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888A - 폴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폴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888A
KR20100045888A KR1020080132427A KR20080132427A KR20100045888A KR 20100045888 A KR20100045888 A KR 20100045888A KR 1020080132427 A KR1020080132427 A KR 1020080132427A KR 20080132427 A KR20080132427 A KR 20080132427A KR 20100045888 A KR20100045888 A KR 20100045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ip
connecting device
lever body
engagemen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조 미야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에무 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에무 고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에무 고교
Publication of KR2010004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5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elongated or extended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복수개의 폴이 접속된 상태에서 폴 사이의 요동이나 요진을 충분히 감소시키고 복수개의 폴의 신장이나 보충을 요동이나 요진없이 안정하게 행할 수 있고 높은 가지 절단도구에도 양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폴접속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제1폴(100)의 선단에 대해 제2폴(200)의 후단이 차입된 상태에서 양자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폴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폴(100)에 축경용의 할구(121)를 형성한 통모양선단부(120)와 이 통모양선단부(120)를 주위에서 보강함과 동시에 통모양선단부(120)를 축경시켜 상기 차입한 상태의 제2폴(200)에 밀접시킨 수구구성체(300)를 구비하고 있다.
폴접속, 수구수성체, 축경, 용수철부세

Description

폴접속장치{Pole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개의 볼을 서로 접속하는 폴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예를 들면, 높은 나뭇가지 등을 자를 때에 사용하는 높은 가지 절단도구의 폴접속에 쓸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긴 폴(pole)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1개의 폴에 다음 폴을 집어넣는 것으로, 폴을 차례로 덧붙여서 길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높은 가지를 자르는 칼인 높은 가지 절단도구에는 긴 도구(폴)이 필요하다. 이 높은 가지 절단도구로서는, 신축이 자유롭게 형성된 긴 도구의 선단에 톱이나 가위를 매단 것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67001호에는 신축이 자유로운 긴 도구의 선단에 톱칼의 회동이 자유롭게 매단 톱이 제공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67001호
상기 종래의 높은 가지 절단도구의 경우, 복수의 폴을 늘여서 길게 한 상태로 높은 가지를 자를 때, 복수의 폴 사이에서의 틈이나 요동 등이 원인이 되어, 선단의 칼의 움직임에 불필요한 놀림이나 요진(振)이 일어나기 쉽고, 절단 작업에 힘이 들거나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칼이 정확하게 가지를 맞추기 어려워서, 소망 위치에서의 절단이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특허문헌1에 가리키는 바와 같은 톱의 경우는, 폴선단의 톱칼이 회동이 자유로우므로, 높은 가지의 방향이나 각도에 대응한 절단 작업이 용이하게 되지만, 복수의 폴을 늘이는 것에 의한 폴 사이에서의 요동이나 요진을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고, 복수의 폴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폴 사이의 요동이나 요진을 충분히 감소시키고, 복수의 폴의 신장이나 보충을 요동이나 요진없이 안정하게 행할 수 있고, 높은 가지 절단도구에도 양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폴접속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제1폴의 선단에 대하여 제2폴의 후단이 집어넣어진 상태로 양자의 접속이 되도록 한 폴접속장치로서, 상기 제1폴에 축경용의 할구를 형성한 통모양선단부와, 이 통모양선단부를 주위에서 보강함과 동시에 통모양선단부를 축경(縮徑)시켜서 상기 집어넣어진 상태의 제2 폴에 밀접시키는 수구구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제1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상기 제1특징에 더해서, 수구구성체는 제1폴 통모양선단부에 그 주위로부터 피착해 보강함과 동시에 폴의 찔러 넣음을 받는 폴수구를 구성하는 링모양본체와 이 링모양 본체에 매달린 상기 통모양선단부를 자유롭게 눌러 축경을 행하는 레버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제2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상기 제2특징에 더해서, 레버체의 기부를 링모양본체로 축지하는 것으로, 레버체를 폴의 길이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됨과 동시에 상기 레버체의 기부의 반경을 원주방향으로 변화시켜 이루어지는 팽출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레버체의 일정한 회동위치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팽출부가 제1폴의 통모양선단부를 눌러 축경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제3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해서, 제2폴에 폴 내에서 돌출하도록 해서 용수철 부세된 계합핀을 마련하고, 제1폴측에 상기 계합핀을 받아 들이는 계합구멍을 마련한 것을 제4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상기 