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409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409B1
KR101626409B1 KR1020140165302A KR20140165302A KR101626409B1 KR 101626409 B1 KR101626409 B1 KR 101626409B1 KR 1020140165302 A KR1020140165302 A KR 1020140165302A KR 20140165302 A KR20140165302 A KR 20140165302A KR 101626409 B1 KR101626409 B1 KR 101626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frequency b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ting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김아람
Original Assignee
콘텔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텔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텔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5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은, 다른 셀의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크기만큼 천이된 주파수 대역을 서비스 대역으로 하는 대상 셀의 서비스 대역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셀의 셀 식별정보를 상기 대상 셀의 셀 식별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etting of a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대역 LTE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아이디(Cell ID) 확보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현재 속해 있는 셀 내의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망에 접속하게 된다. 단말은 전원을 켜는 순간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서 시간동기를 맞추고 셀 정보를 얻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를 셀 탐색 혹은 초기동기라고 한다. 이외에도 단말이 여러 개의 셀이 인접한 지역을 통과할 때 현재의 서빙 셀(serving cell)에서 타깃 셀(target cell)로 핸드오버 하거나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간에 접속망을 변경하는 RAT(Radio Access Technology)간 핸드오버의 경우에 타깃 셀에 대한 일련의 셀 탐색 과정이 필요하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셀 내의 지리적 요건 또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거리 또는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해지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사무실 및 가옥과 같은 밀폐된 건물 내에 위치하는 경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 전파 음영 지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전파 음영 지역에 위치한 단말과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은 전파 음영 지역의 서비스 문제를 해결하면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펨토 셀(Femto-cell)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펨토 셀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에 설치한 펨토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매크로 셀(Macro-Cell)에 비해 작은 셀 영역을 의미한다. 하나의 매크로 셀 영역 내에 다수 개의 펨토 셀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크로 셀을 관장하는 매크로 기지국은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각각의 펨토 기지국에 하나의 물리 계층 셀 식별정보(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할당한다.
일반적으로, LTE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전원 투입시, 대기중, 통신중, 혹은 통신 중의 간헐수신시 동기신호 등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통신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무선품질이 양호한 셀을 탐색하여 무선링크를 접속해야하는 셀 탐색을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광대역 LTE 통신 시스템은 특성상 대용량,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단일 Carrier로 운용이 되고 있어, 각 기지국에 대한 구분은 셀 식별정보(Cell ID)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밀집된 도심 지역에서는 많은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원활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좁은 지역에 많은 기지국의 설치가 요구 된다. 이것은 많은 셀 식별정보(Cell ID)의 필요를 의미하며, 이로 인해 국소에 따라 할당 가능한 셀 식별정보(Cell ID)가 부족하여 망 구축에 제약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른 셀의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크기만큼 천이된 주파수 대역을 서비스 대역으로 하는 대상 셀의 서비스 대역정보를 설정에 따른, 상기 다른 셀의 셀 식별정보를 상기 대상 셀의 셀 식별정보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수와 데이터 수요가 밀집되어 있는 장소에서 셀 식별정보(Cell ID)의 중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은, 다른 셀의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크기만큼 천이된 주파수 대역을 서비스 대역으로 하는 대상 셀의 서비스 대역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셀의 셀 식별정보를 상기 대상 셀의 셀 식별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일정 크기는 주파수 대역의 보호 대역(Guard Band) 내에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파수 대역의 천이를 위한 상기 일정 크기는 적어도 ±100[KHz]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은,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는, 다른 셀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다른 셀의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크기만큼 천이된 주파수 대역을 서비스 대역으로 하는 대상 셀의 서비스 대역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다른 셀의 셀 식별정보를 상기 대상 셀의 셀 식별정보로 설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정보 및 상기 설정된 셀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일정 크기는 주파수 대역의 보호 대역(Guard Band) 내에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파수 대역의 천이를 위한 상기 일정 크기는 적어도 ±100[KHz]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는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는, 기지국 및 셀 식별정보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OFDMA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대역 내의 반송파에 대해 약간의 주파수 천이를 통해 동일 주파수 대역이라도 다른 반송파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셀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동일한 셀 식별정보(Cell ID)를 중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3은 OFDM 무선 통신방식에 따라 일정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갖는 반송파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정 주파수 대역에서 중심 주파수 및 보호 대역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하나의 매크로 셀에는 다수 개의 펨토 셀들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100)은 하나의 매크로 셀을 관장한다. 이때, 상기 매크로 셀 커버리지 내에는 각각의 펨토 기지국들(110, 120, 130, 140, 150)이 관장하는 다수 개의 펨토 셀들이 설치될 수 있다.
