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666A -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666A
KR20100044666A KR1020080103885A KR20080103885A KR20100044666A KR 20100044666 A KR20100044666 A KR 20100044666A KR 1020080103885 A KR1020080103885 A KR 1020080103885A KR 20080103885 A KR20080103885 A KR 20080103885A KR 20100044666 A KR20100044666 A KR 20100044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ation apparatus
control information
femtocell base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0500B1 (ko
Inventor
권태수
장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500B1/ko
Priority to US12/483,618 priority patent/US20100097965A1/en
Publication of KR2010004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펨토셀(femtocell) 기지국 장치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마스터(master)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고,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제어 정보에 따라서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펨토셀 기지국, 마스터 기지국, TDD, FDD, 인지 무선

Description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FEMTOCELL BASES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마스터 기지국과 교환할 수 있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펨토셀(femtocell) 기술이 이동 통신 시장에서의 주요 기술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펨토셀 기술은 본래 이동 전화의 실내 음영지역(shadow area)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지만, 인터넷과 이동 전화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무선 융합 서비스 제공도 가능하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서 사용되는 초소형 이동 통신용 기지국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무선 랜 중계기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인터넷 접속이 아닌 이동 전화 접속을 위한 중계기 역할을 하는 기지국 장치이다.
하나의 마스터(master) 기지국 장치의 최소 셀 영역 내에는 복수 개의 펨토 셀 기지국 장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기지국 장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유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마스터 기지국 장치의 일례로서, 매크로셀(macrocell) 기지국 장치, 마이크로(microcell) 기지국 장치, 피코셀(picocell) 기지국 장치 등이 있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의 제어 하에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온 디맨드(on-demand) 방식에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 관리된다. 그런데, 펨토셀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동작을 미리 계획(planning)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이 경우, 하나의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인접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 간,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 간의 스펙트럼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propagation environments)을 센싱하여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상기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수신부와 이동 단말간에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지국 장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을 센싱하여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간에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마스터 기지국 장치의 도움을 받아 다양한 무선 전파 환경에 적합하도록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별도의 RF 체인을 구비하지 않고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의 제어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펨토셀 기지국 장치간에 수행되는 제어 정보 송수신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개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에서는 무선 통신망(150)을 이용하여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와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 또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와 이동 단말(13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유선 네트워크 서버(140)을 통한 유선 통신망(일례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송수신되고,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와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간의 제어 정보는 무선 통신망(150)을 통해 송수신된다. 상기 제어 정보 에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로 송신하는 제1 제어 정보 및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가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로 송신하는 제2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정보의 송수신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의 초기화 단계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의 송수신은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는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인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는 무선 전파 환경 정보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130)과의 데이터 통신 수행 시 요구되는 여러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요구되는 정보는 데이터 통신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폭,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의 최소 셀 영역 범위, 오픈/클로즈드 엑세스(open/closed access)에 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에 앞서서,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와 업 링크 동기화 및 다운 링크 동기화를 할 수 있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가 동기화 된 경우,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가 제어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와 인접한 다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미도시)와도 동기화된 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는 제1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와 이동 단말(130)과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데이터 통신시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관리하는 셀 영역 범위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전체에 대한 최대 허용 송신 전력 일 수 있고,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내의 부 대역(sub-band) 별 최대 허용 송신 전력 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정보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펨토셀 기지국 장치(미도시)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 및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은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130)과 데이터 통신(펨토셀 서비스)을 수행한다.
도 1의 (b)에서는 유선 네트워크 서버(140)를 이용하여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와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경우 도시하고 있다.
