05-27 1995-09-05 Shell Oil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symmetric radial polymers
DE19701488A1 (de) * 1997-01-17 1998-07-23 Bayer Ag SBR-Kautschukgele enthaltende Kautschukmischungen
US7101922B2 (en) * 2001-12-18 2006-09-0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elastomer/silica composite
US6780937B2 (en) * 2002-08-29 2004-08-2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mulsion particles as reinforcing fillers
WO2005082995A1 (ja) * 2004-02-27 2005-09-09 The Yokohama Rubber Co., Ltd.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US7531588B2 (en) * 2004-07-30 2009-05-12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Silane composition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rubber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7344752B2 (en) * 2004-12-27 2008-03-1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Core-shell particles synthesized through controlled free radical polymerization
JP2008081895A (ja) 2006-09-28 2008-04-10 Daio Paper Corp 使い捨て手袋
JP2008114756A (ja) 2006-11-06 2008-05-22 Bridgestone Corp 農業機械用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4922A1 (en) 2010-07-22
US8242204B2 (en) 2012-08-14
KR101116751B1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751B1 (ko)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무기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1152673B1 (ko) 기능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KR101961513B1 (ko) 고무 조성물 및 타이어
TWI610944B (zh) 胺基矽烷改質之聚合物
JP2009263417A (ja) 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642054A (zh) 橡胶组合物
KR101402285B1 (ko) 반응성 유화제를 이용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JP2017526645A (ja) アニオン重合のためのアミノシリル置換ジアリールエテン化合物
JP5199115B2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関連する方法
JP6737440B2 (ja) 被覆重合体粒子、樹脂改質剤、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US20160222138A1 (en) Low Vinyl Bond Modified Elastomeric Copolymers
WO202000246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grafted rubber and tire comprising the grafted rubber
JP2018522994A (ja) 高分子化合物、これを用いた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
KR101152672B1 (ko) 친수성 티오 에테르기로 말단변성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의 실리카 복합재
KR101345217B1 (ko) 친수성 사슬이동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말단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JP2018507282A (ja) 機能化弾性ポリマー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架橋ゴム組成物
JP6737441B2 (ja) 被覆重合体粒子、樹脂改質剤、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EP4308613A1 (en) Polymer latex composition
KR101225111B1 (ko) 반응성 폴리올로 기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8519B1 (ko)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JP4670132B2 (ja) 共役ジエン系重合体及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