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246A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246A
KR20100048246A KR1020080107316A KR20080107316A KR20100048246A KR 20100048246 A KR20100048246 A KR 20100048246A KR 1020080107316 A KR1020080107316 A KR 1020080107316A KR 20080107316 A KR20080107316 A KR 20080107316A KR 20100048246 A KR20100048246 A KR 20100048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ssembly
coil
housing
magnetic body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771B1 (ko
Inventor
최용환
신두식
윤영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7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5Mechanical details, e.g. housings
    • H02N2/0055Supports for driving or driven bodies; Means for pressing driving body against driven body
    • H02N2/006Elastic elements, e.g.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장착된 광학 장치에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게 함은 물론 동일한 전류를 인가하여도 렌즈 조립체의 변위 폭을 최대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것으로, 이를 위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와, 상기 렌즈 조립체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성체와 대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를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각각 이격되게 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진퇴 운동되게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이로 인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렌즈 조립체를 양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동일한 전류 범위에서 렌즈 조립체의 변위 폭을 종래의 두배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렌즈 조립체, 제1,2 구동부, 코일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AMERA LENS ASSEMBLY}
본 발명은 카메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장착된 광학 장치에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게 함은 물론 동일한 전류를 인가하여도 렌즈 조립체의 변위 폭을 최대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소형, 경량화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등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면서, 광학 렌즈 및 카메라 소자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가 장착되기 시작한 초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성능은 당시에 상용화된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수준이었다. 예를 들어,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의 성능이 400만 화소급이었던 당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는 30만 화소급이 일반적이었고 고급 단말기에 장착된 것이 100만 화소급에 불과하였다.
최근에는 100만 화소급 카메라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는 것이 보편화되 어 있으며, 고급 단말기의 경우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에 준하는 300만 화소급 카메라가 장착되고 있고, 700만 화소급 이상의 성능을 갖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이 향상되는 것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제작 기술의 정밀도가 향상됨으로써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7-35155호(2007.04.10)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조립체(104)를 광축(O) 방향으로 진퇴 운동 시키기 위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104)의 일측에 구동부(105)를 설치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104)와 구동부(105) 사이에 가이드부를 제공한다.
상기 렌즈 조립체(104)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축(O)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하면서 초점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렌즈 조립체(104)의 일측면에는 자성체(14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자성체(141)는 상기 구동부(105)와 대면하게 되며, 상기 구동부(105)에 설치되는 코일(155)과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렌즈 조립체(104)를 진퇴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코일(155)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155)은 전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코일(155)의 전기장과 상기 자성체(141)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렌즈 조립체(104)를 진퇴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코일(155)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렌즈 조립체(104)는 상기 구동부(105)는 하단에 구비된 스토퍼(153)에 밀착된다.
즉, 상기 렌즈 조립체(104)의 일측면은 구동부 베이스(151)에 대면하고, 하부면은 상기 스토퍼(153)에 대면한다. 따라서, 상기 코일(155)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렌즈 조립체(104)는 그 하부면이 상기 스토퍼(153)에 밀착되는 위치에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코일(155)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155)이 발생시키는 전기장과 상기 자성체(141)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렌즈 조립체(104)가 상기 광축(O) 방향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코일(155)에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라 상기 렌즈 조립체(104)의 이동 거리와 이동 방향이 설정되며, 이로써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초점 거리가 조절된다.
그러나, 화소수가 올라가 고화소수를 지향하는 카메라 일수록 렌즈 조립체의 변위 폭을 크게 해야 한다.
