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103A -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103A
KR20100047103A KR1020090005375A KR20090005375A KR20100047103A KR 20100047103 A KR20100047103 A KR 20100047103A KR 1020090005375 A KR1020090005375 A KR 1020090005375A KR 20090005375 A KR20090005375 A KR 20090005375A KR 20100047103 A KR20100047103 A KR 20100047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xing
support unit
elastic support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414B1 (ko
Inventor
전동운
김철현
Original Assignee
(주)대동석재공업
전동운
김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석재공업, 전동운, 김철현 filed Critical (주)대동석재공업
Publication of KR2010004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공장치에 있어서, 통상적인 해머드릴(100)의 드릴날(110)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릴날(110)을 이용하여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을 형성하기 위한 어댑터(200)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200)는, 상기 해머드릴(100)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상기 해머드릴(100)의 고정위치(1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11)가 결합되고, 타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나사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부(213) 영역에 다수의 고정키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210)와, 상기 제1 나사부(213)와 결합되는 제2 나사부(221)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213,221)가 상호 결합될 시 일측으로 고정키핀(222)과 키홈고정링고무(223)가 결합되며 외면에 외부 슬러지배출부(224)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220)와, 상기 하부몸체(22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장착되되 스프링(231)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며, 외면에 상기 외부 슬러지배출부(224)와 연통되는 내부 슬러지배출부(232)가 형성되는 탄성지지유닛(230)을 포함하며, 상기 해머드릴(100)의 드릴날(110)은 상기 상부몸체(210), 상기 하부몸체(220) 및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을 통과하여 그 선단이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되,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부가 타공의 지지면(A)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하여 상기 해머드릴(100)을 회전시킴으로써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건축물의 미숙련자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외벽 및 외장판넬의 손상 없이 외벽 및 외장판넬에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두께가 작은 외장판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고정홈을 타공할 수 있다.
외장판넬, 고정홈, 앵커홈, 드릴, 타공

Description

타공장치{a punching equipment}
본 발명은,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미숙련자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외벽 및 외장판넬의 손상 없이 외벽 및 외장판넬에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두께가 작은 외장판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고정홈을 타공할 수 있도록 된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옹벽)에 외장판넬(석재판)을 고정하여 건축물의 내외벽을 장식하는 외장판넬은 앵커너트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에는 앵커볼트가 고정되는 고정 요홈이 타설되어 상기 앵커볼트에 앵커너트를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조립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판넬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 및 외장판넬에 홈을 형성하는 것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건축물의 벽면 또는 외장판넬의 일정 위치에 드릴날(51)이 진퇴운동을 하는 드릴(52)로 고정홈(5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53)에 접착제(54)를 충진한 후 앵커볼트(55) 또는 앵커너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고정홈(53)은 입구가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하여 접착제(54)가 외부 로 용이하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드릴(52)은 드릴날(51)이 전후로 진퇴운동을 하도록 된 드릴(52)을 이용하며 먼저 건축물의 벽면 및 외장판넬의 일위치에 수직상의 홈을 형성하고 드릴(52)을 360도로 회전시켜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하도록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의 외벽 및 외장판넬에 고정홈(53)을 형성하는 것은 고정홈(53)의 깊이를 작업자의 직감에 의해 조절하여야하기 때문에 부정확하며, 드릴날(51)의 회전부위가 벽면을 지속적으로 타격하여 입구부위가 부서지는 등의 손상을 입어 불량률 발생이 높으며, 미숙련자로서는 정확한 홈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두께가 작은 외장판넬의 경우 드릴날(51)의 회전부위와의 접촉에 의해 지속적인 타격을 받아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미숙련자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외벽 및 외장판넬의 손상 없이 외벽 및 외장판넬에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두께가 작은 외장판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고정홈을 타공할 수 있도록 된 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타공장치에 있어서,
통상적인 해머드릴(100)의 드릴날(110)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릴날(110)을 이용하여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을 형성하기 위한 어댑터(200)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200)는,
상기 해머드릴(100)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상기 해머드릴(100)의 고정위치(1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11)가 결합되고, 타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나사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부(213) 영역에 다수의 고정키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210)와,
상기 제1 나사부(213)와 결합되는 제2 나사부(221)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213,221)가 상호 결합될 시 일측으로 고정키핀(222)과 키홈고정링고무(223)가 결합되며 외면에 외부 슬러지배출부(224)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220)와,
상기 하부몸체(22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장착되되 스프링(231)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며, 외면에 상기 외부 슬러지배출부(224)와 연통되는 내부 슬러지배출부(232)가 형성되는 탄성지지유닛(230)을 포함하며,
