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772A -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772A
KR20100044772A KR1020100033068A KR20100033068A KR20100044772A KR 20100044772 A KR20100044772 A KR 20100044772A KR 1020100033068 A KR1020100033068 A KR 1020100033068A KR 20100033068 A KR20100033068 A KR 20100033068A KR 20100044772 A KR20100044772 A KR 20100044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s
input
drag
continuously
tou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현
서정원
Original Assignee
서정현
서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현, 서정원 filed Critical 서정현
Priority to KR102010003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4772A/ko
Publication of KR2010004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식에 관한 것으로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서 연속해서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버튼영역에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이 첫 번째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이 소정의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된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와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에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영역에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영역으로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연속해서 입력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종래 터치스크린의 문자입력 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최소의 버튼 터치회수와 최소의 버튼 간 이동거리를 갖는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On the Touch-screen,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multi-touch and drag}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서 연속해서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12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 클릭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했으나 이것은 적은 공간에서 제한된 개수의 버튼으로 문자를 입력해야 했기 때문에 같은 버튼을 연속 눌러서 문자를 찾아 입력하거나, 버튼의 조합으로 문자를 만들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방향버튼이나, 조이스틱을 이용한 문자입력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나, 입력버튼의 방향에 따라 문자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문자입력의 불편함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등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의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서 터치스크린에서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멀티 터치와 드래그에 대한 개념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문자입력장치와 방법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버튼영역에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영역으로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이 첫 번째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이 소정의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된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와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에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서 연속해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한글의 자음배치로서 ㄱ, ㅋ, ㄲ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며; ㄹ, ㄴ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ㄷ, ㅌ, ㄸ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ㅂ, ㅍ, ㅃ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ㅇ, ㅁ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ㅅ, ㅎ, ㅆ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ㅈ, ㅊ, ㅉ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여; 한글의 자음입력에 있어서 7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것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자음배치로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한글의 모음배치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이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처음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ㅏ, ㅑ를 배치하고; (본 발명에서는 시계의 3시 방향이 되는 곳을 0도로 하여 왼쪽으로 45도씩 회전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표시한다.) 180도가 되는 곳에 ㅓ, ㅕ를 배치하고; 90도가 되는 곳에 ㅗ, ㅛ를 배치하며; 270도가 되는 곳에 ㅜ, ㅠ를 배치하고; 135도가 되는 곳에 ㅡ를 배치하고; 315도가 되는 곳에 l를 배치하고; 45도가 되는 곳에 ㅘ를 배치하고; 225도가 되는 곳에 ㅝ를 배치한다.
그리고 ㅏ, ㅑ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ㅐ, ㅒ를 배치하며; ㅓ, ㅕ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ㅔ, ㅖ를 배치하며; ㅗ, ㅛ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는 곳에 ㅚ를 배치하며; ㅜ, ㅠ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는 곳에 ㅟ를 배치하며; ㅡ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ㅢ를 배치하며; ㅘ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ㅙ를 배치하며; ㅝ가 배치된 22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ㅞ를 배치하여; 한글의 모음입력에 있어서 자음이 배치된 7개 각각의 버튼영역 모두에 상기한 바와 같이 모음이 배치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한 모음배치로 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영어의 자음배치로서 g, q, k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며; r, l, n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d, t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b, p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v, f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s, h, c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y, w, m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j, z, x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여; 영어의 자음입력에 있어서 8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것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자음배치로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영어의 모음배치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이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드래그된 방향이 0도 가 되는 곳에 a, aa를 배치하고; (본 발명에서는 시계의 3시 방향이 되는 곳을 0도로 하여 왼쪽으로 45도씩 회전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표시한다.) 180도가 되는 곳에 e, ee를 배치하고; 315도가 되는 곳에 i, ii를 배치하고; 90도가 되는 곳에 o, oo를 배치하며; 270도가 되는 곳에 u, uu를 배치하고; 135도가 되는 곳에 y, yy를 배치하고; 45도가 되는 곳에 w, ww를 배치한다.