매크로 셀 내에 다수 개의 펨토 셀들이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펨토 기지국들(110, 120, 130, 140, 150)에는 셀 식별정보(Cell IDentification: 이하, Cell ID라 칭함)가 할당된다. 이때, 펨토 기지국들(110, 120, 130, 140, 150)에 Cell ID가 중복되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 기지국 2(120)으로 Cell ID 10이 할당되고, 펨토 기지국 5(150)로 Cell ID 20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크로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내의 펨토 기지국들에 할당될 수 있는 Cell ID의 개수보다 더 많은 수의 펨토 기지국들이 존재하는 경우, 펨토 기지국 1(110), 펨토 기지국 3(130) 및 펨토 기지국 4(140)에 동일한 Cell ID 30가 할당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시스템은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여 펨토 기지국들의 Cell ID를 할당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100)의 셀 내에서, 펨토 기지국들(110, 120, 130, 140, 150)이 중복된 Cell ID를 할당받을 수 있으므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이 동일한 Cell ID를 갖는 펨토 기지국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특히, 셀 식별정보 설정 동작은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셀의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크기만큼 천이된 주파수 대역을 서비스 대역으로 하는 대상 셀의 서비스 대역정보를 설정한다(S200). 여기서, 다른 셀의 주파수 대역은 800[MHz], 850[MHz], 900[MHz], 1.8[GHz], 2.1[GHz] 및 2.6[GHz]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 해당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이 천이되는 크기는 적어도 ±100[KHz]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천이되는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은 다른 셀의 주파수 대역의 보호 대역(Guard Band) 내에서 천이되도록 한다.
도 3은 OFDM 무선 통신방식에 따라 일정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갖는 반송파를 예시한 참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정 주파수 대역에서 중심 주파수 및 보호 대역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DMA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일정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예를 들어, 15[KHz]를 점유하는 다수의 부반송파들로 이루어져 있다. 다수의 부반송파 중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신호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신호는 Cell ID 탐색을 위한 동기 신호이다. LTE 셀 확인은 단말이 LTE 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새로운 이웃 셀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실행되며 단말은 핸드오버를 하기 위해서 새로운 셀에 관련된 측정값을 서빙 셀에 보고한다. 단말에서 셀 감지는 PSS 신호와 SSS 신호에 대한 검출을 기본으로 한다. 동기 신호의 인식은 상관관계(Correlation)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인식 방식은 검출 가능한 주파수 편차를 부반송파의 1/2인 7.5[KHz]이내로 제약한다. 따라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를 7.5[KHz] 이상 천이 시킬 경우 초기 동기 신호인 PSS 신호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OFDMA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대역 내에서 반송파의 주파수를 7.5[KHz] 이상 천이시킬 경우에는, 단말은 동일한 반송파라고 하더라도 다른 반송파로 인식하게 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규격에서 최소 설정 주파수 Offset은 0.1[MHz]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천이 최소 임계값은 100[KHz]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주파수를 ±100[KHz]씩 이동할 경우 동일 주파수 대역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셀 식별정보(Cell ID)는 3개로 늘어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천이 설정할 때에, 상기 일정 주파수 대역의 보호 대역(Guard Band) 내에서 천이 설정하도록 한다.