예를 들어 500만 화소를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의 경우 렌즈 조립체의 변위 폭이 300um이상이 요구되며, 더 높은 화소수로 갈 수록 400um이상의 변위가 요구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에서 상기 렌즈 조립체(104)는 상기 구동부(105)는 하단에 구비된 스토퍼(153)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155)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광축(O) 방향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 조립체(104)는 상기 스토퍼(153)에 밀착됨으로 인해 한쪽 방향으로만 그 변위 폭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조립체가 큰 변위 폭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코일(155)의 전류 세기를 강하게 하거나 일반적으로 구동부로 사용되는 자석의 크기를 크게 해야 한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최대 전류값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그 변위 폭에 제한이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석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경우 그 두께를 늘려야 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지하는 카메라 모듈의 두께가 두꺼워 지므로 카메라 모듈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짐과 아울러 경량화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 모듈에서 렌즈 조립체를 양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게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최대 전류값이 제한 되어 있으므로 최대 전류값을 통해 렌즈 조립체의 최대 변위 폭을 구현 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또한, 렌즈 조립체가 양방향으로 구동되어 큰 변위를 획득하여도 그 이미지의 선명함을 얻을 수 있게 함은 물론 홀센서에 의해 렌즈 조립체의 구동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렌즈 조립체의 정확한 위치제 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 초점 기능을 가지면서 소형화에 용이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스토퍼에 의해 한쪽으로만 구동되던 렌즈 조립체를 양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하여 큰 변위 폭을 갖도록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렌즈 조립체의 최대 변위 값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나 휴대용 컴퓨터 등에 장착 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 하면서 렌즈 조립체의 변위 폭을 크게 하여 고화소를 지향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렌즈 조립체가 양방향으로 구동되어도 그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원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 조립체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성체와 대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성체의 일단과 타일단에 각각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를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각각 이격되게 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진퇴 운동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 조립체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성체와 대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제1자성체의 양단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구동부의 스토퍼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를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각각 이격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진퇴 운동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따르면,
따라서, 카메라 렌즈 모듈에서 코일에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줌으로써, 렌즈 조립체를 양방향으로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동일한 전류 범위에서 종래의 두배 이상의 변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류의 세기를 강하게 하거나 구동부를 크게 하지 않아도 렌즈 조립체의 변위를 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카메라 렌즈 모듈의 크기는 변함없이 렌즈 조립체의 변위를 크기 할 수 있어 고화소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홀센서를 장착시킴으로써, 렌즈 조립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정밀한 초점거리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렌즈 조립체의 초기위치를 저장해 줌으로써, 카메라 렌즈 모듈의 포커싱 공정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자동 초점 거리 조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렌즈 조립체를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렌즈 조립체의 일측에 설치하고, 렌즈 조립체의 진퇴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렌즈 조립 체와 구동부 사이에 가이드부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의 구동부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이용한 구성이며, 가이드부로서 렌즈 조립체와 구동부 사이에 볼(ball)들을 설치하여 렌즈 조립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의 구성을 통해 렌즈 조립체의 진퇴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동부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소형화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기기에 장착하기 용이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며, 구성요소 중 종래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는 하우징(210), 렌즈 조립체(220), 제1자성체(230), 구동부(250), 제2자성체(24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자성체(230)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250)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구 비되어 있다.
상기 제2자성체(240)는 상기 제1자성체(230)의 일단과 타일단에 각각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210)과 상기 구동부(250)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자성체(240)는 상기 제1자성체(230)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상,하면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자성체(230)의 일단을 N극, 타일단을 S극으로 구성하면, 상기 제1자성체(230)의 N극과 대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자성체(240)는 N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1자성체(230)의 일단과 척력이 작용되도록 하며, 상기 제1자성체(230)의 S극과 대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자성체(240)는 S극을 형성하여 상기 제1자성체(230)의 타일단과 척력이 작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성체(230)와 상기 제2자성체(240)의 척력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과 하면에서 소정길이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50)에 대하여 광축(O)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의 양방향으로 진퇴 운동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은 모듈 하우징(212)과, 커버 하우징(2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듈 하우징(212)은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수납하도록 구비되어 있 다. 또한, 상기 모듈 하우징(212)에는 후술하는 이미지 센서(113)의 촬영 경로가 되는 개구(2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듈 하우징(212)은 회로기판(111)에 장착되고, 상기 모듈 하우징(212)에 형성된 개구(212a)에는 적외선 필터(119) 및 이미지 센서(113)가 구비된다.