그리고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aw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ao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ay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ae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au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ai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ea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ew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eo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ey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eu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ei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ia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iw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io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iy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ie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iu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oa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ow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oy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oe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ou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oi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ua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uw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uo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uy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ue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ui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ya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yw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yo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ye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yu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yi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wa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wo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wy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we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wu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wi를 배치하여; 영어의 모음입력에 있어서 자음이 배치된 8개 각각의 버튼영역 모두에 상기한 바와 같이 모음이 배치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한 모음배치로 제시하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문자의 자음배치와 모음배치를 갖는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한글의 자음배치에 따른 자음입력 방법으로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자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ㄱ, 두 개이면 ㅋ, 세 개이면 ㄲ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ㄹ, 두 개이면 ㄴ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ㄷ, 두 개이면 ㅌ, 세 개이면 ㄸ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ㅂ, 두 개이면 ㅍ, 세 개이면 ㅃ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ㅇ, 두 개이면 ㅁ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ㅅ, 두 개이면 ㅎ, 세 개이면 ㅆ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ㅈ, 두 개이면 ㅊ, 세 개이면 ㅉ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자의 자음배치와 모음배치를 갖는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한글의 모음배치에 따른 모음입력 방법으로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자음이 입력되면서 계속 이어서,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서 드래그된 처음 방향과 길이 그리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에 의해서 모음입력이 자음입력과 연속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ㅏ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ㅏ에 ㅣ가 추가되어 ㅐ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ㅑ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ㅑ에 ㅣ가 추가되어 ㅒ로 바뀌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ㅓ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ㅓ에 ㅣ가 추가되어 ㅔ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ㅕ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ㅕ에 ㅣ가 추가되어 ㅖ로 바뀌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ㅗ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ㅗ에 ㅣ가 추가되어 ㅚ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ㅛ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ㅜ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ㅜ에 ㅣ가 추가되어 ㅟ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ㅠ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짧은 또는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ㅡ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ㅡ에 ㅣ가 추가되어 ㅢ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짧은 또는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ㅣ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짧은 또는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ㅘ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ㅘ에 ㅣ가 추가되어 ㅙ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25도 방향으로 짧은 또는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ㅝ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ㅝ에 ㅣ가 추가되어 ㅞ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글의 모음이 ㅏ, ㅑ, ㅓ, ㅕ, ㅗ, ㅜ, ㅡ, ㅘ, ㅝ에 ‘ㅣ’가 결합되어 이중모음 이상이 만들어진다는 규칙을 이용한 것으로써,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개수를 인식해서 단어의 초성인 자음을 입력하는 단계에 연속하여 모음이 입력되는 본 발명에 있어, 첫 번째 드래그의 방향과 길이로 단모음을 입력하면서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의 방향으로 ‘ㅣ’를 추가하여 이중모음 이상의 입력까지도 연속해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의 입력이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것은 예를 들어 버튼영역1(1)에 배치된 ㄱ, ㅋ, ㄲ이 입력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ㄱ, 두 개이면 ㅋ, 세 개이면 ㄲ이 입력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갖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영어의 자음배치에 따른 자음입력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자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래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g, 두 개이면 q, 세 개이면 k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r, 두 개이면 l, 세 개이면 n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d, 두 개이면 t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b, 두 개이면 p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v, 두 개이면 f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s, 두 개이면 h, 세 개이면 c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y, 