제4특징에 더해서, 제2폴을 제1폴에 집어넣을 때에 있어서, 제2폴의 계합핀을 폴 내로 밀어 내리기 위한 압하돌부를 레버체에 마련한 것을 제5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상기 제4또는 제5특징에 더해서, 제2폴을 제1폴로부터 뽑아 낼 때에 있어서, 제1폴의 계합구멍에 계합되어 있는 제2폴의 계합핀을 폴내로 밀어 내리기 위한 압하돌기편이 링모양본체에 달린 것을 제6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특징에 더해서, 제1폴 및 제2폴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통체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제7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특징에 더해서, 칼을 선단에 구비한 높은 가지 절단도구의 복수개의 폴의 접속에 쓸 수 있는 것을 제8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제1폴의 선단에 대하여 제2폴의 후단이 집어넣어진 상태로 양자의 접속이 되도록 한 폴접속장치이며, 상기 제1폴에 축경용의 할구를 형성한 통모양선단부와, 이 통모양선단부를 주위에서 보강함과 동시에 통모양선단부를 축경시켜서 상기 집어넣어진 상태의 제2폴에 밀접시키는 수구구성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2폴의 후단이 제1폴의 통모양선단부에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수구구성체에 의해 상기 할구를 형성한 통모양선단부를 주위에서 보강함과 동시에, 그 할구에 의해 통모양선단부를 축경시켜서 제2폴에 밀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폴과 제2폴은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호간에 생성되는 틈이 해소되어, 폴 사이에서의 요동이나 요진이 해소된다.
따라서 청구항1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복수개의 폴을 신장하거나 덧붙일 경우에 있어서, 폴 사이에 요동이나 요진이 생성되지 않고 안정한 폴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2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청구항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해서, 수구구성체는 제1폴의 통모양선단부에 그 주위에서 피착하여 보강함과 동시에 폴의 찔러 넣음을 받는 폴수구를 구성하는 링모양본체와, 이 링모양본체에 달린 상기 통모양선단부를 자유롭게 눌러 축경을 행하는 레버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수구구성체의 링모양본체가 제1폴의 통모양선단부의 주위에 피착되는 것으로, 할구를 형성한 통모양선단부가 제2폴의 찔러 넣음에 대하여 직경이 늘어나거나 파손되지 않고 확실히 보강된다. 또한 링모양본체가 폴의 찔러 넣음을 받는 수구가 되는 것으로, 제2폴이 집어넣어질 때에 그 찔러 넣음을 유도, 가이드하는 폴수구로서, 견고하고 안정한 수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구구성체의 레버체를 조작하는 것으로, 통모양선단부를 자유롭게 눌러 축경할 수 있고, 집어넣어진 제2폴에 대하여 제1폴의 통모양선단부를 주위에서 충분히 밀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폴 사이에서의 요동이나 요진, 접합의 놀이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3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청구항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해서, 레버체의 기부를 링모양본체로 축지하는 것으로, 레버체를 폴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체의 기부에 그 반경을 원주방향으로 변화시켜서 이루어지는 팽출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레버체의 일정한 회동위치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팽출부가 제1폴의 통모양선단부를 눌러 축경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2폴을 제1폴에 집어넣은 상태로, 레버체를 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회동위치까지 회동조작 함으로써, 레버체의 기부의 팽출부에서 제 1폴의 통모양선단부를 눌러 축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축경에 의해 통모양선단부를 제2폴에 대하여 그 주위로부터 밀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3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레버체를 폴의 길이 방향으로 회동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제1폴과 제2폴 사이에서의 요동이나 요진, 접합의 움직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4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청구항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해서, 제2폴에 폴 내로부터 돌출하도록 해서 용수철 부세된 계합핀을 마련하고, 제1폴 측에 상기 계합핀을 받아 들이는 계합구멍을 마련했으므로, 제2폴이 제1폴에 차입할 수 있었을 때에, 제2폴의 계합핀이 제1폴의 계합구멍의 위치에 일치해서 계합되는 것으로, 제1폴과 제2폴의 접속을 완료시킴과 동시에 양자를 서로 소정의 위치 관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5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상기 청구항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해서, 제2폴을 제1폴에 집어넣을 때에 있어서, 제2폴의 계합핀을 폴 내로 밀어 내리기 위한 압하돌부를 레버체에 마련했으므로, 레버체에 의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고, 가벼운 힘으로 확실하게 용수철 부세된 계합핀을 밀어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제1폴의 내경과 이에 집어넣어지는 제2폴의 외경과의 치수차이를 근소한 차로서, 찔러 넣음에 의한 큰 틈, 요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그러한 폴 사이의 틈을 작은 구성으로 했을 때의 계합핀의 밀어 내리는 작업의 곤란함을 해소하고, 계합핀의 밀어 내리는 작업이 곤란하지 않고 가벼운 힘 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부드럽게 제2폴을 제1폴에 집어넣을 수 있다.
