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737A -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737A
KR20100048737A KR1020080108021A KR20080108021A KR20100048737A KR 20100048737 A KR20100048737 A KR 20100048737A KR 1020080108021 A KR1020080108021 A KR 1020080108021A KR 20080108021 A KR20080108021 A KR 20080108021A KR 20100048737 A KR20100048737 A KR 20100048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il
cosmetic
cosmetic composition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026B1 (ko
Inventor
김수진
이찬기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08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0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 바인더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응집성이 강한 미립 폴리머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써 압축 밀도를 높여 압축 안정성 및 성형성을 확보하며 뭉침없이 피부에 가볍게 도포되도록 제조한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일-프리 압축 파우더, 오일-프리 팩트, 미립 폴리머 파우더

Description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oil-free pressed or solid powder}
본 발명은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 바인더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응집성이 강한 미립 폴리머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써 압축 밀도를 높여 압축 안정성 및 성형성을 확보하며 뭉침없이 피부에 가볍게 도포되도록 제조한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압축 파우더는 시장에서 파우더 팩트 및 트윈 팩트 등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품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다. 압축 파우더는 가루 파우더와 달리 성형된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필요로 한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한 깨짐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압축된 상태로 일정 물리적 충격 이상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또한 가루 파우더와는 달리 화장도구, 일반적으로 퍼프에 취해지는 양이 일정해야 하고, 도포에 적합한 양이어야 하며, 퍼프로 압축 파우더를 두드릴 때 파우더의 가루날림이 없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설계된 일반적인 압축 파우더 조성물은 화장용 파우더 90∼95 중량% 및 오일 5∼1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다. 오일은 주로 파우더 압축 시 성형성을 돕고 외적 충격에 대해 깨짐을 방지하며 화장도구로 취할 시 가루날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오일 바인더는 파우더의 응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오일 바인더를 사용하면 도포 시 무거운 느낌을 주기는 하나 가루날림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반해 가루 파우더는 성형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오일 바인더의 함량이 대체로 5% 이내로 적은 편이다. 그로 인해 사용 시 압축 파우더에 비해 가루날림은 있지만 가벼운 도포감을 주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 성형성은 파우더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또한 파우더의 코팅 종류 및 크기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인다. 탈크는 판상이고 탄성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거의 모든 종류의 탈크가 성형이 가능한 특성을 보인다. 즉, 성형이 불가능한 탈크는 10 ㎛ 이상인 것에 불과하다. 10 ㎛ 이상의 탈크가 성형성이 나쁜 요인은 파우더의 크기에 기인한다. 파우더의 크기가 클수록 조밀함이 떨어지기 때문에 성형성이 나쁘다. 따라서, 10 ㎛ 이상의 탈크는 투명하여 파우더 원료로 사용하기 좋으나 압축 파우더에는 성형성이 나빠 사용에 제한을 받는다.
마이카나 세리사이트의 경우 판상으로 쪼개짐이 강하고 판 사이에 칼륨 이온이 탄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성형을 하게 되면 가루날림이 심하거나, 낙하 안정성이 약하거나, 성형성이 없는 반면에, 이산화티탄의 경우에는 응집 특성이 있어 결합력이 높아 그 자체로 좋은 성형성을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구상의 형태를 가진 나일론 파우더, PMMA 파우더 및 실리카의 경우에는 압축 성형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용 파우더의 응집을 좋게 하기 위하여 파우더의 표면을 코팅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 체인이 있는 코팅 물질은 점성이 있어 파우더 간 응집을 유도하여 성형성을 좋게 한다. 실리콘 종류의 경우 다른 물질과 결합력은 없으나 실리콘 사이의 응집성이 있어, 실리콘 코팅 물질끼리의 응집력이 작용하나, 알킬 체인의 응집력과 비교하면 약하다.
파우더 크기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파우더의 크기는 5∼15 ㎛ 정도이고, 크기가 클수록 압축 밀도가 낮아져 파우더 사이가 헐거워지므로 성형성이 떨어진다.
일반적인 파우더의 크기, 종류 및 성상으로는 배합 후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였을 때 성형 후 안정하고, 가루날림이 없는 팩트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즉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이산화티탄, 질화붕소, 황산바륨, 나일론, PMMA 및 실리카가 복합적으로 혼합된 조성물은 압축 안정성을 갖기에 크기가 크고, 파우더 자체의 탄성이 압축을 방해하며, 구상과 판상이 섞여 밀도가 낮아져 성형을 방해하기 때문에 성형성이 나쁘고, 가루날림이 생긴다.