두 개이면 w, 이 세 개이면 m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j, 두 개이면 z, 세 개이면 x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자의 자음배치와 모음배치를 갖는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영어의 모음배치에 따른 모음입력 방법으로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자음이 입력되면서 계속 이어서,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서 드래그된 처음 방향과 길이 그리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에 의해서 모음입력이 자음입력과 연속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영어의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서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a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w가 추가되어 aw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o가 추가되어 ao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y가 추가되어 ay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180도 대체)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e가 추가되어 ae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u가 추가되어 au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i가 추가되어 ai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때, 이중모음 ae의 입력은(a를 입력하기 위한 처음 드래그가 0도 방향이며e를 입력하기 위해 연속되는 다음 드래그가 180도 방향이기 때문에)드래그 인식의 겹침으로 인한 입력오류를 예방하고자, 본 발명에서 180도 방향으로 드래그해서 모음 e를 입력하는 것을 바람직한 장치 및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모음 e가 모음 a에 이어지는 이중모음으로 사용될 때에는 180도가 아닌 225도 방향으로 두 번째 드래그를 하여 a에 e가 더해지는 이중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서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e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0도 대체)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a가 추가되어 ea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w가 추가되어 ew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o가 추가되어 eo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y가 추가되어 ey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u가 추가되어 eu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i가 추가되어 ei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때, 이중모음 ea의 입력은(e를 입력하기 위한 처음 드래그가 180도 방향이며 a를 입력하기 위해 연속되는 다음 드래그가 0도 방향이기 때문에)드래그 인식의 겹침으로 인한 입력오류를 예방하고자, 본 발명에서 0도 방향으로 드래그해서 모음 a를 입력하는 것을 바람직한 장치 및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모음 a가 모음 e에 이어지는 이중모음으로 사용될 때에는 0도가 아닌 225도 방향으로 두 번째 드래그를 하여 e에 a가 더해지는 이중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서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i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a가 추가되어 ia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w가 추가되어 iw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o가 추가되어 io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135도 대체)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y가 추가되어 iy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e가 추가되어 ie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u가 추가되어 iu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때, 이중모음 iy의 입력은(i를 입력하기 위한 처음 드래그가 315도 방향이며 y를 입력하기 위해 연속되는 다음 드래그가 135도 방향이기 때문에)드래그 인식의 겹침으로 인한 입력오류를 예방하고자, 본 발명에서 135도 방향으로 드래그해서 모음 y를 입력하는 것을 바람직한 장치 및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모음 y가 모음 i에 이어지는 이중모음으로 사용될 때에는 135도가 아닌 225도 방향으로 두 번째 드래그를 하여 i에 y가 더해지는 이중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o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a가 추가되어 oa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w가 추가되어 ow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y가 추가되어 oy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e가 추가되어 oe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270도 대체)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u가 추가되어 ou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i가 추가되어 oi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때, 이중모음 ou의 입력은(o를 입력하기 위한 처음 드래그가 90도 방향이며 u를 입력하기 위해 연속되는 다음 드래그가 270도 방향이기 때문에)드래그 인식의 겹침으로 인한 입력오류를 예방하고자, 본 발명에서 270도 방향으로 드래그해서 모음 u를 입력하는 것을 바람직한 장치 및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모음 u가 모음 o에 이어지는 이중모음으로 사용될 때에는 270도가 아닌 225도 방향으로 두 번째 드래그를 하여 o에 u가 더해지는 이중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u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a가 추가되어 ua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w가 추가되어 uw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90도 대체)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o가 추가되어 uo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e가 추가되어 ue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e가 추가되어 ue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i가 추가되어 ui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때, 이중모음 uo의 입력은(u를 입력하기 위한 처음 드래그가 270도 방향이며 o를 입력하기 위해 연속되는 다음 드래그가 90도 방향이기 때문에)드래그 인식의 겹침으로 인한 입력오류를 예방하고자, 본 발명에서 90도 방향으로 드래그해서 모음 o를 입력하는 것을 바람직한 장치 및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모음 o가 모음 u에 이어지는 이중모음으로 사용될 때에는 90도가 아닌 225도 방향으로 두 번째 드래그를 하여 u에 o가 더해지는 이중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y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a가 추가되어 ya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w가 추가되어 yw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o가 추가되어 yo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e가 추가되어 ye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u가 추가되어 yu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315도 대체)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i가 추가되어 yi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때, 이중모음 yi의 입력은(y를 입력하기 위한 처음 드래그가 135도 방향이며 i를 입력하기 위해 연속되는 다음 드래그가 315도 방향이기 때문에)드래그 인식의 겹침으로 인한 입력오류를 예방하고자, 본 발명에서 315도 방향으로 드래그해서 모음 i를 입력하는 것을 바람직한 장치 및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모음 i가 모음 y에 이어지는 이중모음으로 사용될 때에는 315도가 아닌 225도 방향으로 두 번째 드래그를 하여 y에 i가 더해지는 이중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w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a가 추가되어 ya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o가 추가되어 wo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y가 추가되어 wy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e가 추가되어 we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u가 추가되어 wu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i가 추가되어 wi가 입력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영어의 모음배치에 따른 모음입력 방법으로서 제시하는 바이다.