상기 해머드릴(100)의 드릴날(110)은 상기 상부몸체(210), 상기 하부몸체(220) 및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을 통과하여 그 선단이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되,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부가 타공의 지지면(A)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하여 상기 해머드릴(100)을 회전시킴으로써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은, 상기 드릴날(110)을 수직 상태로 가압하여 형성되는 1차의 직선 홈(H1)일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1차의 직선 홈(H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해머드릴(100)을 소정 각도 눕혀 그대로 회전 또는 가압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드릴날(110)로 하여금 상기 드릴날(110)의 선단부 꼭짓점을 기준으로 하여 원 형태의 내부 홈이 가공되도록 함으로써 입구는 상기 1차의 직선 홈(H1) 영역에 준하지만 내부는 항아리와 같은 구조의 광대한 고정홈(H)일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231)의 이탈 저지를 위해, 상기 스프링(231)의 상부 영역에는 링키(241)와 제1 고정판(242)이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231)의 하부 영역에는 제2 고정판(243)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은 상단부는 상기 링키(241) 또는 상기 제1 고정판(242)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이 후진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244)가 형성되게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미숙련자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외벽 및 외장판넬의 손상 없이 외벽 및 외장판넬에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을 형 성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두께가 작은 외장판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고정홈을 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장치에서 어댑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어댑터가 조립될 해머드릴의 드릴날 영역의 개략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장치에서 어댑터에 해머드릴을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고정홈의 형성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타공장치는, 통상적인 해머드릴(100)의 드릴날(110)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릴날(110)을 이용하여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 도 5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어댑터(2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여기서 해머드릴(100)이란 주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조사 또는 유무선에 관계없이 도시된 드릴날(110)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한편, 해머드릴(100)은 소재에 구멍을 뚫거나 혹은 홈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인데, 본 실시예와 같이,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 도 5 참조)을 형성하려 한다면, 작업자는 해머드릴(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드릴날(110)을 이용하여 세밀하게 홈 작업을 해야 한다.
하지만, 숙련자라 하더라도 해머드릴(100)의 중량, 또는 드릴날(110)의 회전 시의 진동 등에 의해 원하는 형태의 홈,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을 형성할 수는 없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해머드릴(100)에 어댑터(200)를 장착하여 이 어댑터(200)의 도움으로 홈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설사 비숙련자라 하더라도 원하는 형태의 홈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형성된 홈들이 모두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상기 어댑터(200)는, 크게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와, 탄성지지유닛(230)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는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립하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탄성지지유닛(230)은 하부몸체(220)에 미리 조립된 상태인 것으로 본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탄성지지유닛(230)과 하부몸체(220) 역시 작업자가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부몸체(210)에는, 상기 해머드릴(100)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상기 해머드릴(100)의 고정위치(1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11)가 결합되고, 타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나사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부(213) 영역에 다수의 고정키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몸체(210)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키홈(212)은 앞뒤에 존재하기 때문에 1/2씩 돌려서 고정하게 되면 대략 1 밀리미터(mm)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드릴날(110)의 마모 시 드릴날(110)을 조정할 때 사용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하부몸체(220)에는, 상기 제1 나사부(213)와 결합되는 제2 나사부(221)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213,221)가 상호 결합될 시 일측으로 고정키핀(222)과 키홈고정링고무(223)가 결합되며 외면에 외부 슬러지배출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지지유닛(230)은, 상기 하부몸체(22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장착되되 스프링(231)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며, 외면에 상기 외부 슬러지배출부(224)와 연통되는 내부 슬러지배출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지지유닛(230)에서 스프링(231) 영역을 살펴보면, 상기 스프링(231)의 이탈 저지를 위해, 상기 스프링(231)의 상부 영역에는 링키(241)와 제1 고정판(242)이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231)의 하부 영역에는 제2 고정판(243)이 마련되는데,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은 상단부는 상기 링키(241) 또는 상기 제1 고정판(242)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이 후진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244)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해머드릴(100)의 드릴날(110)은 상기 상부몸체(210), 상기 하부몸체(220) 및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을 통과하여 그 선단이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되,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부가 타공의 지지면(A)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하여 상기 해머드릴(100)을 회전시킴으로써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을 형성하게 된다.