상기 압축 파우더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 에틸렌 파우더를 사용한 고형 파우더 연구가 진행이 되었지만 입자 크기 조절을 통한 압축 성형성을 구현하지 못하였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제5,030,446호에 오일 및 탈크-프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오일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는 오일-프리 압축 파우더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일 바인더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응집성이 강한 미립 폴리머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써 압축밀도를 높여 압축 안정성 및 성형성을 확보하고 뭉침없이 피부에 가볍게 도포되는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뭉침없이 피부에 가볍게 도포되는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일을 함유하지 않고 화장료용 파우더로 구성된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바인더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응집성이 강한 미립 폴리머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써 압축 안정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뭉침없이 피부에 가볍게 도포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반 고상 및 고상의 오일을 전혀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테아레이트계의 파우더 바인더 또한 사용하지 않고 파우더의 크기 차이에 의한 압축 밀도를 높이고 응집 특성이 높은 파우더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 압축 파우더와 사용감이 다른, 즉 가벼운 화장을 표현하고자 할 때 적합하며, 그러한 사용감을 가루날림 없이 표현할 수 있고, 또한 지성 또는 민감성인 피부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와 향을 제외한 제형 성분이 100% 화장료용 파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화장료용 파우더는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이산화티탄, 질화붕소(Boron nitride) 파우더, 황산 바륨(Barium Sulfate)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파우더, 실리카 파우더를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용 파우더 중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이산화티탄, 질화붕소(Boron nitride) 파우더 및 황산 바륨(Barium Sulfate)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0∼99 중량%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구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성형성을 방해하는 나일론, PMMA 및 실리카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로 임의선택하여 더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화장료용 파우더로 구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성형성을 돕기 위한 일환으로 화장료용 파 우더의 압축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화장료용 파우더 보다 입자 크기가 작은 미립 폴리머 파우더를 함유한다. 상기 미립 폴리머 파우더는 평균입도가 5∼15 ㎛인 일반적인 화장료용 파우더 보다 80% 이하인 2∼4 ㎛의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화장료용 파우더와 상기 미립 폴리머 파우더를 혼합하여 압축성형함으로써 상기 화장료용 파우더 사이에 작은 미립 폴리머 파우더가 조밀하게 채워져 파우더의 압축 밀도가 높아짐으로써 물리적인 안정성을 갖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평균입도 2∼4 ㎛, 바람직하게는 3 ㎛의 응집성이 높은 미립 폴리머 파우더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립 폴리머 파우더가 원하는 입도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제트그라인딩법(기기명: air zet-mill)으로 분쇄한 후 이들의 재응집을 막기 위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로 미립 폴리머 파우더의 표면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코팅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립 폴리머 파우더는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로 표면처리되고, 화학식 CnH2n+2 (n=52∼56)로 표현되는 파리핀족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이들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립 폴리머 파우더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타 조성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거친 접촉감으로 인해 관능적 측면에서 사용감이 좋지 않게 되며, 또한 도포량이 줄어들고 표면 케이킹이 생기는 등의 파우더의 기본적인 속성을 침해하게 된다.
제트그라인딩법은 초고압 기류(공기압 6kg/㎠)를 통과시켜 안료를 분쇄하는 방식으로 입도 크기를 70∼80% 이상 조정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처리된 파우더는 소수성(hydrophobic)이 강하여 재응집될 수 있으므로 코팅처리로 최종적으로 입도를 균일하게 조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참고예 1]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로 코팅된 미립 폴리머 파우더의 제조
1) 평균 입도가 3 ㎛인 미립 폴리머 파우더(제조원: presperse Inc.)를 에탄올이 투여된 4구 플라스크에 30 중량%의 양으로 투입한 후 60℃로 가열하며 2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2) 상기 1)에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 0.06 중량%를 투입한 다음 80℃에서 반응시켰다.
3) 반응이 끝난 후 같은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수세하고, 80℃ 이하에서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으로 표면이 코팅된 미립 폴리머 파우더를 얻었다.