단, 영어는 단어의 초성이 자음으로 시작한다는 한글과 같은 규칙이 없음으로 단어의 초성이 모음으로 시작되기도 하는 영어 문자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을 할당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각도에 영어의 모음을 배치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모음배치로 제시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영역5(35)에 별도로 하나의 버튼영역을 할당하여 영어의 모음을 배치함으로써, 영어 단어의 초성을 모음으로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자음과 모음이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 배치된 곳에서 먼저 자음을 입력하고 이어서, 자음의 입력과 연결해서 첫 번째 모음을 연속하여 입력하며 다음에, 별도로 하나의 버튼영역을 할당하여 영어의 모음을 배치한 버튼영역5(35)를 이용하여 두 번째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중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도 갖는 것이다.
예로서, 이중모음 ou의 입력의 경우에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서 연속해서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라,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270도 대체)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모음 o에 모음 u가 추가되어 이중모음 ou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영어의 경우에 이중모음을 더욱 간결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면 다음에, 별도로 하나의 버튼영역을 할당하여 영어의 모음을 배치한 버튼영역5(35)에서 27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어 모음 o에 조합되어 모음 u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여 이중모음 ou가 입력이 되게 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영역에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영역으로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연속해서 입력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종래 터치스크린의 문자입력 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최소의 버튼 터치회수와 최소의 버튼 간 이동거리를 갖는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영역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배치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영역에 영어의 자음과 모음을 배치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인 스타일러스 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인 스타일러스 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영역에 팝업자판이 실시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의 다른 실시예인 터치스크린을 갖는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서 제시 한 바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영역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배치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영역에 영어의 자음과 모음을 배치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인 스타일러스 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인 스타일러스 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영역에 팝업자판이 실시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의 다른 실시예인 터치스크린을 갖는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5)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100);과
사용자에 의해서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으로부터 터치패널부(110)에 터치된 개수와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입력받아 정보를 처리하는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과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분석하여 문자코드를 생성하는 문자코드 생성모듈(220); 그리고 메인자판(231)과 팝업자판(232) 또는 서브자판(233)의 정보를 표시하는 자판 표시모듈(230);로 이루어진 문자입력컨트롤러(20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3개와 세로 4개로 구성되어 자판이 표시되는 일반적인 터치패널부(110)를 갖는 것을 실시예로 나타낸 것으로서, 숫자 1, 2, 3, 4, 5, 6, 7, 8, 9, 0과 *, #을 기본으로 표시하는 12의 버튼영역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이 과제의 해결 수단에서 한글 입력을 위한 문자배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한 바를 도시한 것으로서, 터치패널부(110)에는 숫자 1이 할당된 버튼영역1(21)에 ㄱ, ㅋ, ㄲ을 배치하고; 숫자 2가 할당된 버튼영역2(22)에 ㄹ, ㄴ을 배치하고; 숫자 3이 할당된 버튼영역3(23)에 ㄷ, ㅌ, ㄸ을 배치하고; 숫자 4가 할당된 버튼영역4(24)에 ㅂ, ㅍ, ㅃ을 배치하고; 숫자 5가 할당된 버튼영역5(25)에 ㅇ, ㅁ을 배치하고; 숫자 6이 할당된 버튼영역6(26)에 ㅈ, ㅊ, ㅉ을 배치하고; 숫자 7이 할당된 버튼영역7(27)에 ㅅ, ㅎ, ㅆ을 배치하여 한글의 자음을 7개의 버튼영역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한글의 자음이 배치된 각각의 7개 버튼영역 모두에 모음을 각도에 따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버튼영역1(21), 버튼영역2(22), 버튼영역3(23), 버튼영역4(24), 버튼영역5(25), 버튼영역6(26), 버튼영역7(27) 즉, 각각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처음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ㅏ, ㅑ를 배치하고; (본 발명에서는 시계의 3시 방향이 되는 곳을 0도로 하여 왼쪽으로 45도씩 회전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표시한다.) 180도가 되는 곳에 ㅓ, ㅕ를 배치하고; 90도가 되는 곳에 ㅗ, ㅛ를 배치하며; 270도가 되는 곳에 ㅜ, ㅠ를 배치하고; 135도가 되는 곳에 ㅡ를 배치하고; 315도가 되는 곳에 l를 배치하고; 45도가 되는 곳에 ㅘ를 배치하고; 225도가 되는 곳에 ㅝ를 배치하고;
ㅏ, ㅑ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ㅐ, ㅒ를 배치하며; ㅓ, ㅕ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ㅔ, ㅖ를 배치하며; ㅗ, ㅛ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는 곳에 ㅚ를 배치하며; ㅜ, ㅠ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는 곳에 ㅟ를 배치하며; ㅡ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ㅢ를 배치하며; ㅘ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ㅙ를 배치하며; ㅝ가 배치된 22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ㅞ를 배치하여; 한글의 모음입력에 있어서 자음이 배치된 7개 각각의 버튼영역 모두에 상기한 바와 같이 모음을 배치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한 모음배치로 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과제의 해결 수단에서 영어 입력을 위한 문자배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한 바를 도시한 것으로서, 터치패널부(110)에는 숫자 1이 할당된 버튼영역1(31)에 g, q, k를 배치하고; 숫자 2가 할당된 버튼영역2(32)에 r, l, n을 배치하고; 숫자 3이 할당된 버튼영역3(33)에 d,t를 배치하고; 숫자 4가 할당된 버튼영역4(34)에 b, p를 배치하고; 숫자 6이 할당된 버튼영역6(36)에 v, f를 배치하고; 숫자 7이 할당된 버튼영역7(37)에 s, h, c를 배치하고; 숫자 8가 할당된 버튼영역8(38)에 y, w, m을 배치하고; 숫자 9가 할당된 버튼영역9(39)에 j, z, x를 배치하여 영어의 자음을 8개의 버튼영역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영어의 자음이 배치된 각각의 8개 버튼영역 모두에 모음을 각도에 따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버튼영역1(31), 버튼영역2(32), 버튼영역3(33), 버튼영역4(34), 버튼영역6(36), 버튼영역7(37), 버튼영역8(38), 버튼영역9(39) 즉, 각각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처음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a, aa를 배치하고; (본 발명에서는 시계의 3시 방향이 되는 곳을 0도로 하여 왼쪽으로 45도씩 회전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표시한다.) 180도가 되는 곳에 e, ee를 배치하고; 315도가 되는 곳에 i, ii를 배치하고; 90도가 되는 곳에 o, oo를 배치하며; 270도가 되는 곳에 u, uu를 배치하고; 135도가 되는 곳에 y, yy를 배치하고; 45도가 되는 곳에 w, ww를 배치하고;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aw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ao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ay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ae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au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ai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ea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ew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eo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ey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eu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ei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ia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iw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io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iy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ie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iu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oa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ow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oy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oe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ou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oi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ua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uw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uo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uy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ue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ui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ya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yw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yo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ye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yu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yi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wa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wo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wy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we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wu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처음 드래그하고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wi를 배치하여; 영어의 모음입력에 있어서 자음이 배치된 8개 각각의 버튼영역 모두에 상기한 바와 같이 모음을 배치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한 모음배치로 제시한다.