상기 모듈 하우징(212)의 내측면에는 가이드(212b)가 상기 광축(O)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212b)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가이드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상기 광축(O) 방향으로만 진퇴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커버 하우징(211)은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개구(211a)를 형성하며, 상기 모듈 하우징(212)에 결합되어 진다. 상기 모듈 하우징(212)과 상기 커버 하우징(211) 결합된 내측으로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자성체(230)와 대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구동부(250)가 구비되어 진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에서 이미지 검출을 위한 센서 조립체(101)는 이미지 센서(113), 회로 기판(111), 가요성 인쇄회로(115)로 구성된다. 결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113)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111)의 일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115)는 상기 회로 기판(111)으로부터 연장되어 카메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주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113)는 적외선 필터(119), 상기 렌즈 조립체(220)와 함께 상기 광축(O)에 정렬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자성체(230)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250)는 하단에 스토퍼(253)를 형성하는 구동부 베이스(251)와, 상기 구동부 베이스(251)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성체(230)와 대면되는 코일(255)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자성체(240)는 제1자성부재(241)와 제2자성부재(242)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자성부재(241)는 상기 제1자성체(230)의 일단과 대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 하우징(21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자성체(230)의 일단과 동일한 극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상기 커버 하우징(211)에서 소정길이 이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자성부재(242)는 상기 제1자성체(230)의 타일단과 대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스토퍼(253)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자성체(230)의 타일단과 동일한 극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상기 스토퍼(253)에서 소정길이 이격되게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자성체(230)의 일단에 형성되는 자기장과 상기 제1자성부재(241)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일단은 상기 커버 하우징(211)에서 소정 길이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자성체(230)의 타일단에 형성되는 자기장과 상기 제2자성부재(242)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타일단은 상기 스토퍼(253)에서 소정길이 이격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55)의 내측에는 상기 코일(255)에 둘러 싸인 상태로 상기 제1자성체(23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257)(hall sensor)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2 자성부재(241,242)와 상기 제1자성체(2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 및 상기 제1자성체(230)의 중심은 상기 홀 센서(257)의 중심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55)에 전류를 인가하면, 전류 인가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230)의 자기장은 상기 코일(255)의 전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광축(O)을 따라 양방향 중 일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250)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 중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55)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제1자성체(230)와 상기 제2자성체(240)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상, 하단으로 공간을 각각 형성하도록 상기 홀 센서(257)의 중앙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하우징(210)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설정된 초기 초점 맞춤 위치의 원거리 지점으로 자동 이동되도록 상기 코일(255)과 상기 제1자성체(230)는 상호작용되어 진다.
즉,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상기 구동부(250), 상기 제1자성체(230)의 중앙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그 동일 선상으로 상기 홀 센서(257)를 위치되 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자동초점 기능이 작동하여 초점이 맞는 하측 방향(이하 원거리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홀 센서(257)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초점이 맞게되는 초기위치를 기억하게 되면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55)과 상기 제1자성체(2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원거리 지점으로 이동시, 상기 홀 센서(257)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이동을 감지함과 아울러 초기 초점 맞춤 위치로 자동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코일(255)의 전류의 양을 지정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55)에 전류 인가 방향을 일 방향으로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면, 상기 코일(255)의 전기장과 상기 제1자성체(230)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게 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게 되고, 상기 코일(255)에 전류를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면, 상기 코일(255)의 전기장과 상기 제1자성체(230)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게 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코일(255)의 전류 인가 방향의 일방향과 반대 방향의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구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퇴 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조립체(220)와 구동부(250) 사이에는 가이드부(260)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260)는 한 쌍의 가이드 홈(269)들과, 수용홈(261)들 및 볼(263)들이 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269)들은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261)들은 상기 가이드 홈(269)들과 대면하도록 상기 구동부(250)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263)들은 상기 수용홈(261)들 각각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볼(263)들은 각각 그 외주면 일부분이 상기 수용홈(26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269)들의 내벽에 접촉되어 지고,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가이드부(260)의 안내를 받아 상기 구동부(250)에 대하여 광축(O)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269)들은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광축(O)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261)들은 한 쌍이 하나의 상기 가이드 홈(269)에 대면하게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렌즈 어셉블리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를 구비하는 카메라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은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통해 입사된 영상을 상기 이미지 센서(113)를 통해 촬영하게 된다.