즉,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와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는 유선 네트워크 서버(140)을 통한 유선 통신망(일례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는, 일부 제어 정보는 유선 네트워크 서버(140)를 통한 유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일부의 제어 정보는 무선 통신망(150)을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가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복수 개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도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 및 마스터 기지국 장치(110)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변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 주변의 무선 전파 통신 환경에 적합하도록 펨토셀 기지국 장치(120)와 이동 단말(130)간의 데이터 통신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및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인접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 간,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 간의 스펙트럼 간섭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마스터 기지국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는 센싱부(211), 송수신부(212), 및 제어부(213)을 포함하고,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는 수신부(221), 제어 정보 생성부(222), 및 전송부(223)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는 데이터베이스(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 및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센싱부(211)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을 센싱하여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즉, 센싱부(211)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가 관할하는 셀 영역 내의 이동 단말(미도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주변 무선 전파 환경을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파 환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 수 대역의 채널 이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잡음 대 신호비(SN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이득 및 잡음 대 신호비를 이용하여 인접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가 있는지 여부 및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채널 상태 등을 유추할 수 있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송수신부(212)는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master)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즉,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과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212)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 정보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와 이동 단말(미도시)간의 데이터 통신 시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폭,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최소 셀 영역 범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파 환경 정보는 주변 무선 전파 환경에서의 스펙트럼 간섭량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송수신부(212)는 이동 단말(미도시)과의 데이터 통신 수행시 요구되는 정보들을 더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으로 송신할 수 있 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제1 제어 정보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가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데 참고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의 수신부(221)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송수신부(212)에서 송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즉, 수신부(221)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일례로서, 수신부(2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로부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의 제어 정보 생성부(222)는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수신부(212)와 이동 단말(미도시)간에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즉,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는 하나의 송수신부(212)를 이용하여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 및 이동 단말(미도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제어부(213)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와 이동 단말(미도시) 간에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송수신부(212)에서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셀 영역 범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213)는 상기 정보들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미도시)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제2 제어 정보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펨토셀 기지국 장치(미도시)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정보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셀 영역 범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 정보 생성부(222)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및 셀 영역 범위 등의 셀 변수들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송수신부(212)는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에서 동일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제1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불필요한 과정의 반복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 정보 생성부(222)는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24)에 저장된 제1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한 제1 제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24)에서 검색되는 경우, 이와 관련된 제2 제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의 전송부(223)는 제2 제어 정보를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로 전송한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송수신부(212)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에서 송신된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제어부(213)는 수신된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송
이 경우, 제어부(213)는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셀 영역 범위 등 데이터 통신시 필요한 셀 변수들을 직접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펨토셀 기지국 장치(미도시)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 정보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의 데이터베이스(224)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와 인접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 간,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 간의 스펙트럼 간섭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간의 제어 정보의 송수신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와 이동 단말(미도시)간의 데이터 통신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TDD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송신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을 포함하는 TDD 프레임 신호가 사용된다.
즉,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의 송수신부(212)는 상기 송수신부는 송신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을 포함하는 TDD 프레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의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와 송수신부(212)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미도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부(213)는 TDD 프레임 신호내에서의 송신 프레임 및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상호 교환하여 송수신부(212)가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와 송수신부(212)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미도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부(213)는 TDD 프레임 신호 내에서의 송신 프레임 및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쉬프트(shift)하여 송수신부(212)가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TDD 방식을 이용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 및 이동 단말(미도시) 간에 수행되는 통신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펨토셀 기지국 장치, 마스터 기지국 장치, 및 이동 단말간의 통신시 사용되는 TDD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TDD 데이터 프레임 내의 서브 프레임의 위치를 상호 교환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마스터 기지국 장치(310)는 데이터 프레임(311) 및 데이터 프레임(312)을,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는 데이터 프레임(321) 및 데이터 프레임(322)을, 이동 단말(330)은 데이터 프레임(331) 및 데이터 프레임(332)를 각각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먼저, 데이터 프레임(311), 데이터 프레임(321), 및 데이터 프레임(331)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와 이동 단말(330)간에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의 데이터 프레임이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제1 시간(34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321)의 송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331)의 수신 프레임이 사용되고, 제2 시간(35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321)의 수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331)의 송신 프레임이 사용되어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와 이동 단말(330)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데이터 프레임(312), 데이터 프레임(322), 및 데이터 프레임(332)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330)간에 제어 정보가 송수신되는 경우의 데이터 프레임이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310)와의 제어 정보 송수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데이터 프레임(321)의 프레임 구조를 데이터 프레임(322)과 같이 변환한다. 