단, 영어는 단어의 초성이 자음으로 시작한다는 한글과 같은 규칙이 없음으로 단어의 초성이 모음으로 시작되기도 하는 영어 문자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5가 할당된 버튼영역5(35)에 별도로 하나의 버튼영역을 할당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각도에 영어의 모음을 배치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모음배치로 제시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터치패널부(110)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을 예시 단어 ‘한글예찬’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한’입력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할당한 다수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단말기의 터치패널부(110);에 있어서 버튼영역4(24)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2개의 터치가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2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초성인 자음 ‘ㅎ’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하며, 이어서 2개의 터치가 인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를 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4(24)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이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와 터치된 접점이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된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0도 방향으로의 짧은 드래그를 인식하여 단어의 중성인 모음 ‘ㅏ’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ㅎ’과 조합하여‘하’라는 첫 번째 음절의 중성까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버튼영역2(22)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2개의 터치가 되고 터치패널(110)의 버튼영역2(22)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2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종성인 자음 ‘ㄴ’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하’와 조합하여‘한’이라는 첫 번째 음절을 완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2.‘글’입력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할당한 다수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단말기의 터치패널부(110);에 있어서 버튼영역1(21)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1개의 터치가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1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초성인 자음 ‘ㄱ’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하며, 이어서 1개의 터치가 인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1(21)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이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0도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인식하여 단어의 중성인 모음 ‘ㅡ’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ㄱ’과 조합하여 ‘그’라는 첫 번째 음절의 중성까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버튼영역2(2)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1개의 터치가 되고 터치패널부(115)의 버튼영역2(22)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1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종성인 자음 ‘ㄹ’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115)에 ‘그’와 조합하여‘글’이라는 두 번째 음절을 완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3. ‘예’ 입력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할당한 다수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단말기의 터치패널부(110);에 있어서 버튼영역5(25)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1개의 터치가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1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초성인 자음 ‘ㅇ’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하며, 이어서 1개의 터치가 인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를 하고 이어서, 다시 두 번째 드래그를 270도 또는 90도 방향으로 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5(25)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이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와 터치된 접점이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된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와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 에 의해서 180도 방향으로의 첫 번째 긴 드래그를 인식하고 이어서, 270도 또는 90도 방향으로 다시 두 번째 드래그를 인식하여 모음 ‘ㅑ’에 모음 ‘ㅣ’를 추가하여 단어의 중성인 이중모음 ‘ㅒ’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ㅇ’과 조합하여 ‘예’라는 세 번째 음절을 완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4. ‘찬’ 입력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할당한 다수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단말기의 터치패널부(110);에 있어서 버튼영역6(26)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2개의 터치가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2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초성인 자음‘ㅊ’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하며, 이어서 2개의 터치가 인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를 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6(26)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이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와 터치된 접점이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된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0도 방향으로의 짧은 드래그를 인식하여 단어의 중성인 모음 ‘ㅏ’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ㅊ’과 조합하여‘차’라는 첫 번째 음절의 중성까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버튼영역2(22)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2개의 터치가 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2(2)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2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종성인 자음 ‘ㄴ’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차’와 조합하여‘찬’이라는 네 번째 음절을 완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터치패널부(110)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을 예시 단어 ‘touch and drag’를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touch’입력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의 자음과 모음을 할당한 다수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단말기의 터치패널부(110);에 있어서 버튼영역3(33)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2개의 터치가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2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자음 ‘t’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하며, 이어서 2개의 터치가 인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를 하고 이어서, 다시 두 번째 드래그를 225도 방향으로 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3(33)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이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와 터치된 접점이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된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와 이어서, 다시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 에 의해서 90도 방향으로의 첫 번째 짧은 드래그를 인식하고, 이어서 225도 방향으로 다시 두 번째 드래그를 인식하여 모음 ‘o’에 모음 ‘u’를 추가하여 단어의 이중모음 ‘ou’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t’과 조합하여 'tou’라는 자음과 이중모음을 하나의 버튼영역에서 연속해서 입력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버튼영역4(34)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3개의 터치가 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4(34)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3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자음 ‘c’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tou’와 조합하여‘touc’라고 입력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버튼영역4(34)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2개의 터치가 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4(34)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2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자음 ‘h’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touc’와 조합하여‘touch’라고 입력하여 첫 번째 단어를 완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2.‘and’입력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하나의 버튼영역을 할당하여 영어의 모음을 배치한 버튼영역5(35)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를 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5(35)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이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와 터치된 접점이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된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0도 방향으로의 첫 번째 짧은 드래그를 인식하여 모음 ‘a’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a'라고 입력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버튼영역2(32)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3개의 터치가 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2(32)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3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자음 ‘n’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a’와 조합하여‘an’이라고 입력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버튼영역3(33)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1개의 터치가 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3(33)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1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자음 ‘d’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an’과 조합하여‘and’라고 입력하여 두 번째 단어를 완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3. ‘drag’ 입력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의 자음과 모음을 할당한 다수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단말기의 터치패널부(110);에 있어서 버튼영역3(33)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1개의 터치가 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3(33)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1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자음 ‘d’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d’라고 입력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버튼영역2(32)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1개의 터치가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1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자음 ‘r’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하며, 이어서 1개의 터치가 인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를 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2(32)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이 드래그된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와 터치된 접점이 소정의 방향으로 드래그된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0도 방향으로의 짧은 드래그를 인식하여 단어의 모음 ‘a’를 자음 ‘r’과 조합하여 ‘ra’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d’와 조합하여 ‘dra’라고 입력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버튼영역1(31)에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에 의해서 1개의 터치가 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1(31)에서 터치를 떼게 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1개의 터치를 인식하여 단어의 자음 ‘g’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dra’와 조합하여‘drag’라고 입력하여 세 번째 단어를 완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식에 관한 것으로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서 연속해서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예시하지 않았으나 한글, 영어 이외의 언어의 경우에도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서 처음 터치된 개수로 자음을 표시하고 이어서 첫 번째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 또는, 다시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로 모음 또는, 이중모음 이상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하겠다.