이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날(110)이 상기 상부몸체(210), 상기 하부몸체(220) 및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을 통과하여 그 선단이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장착한 후,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부가 타공의 지지면(A)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드릴날(110)의 선단부를 이용하여 직선의 홈(H1)을 1차로 형성한다. 도 6의 (a)와 같이 형성된 직선의 홈(H1)의 깊이와 넓이는 드릴날(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나타난다. 물론, 도 6의 (a)와 같이 형성된 직선의 홈(H1) 역시 사용이 충분하며, 필요 시 이 상태의 홈(H1)을 통해 작업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동일한 조건 하에서 즉 판넬의 두께에 따른 홈의 깊이가 동일하다는 조건하에서 보다 강력한 인발력이 요구되는 경우라면, 도 6의 (a)와 같이 형성된 직선의 홈(H1)만을 가지고는 부족하며, 이때는 도 6의 (b)와 같은 형태의 홈(H), 즉 입구는 드릴날(110)의 직경만큼의 폭(지름)을 가지기에 협소하지만, 내부는 마치 항아리와 같은 구조의 홈(H)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6의 (b)와 같은 형태의 홈(H)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우선 도 6의 (a)와 같은 1차 작업이 진행된 다음에 다음의 작업을 더 수행하면 된다.
즉 해머드릴(100)을 대략 10도 내외(12도 정도)로 눕혀 해머드릴(100)을 꾹 누르게 되면, 스프링(231)이 압축되면서 탄성지지유닛(230)이 상기 공간부(244)만큼 후진할 수 있게 되고(대략 3 mm 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님) 이 상태에서 해머드릴(100)을 360도 회전시키게 되면, 드릴날(110)의 회전에 기인하여 드릴날(110)의 선단부 꼭짓점을 기준으로 하여 원(R) 형태의 내부 홈이 가공될 수 있 다. 따라서 도 6의 (b)와 같은 형태의 홈(H)이 쉽게 만들어 질 수 있는데, 특히 이러한 작업은 석재 또는 모재에 과도한 진동이 형성되는 것과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도 6의 (b)와 같은 형태의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을 형성할 수가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할 것이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날(110)은 그 하단부에서 상부로 일정 길이 구간만큼 내입된 날이 형성되지 않은 비날구간(110a)이 존재하기 때문에, 혹시라도 홈 성형 과정에서 홈의 입구 주변부가 불필요하게 가공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내부가 광대하다는 의미는, 도 5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는 드릴날(110)의 직경만큼의 폭(지름)을 가지기에 협소하지만, 내부는 마치 항아리와 같은 구조의 홈이 형성된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을 경우, 추후에 에폭시 등의 충진재를 고정홈(H) 내에 충진시킨다 하더라도 충진재가 흘러내림 없이 굳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이러한 곳을 통해 보다 강력한 인발력을 제공할 수 있기에 종래와 같이 빈번히 재작업을 하거나 작업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2차의 작업 시 해머드릴(100)을 누르지 않고 회전만 시키면서 드릴 작업을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6의 (b)보다는 내부가 덜 확장된다. 하지만, 이 경우라도 하나의 홈 작업이 될 수 있으며, 필요 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홈(H)의 형성 시 파생되는 슬러지나 석재 분진 등은 탄성지지유닛(230)의 내부를 경유하여, 내부 및 외부 슬러지배출부(232,224)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기에 슬러지나 석재 분진 등이 탄성지지유닛(230)의 내부에 꽉 참에 따라 스프링(231)의 동작에 장애를 주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 역시 본 발명의 특징 사항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미숙련자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외벽 및 외장판넬의 손상 없이 외벽 및 외장판넬에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두께가 작은 외장판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고정홈을 타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다른 사용예로서의 고정홈의 형성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홈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보면, 총 3개의 그림 (a),(b),(c)가 존재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화살표가 전술한 드릴날(110)을 나타낸다. 드릴날(110)을 도면에 표현하게 되면 고정홈의 형태가 잘 보이지 않으므로 도 7에서는 편의를 위해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날(110)을 화살표 Z 방향으로 가압하면 수직된 깊이의 홈(H1)이, 그리고 드릴날(110)을 화살표 R1 및 R2의 방향(대략 12도 임)으로 회전(360도)시키면 내부에 광대한 홈이 형성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기본 적인 작업 방법 중, 드릴날(110)을 화살표 Z 방향으로 1차 가압하여 3 mm를 더 깊게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 드릴날(110)을 화살표 R1 및 R2의 방향(대략 12도 임)으로 회전(360도)시키면 도 7의 (b)와 같은 형태의 홈(H2)이 형성된다. 물론, 이 경우일지라도 입구는 협소하면서 내부는 광대한 홈(H2)이 될 수 있 으며, 이 상태의 홈(H2)도 경우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도 7의 (b)에서 내부의 광대한 홈(H2)의 외형은 깊이 13 mm인 내부 원의 둘레에 해당하는 궤적을 갖는다.