상기 제1자성체(230)의 일단과 상기 제1자성부재(241)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고 있고, 상기 제1자성체(230)의 타일단과 상기 제2자성부재(242)가 서로 척력이 작용하고 있어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커버 하우징(211)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253)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공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구동부(250)의 중앙에 대응되어 상기 홀 센서(257)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코일(255)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장과 상기 제1자성체(230)의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설정된 초기 초점 맞춤 위치의 원거리 지점으로 자동 이동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스토퍼(253)측으로 하측 방향으로 내려간다.
상기 홀 센서(257)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이동을 감지함과 아울러 초기 초점 맞춤 위치로 자동 이동가능 하게 상기 코일(255)의 전류의 양을 지정한다.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초점 거리가 적절하지 않으면 상기 이미지 센서(113)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선명하지 않게 되며, 카메라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진퇴 운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상기 코일(255)에 일방향 또는 타 일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코일(255)에 의해 발생된 전기장과 상기 자성체(141)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키게 된다.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진퇴 운동하면 상기 홀 센서(257)가 상기 렌즈 조립체(220),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체(141)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그 값을 상기 제 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이동시키기 위해 발생시킨 신호 값과 상기 홀 센서(257)를 통해 감지된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위치 변화 값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의 양측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키는 신호를 재차 발생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제1자성체(230)와 상기 제2자성체(240)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상기 커버 하우징(211)과 상기 스토퍼(25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구동부(250)의 중앙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일(255)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서로 다르게 인가한다면,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상, 하측 방향의 양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에서 전류가 80mA 일때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구동 변위폭이 200um이라면, 본원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에서는 전류 방향을 반대로 하여 40mA로 200um의 변위 폭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2자성체(240)를 구비시킴으로써 동일한 전류 범위에서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보다 2배의 변위폭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a)의 구성 및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a)를 설명함 에 있어,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와 상기의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동일 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에서 사용한 도면 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a)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220)와, 상기 렌즈 조립체(220)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230)와, 상기 제1자성체(230)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부(250)와, 탄성부재(240a)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광축(O)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상,하면에서 각각 이격되게 하도록 상기 제1자성체(230)의 양단과 상기 하우징(210) 및 상기 구동부(250)의 스토퍼(253)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50)에 대하여 광축(O)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진퇴 운동되어 진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에 따른 제2실시예가 전술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의 제1실시예와 차이점은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상기 구동부(250)의 스토퍼(253)와 상기 커버 하우징(211)과 각각 이격되도록 제2자성체(240)를 구비한 것이고,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상기 구동부(250)의 스토퍼(253)와 상기 커버 하우징(211)과 각각 이격되도록 탄성부재(240a)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240a)는 제1탄성체(241a)와 제2탄성체(242a)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체(241a)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상기 커버 하우징(211)에서 이격되게 구비시킴과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양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자성체(230)의 일단과 상기 커버 하우징(211)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체(242a)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상기 스토퍼(253)에서 이격되게 구비시킴과 아울러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양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자성체(240)의 일단과 상기 구동부(250)의 스토퍼(253)에 구비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55)에 전류를 인가시, 전류 인가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230)의 자기장은 상기 코일(255)의 전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광축(O)을 따라 상기 구동부(250)의 중심에서 상측 또는 하측의 양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광축(O)을 따라 상기 구동부(250)의 중앙에서 상측 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1탄성체는 압축되고, 상기 제2탄성체는 인장되어 진다. 또한,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광축(O)을 따라 상기 구동부(250)의 중앙에서 하측 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1탄성체는 인장되고, 상기 제2탄성체는 압축되어 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55)과 상기 제1자성체(2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원거리 지점으로 이동시, 상기 홀 센서(257)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이동을 감지함과 아울러 초기 초점 맞춤 위치로 자동 이동가능 하게 상기 코일(255)의 전류의 양을 지정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55)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상, 하단으로 상기 공간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홀 센서(257) 및 상기 구동부(250)의 중앙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하우징(210)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설정된 초기 초점 맞춤 위치의 원거리 지점으로 자동 이동되도록 상기 코일(255)과 상기 제1자성체(230)는 상호작용된다.