또한, 제1폴과 제2폴과의 계합핀에 의한 계합을 강고하게 하기 위해서, 계합핀의 용수철 부세력을 강고하게 구성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그 강한 용수철 부세력에 저항하고, 계합핀의 밀어 내리는 작업이 곤란하지 않고, 가벼운 힘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부드럽게 제2폴을 제1폴에 집어넣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6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상기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해서, 제2폴을 제1폴로부터 뽑아 낼 때에 있어서, 제1폴의 계합구멍에게 계합되고 있는 제2폴의 계합핀을 폴 내로 밀어 내리기 위한 압하돌기편이 링모양본체에 달려 있으므로, 제2폴을 제1폴로부터 뽑아 낼 때에, 링모양본체에 달려 있는 압하돌기편을 써서 계합핀의 밀어 내리는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계합핀을 밀어 내리는 것이 가능해 지고, 계합구멍에서의 탈출 작업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폴이 제1폴에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찔러 넣음 틈이 작고, 큰 요동이 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그러한 폴 사이의 틈이 작을 경우에 있어서의 계합핀의 밀어 내리는 작업의 곤란함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제2폴이 부드럽게 뽑아내어 질 수 있다.
또한, 계합핀의 용수철 부세력을 강고하게 하고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그 강한 용수철 부세력에 저항하고, 계합핀의 밀어 내리는 작업을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제2폴을 제1폴로부터 부드럽게 뽑아내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청구항7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상기 청구항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해서, 제1폴 및 제2폴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통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1폴에 제2폴을 집어넣을 때, 단면형상이 원이 아닌 타원형상이므로 양자간에서의 원주방향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게 되고, 찔러 넣는 작업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8에 기재된 폴접속장치에 따르면, 상기 청구항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구성에 따르는 작용 효과에 더해서, 칼을 선단에 구비한 높은 가지 절단도구의 복수개의 폴의 접속에 사용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높은 가지 절단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높은 가지 절단도구로서, 복수의 폴 사이에서의 요동이나 요진이 충분히 저감되어, 쓸데없는 움직임이 적고, 정확하고 안정한 절단작업을 적은 노력으로 행할 수 있는 높은 가지 절단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폴접속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폴접속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제1폴에 수구구성체를 피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제1폴에 수구구성체를 피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제2폴의 횡단면도, 도 5는 제2폴의 종단면도, 도 6은 수구구성체의 분해 평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접속장치의 1조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압하돌기편의 사시도, 도 9는 제2폴을 제1폴에 집어넣는 도중의 상태를 가리키는 횡단면도, 도10은 제2폴의 찔러 넣음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폴접속장치를 적용한 높은 가지 절단도구의 예를 게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는 제1폴(100), 제2폴(200), 및 수구구성체(300)로 이루어진다.
도 2, 도 3도 참조하면, 상기 제1폴(100)은 폴본체(110)의 선단에 통모양선단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모양선단부(120)는 폴본체(110)의 선단에 외감합된 상태로 나사 등의 결합구(130)로 결합된다.
상기 통모양선단부(120)에는 그 선단에서 길이방향(축방향)으로 복수의 할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할구(121)는 통모양선단부(120)를 축경(縮徑)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할구(121)를 서로 180도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고, 통모양선단부(120)에 가해지는 후술하는 압력의 방향에 대하여 할구(121)의 대향면이 직각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상기 할구(121)가 닫히고, 통모양선단부(120)의 축경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할구(121)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모양선단부(120)에는 후술하는 계합핀(240)을 받아 들이는 계합구멍(122)이 마련되어 있다.
폴본체(110) 및 통모양선단부(120)는 단면을 타원형상으로 한 통체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타원형상으로는 완전한 타원형상 이외에 타원형상에 가깝거나 비슷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단면을 타원형상으로 하는 경우의 장점은 짧은 지름과 긴 지름이 있어서, 폴 접속시 원주방향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한편, 제1폴(100)의 상기 폴본체(110) 및 통모양선단부(120)는 그 타원형상 의 긴 지름측의 정부의 일방을 평탄정부(114, 124)로 하고 통모양선단부(120)의 평탄정부(124)에 상기 계합구멍(122)을 마련하고 있다.