물론 이때에 본 발명에서 예시한 영어 문자의 입력에서 설명한 것처럼, 모음이 단어의 초성이 되기도 하는 특징을 갖는 언어인 경우에는 별도로 하나의 버튼영역을 할당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한 각도에, 해당하는 언어의 모음을 알맞게 배치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이 단말기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에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이 자판 표시모듈(230)에 정보를 전달하여 터치된 특정 버튼영역을 크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될 수 있는 영역범위와 드래그될 수 있는 영역범위를 확장하는 팝업자판(232)으로 표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라고 하겠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에 문자의 자음이나 모음이 출력될 때에 있어서, 터치패널부(110)에서 사용자가 터치를 떼기 전에는,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은 사용자에 의해 전달된 드래그 정보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님으로, 사용자는 터치의 개수로 자음을 입력한 상태에서 계속 모음을 입력할 때에, 드래그를 짧거나 길게 수정하거나, 각도를 수정함으로써, 문자의 모음을 상호 전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한 문자입력 뿐만 아니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00)을 갖는 키보드(700)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도 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는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처럼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에 USB 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7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키보드에 들어가는 엔터키나 Esc키와 같은 기타 기능키들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과 방식을 통해서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같은 버튼영역에서 연속해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터치의 개수를 통해 자음을 입력하며 이어서 첫 번째 드래그되는 방향과 길이 그리고 두 번째 드래그되는 방향과 길이에 의해서 모음과 이중모음 이상 까지도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터치의 개수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도구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팬촉이 4개인 스타일러스 팬(400)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제시한다.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팬(400)은 길이가 좀 더 긴 스타일러스 팬촉 A1(401)과 스타일러스 팬촉 A2(402)가 한 쌍을 이루며; 길이가 좀 더 짧은 스타일러스 팬촉 A3(403)과 스타일러스 팬촉 A4(404)는 다른 한 쌍을 이룸으로써 구성되어 2쌍의 팬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한 개의 터치와 두 개의 터치를 입력할 때에 길이가 좀 더 긴 스타일러스 팬촉 A1(401)과 A2(402)를 이용하여 쉽게 입력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며, 세 개의 터치를 입력할 때에는 길이가 좀 더 짧은 스타일러스 팬촉 A3(403)과 A4(404)를 함께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터치의 개수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도구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팬촉이 3개인 스타일러스 팬(500)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제시한다.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팬(500)은 길이가 짧은 스타일러스 팬촉 B1(501)과 길이가 중간인 스타일러스 팬촉 B2(502)와 길이가 긴 스타일러스 팬촉 B3(50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스타일러스 팬촉 B1(501), B2(502), B3(503)은 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드래그의 겹칩을 피하기 위하여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사선이나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한 개의 터치와 두 개의 터치와 세 개의 터치를 입력할 때에 길이가 짧은 스타일러스 팬촉 B1(501)과 길이가 중간인 스타일러스 팬촉 B2(502)와 길이가 긴 스타일러스 팬촉 B3(503)을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입력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터치스크린이 큰 단말기의 경우에는 손가락 3개를 이용하여 한 개 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터치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그러나 멀티 터치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문자입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 개의 터치는 한 번의 터치로 대신할 수 있으며, 두 개의 터치는 두 번의 연속 터치로 대신할 수 있고, 세 개의 터치는 세 번의 연속 터치로 대신할 수 있는 것 또한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어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할 때에 하나의 버튼영역에서 터치의 개수를 통해 자음을 입력하며 이어서 첫 번째 드래그되는 방향과 길이 그리고 두 번째 드래그되는 방향과 길이에 의해서 모음과 이중모음 이상 까지도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은 드래그되는 방향이 시계의 3시 방향을 0도로 하여 왼쪽으로 45도 간격으로 0도, 45도, 90도, 135도, 180도, 225도, 270도, 315도와 같이 8개 각도를 갖도록 하여 모음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드래그 되는 방향을 정확하게 상기한 각도와 일치하게 입력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입력의 편리함을 위하여 예를 들어, 90도에 있는 한글의 모음‘ㅗ’를 입력할 때에 드래그의 방향이 80도에서 100도 사이로 되어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의 모음 ‘ㅗ’가 입력될 수 있도록 입력각도영역을 확대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입력각도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상기한 각도와 같이 전후 10도로 해야 한다고 본 발명에서는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이상으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과 방식에 대한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이 갖는 특징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키보드, 마우스, 리모콘, 모니터, 컴퓨터, 노트북, 전자북, 동영상재생장치, 음악재생장치 등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하겠다.
21, 31 : 버튼영역1
22, 32 : 버튼영역2
23, 33 : 버튼영역3
24, 34 : 버튼영역4
25, 35 : 버튼영역5
26, 36 : 버튼영역6
27, 37 : 버튼영역7
28, 38 : 버튼영역8
29, 39 : 버튼영역9
100 : 터치스크린
110 : 터치패널부
115 : 디스플레이부
200 : 문자입력컨트롤러
210 :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
220 : 문자코드 생성모듈
230 : 자판 표시모듈
231 : 메인자판
232, 600 : 팝업자판
233 : 서브자판
400, 500 : 스타일러스 팬
401 : 스타일러스 팬촉 A1
402 : 스타일러스 팬촉 A2
403 : 스타일러스 팬촉 A3
404 : 스타일러스 팬촉 A4
501 : 스타일러스 팬촉 B1
502 : 스타일러스 팬촉 B2
503 : 스타일러스 팬촉 B3
700 : 키보드

Claims (10)

  1. 하나의 버튼영역에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입력받는 자판영역을 표시하는 터치패널부(110)와;
    상기 터치패널부(100)에 입력된 멀티 터치와 드래그가 문자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15)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100)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으로부터 상기 터치패널부(110)에 한 개 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멀티 터치를 입력받아 정보를 처리하거나, 상기 터치에 연속되는 첫 번째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입력받아 정보를 처리하거나, 상기 터치와 첫 번째 드래그에 연속되는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입력받아 정보를 처리하는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과;
    상기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문자코드로 생성하는 문자코드 생성모듈(220)과;
    상기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상기 터치패널부(110)에 메인자판(231) 또는 팝업자판(232) 또는 서브자판(233)으로 표시하는 자판 표시모듈(230)로; 이루어진 문자입력컨트롤러(2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 하나의 버튼영역에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영역을 갖는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입력받는 자판영역을 표시하는 터치패널부(110)에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팬(400, 500)이나 손가락으로 한 개 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멀티 터치를 하면,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이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터치된 개수를 인식하여 문자코드 생성모듈(220)에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거처, 단어의 자음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를 터치패널부(110)에서 떼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첫 번째 드래그를 소정의 각도로 짧거나 길게 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에서 떼거나,
    상기 터치와 첫 번째 드래그를 터치패널부(110)에서 떼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두 번째 드래그를 소정의 각도로 짧거나 길게 하고 터치패널부(110)의 버튼영역에서 떼게 되면,
    상기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이 상기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에 이어지는 상기 첫 번째 드래그의 방향과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터치된 개수를 인식하고 이어서 첫 번째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인식하여 문자코드 생성모듈(220)에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거처, 단어의 모음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자음과 조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갖거나,
    상기 터치 드래그 분석모듈(210)이 상기 터치된 접점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첫 번째 드래그의 방향과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에 이어지는 상기 두 번째 드래그의 방향과 길이를 파악하는 단계;에 의해서 터치된 개수와 첫 번째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인식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과 길이를 인식하여 문자코드 생성모듈(220)에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거처, 단어의 두 번째 모음을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 자음과 첫 번째 모음과 조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3.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부(1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한글의 자음배치로서 ㄱ, ㅋ, ㄲ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며; ㄹ, ㄴ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ㄷ, ㅌ, ㄸ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ㅂ, ㅍ, ㅃ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ㅇ, ㅁ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ㅅ, ㅎ, ㅆ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ㅈ, ㅊ, ㅉ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여; 한글의 자음입력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입력받는 자판영역을 표시하는 터치패널부(11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이 7개의 버튼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터치패널부(110)에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한글의 모음배치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이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처음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ㅏ, ㅑ를 배치하고; (본 발명에서는 시계의 3시 방향이 되는 곳을 0도로 하여 왼쪽으로 45도씩 회전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표시한다.) 180도가 되는 곳에 ㅓ, ㅕ를 배치하고; 90도가 되는 곳에 ㅗ, ㅛ를 배치하며; 270도가 되는 곳에 ㅜ, ㅠ를 배치하고; 135도가 되는 곳에 ㅡ를 배치하고; 315도가 되는 곳에 l를 배치하고; 45도가 되는 곳에 ㅘ를 배치하고; 225도가 되는 곳에 ㅝ를 배치하고;