상기 홀 센서(257)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초점 거리가 적절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진퇴 운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의해 상기 코일(255)에 일방향 또는 타 일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코일(255)에 발생된 전기장과 자성체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220)를 상기 구동부(250)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퇴운동시키게 된다.
만약 상기 코일(255)에 전류 인가 방향을 일 방향으로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면, 상기 코일(255)의 전기장과 상기 제1자성체(230)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여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는 각각 인장 또는 압축변형된다.
또한, 상기 코일(255)에 전류를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면, 상기 코일(255)의 전기장과 상기 제1자성체(230)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게 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220)는 상기 코일(255)의 전류 인가 방향의 일방향과 반대 방향의 상기 렌즈 조립체(220)의 구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퇴 운동하여 상기 제1탄성체(241a)와 상기 제2탄성체(242a)는 각각 압축 또는 인장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결국, 상기 제1자성체(230)와 상기 탄성부재(240a)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상기 커버 하우징(211)과 상기 스토퍼(25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구동부(250)의 중앙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일(255)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서로 다르게 인가한다면, 상기 렌즈 조립체(220)가 상, 하방향의 양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원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에서는 전류 방향을 반대로 하여 40mA로 200um의 변위 폭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40a)를 구비시킴으로써, 동일한 전류 범위에서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보다 2배의 변위폭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 블리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4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단면도.

Claims (19)

  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 조립체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성체와 대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를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각각 이격되게 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진퇴 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 조립체를 수납시키는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커버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듈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결합된 내측으로 상기 렌즈 조립체가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자성체와 대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구동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는 하단에 스토퍼를 형성하는 구동부 베이스와, 상기 구동부 베이스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성체와 대면되는 코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성체는,
    상기 커버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성체의 일단과 대향하게 위치되는 제1자성부재와,
    상기 스토퍼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성체의 타일단과 대향하게 위치되는 제2자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자기장과 상기 제1자성부재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의 일단은 상기 커버 하우징에서 소정 길이 이격되고,
    상기 제1자성체의 타일단에 형성되는 자기장과 상기 제2자성부재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의 타일단은 상기 스토퍼에서 소정길이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에 둘러 싸인 상태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자성부재와 상기 제1자성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 및 상기 제1자성체의 중심은 상기 홀 센서의 중심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시, 전류 인가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의 자기장은 상기 코일의 전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를 광축을 따라 양방향 중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 하단으로 상기 공간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홀 센서의 중앙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렌즈 조립체를 설정된 초기 초점 맞춤 위치의 원거리 지점으로 자동 이동되게 상기 코일과 상기 제1자성체는 상호작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제1자성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가 원거리 지점으로 이동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이동을 감지함과 아울러 초기 초점 맞춤 위치로 자동 이동가능 하게 상기 코일의 전류의 양을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 인가 방향을 일 방향으로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면, 상기 코일의 전기장과 상기 제1자성체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게 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면, 상기 코일의 전기장과 상기 제1자성체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게 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코일의 전류 인가 방향의 일방향과 반대 방향의 상기 렌즈 조립체의 구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퇴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립체와 구동부 사이에 제공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홈들;
    상기 구동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들과 대면하는 수용홈들; 및
    상기 수용홈들 각각에 수용되는 볼(ball)들을 포함하고,
    상기 볼들은 각각 그 외주면 일부분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들의 내벽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가이드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광 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들은 상기 렌즈 조립체의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들은 한 쌍이 하나의 상기 가이드 홈에 대면하게 각각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3.