통모양선단부(120)는, 예를 들면, 스텐레스 강철 등의 금속을 써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재료로의 제작도 가능하다. 또한 폴본체(110)는, 예를 들면 글래스 화이버를 써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금속, 이외를 사용해도 좋다.
도 4, 도 5도 참조하면, 상기 제2폴(200)은 그 후단에 통모양후단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모양후단부(220)에는 할구는 형성되지 않고 있다.
통모양후단부(220)는 폴본체(210)의 후단에 내계합된 상태로, 나사 등의 결합구(230)로 결합되어 있다.
통모양후단부(220)는 상기 통모양선단부(120)와 같이, 예를 들면, 스텐레스 강철 등의 금속을 써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재료로의 제작도 가능하다.
또한, 폴본체(210)는 상기 제1폴(100)의 폴본체(110)와 동질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본체(210) 및 통모양후단부(220)는 단면을 타원형상으로 한 통체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타원형상으로는, 완전한 타원형상 이외에 타원형상에 가깝거나 비슷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단면을 타원형상으로 하는 경우의 장점은 이미 언급했다.
제2폴(200)에는 계합핀(240)을 마련하고 있다.
계합핀(240)은 제2폴(200) 안에서 돌출하도록 용수철 부세되어 마련되어 있 다. 즉, 계합핀(240)은 제2폴(200)안에 고정구(242)에 의해 고정된 판용수철(241)에 매달려, 제2폴(200)의 삽통구멍(211, 221)으로부터 돌출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계합핀(240)을 판용수철(241)의 용수철 부세력에 저항해서 제2폴(200)안으로 밀어 내리는 것으로, 제2폴(200)을 제1폴(100)안에 집어넣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삽통구멍(211)은 제2폴(200)의 폴본체(210)에 마련되는 삽통구멍이고, 상기 삽통구멍(221)은 통모양후단부(220)에 마련되는 삽통구멍이다. 이 삽통구멍(211, 221)은 폴본체(210)와 통모양후단부(220)가 결합될 때에 위치조정되어 1개의 삽통구멍으로 된다.
또한, 제2폴(200)의 상기 폴본체(210) 및 통모양후단부(220)는 상기 제1폴(100)의 경우와 같이, 그 타원형상의 긴 지름측의 정부의 일방을 평탄정부(214, 224)로 해서 이들 평탄정부(214, 224)에 상기 계합핀(240)을 뚫고 나오게 하는 삽통구멍(211, 221)을 마련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구구성체(300)는 제2폴(200)의 찔러 넣음을 받아 들이는 제1폴(100)의 수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수구구성체(300)는 통모양선단부(120)를 주위에서 보강함과 동시에, 통모양선단부(120)를 축경시켜서 제2폴(200)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 수구구성체(300)는 링모양본체(310)와 레버체(3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링모양본체(310)는 짧은 통모양이고, 제1폴(100)의 통모양선단부(120)의 주위로부터 피착된다. 이 링모양본체(310)는, 예를 들면, 분할선(311)으로 2분 할된 것을 이용하고, 이 분할체를 통모양선단부(120)의 양측에서 나누고, 결합나사(302) 등의 결합 수단을 결합용구멍(301)에 통과시켜 나사 고정해서 분할체끼리를 죄는 것으로 양자를 일체화하고, 동시에 통모양선단부(120)의 주위에 밀착한 상태로 피착되도록 한다. 물론, 링모양본체(310)는 2분할이 아니고, 링의 1개소에서 분단되어 확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링모양본체(310)를 통모양선단부(120)에 피착할 수 있다.
링모양본체(310)에는 상기 제2폴(200)의 계합핀(240)과 계합되게 하기 위한 계합구멍(312)이 마련되어 있다. 이 계합구멍(312)은 상기 제1폴(100)의 통모양선단부(120)의 계합구멍(122)과 위치조정된 상태로, 1개의 연통구멍이 된다.
링모양본체(310)의 타원형상의 긴 직경측의 정부의 일방을 평탄정부(313)로 하고 있다. 이 평탄정부(313)는 상기 통모양선단부(120)의 평탄정부(124)에 대응하고, 링모양본체(310)를 통모양선단부(120)에 달았을 때에, 링모양본체(310)의 평탄정부(313)가 통모양본체(120)의 평탄정부(124)에 밀접하게 된다. 링모양본체(310)의 후술하는 좌우 한 쌍의 축받이부(315, 315)사이, 즉, 상기 평탄정부(313)의 전방은 그 정부가 절결상태로 개방되어 있다.
평탄정부(313)의 중앙을 상기 분할선(311)이 축방향으로 지나가고 있다.