    ㅏ, ㅑ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ㅐ, ㅒ를 배치하며; ㅓ, ㅕ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ㅔ, ㅖ를 배치하며; ㅗ, ㅛ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는 곳에 ㅚ를 배치하며; ㅜ, ㅠ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는 곳에 ㅟ를 배치하며; ㅡ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ㅢ를 배치하며; ㅘ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ㅙ를 배치하며; ㅝ가 배치된 22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는 곳에 ㅞ를 배치하여; 한글의 모음입력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입력받는 자판영역을 표시하는 터치패널부(11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이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 모두에 모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4.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부(1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영어의 자음배치로서 g, q, k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며; r, l, n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d, t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b, p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v, f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s, h, c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y, w, m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고; j, z, x을 하나의 버튼영역에 배치하여; 영어의 자음입력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입력받는 자판영역을 표시하는 터치패널부(11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이 8개의 버튼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터치패널부(110)에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영어의 모음배치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이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드래그된 방향이 0도 가 되는 곳에 a, aa를 배치하고; (본 발명에서는 시계의 3시 방향이 되는 곳을 0도로 하여 왼쪽으로 45도씩 회전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표시한다.) 180도가 되는 곳에 e, ee를 배치하고; 315도가 되는 곳에 i, ii를 배치하고; 90도가 되는 곳에 o, oo를 배치하며; 270도가 되는 곳에 u, uu를 배치하고; 135도가 되는 곳에 y, yy를 배치하고; 45도가 되는 곳에 w, ww를 배치하고;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aw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ao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ay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ae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au를 배치하며; a가 배치된 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ai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ea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ew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eo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ey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eu를 배치하며; e가 배치된 18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ei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ia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iw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io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iy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ie를 배치하며; i가 배치된 31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iu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oa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ow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oy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oe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ou를 배치하며; o가 배치된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oi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ua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uw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uo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uy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ue를 배치하며; u가 배치된 270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ui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ya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는 곳에 yw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yo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ye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yu를 배치하며; y가 배치된 13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는 곳에 yi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는 곳에 wa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는 곳에 wo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는 곳에 wy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는 곳에 we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는 곳에 wu를 배치하며; w가 배치된 45도가 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드래그하고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는 곳에 wi를 배치하여; 영어의 모음입력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입력받는 자판영역을 표시하는 터치패널부(11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자음이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 모두에 모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5. 4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는 터치패널부(110)에 자음이 배치된 버튼영역과 별도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을 할당하여 영어의 모음을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방향에 배치하여 초성이 모음으로 시작되기도 하는 영어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6. 2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한글의 자음입력 방법으로서 자음이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ㄱ, 두 개이면 ㅋ, 세 개이면 ㄲ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ㄹ, 두 개이면 ㄴ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ㄷ, 두 개이면 ㅌ, 세 개이면 ㄸ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ㅂ, 두 개이면 ㅍ, 세 개이면 ㅃ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ㅇ, 두 개이면 ㅁ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ㅅ, 두 개이면 ㅎ, 세 개이면 ㅆ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ㅈ, 두 개이면 ㅊ, 세 개이면 ㅉ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한글의 모음입력 방법으로서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7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ㅏ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ㅏ에 ㅣ가 추가되어 ㅐ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ㅑ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ㅑ에 ㅣ가 추가되어 ㅒ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ㅓ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ㅓ에 ㅣ가 추가되어 ㅔ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ㅕ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ㅕ에 ㅣ가 추가되어 ㅖ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ㅗ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ㅗ에 ㅣ가 추가되어 ㅚ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ㅛ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ㅜ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 또는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ㅜ에 ㅣ가 추가되어 ㅟ로 바뀌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ㅠ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또는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ㅡ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ㅡ에 ㅣ가 추가되어 ㅢ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또는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ㅣ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또는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ㅘ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ㅘ에 ㅣ가 추가되어 ㅙ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2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또는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ㅝ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 또는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ㅝ에 ㅣ가 추가되어 ㅞ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7. 