즉,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는 데이터 프레임(321)내 의 송신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 간의 위치를 상호 교환(스위칭)한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가 데이터 프레임(321)의 프레임 구조를 데이터 프레임(322)와 같이 변환한 경우, 제 3시간(36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322)의 수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312)의 송신 프레임이 사용되고, 제4 시간(37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322)의 송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312)의 송신 프레임이 사용되어,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310) 간의 제어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데이터 프레임(332)는 NULL 값을 가지므로, 이동 단말(330)과 마스터 기지국 장치(310) 또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간에는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 정보의 송수신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의 초기화 단계에서 이루어 질 수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므로, TDD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변환 역시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의 초기화시에 이루어 질 수 있고,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DD 데이터 프레임의 길이가 짧고,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의 셀 영역 내의 이동 단말(330)의 수가 적음을 고려할 때, 일시적으로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와 이동 단말(330)간에 데이터 통신이 중단되더라도, 이동 단말의 QoS(Quality of Service)에는 큰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는 TDD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여 마스터 기지국 장치(310) 및 이동 단말(330) 모두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마스터 기지국 장치(310)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는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추 가적인 RF 체인(Radio Frequency Chain)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데이터 프레임(321)을 데이터 프레임(322)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는 이를 미리 이동 단말(330)로 보고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TDD 데이터 프레임 내의 서브 프레임의 위치를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쉬프트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마스터 기지국 장치(410)는 데이터 프레임(411) 및 데이터 프레임(412)을,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는 데이터 프레임(421) 및 데이터 프레임(422)을, 이동 단말(430)은 데이터 프레임(431) 및 데이터 프레임(432)를 각각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먼저, 데이터 프레임(411), 데이터 프레임(421), 및 데이터 프레임(431)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와 이동 단말(430)간에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의 데이터 프레임이다.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4에서도 제1 시간(44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421)의 송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431)의 수신 프레임이 사용되고, 제2 시간(45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421)의 수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431)의 송신 프레임이 사용되어,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와 이동 단말(430)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데이터 프레임(412), 데이터 프레임(422), 및 데이터 프레임(432)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430)간에 제어 정보가 송수신되는 경우의 데이터 프레임이다.
즉,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410)와의 제어 정보 송수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데이터 프레임(421)의 프레임 구조를 데이터 프레임(422)과 같이 변환하는데, 이 때 도 3과는 달리,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은 데이터 프레임(421)내의 송신 프레임 및 수신 프레임 간의 위치를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쉬프트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 3시간(46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422)의 수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412)의 송신 프레임이, 제 5시간(48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422)의 송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412)의 수신 프레임이 사용되어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410)간의 제어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고, 제 4시간(47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422)의 송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432)의 수신 프레임이, 제 6시간(490)에서는 데이터 프레임(422)의 수신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432)의 송신 프레임이 사용되어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와 이동 단말(430)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도 3에 비해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와 이동 단말(430)간의 데이터 통신 중단의 기간이 짧아진다. 이 경우, 제 3시간(460) 및 제 5시간(480)에 해당하는 데이터 프레임(432)은 NULL 값을 가지므로, 이동 단말(330)과 마스터 기지국 장치(310) 또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320)간에는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TDD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변환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의 초기화시에 이루어 질 수 있고,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410)와의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추가적인 RF 체인(Radio Frequency Chain)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데이터 프레임(421)을 데이터 프레임(422)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 펨토셀 기지국 장치(420)는 이를 미리 이동 단말(430)로 보고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 및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와 송수신부(212)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미도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송수신부(212)는 이동 단말(미도시)과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외의 제3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가 셀룰러(cellula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미도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송수신부(212)는 제2 주파수 대역 중 일부의 주파수 대역인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은 제2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3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는 송수신부(212)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RF 체인을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므로, 펨토셀 기지국 장치(210)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220)와의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RF 체인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510)에서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을 센싱하여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일례로서, 무선 전파 환경 정보는 인접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가 있는지 여부 및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채널 상태 등을 유추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채널 이득, 주파수 대역에 대한 잡음 대 신호비(SNR) 등일 수 있다.