링모양본체(310)의 통의 한 쌍의 개구 중 레버체(320)가 달려 있는 측의 개구는 통모양선단부(120)에 피착된 상태에서의 폴수구(314)를 구성한다. 이 폴수구(314)로부터 제2폴(200)이 집어넣어지게 된다.
상기 제1폴(100)의 통모양선단부(120)의 선단의 위치는 폴수구(314)로부터 조금 후미진 위치가 된다.
상기 레버체(320)는 그 기부(321)에서 링모양본체(310)에 축지(軸支)되어 있다.
즉, 링모양본체(310)에 좌우 한 쌍의 축받이부(315, 315)를 마련하고, 그 사이에 상기 레버체(320)의 기부(321)를 차입한 상태로 축지를 행하고 있다.
상기 축받이부(315, 315)는 상기 평탄정부(313)의 전방, 즉, 상기 링모양본체(310)의 폴수구(314)에 가까운 위치에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 축받이부(315, 315)에는 관통하는 축구멍(316)을 마련한다. 이 축구멍(316)은 상기 결합나사(302)에 의한 링모양본체(310)의 결합용구멍(301)의 하나로 하여 겸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체(320)의 기부(321)에도 관통구멍(322)이 마련되고, 이 관통구멍(322)에 대하여 통모양핀(323)이 관통해서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축받이부(315, 315)를 관통하는 축구멍(316)의 크기는 상기 통모양핀(323)이 들어가는 크기로 해서 통모양핀(323)이 축구멍(316)에 들어간 상태에서, 또한 상기 결합나사(302)를 통모양핀(323)에 관통시키고, 관통구멍(322)에 통과시키는 것으로, 레버체(320)의 축지를 행한다.
이상에 의해 레버체(320)는 제1폴(100)의 상기 평탄정부(114, 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제1폴(100)의 긴 방향(축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때 레버체(320)는 통모양핀(323)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되고, 통모양핀(323)은 결합나사(302)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통모양핀(323)은 레버체(320)와 고정상태라도 좋다.
상기 레버체(320)의 기부(321)는 관통구멍(322)을 중심축으로 한 반경을 가지는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대략 원주형상의 기부(321)의 반경을 원주방향으로 변화시켜 그 일부를 팽출부(321a)로 하고 있다. 이 팽출부(321a)는 레버체(320)를 회동시켰을 때에, 그 일정한 회동위치에서 상기 통모양선단부(120)의 평탄정부(124)에 맞닿고, 이를 눌러서 축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팽출부(321a) 이외의 다른 기부(321)의 부분은 반경이 팽출부(321)보다도 작고, 통모양선단부(120)를 눌러서 축경시키지 않는다.
더욱 설명하면, 상기 레버체(320)는 제1폴(100)의 길이방향에 전방회동(A) 및 후방회동(B)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회동(B)의 종점위치는 상기 레버체(320)의 레버의 선단이 제1폴(100)의 통모양선단부(120)의 평탄정부(124)에 거의 접촉하는 부근으로 해서 그 종점위치에서 레버체(320)가 안정하게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점위치에 있어서, 레버체(320)의 상기 팽출부(321a)가 통모양선단부(120)에 맞닿아 이를 누르고 축경한다.
상기 팽출부(321a)가 맞닿아 누르는 통모양선단부(120)의 평탄정부(124)의 위치는 상기 한 쌍의 할구(121, 121)에 대하여 쌍방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90도의 위치에 있다.
또한, 팽출부(321a)는 그 통모양선단부(120)와 맞닿는 면을 평탄면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팽출부(321a)를 통모양선단부(120)의 평탄정부(124)에 대하여, 안정한 접촉 상태로 맞닿고 누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 레버체(320)를 그 후방회동(B)의 종점위치에 있어서, 안정한 회동정지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종점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레버체(320)를 그 정지상태를 해제해서 전방회동(A) 시키기 위해서는 다소의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레버체(320)에는 제2폴(200)의 계합핀(240)을 눌러내리기 위한 압하돌부(324)를 마련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 압하돌부(324)를 마련하는 위치는 제2폴(200)의 계합핀(240)이 제1폴(100)의 수구(수구구성체(300)의 폴수구(314))에 맞닿아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레버체(320)를 전방회동(A) 시킬 때에 그 압하돌부(324)가 계합핀(240)의 두부에 정확히 눌러 맞는 위치이다. 이 위치는 레버체(320)의 기부(321)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가 된다. 압하돌부(324)가 계합핀(240)의 두부에 눌러 맞닿은 상태로 더욱 레버체(320)를 전방회동시키는 것으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고, 계합핀(240)을 판용수철(241)에 의한 용수철 부세력에 저항해서 용이하게 제2폴(200) 안으로 눌러 내릴 수 있다.