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 조립체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성체와 대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제1자성체의 양단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구동부의 스토퍼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를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각각 이격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진퇴 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 조립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커버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듈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결합된 내측으로 상기 렌즈 조립체가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자성체와 대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하단에 상기 스토퍼를 형성하는 구동부 베이스와, 상기 구동부 베이스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성체와 대면되는 코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에 둘러 싸인 상태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자성부재와 상기 제1자성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 및 상기 제1자성체의 중심은 상기 홀 센서의 중심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자성체의 일단과 상기 커버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커버 하우징에서 이격되게 구비시킴과 상기 렌즈 조립체를 양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의 일단과 상기 구동부의 스토퍼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를 상기 스토퍼에서 이격되게 구비시킴과 아울러 상기 렌즈 조립체를 양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시, 전류 인가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의 자기장은 상기 코일의 전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를 광축을 따라 양방향 중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렌즈 조립체가 광축을 따라 양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는 각각 인장과 압축 또는 압축과 인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제1자성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가 원거리 지점으로 이동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렌즈 조립체의 이동을 감지함과 아울러 초기 초점 맞춤 위치로 자동 이동가능 하게 상기 코일의 전류의 양을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 하단으로 상기 공간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홀 센서의 중앙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렌즈 조립체를 설정된 초기 초점 맞춤 위치의 원거리 지점으로 자동 이동되게 상기 코일과 상기 제1자성체는 상호작용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 인가 방향을 일 방향으로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면, 상기 코일의 전기장과 상기 제1자성체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여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는 각각 인장 또는 압축변형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면, 상기 코일의 전기장과 상기 제1자성체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게 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코일의 전류 인가 방향의 일방향과 반대 방향의 상기 렌즈 조립체의 구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퇴 운동하여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는 각각 압축 또는 인장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0080107316A 2008-10-30 2008-10-3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64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316A KR101643771B1 (ko) 2008-10-30 2008-10-3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316A KR101643771B1 (ko) 2008-10-30 2008-10-3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246A true KR20100048246A (ko) 2010-05-11
KR101643771B1 KR101643771B1 (ko) 2016-07-29

Family

ID=4227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316A KR101643771B1 (ko) 2008-10-30 2008-10-3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771B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727A (ko) * 2011-09-06 2013-03-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60535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314652B1 (ko) * 2012-03-30 2013-10-07 자화전자(주) 카메라 모듈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32099B1 (ko) * 2012-05-09 2013-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KR101409819B1 (ko) * 2013-08-30 2014-07-02 자화전자(주) 카메라 모듈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40806B1 (ko) * 2012-11-20 2014-10-06 (주)옵티스 카메라 모듈
KR101511065B1 (ko) * 2013-08-30 2015-04-10 자화전자(주)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US9578242B2 (en) 2014-04-11 2017-02-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618770B2 (en) 2014-04-11 2017-04-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and image stabilize
US9774772B2 (en) 2013-07-04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adjustable lens tilt
KR20170139277A (ko) * 2016-06-09 2017-12-19 자화전자(주) 자동초점 조절장치
US9921458B2 (en) 2014-05-30 2018-03-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190086649A (ko) * 2019-07-12 2019-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0058377A (zh) * 2018-01-19 2019-07-26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90095986A (ko) * 2018-02-08 2019-08-19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CN110568578A (zh) * 2014-03-05 2019-12-13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单元、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智能电话
KR20200010547A (ko) * 2020-01-20 2020-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20027588A1 (ko) * 2018-08-02 2020-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20147A (ko) * 2018-08-16 2020-0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218884A1 (en) * 2019-04-26 2020-10-29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including same
CN111936928A (zh) * 2018-01-31 2020-11-13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KR20210013280A (ko) * 2018-02-08 2021-02-03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US11258931B2 (en) 2018-02-23 2022-02-2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20220035898A (ko) * 2021-04-06 2022-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710B1 (ko) * 2017-02-25 2022-01-14 자화전자(주)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22B1 (ko) * 2005-10-26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캡 방식의 카메라 모듈
KR100724945B1 (ko) * 2005-06-1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0817033B1 (ko) * 2006-10-24 2008-03-2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소형렌즈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KR100849580B1 (ko) * 2007-04-10 2008-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45B1 (ko) * 2005-06-1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0703622B1 (ko) * 2005-10-26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캡 방식의 카메라 모듈