하지만, 도 7의 (b)와 같은 형태의 홈(H2)보다 더 깊게 들어가면서 또한 내부가 더 광대한 도 7의 (c)와 같은 홈(H)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드릴날(110)을 3 mm만큼 더 누른 후, 12도 각도로 뉘어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드릴날(110)이 3 mm만큼 더 깊게 내려간 상태에서 360도의 광활한 내부 홈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 7의 (c)와 같은 형태가 된다. 도 7의 (c)와 같은 형태의 홈(H)은 도 7의 (b)와 같은 형태의 홈(H2)에 비해 더 강한 인발력을 요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의 (c)에서 내부의 광대한 홈(H)의 외형은 깊이 13 mm보다 3 mm 더 깊이 들어간 외부 원의 둘레에 해당하는 궤적을 갖는다.
참고로, 도 7의 (c)와 같은 홈(H)을 가공하기 위해 드릴날(110)을 3 mm만큼 더 누르는 작업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조에 의해 쉽게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여기서는 기준 깊이를 13 mm라 하면서 13 mm에 대하여 3 mm 더 깊이 그어간 상태를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예의 타공장치의 구조 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받은 바 있는 길이날의 구조를 개선하거나 그 길이날을 사용하는 경우, 타공의 기준 깊이는 13 mm보다 더 커도, 또는 작아도 무방할 것이다. 즉 위의 수치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으므로 상황에 맞게 타공 깊이는 얼마든지 조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도면을 보면, 탄성지지유닛(230)의 선단부가 각이 진 형태 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탄성지지유닛(230)의 선단부는 타공의 지지면(A)에 지지되는 면을 형성하면 그것으로 족하기 때문에 둥근 반원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도 1은 건축물의 외벽 및/또는 외장판넬의 일정 부위에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장치에서 어댑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어댑터가 조립될 해머드릴의 드릴날 영역의 개략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장치에서 어댑터에 해머드릴을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고정홈의 형성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다른 사용예로서의 고정홈의 형성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해머드릴 110 : 드릴날
200 : 어댑터 210 : 상부몸체
211 : 고정볼트 212 : 고정키홈
213 : 제1 나사부 220 : 하부몸체
221 : 제2 나사부 222 : 고정키핀
223 : 키홈고정링고무 224 : 외부 슬러지배출부
230 : 탄성지지유닛 231 : 스프링
232 : 내부 슬러지배출부 241 : 링키
242,243 : 고정판

Claims (4)

  1. 타공장치에 있어서,
    통상적인 해머드릴(100)의 드릴날(110)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릴날(110)을 이용하여 입구는 협소하고 내부는 광대한 고정홈(H)을 형성하기 위한 어댑터(200)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200)는,
    상기 해머드릴(100)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상기 해머드릴(100)의 고정위치(1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11)가 결합되고, 타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나사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부(213) 영역에 다수의 고정키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210)와,
    상기 제1 나사부(213)와 결합되는 제2 나사부(221)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213,221)가 상호 결합될 시 일측으로 고정키핀(222)과 키홈고정링고무(223)가 결합되며 외면에 외부 슬러지배출부(224)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220)와,
    상기 하부몸체(22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장착되되 스프링(231)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며, 외면에 상기 외부 슬러지배출부(224)와 연통되는 내부 슬러지배출부(232)가 형성되는 탄성지지유닛(230)을 포함하며,