대상 셀에 대한 서비스 대역정보의 설정은 대상 셀의 추가 설치 등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상 셀의 추가 설치 여부는 대상 셀의 토폴로지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대상 셀의 서비스 대역정보 설정은 서비스 대역에 대한 대상 셀의 기지국 내부 구성에 따른 설치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기지국 초기 자동설치와 운용 단계에서 인접 셀의 정보, 관계 설정/등록 및 코어 망과의 연결 설정들을 수행한다. 또한, 인접 셀간 신호 및 트래픽 유형 정보를 활용하여 기지국 신호 세기를 제어하고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최적화하기 위한 동작을 포함한다.
S200 단계 후에, 상기 다른 셀의 셀 식별정보를 상기 대상 셀의 셀 식별정보로 설정한다(S202). 대상 셀은 다른 셀에 대한 셀 식별정보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되는 정보, 기지국 자체의 모니터링 정보 또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리포팅 정보 등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다른 셀의 셀 식별정보는 대상 셀의 식별정보로 설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 1(110), 펨토 기지국 3(130) 및 펨토 기지국 4(140)이 일정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8[GhZ])에서 중심 주파수가 0, +100[KHz] 및 -100[KHz] 만큼 각각 천이된 주파수 대역을 서비스 대역으로 각각 설정되고, 펨토 기지국 1(110), 펨토 기지국 3(130) 및 펨토 기지국 4(140)이 각각 동일한 셀 식별정보(Cell ID 30)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에 따르면, 펨토 기지국 1(110), 펨토 기지국 3(130) 및 펨토 기지국 4(140)의 셀 식별정보(Cell ID 30)가 모두 동일하더라도, 단말은 해당 펨토 기지국 1(110), 펨토 기지국 3(130) 및 펨토 기지국 4(140)의 서비스 주파수 대역이 상이함으로 인해 각 펨토 기지국들과 간섭 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통신부(500), 프로세서(510) 및 저장부(520)를 포함한다.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는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는 기지국 및 셀 식별정보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통신부(800)는 듀플렉서(미도시), 송신모듈(미도시) 및 수신모듈(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듀플렉서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송신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송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수신모듈로 제공한다.
송신모듈은 프로세서(510)의 제어에 따라 전송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듀플렉서로 전달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모듈은 부호화기, OFDM 변조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RF처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부호화기는 프로세서(510)의 제어에 따라 전송 신호를 해당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OFDM 변조기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부호화기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OFDM심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OFDM 변조기로부터 제공받은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RF처리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수신모듈은 듀플렉서로부터 제공받은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510)로 전달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수신모듈은 RF처리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OFDM 복조기, 복호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RF처리기는 듀플렉서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RF처리기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OFDM복조기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복호화기는 OFDM 복조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특히, 통신부(500)는 대상 셀이 인접 셀의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크기만큼 천이된 주파수 대역을 서비스 대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대역 정보 설정을 위해, 대상 셀의 기지국 내부 구성에 따른 서비스 대역의 설치 파라미터 생성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고, 기지국 초기 자동설치와 운용 단계에서 인접 셀의 정보, 관계 설정/등록 및 코어 망과의 연결 설정 등을 위한 정보 교환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접 셀의 주파수 대역은 800[MHz], 850[MHz], 900[MHz], 1.8[GHz], 2.1[GHz] 및 2.6[GHz]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 해당할 수 있으며, 주파수 대역이 천이되는 크기를 적어도 ±100[KHz] 이상에 해당한다. 또한,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이 천이되는 구간은 일정 주파수 대역의 보호 대역(Guard Band) 내에서 천이된다.
프로세서(510)는 기지국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프로세서(510)는 다른 셀의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크기만큼 천이된 주파수 대역을 대상 셀의 서비스 대역정보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즉, 프로세서(510)는 대상 셀의 기지국 내부 구성에 따른 천이 서비스 대역의 설치 파라미터의 생성을 제어하고, 기지국 초기 자동설치와 운용 단계에서 인접 셀의 정보, 관계 설정/등록 및 코어 망과의 연결 설정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주파수 대역이 천이되는 크기를 적어도 ±100[KHz]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규격에서 최소 설정 주파수 Offset은 0.1[MHz]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프로세서(510)는 천이 최소 임계값을 100[KHz]로 하여 반송파 천이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일정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를 기준으로 ±100[KHz]씩 이동하여 주파수 천이를 설정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710)는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을 천이 설정할 때에, 일정 주파수 대역의 보호 대역(Guard Band) 내에서 천이 설정하도록 한다.