KR100817033B1 (ko) * 2006-10-24 2008-03-2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소형렌즈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KR100849580B1 (ko) * 2007-04-10 2008-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ited B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727A (ko) * 2011-09-06 2013-03-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60535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US9019423B2 (en) 2012-03-30 2015-04-28 Jahwa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e of camera module
KR101314652B1 (ko) * 2012-03-30 2013-10-07 자화전자(주) 카메라 모듈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EP2645161A3 (en) * 2012-03-30 2016-01-06 Jahwa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e of camera module
TWI490586B (zh) * 2012-03-30 2015-07-01 Jahwa Electronics Co Ltd 控制相機模組驅動裝置及方法
KR101332099B1 (ko) * 2012-05-09 2013-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KR101440806B1 (ko) * 2012-11-20 2014-10-06 (주)옵티스 카메라 모듈
US9774772B2 (en) 2013-07-04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adjustable lens tilt
KR101511065B1 (ko) * 2013-08-30 2015-04-10 자화전자(주)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KR101409819B1 (ko) * 2013-08-30 2014-07-02 자화전자(주) 카메라 모듈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568578A (zh) * 2014-03-05 2019-12-13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单元、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智能电话
CN110568578B (zh) * 2014-03-05 2022-09-13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单元、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智能电话
US9578242B2 (en) 2014-04-11 2017-02-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947132B2 (en) 2014-04-11 2024-04-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0444530B2 (en) 2014-04-11 2019-10-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848126B2 (en) 2014-04-11 2017-12-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618770B2 (en) 2014-04-11 2017-04-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and image stabilize
US11209663B2 (en) 2014-04-11 2021-12-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921458B2 (en) 2014-05-30 2018-03-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170139277A (ko) * 2016-06-09 2017-12-19 자화전자(주) 자동초점 조절장치
CN110058377B (zh) * 2018-01-19 2024-04-09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以及电子设备
CN110058377A (zh) * 2018-01-19 2019-07-26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以及电子设备
US11586007B2 (en) 2018-01-31 2023-02-2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EP3748428A4 (en) * 2018-01-31 2021-12-0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CN111936928A (zh) * 2018-01-31 2020-11-13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KR20210013280A (ko) * 2018-02-08 2021-02-03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KR20190095986A (ko) * 2018-02-08 2019-08-19 자화전자(주)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US11258931B2 (en) 2018-02-23 2022-02-2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11706513B2 (en) 2018-02-23 2023-07-1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CN112534348A (zh) * 2018-08-02 2021-03-1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和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
WO2020027588A1 (ko) * 2018-08-02 2020-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20147A (ko) * 2018-08-16 2020-0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4097215A (zh) * 2019-04-26 2022-02-25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相机设备
WO2020218884A1 (en) * 2019-04-26 2020-10-29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including same
CN114097215B (zh) * 2019-04-26 2024-04-30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相机设备
US11982933B2 (en) 2019-04-26 2024-05-1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190086649A (ko) * 2019-07-12 2019-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10547A (ko) * 2020-01-20 2020-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035898A (ko) * 2021-04-06 2022-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771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8246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255295B1 (ko) 카메라 모듈
KR100849580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49434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2219365B1 (en) Camera lens assembly
KR101221316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2018013539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모듈
KR101901702B1 (ko) 카메라 모듈
JP2008089804A (ja) 撮像装置
KR20190116808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101889835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KR101182775B1 (ko) 카메라 모듈
CN107295225B (zh) 相机模块
KR102327730B1 (ko) 카메라 모듈
JP20225417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460751B1 (ko) 카메라 모듈
US12007681B2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JP2008186000A (ja) 焦点調整アクチュエータ、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機器
KR20070084961A (ko)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이에 사용되는 vcm 타입액추에이터
KR101599544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220011519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813393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20731A (ko) 카메라 모듈
EP4134735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15012412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