[시험예 1] 파우더 자체의 성형성 조사
압축 파우더로 제조 시 성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화장료용 파우더 자체의 성형성을 사전 조사하였고, 성형성을 위해 필요한 미립 폴리머 파우더(참고예 1)의 함량도 함께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화장료용 파우더 종류 파우더 100% 조성에서 성형성 제형 안정도를 위해 필요한 미립 폴리머 파우더의 함량(중량%)
탈크 O X
10 ㎛ 내외의 탈크 X 3
마이카 X 20
세리사이트 X 20
이산화티탄 O X
질화붕소 파우더 X 10
황산바륨 파우더 X 15-18
나일론 파우더 X -
PMMA 파우더 X -
실리카 X -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탈크와 이산화티탄을 제외한 파우더는 그 자체로 성형 안정도를 확보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 안정도를 위하여 필요한 미립 폴리머 파우더의 함량은 파우더를 세분화할 경우 함량의 편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대략적인 값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구상 파우더인 나일론 파우더, PMMA 파우더 및 실리카의 경우 성형성을 위한 미립 폴리머 파우더의 함량이 너무 높아 함량 파악에 의미가 없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
상기 시험예 1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No.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 탈크 70.68 - 68.68 -
2 탈크(10 ㎛ 이상) - 61.22 - 61.22
3 세리사이트 20.00 15.00 20.00 15.00
4 질화붕소 파우더 - 8.00 - 8.00
5 황산바륨 파우더 - 5.00 - 5.00
6 나일론 파우더 - 3.00 - 3.00
7 실리카 4.00 - 4.00 -
8 참고예 1의 미립 폴리머 파우더 5.00 7.00 - -
9 페닐트리메치콘 및 헥실라우레이트 - - 7.00 7.00
10 색소 0.32 0.78 0.32 0.78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제조방법: 실시예 1,2>
상기 내용물을 헨슬 믹서에서 고속으로 4분 동안 혼합하였다.
<제조방법: 비교예 1,2>
1) 오일 바인더를 제외한 내용물을 헨슬 믹서에서 고속으로 4분 동안 혼합하였다.
2) 오일 바인더를 가열(80℃)하여 바인더를 혼합한 후 1에서 혼합한 내용물에 분무하면서 저속으로 혼합하였다.
3) 바인더 분무가 끝나면 고속으로 4분 동안 다시 혼합하였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미립 폴리머 파우더의 함량은 탈크, 이산화티탄에 의해서는 좌우되지 않으며, 크기가 10 ㎛ 이상의 탈크, 그리고 그 이외의 물질들의 함량과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구상 파우더의 경우 퍼짐성을 좋게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는데, 퍼짐성은 구상과 미립파우더의 함량을 가감하여 조절해야 한다. 일반 압축 파우더는 응집을 높이는 오일 바인더가 퍼짐성을 방해하는데, 오일-프리 압축 파우더의 경우 미립 폴리머 파우더가 파우더의 유동성을 억제하는 요소이지만, 그 강도는 오일 바인더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구상 파우더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게 필요하다. 또한 실리카의 경우 퍼짐성을 돕는 목적 외에 피지를 흡유하는 기능으로 처방된다. 오일-프리 압축 파우더는 파우더가 포함하고 있는 오일이 없어 일반 압축 파우더 대비 피지 흡유 기능이 높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처방으로 효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실리카 파우더의 함량이 일반 압축 파우더에서 최대 15%를 넘기지 않고, 또 성형 안정도를 방해하여 15%를 넘기기 힘든 것을 감안하여, 오일-프리 압축 파우더에서는 이보다 적은 량을 사용하고, 그에 따른 성형안정도를 미립 폴리머 파우더의 함량을 조절하여 잡으면 된다. 또한 색소는 미량 사용되므로 성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시예 2의 경우, 10 ㎛ 이상의 탈크는 사이즈가 작은 탈크 대비 커버력이 낮아 가루 파우더에서 선호하는 원료이나 일반 압축 파우더에서는 성형성이 나쁘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못하는 원료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일 바인더의 함량을 높일수록 파우더와 혼합 시 오일 불균일 및 성형 시 오일 얼룩 등의 부적합한 요인이 있다. 즉 일반 압축 파우더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가루 파우더의 투명하고 엷은 커버력을 오일-프리 팩트에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응용하여 오일-프리 팩트를 고형 파우더로 명칭하는 것도 적합하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의 성형 안정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케이스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담은 후 앞면 및 뒷면으로 70cm 높이에서 각각 낙하하고, 이어 측면으로 50cm 높이에서 낙하한 후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20대 초반부터 40대 중반까지의 전문패널요원 5명에게 1개월간 사용하도록 한 후 가루날림 정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낙하 가루날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X
([판정기준] ◎: 대단히 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쁨)
표 3의 결과에서, 실시예 1과 2를 보면 일반 압축 파우더의 처방과 유사한 오일-프리 압축 파우더가 같은 낙하 안정도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가루파우더 처방을 응용한 비교예 1과 2의 경우, 일반 압축 파우더의 성형 안정성이 불안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루날림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실시예 1과 2가 모두 가루날림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한 반면,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성형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루날림 역시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20대 초반부터 40대 중반까지의 전문패널요원 9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들이 오일 바인더의 유무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성들, 즉 퍼짐성, 피지 흡수력, 밀착력, 지속성 및 도포 무게(가벼운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퍼짐성 피지 흡수 밀착력 지속성 도포 무게(가벼운 사용감)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판정기준] ◎: 대단히 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쁨)