그 후, 프로세서(510)는 다른 셀의 셀 식별정보를 상기 대상 셀의 셀 식별정보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510)는 다른 셀에 대한 셀 식별정보를 X2 인터페이스 교환 정보, 기지국 자체의 모니터링 정보 또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리포팅 정보 등을 통해 수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5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500)는 X2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리포팅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이렇게 수집된 다른 셀의 셀 식별정보를 대상 셀의 식별정보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520)는 프로세서(51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서비스 천이 주파수 대역의 대역정보 및 설정된 셀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00: 통신부
510: 프로세서
520: 저장부

Claims (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셀들 중 제1 셀의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반송파의 중심주파수에서 일정 크기만큼 천이된 주파수를 상기 복수의 셀들 중 제2 셀에서 사용하는 반송파의 중심주파수가 되도록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셀의 셀 식별정보를 상기 제2 셀의 셀 식별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셀의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천이를 위한 상기 일정 크기는 적어도 ±100[KHz]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의 천이를 위한 상기 일정 크기는 적어도 ±100[KHz]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은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의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셀들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복수의 셀들 중 제1 셀의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반송파의 중심주파수에서 일정 크기만큼 천이된 주파수를 상기 복수의 셀들 중 제2 셀에서 사용하는 반송파의 중심주파수가 되도록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셀의 셀 식별정보를 상기 제2 셀의 셀 식별정보로 설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설정된 셀의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설정된 셀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셀의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크기는 주파수 대역의 보호 대역(Guard Band) 내에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주파수 천이를 위한 상기 일정 크기는 적어도 ±100[KHz]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는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식별정보 설정장치.
KR1020140165302A 2014-11-25 2014-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 KR10162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302A KR101626409B1 (ko) 2014-11-25 2014-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302A KR101626409B1 (ko) 2014-11-25 2014-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409B1 true KR101626409B1 (ko) 2016-06-01

Family

ID=5613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302A KR101626409B1 (ko) 2014-11-25 2014-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4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666A (ko) * 2008-10-22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5200A (ko) * 2009-11-19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버를 위한 펨토 셀 정보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20070141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여 송신하는 무선송신장치 및 그의 간섭제거방법
KR20130109702A (ko) * 2012-03-28 2013-1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펨토셀 기지국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666A (ko) * 2008-10-22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셀 기지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5200A (ko) * 2009-11-19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버를 위한 펨토 셀 정보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20070141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여 송신하는 무선송신장치 및 그의 간섭제거방법
KR20130109702A (ko) * 2012-03-28 2013-1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펨토셀 기지국의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7611B (zh) 信息搜索方法、信息发送方法、装置及系统
RU2686009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ранслирования систе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по требованию
KR10161384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비코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014544A1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aggregator apparatus and method
US2017022355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easurement enhanc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CN108769998B (zh) 无线基站
US100759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nd-limited subframes in wireless networks
US20120082047A1 (en) User equipment measurement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femto cells
EP321041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cquire system information
JP6326428B2 (ja) セルラー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ノード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72584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JP5784460B2 (ja) リレー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リレータイプ通知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2110326B1 (ko)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JP2013128201A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リレー局装置、受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18029380A (ja) HetNet配置における座標インディケータの使用
KR10149440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US201600576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optimization in connection with cellular handover
CN103096396A (zh) 异构网中的切换方法和装置
KR1016264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식별정보 설정방법 및 장치
KR20180024683A (ko) 소형 셀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11632711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ell search
WO2012043554A1 (ja) リレー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20230300909A1 (en)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mobile device
KR101510485B1 (ko) 펨토 기지국 및 그 자원 관리 방법
WO2023098970A1 (en) Resource block pattern for punctured physical broadcast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