계합핀(240)이 제2폴(200) 안으로 눌러 내린 상태에서는 제2폴(200)을 용이하게 제1폴(100) 안에 집어넣어 갈 수 있다.
제2폴(200)의 계합핀(240)이 제1폴(100) 측의 계합구멍(122), 링모양본체(310)의 계합구멍(312)에 일치할 때까지 집어넣어지는 것으로, 양자가 계합되고 제1폴(100)과 제2폴(200)의 상호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 레버체(320)를 그 종점위치(도 10참조), 즉, 상기 레버체(320)의 선단이 제1폴(100)의 통모양선단부(120)의 평탄정부(124)에 거의 접촉하는 부근까 지 후방회동(B) 시키면, 그 종점위치에서 레버체(320)의 상기 팽출부(321a)가 제1폴(100)의 통모양선단부(120)에 맞닿아 이를 누르고, 축경한다. 이에 의해, 통모양선단부(120)가 제2폴(200)의 통모양후단부(220)의 그 주위로부터 밀접하고, 서로 요동이 없는 접속이 달성된다.
상기 수구구성체(300)의 링모양본체(310)에 대하여 압하돌기편(400)이 달려 있다. 압하돌기편(400)은 제2폴(200)을 제1폴(100)에서 뽑아 낼 때에 계합하고 있는 계합핀(240)을 폴내로 밀어 내리기 위한 것이다.
압하돌기편(400)은 한 쌍의 링(411)을 구비한 각부(410)를 가진다. 상기 링(411)은 축받이부(315)의 공동부분(317)에 장입된 상태로 상기 통모양핀(323)에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부(410)는 축받이부(315)에 마련된 절결부(318)를 통해 외부로 도출하도록 달려 있다. 외부로 도출된 압하돌기편(400)에는, 상기 계합구멍(122, 312)에 대향하는 부분에 돌기(420)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420)가 마련되는 면의 반대면은 지압면(430)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압하돌기편(400)은 레버체(320)가 후방회동(B)의 종점위치(도 10참조)에 있을 때에는, 조금 만곡한 레버체(320) 아래의 공간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계합핀(240)을 계합구멍(122, 312)에서 그 계합을 제외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레버체(320)를 전방회동(A) 시켜서 연 상태로 하고, 다음에 손가락으로 압하돌기편(400)의 지압면(430)을 밀면 좋다. 이에 의해 압하돌기편(400)의 돌기(420)가 계합핀(240)에 닿아 이를 밀어 내린다.
폴접속장치에 의한 폴접속에 대해서,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설명한 다.
우선 연결할 때는, 제2폴(200)의 후단이 되는 통모양후단부(220)를 제1폴(100)의 선단에 달린 수구구성체(300)에 집어넣어 간다. 그러면 제2폴(200)의 계합핀(240)이 수구구성체(300)의 폴수구(314)에 걸려 멈춘다. 이 때 레버체(320)를 전방회동(A)하고, 레버체(320)의 압하돌부(324)에서 상기 계합 핀(240)을 제2폴(200) 안으로 밀어 내린다. 이에 의해 제2폴(200)을 부드럽게 제1폴(100) 안으로 집어넣을 수 있고, 계합핀(240)이 제1폴(100) 측의 계합구멍(122), 링모양본체(310)의 계합구멍(312)에 계합된다. 다음으로 레버체(320)를 제1폴(100)과 거의 병행이 되는 종점위치까지 후방회동(B)시킨다. 이에 의해 레버체(320)의 팽출부(321a)가 통모양선단부(120)에 맞닿아 눌러지고 통모양선단부(120)의 할구(121)를 축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통모양선단부(120)가 축경되어서 제2폴(200)의 주위에서 밀접하는 상태로 해서 접속이 완료한다.