2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영어의 자음입력 방법으로서 자음이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g, 두 개이면 q, 세 개이면 k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r, 두 개이면 l, 세 개이면 n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d, 두 개이면 t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b, 두 개이면 p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v, 두 개이면 f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s, 두 개이면 h, 세 개이면 c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y, 두 개이면 w, 이 세 개이면 m이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의 개수가 한 개이면 j, 두 개이면 z, 세 개이면 x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영어의 모음입력 방법으로서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치된 8개의 버튼영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서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a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w가 추가되어 aw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o가 추가되어 ao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y가 추가되어 ay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e가 추가되어 ae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u가 추가되어 au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a에 i가 추가되어 ai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서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e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a가 추가되어 ea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w가 추가되어 ew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o가 추가되어 eo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y가 추가되어 ey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u가 추가되어 eu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8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e에 i가 추가되어 ei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서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i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a가 추가되어 ia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w가 추가되어 iw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o가 추가되어 io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y가 추가되어 iy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e가 추가되어 ie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31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i에 u가 추가되어 iu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o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a가 추가되어 oa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w가 추가되어 ow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y가 추가되어 oy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e가 추가되어 oe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u가 추가되어 ou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9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o에 i가 추가되어 oi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u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a가 추가되어 ua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w가 추가되어 uw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o가 추가되어 uo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e가 추가되어 ue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e가 추가되어 ue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270도 방향으로 첫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u에 i가 추가되어 ui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y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a가 추가되어 ya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4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w가 추가되어 yw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o가 추가되어 yo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e가 추가되어 ye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u가 추가되어 yu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13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2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y에 i가 추가되어 yi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첫 번째 긴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w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a가 추가되어 ya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9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o가 추가되어 wo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3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y가 추가되어 wy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18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e가 추가되어 we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270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u가 추가되어 wu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버튼영역에 터치된 접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첫 번째 짧은 드래그가 인식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가 입력되며 이어서, 두 번째 드래그된 방향이 315도가 되면 자음입력에 연속해서 w에 i가 추가되어 wi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8. 1항에 있어서,
    터치의 개수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도구로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팬(400)은 길이가 좀 더 긴 스타일러스 팬촉 A1(401)과 스타일러스 팬촉 A2(402)가 한 쌍을 이루며; 길이가 좀 더 짧은 스타일러스 팬촉 A3(403)과 스타일러스 팬촉 A4(404)는 다른 한 쌍을 이룸으로써 구성되어 2쌍의 팬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촉이 4개인 스타일러스 팬(400).
  9. 1항에 있어서,
    터치의 개수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도구로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팬(500)은 길이가 짧은 스타일러스 팬촉 B1(501)과 길이가 중간인 스타일러스 팬촉 B2(502)와 길이가 긴 스타일러스 팬촉 B3(50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촉이 3개인 스타일러스 팬(500).
  10. 1항 내지 9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실현하는 터치스크린(100)을 갖는 키보드(600) 혹은 마우스 혹은 리모콘 혹은 모니터 혹은 컴퓨터 혹은 노트북 혹은 전자북 혹은 동영상재생장치 혹은 음악재생장치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
KR1020100033068A 2010-04-12 2010-04-12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KR20100044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68A KR20100044772A (ko) 2010-04-12 2010-04-12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68A KR20100044772A (ko) 2010-04-12 2010-04-12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772A true KR20100044772A (ko) 2010-04-30

Family

ID=4221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068A KR20100044772A (ko) 2010-04-12 2010-04-12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477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177B1 (ko)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데이터 입력장치 및 데이터 입력방법
WO2012026657A1 (ko) * 2010-08-25 2012-03-01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05386A (ko) * 2013-07-05 201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6060454A1 (ko) * 2014-10-14 2016-04-21 천태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US10725659B2 (en) 2014-10-14 2020-07-28 Tae Cheol CHEON Letter input method using touchscre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177B1 (ko)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데이터 입력장치 및 데이터 입력방법
WO2012026657A1 (ko) * 2010-08-25 2012-03-01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05386A (ko) * 2013-07-05 201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6060454A1 (ko) * 2014-10-14 2016-04-21 천태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US10416781B2 (en) 2014-10-14 2019-09-17 Tae Cheol CHEON Letter input method using touchscreen
US10725659B2 (en) 2014-10-14 2020-07-28 Tae Cheol CHEON Letter input method using touch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Fuccella et al. Gestures and widgets: performance in text editing on multi-touch capable mobile devices
JP4981701B2 (ja)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方法
KR101060222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EP2490107A1 (en) Multi-touch type input controlling system
WO2004010276A1 (ja)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CN101145090B (zh) 计算机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US20120162086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KR20100044772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Dearman et al. Multi-modal text entry and selection on a mobile device.
Shi et al. Gestakey: Touch interaction on individual keycaps
KR20100121218A (ko)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KR100647827B1 (ko) 터치식 문자입력장치
KR101568716B1 (ko)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KR20100069089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077890A (ko) 터치스크린의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2012000417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공방법
JP2005275635A (ja) 仮名文字入力方法および仮名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2012108810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装置の動作方法
KR101738298B1 (ko)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20190042263A (ko) 자모 변환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KR102260468B1 (ko)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1269633B1 (ko)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