표 4의 결과에서, 비교예 1과 2의 일반 압축 파우더의 퍼짐성은 오일의 응집성 때문에 같은 양의 구상 파우더 첨가 시 나쁜 특성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오일-프리 팩트가 좋은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기본적으로는 구상 파우더의 함량을 늘려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과 2의 오일-프리 압축 파우더는 피지 흡수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에 지성 피부에 매우 적합하며 오히려 건조함을 고려하여 처방해야 한다. 또한 밀착력은 오일 바인더를 사용한 비교예 1과 2의 압축 파우더가 오일의 점도 등으로 더 우수한 편이나, 상기 퍼짐성 및 피지 흡수를 비롯하여 지속성 및 도포 무게(가벼운 사용감) 등 전반적인 관능 평가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과 2의 오일-프리 파우더가 비교예 1과 2에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 흡수 기능이 뛰어나고 상대적으로 적고 답답하지 않은 가벼운 사용감이 주는 것이 특징이다.

Claims (5)

  1. 오일바인더를 함유하지 않고 화장료용 파우더 및 2∼4 ㎛의 미립 폴리머 파우더로 구성된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용 파우더는 탈크, 세리사이트, 질화붕소 파우더 및 황산바륨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용 파우더로서 나일론 파우더, PMMA 파우더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 폴리머 파우더는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로 표면처리되고 화학식 CnH2n+2(n=52∼56)로 표현되는 파리핀족 탄화수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 폴리머 파우더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 료 조성물.
KR1020080108021A 2008-10-31 2008-10-31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150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21A KR101502026B1 (ko) 2008-10-31 2008-10-31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21A KR101502026B1 (ko) 2008-10-31 2008-10-31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737A true KR20100048737A (ko) 2010-05-11
KR101502026B1 KR101502026B1 (ko) 2015-03-13

Family

ID=4227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021A KR101502026B1 (ko) 2008-10-31 2008-10-31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5704A1 (en) * 2016-11-23 2018-05-31 Unilever N.V. Personal care composition
EA038652B1 (ru) * 2016-12-14 2021-09-29 ЮНИЛЕВЕР АйПи ХОЛДИНГС Б.В.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032A1 (ko) * 2015-10-30 2017-05-04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의 제조방법
CN108366913B (zh) 2015-10-30 2021-10-26 爱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一种化妆用压缩粉末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0446A (en) * 1990-01-24 1991-07-09 Revlon, Inc. Oil- and talc-free cosmetic powder composition
FR2727312B1 (fr) * 1994-11-24 1997-05-2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ous forme de poudre compacte et procede de preparation
US5928658A (en) * 1997-12-05 1999-07-27 U.S. Cosmetics Oil-free wax-free solid cosmetic composition
KR100684440B1 (ko) * 2000-12-30 2007-02-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색표현력이 우수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5704A1 (en) * 2016-11-23 2018-05-31 Unilever N.V. Personal care composition
US10653589B2 (en) 2016-11-23 2020-05-19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
EA038652B1 (ru) * 2016-12-14 2021-09-29 ЮНИЛЕВЕР АйПи ХОЛДИНГС Б.В.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026B1 (ko) 201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1299A (ko)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의 제조방법
KR102336132B1 (ko)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7783B1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8737A (ko)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7219B1 (ko)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1579A (ko)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01885B1 (ko) 성형성을 향상시킨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566826B1 (ko) 커버력과 보습력이 우수한 파우더 조성물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8785B1 (ko) 금속염으로 표면 처리한 체질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40274B1 (ko)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8369B1 (ko)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KR101859284B1 (ko)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0916152B1 (ko) 폴리에틸렌 고형화 파우더를 함유한 고형 파우더 화장료조성물
KR101163180B1 (ko) 돔형 분말 아이섀도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3974B1 (ko)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KR10142685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144469B1 (ko) 수분산 바인더와 파우더 혼합물을 함유하는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705469B1 (ko) 수분산 무기 점증제를 함유한 유중수형 에멀젼을 이용한소성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854536B1 (ko)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35539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470050A1 (en) Use of calcined kaolin as a mattifying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