여전히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이 완료한 시점에서는 제1폴(100)의 폴본체(110)의 선단과 제2폴(200)의 폴본체(210)의 선단이 정확히 맞닿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제2폴(200)을 제1폴로부터 빼낼 경우는, 도 10의 상태로부터 우선 레버체(320)를 종점위치부터 전방회동(A) 시킨다. 이에 의해 압하돌기편(400)이 노출함과 동시에, 상기 팽출부(321a)에 의한 통모양선단부(120)의 축경이 해제된다. 다음에 압하돌기편(400)을 사용해 이를 손가락으로 누르고, 계합핀(240)을 밀어 내린다. 계합핀(240)을 밀어 내린 상태에서 제2폴(200)을 뽑는 것으로 빼내는 것이 완 료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폴접속장치를 높은 가지 절단도구 T에 적용한 예를 게시한다. 이 높은 가지 접속도구 T는 3개의 폴(500, 600, 700)을 사용하고 있다. 즉, 그립(501)을 마련한 제1폴(500)과, 중계의 제2폴(600)과, 칼(701)을 구비한 제3폴(700)로 되어 있다. 물론, 제1폴(500)에 제3폴(700)을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제1폴(500)이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제1폴(100)에 상당하고, 제3폴(700)이 상기 제2폴(200)에 상당한다. 또한, 제1폴(500), 제2폴(600), 제3폴(700)을 모두 접속할 경우는 제1폴(500)과 제2폴(600)과의 관계에서는 제1폴(500)이 상기 제1폴(100)에 상당하고, 제2폴(600)이 상기 제2폴(200)에 상당하는 한편, 제2폴(600)과 제3폴(700)과의 관계에서는, 제2폴(600)이 상기 제1폴(100)에 상당하고, 제3폴(700)이 상기 제2폴(200)에 상당하게 된다.
제1폴(500)은 폴본체(510)와 통모양선단부(520)로 이루어지고, 폴본체(510)에는 그립(50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모양선단부(520)에 수구구성체(8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폴본체(510)는 상기 폴본체(110)에 상당하고, 통모양선단부(520)는 상기 통모양선단부(120)에 상당하고, 수구구성체(800)는 상기 수구구성체(300)에 상당하고, 이들 부재료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당하는 부재료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다.
제2폴(600)에는 상기 폴본체(210)에 상당하는 폴본체(610)와, 상기 통모양후단부(220)에 상당하는 미도시된 통모양후단부와, 상기 통모양선단부(120)에 상당하는 통모양선단부(620)와, 상기 수구구성체(300)에 상당하는 수구구성체(800)가 마 련되어 있다. 이들의 각 부재료의 구성, 작용 효과는 상당하는 부재료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다.
제3폴(700)에는 상기 폴본체(210)에 상당하는 폴본체(710)와 상기 통모양후단부(220)에 상당하는 미도시된 통모양후단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폴본체(710)의 선단에는 칼(701)이 달려 있다. 이들의 각 부재료의 구성, 작용 효과는 상당하는 부재료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다.
이 높은 가지 절단도구 T를 이용하는 것으로, 접속된 폴 사이의 요동이나 요진을 충분히 감하고, 절단 작업이 용이하고 부드럽게 또한 정확하고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폴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폴에 수구구성체를 피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폴에 수구구성체를 피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단면도이다.
도 4는 제2폴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제2폴의 세로단면도이다.
도 6은 수구구성체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폴접속장치의 1조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압하돌기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폴을 제1폴에 집어넣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폴의 차입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폴접속장치를 적용한 높은 가지 절단도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폴 110 : 폴본체 114 : 평탄정부
120 : 통모양선단부 121 : 할구 122 : 계합구멍
124 : 평탄정부 130 : 결합 도구 200 : 제2폴
210 : 폴본체 211 : 삽통구멍 214 : 평탄정부
220 : 통모양후단부 221 : 삽통구멍 224 : 평탄정부
230 : 결합구 240 : 계합핀 241 : 판용수철
242 : 고정도구 300 : 수구구성체 301 : 결합용구멍
302 : 결합나사 310 : 링모양본체 311 : 분할선
312 : 계합구멍 313 : 평탄정부 314 : 폴수구
315 : 축받이부 316 : 축구멍 317 : 공동부분
318 : 절결부 320 : 레버체 321 : 기부
321a : 팽출부 322 : 관통구멍 323 : 통모양핀
324 : 압하돌부 400 : 압하돌기편 410 : 각부
411 : 링 420 : 돌기 420 : 돌기
430 : 지압면 500 : 제1폴 501 : 그립
510 : 폴본체 520 : 통모양선단부 600 : 제2폴
610 : 폴본체 620 : 통모양선단부 700 : 제3폴
701 : 칼 710 : 폴본체 800 : 수구구성체
A : 전방회동 B : 후방회동 T : 높은 가지 절단도구

Claims (8)