단계(S520)에서는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고, 단계(S53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각 상황에 맞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520) 및 단계(S530)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 될 수 있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 될 수 있으며, 일부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일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될 수도 있다.
단계(S540)에서는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간에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마스터 기지국 장치간의 제어 정보의 송수신 및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간의 데이터 통신은 TDD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S520)에서는 송신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을 포함하는 TDD 프레임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정보를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고, 단계(S530)에서는 송신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을 포함하는 TDD 프레임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정보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단계(S520) 및 단계(S530)에서는 TDD 프레임 신호내에서의 송신 프레임 및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상호 교환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단계(S520) 및 단계(S530)에서는 TDD 프레임 신호내에서의 송신 프레임 및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쉬프트하여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단계(S520) 및 단계(S530)은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외의 제3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펨토셀 기지국 장치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 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펨토셀 기지국 장치간에 수행되는 제어 정보 송수신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마스터 기지국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펨토셀 기지국 장치, 마스터 기지국 장치, 및 이동 단말간의 통신시 사용되는 TDD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20)

  1. 펨토셀(femtocell)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propagation environments)을 센싱하여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상기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master)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수신부와 이동 단말간에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파 환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 이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잡음 대 신호비(SNR) 중에서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데이터 통신 시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폭, 상기 데이터 통신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 및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최소 셀 영역 범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및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셀 영역 범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펨토셀 기지국 장치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송신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을 포함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의 송신하고,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상기 송수신부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TDD 프레임 신호내에서의 상기 송신 프레임 및 상기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상호 교환하여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상기 송수신부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TDD 프레임 신호 내에서의 상기 송신 프레임 및 상기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쉬프트(shift)하여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상기 송수신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외의 제3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
  11. 펨토셀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지국 장치.
  14. 펨토셀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 주변의 무선 전파 환경을 센싱하여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파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간에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 중에 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송신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을 포함하는 TDD 프레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송신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을 포함하는 TDD 프레임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상기 펨토셀 기지국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TDD 프레임 신호 내에서의 상기 송신 프레임 및 상기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상호 교환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의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TDD 프레임 신호 내에서의 상기 송신 프레임 및 상기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상호 교환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 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TDD 프레임 신호 내에서의 상기 송신 프레임 및 상기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쉬프트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및 상기 TDD 프레임 신호 내에서의 상기 송신 프레임 및 상기 수신 프레임의 위치를 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쉬프트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지국 장치와 상기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외의 제3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 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외의 제3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20. 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080103885A 2008-10-22 2008-10-22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885A KR101470500B1 (ko) 2008-10-22 2008-10-22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483,618 US20100097965A1 (en) 2008-10-22 2009-06-12 Data communication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885A KR101470500B1 (ko) 2008-10-22 2008-10-22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666A true KR20100044666A (ko) 2010-04-30
KR101470500B1 KR101470500B1 (ko) 2014-12-08

Family

ID=4210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885A KR101470500B1 (ko) 2008-10-22 2008-10-22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97965A1 (ko)