    상기 해머드릴(100)의 드릴날(110)은 상기 상부몸체(210), 상기 하부몸 체(220) 및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을 통과하여 그 선단이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되,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의 하단부가 타공의 지지면(A)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하여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드릴날(110)을 수직 상태로 가압하여 형성되는 1차의 직선 홈(H1)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1차의 직선 홈(H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해머드릴(100)을 소정 각도 눕혀 그대로 회전 또는 가압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드릴날(110)로 하여금 상기 드릴날(110)의 선단부 꼭짓점을 기준으로 하여 원 형태의 내부 홈이 가공되도록 함으로써 입구는 상기 1차의 직선 홈(H1) 영역에 준하지만 내부는 항아리와 같은 구조의 광대한 고정홈(H)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31)의 이탈 저지를 위해, 상기 스프링(231)의 상부 영역에는 링키(241)와 제1 고정판(242)이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231)의 하부 영역에는 제2 고정판(243)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은 상단부는 상기 링키(241) 또는 상기 제1 고정판(242)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지지유닛(230)이 후진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244)가 형성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장치.
KR1020090005375A 2008-10-27 2009-01-22 타공장치 KR101141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77 2008-10-27
KR20080105177 2008-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103A true KR20100047103A (ko) 2010-05-07
KR101141414B1 KR101141414B1 (ko) 2012-05-03

Family

ID=4227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375A KR101141414B1 (ko) 2008-10-27 2009-01-22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6373A (zh) * 2014-12-22 2015-05-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研究所 低温共烧陶瓷高速冲孔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237B1 (ko) 2020-03-04 2021-07-16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KR102357464B1 (ko) 2020-09-08 2022-02-07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집진부를 포함한 고정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9998C2 (de) * 1973-10-05 1982-12-02 Artur Dr.H.C. 7244 Waldachtal Fischer Bohreinheit zur Herstellung einer Hinterschneidung im Bohrloch
JPS6215406U (ko) 1985-07-10 1987-01-29
DE8912860U1 (ko) 1989-10-31 1990-02-01 Hertel Ag Werkzeuge + Hartstoffe, 8510 Fuerth, 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6373A (zh) * 2014-12-22 2015-05-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研究所 低温共烧陶瓷高速冲孔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414B1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4631B2 (en) Expansion anchor setting apparatus
KR101141414B1 (ko) 타공장치
EP1864734B1 (en) Core drill
AT516022B1 (de) Zubehör für Handbohrmaschinen mit integrierter Bohrstaubabsaugung
KR20140030028A (ko) 드라이브로드를 진동시키기 위한 바이브레이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기
CN211028195U (zh) 台阶钻孔器
KR100531204B1 (ko) 햄머드릴의 분진방지 장치
KR100991826B1 (ko) 타공용 드릴날
KR100887950B1 (ko) 타공장치
KR101664946B1 (ko) 송전탑 기초공사용 다천공장치
JP2008201075A (ja) 床の穿孔方法及び被穿孔物の受け具
KR100981679B1 (ko) 타공장치
WO2007094532A1 (en) Auger boring machine having vibrator and bo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004878U (ko) 유압 천공기용 펀치
CN216099332U (zh) 一种泡沫模型打孔装置
KR101618101B1 (ko) 스프링임팩터가 구비된 오거천공기
JP2016196781A (ja) Pcグラウト充填調査及び再注入用のシース管開孔方法
CN210217635U (zh) 一种钻架及组合钻体
CN219705481U (zh) 一种板材打孔限位装置
KR101608969B1 (ko) 천공장치용 비트
JP2014173366A (ja) あと施工アンカーボルトの設置具及び設置方法
KR101699048B1 (ko) 지반굴착용 멀티해머의 에어분배구
CN220487484U (zh) 一种工程爆破打孔设备
CN219484306U (zh) 一种防偏斜钻头结构
CN109403857B (zh) 一种建筑工程钻机成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12

Effective date: 201203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