  1. 제1폴의 선단에 대하여 제2폴의 후단이 집어넣어진 상태로 양자의 접속이 되도록 한 폴접속장치이며, 상기 제1폴에 축경(縮徑)용의 할구를 형성한 통모양선단부와, 이 통모양선단부를 주위로부터 보강함과 동시에 통모양선단부를 축경시켜서 상기 집어넣어진 상태의 제2폴에 밀접시키는 수구구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구구성체는 제1폴의 통모양선단부에 그 주위에서 피착하여 보강함과 동시에 폴의 찔러 넣음을 받는 폴수구를 구성하는 링모양본체와, 이 링모양본체에 달린 상기 통모양선단부를 자유롭게 누를 수 있게 하여 축경을 행하는 레버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레버체의 기부를 링모양본체로 축지하는 것으로, 레버체를 폴의 길이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체의 기부에 그 반경을 원주방향으로 변화시켜 이루어지는 팽출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레버체의 일정한 회동위치에서 상기 기부의 팽출부가 제1폴의 통모양선단부를 눌러 축경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접속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폴에 폴내로부터 돌출하도록 해서 용수철 부세된 계합핀을 마련하고, 제1폴측에 상기 계합핀을 받아 들이는 계합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폴을 제1폴에 집어넣을 때에 있어서, 제2폴의 계합핀을 폴 내로 밀어 내리기 위한 압하돌부를 레버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접속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2폴을 제1폴로부터 뽑아 낼 때에 있어서, 제1폴의 계합구멍에게 계합되어 있는 제2폴의 계합핀을 폴 내로 밀어 내리기 위한 압하돌기편이 링모양본체에 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접속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폴 및 제2폴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접속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접속장치는 칼을 선단에 구비한 높은 가지절단도구의 복수개의 폴의 접속에 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접속장치.
KR1020080132427A 2008-10-24 2008-12-23 폴접속장치 KR20100045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73770A JP2010099014A (ja) 2008-10-24 2008-10-24 ポール接続装置
JPJP-P-2008-273770 2008-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888A true KR20100045888A (ko) 2010-05-04

Family

ID=4227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427A KR20100045888A (ko) 2008-10-24 2008-12-23 폴접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099014A (ko)
KR (1) KR20100045888A (ko)
CN (1) CN101720630A (ko)
TW (1) TW2010169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0098A (zh) * 2020-08-04 2020-11-27 四川一百发展科技有限公司 连接组件及用于林木矮化和高枝采修的农林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9684B (zh) * 2013-03-14 2015-02-04 如皋市华阳铝制品有限公司 一种高枝剪
JP7324105B2 (ja) * 2019-09-27 2023-08-09 アルインコ株式会社 作業台における手掛かり棒の支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0098A (zh) * 2020-08-04 2020-11-27 四川一百发展科技有限公司 连接组件及用于林木矮化和高枝采修的农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16994A (en) 2010-05-01
CN101720630A (zh) 2010-06-09
JP2010099014A (ja)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30532A (ja) チャック及び管継手
EP1935343A1 (en) Ergonomic housing for electroacoustic transducers and ultrasound probe with said housing
PL1566151T3 (pl) Kleszcze stomatologiczne z rozłącznymi połówkami
KR20100045888A (ko) 폴접속장치
US11980337B2 (en) Handle of endoscope with self-locking assembly and insertion end positioning assembly
JP4295628B2 (ja) 分解可能にハウジングに配設された機能ユニットを結合するための装置
JP2013185709A (ja) 真直ぐでない、特に曲がった酸素ランス用の固定部を有するランスホルダ
TWM518458U (zh) 自動彈起轉軸裝置
JP2007500085A (ja) 片手で操作できるペンチ
KR101066101B1 (ko) 링크 푸시형 실리콘 건
CN209404833U (zh) 一种手术器械传动机构
CN203887777U (zh) 扭力扳手改进结构
JP2016106813A (ja) ガイドワイヤ導入補助具
EP1927320A3 (de) Medizinisches Instrument
CN107932469B (zh) 一种用于通过狭窄通道控制终端传动工具
JP2006114334A (ja) 電球交換器具
CN205334934U (zh) 变调夹
JP2006326742A (ja) ノックピンの引き抜きホルダー
CN204169955U (zh) 植骨器
TWI730250B (zh) 打鏈器結構
KR200465369Y1 (ko) 에어 커플러
CN219021526U (zh) 一种手术器械的稳定装置、手术器械及手术机器人
CN101511297A (zh) 用于牙科或外科的手持器械
CN217682638U (zh) 一种自锁伸缩管
JP7365655B1 (ja) 鉗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