KR (1) KR1014705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504A1 (ko) * 2012-06-29 2014-01-0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매크로 간섭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128723A (ko)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팬택 셀간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스몰 셀 자율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626409B1 (ko) * 2014-11-25 2016-06-01 콘텔라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
KR20160099740A (ko) * 2012-05-11 2016-08-22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이종 네트워크에서 업링크-다운링크 간섭을 완화시키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0485B2 (en) * 2011-01-04 2016-08-16 Nokia Technologies Oy Frame structure and signaling arrangement for interference aware scheduling
JP5583035B2 (ja) * 2011-01-06 2014-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EP2848051A4 (en) * 2012-05-11 2015-11-11 Nokia Technologies Oy SETUP AND CARE MANAGEMENT FOR FLEXIBLE TIME DUPLEX OPERATION IN A HETEROGENIC NETWORK
EP2848052B1 (en) 2012-05-11 2020-02-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indication of reference symbol transmission power change in cellular network
US9949273B2 (en) * 2012-07-04 2018-04-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orwarding HARQ feedback considering latency over available channels
KR20140077603A (ko) * 2012-12-14 201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1332D0 (en) * 1996-10-12 1996-11-27 Northern Telecom Ltd An adaptive communications system
KR100615419B1 (ko) * 1999-08-17 2006-08-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역방향 성능 향상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US7142861B2 (en) * 2003-12-12 2006-1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communications in a hierarchical cell structure
GB2431073B (en) * 2005-10-10 2008-05-14 Ipwireless Inc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existence of dissimilar systems
KR100878176B1 (ko) * 2005-12-10 2009-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 전환갭을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613444B2 (en) * 2006-04-28 2009-1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building of monitored set
EP2103160A4 (en) * 2007-01-15 2011-01-12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FOR EFFECTIVE SPECTRUM USE
US8909279B2 (en) * 2007-08-10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power for neighboring nodes
EP2206369B1 (en) * 2007-10-29 2016-10-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 method for neighbor set selection for handover in a home access environment
US7983672B2 (en) * 2007-12-19 2011-07-19 Airvana, Corp. Managing communications with private access points in wireless networks
EP2241130B1 (en) * 2008-02-08 2016-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2241135B1 (en) * 2008-02-08 2017-03-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855977B2 (en) * 2008-08-01 2010-12-21 At&T Mobility Ii Llc Alarming in a femto cell networ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740A (ko) * 2012-05-11 2016-08-22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이종 네트워크에서 업링크-다운링크 간섭을 완화시키는 방법
US10021700B2 (en) 2012-05-11 2018-07-1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for uplink-downlink interference mitig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
WO2014003504A1 (ko) * 2012-06-29 2014-01-0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매크로 간섭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29339B1 (ko) * 2012-06-29 2014-08-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매크로 간섭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450739B2 (en) 2012-06-29 2016-09-20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voiding macro interference
KR20140128723A (ko)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팬택 셀간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스몰 셀 자율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626409B1 (ko) * 2014-11-25 2016-06-01 콘텔라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500B1 (ko) 2014-12-08
US20100097965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500B1 (ko)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02220B2 (en) Repeater methods and apparatus
CN106465284B (zh) 用于设备到设备传输的功率控制命令的系统与方法
Oyman et al. Multihop relaying for broadband wireless mesh networks: From theory to practice
Doppler et a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functional prospects for LTE-advanced networks
KR101516454B1 (ko) 무선 네트워크의 중계국에서의 전력 제어
Yuan LTE-Advanced relay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CN109644405A (zh) 侧向链路中的清除发送(cts)功率控制
CN101527586B (zh) 一种路径损耗补偿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20070036269A (ko)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1024310A1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電波干渉低減方法
US20100311434A1 (en) Interference mitigation in hybrid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WO2013189248A1 (zh) 一种进行上下行重配置的方法和装置
Babun et al.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for D2D discovery in LTE-A HetNets
Jiang et al. Single‐state Q‐learning for self‐organised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dual‐hop 5G high capacity density networks
WO20111001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communication coverage in a wireless network
CN104349440A (zh) 分布式天线系统及其天线功率分配方法
Legg et al. Meshed backhauling of small cells using IEEE802. 11ad at 60GHz
Sayenko et al. Analysis of the non-transparent in-band relays in the IEEE 802.16 multi-hop system
WO2018073980A1 (ja) 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WO2012081063A1 (en) Base station and configuration method of radio resources
Carvalho et al. Network-Controlled Repeater--An Introduction
KR20140125928A (ko) 와이파이 통합 소형 셀 환경에서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ttefagh et al. On the range performance of decode-and-forward relays in IEEE 802.11 WLANs
US20240155370A1 (en) Network assisted repeater beam configu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