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866A -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866A
KR20100042866A KR1020080102058A KR20080102058A KR20100042866A KR 20100042866 A KR20100042866 A KR 20100042866A KR 1020080102058 A KR1020080102058 A KR 1020080102058A KR 20080102058 A KR20080102058 A KR 20080102058A KR 20100042866 A KR20100042866 A KR 20100042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image
computer
defect
surv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김혜경
이상철
박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피이엔씨
Priority to KR102008010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866A/ko
Publication of KR2010004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06T7/0016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involving temporal comparis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상태를 영상으로 취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조사보고서를 작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로의 내부를 주행하는 관로조사용자주차(10); 상기 관로조사용자주차(10)에 조명장치와 함께 탑재되어 관로 내부의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입력장치(20); 및, 상기 영상입력장치(20)에서 취득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분석하고 조사보고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관로조사현장용프로그램 및 관로조사의 성과로 만들어진 해당 프로젝트파일을 불러와 원본 영상을 재생하여 관로 내부의 결함 발생지점을 확인하는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로조사용자주차, 영상입력장치, 컴퓨터, 관로조사현장용프로그램,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

Description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Pipe Probe Report Creation System}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상태를 영상으로 취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조사보고서를 작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로의 내부를 주행하는 관로조사용자주차(10); 상기 관로조사용자주차(10)에 조명장치와 함께 탑재되어 관로 내부의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입력장치(20); 및, 상기 영상입력장치(20)에서 취득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분석하고 조사보고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관로조사현장용프로그램 및 관로조사의 성과로 만들어진 해당 프로젝트파일을 불러와 원본 영상을 재생하여 관로 내부의 결함 발생지점을 확인하는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관로 내부를 주행하는 탐사용자주차에 영상취득을 위한 장치를 설치하고, 취득한 영상을 전달받아 이를 분석하는 시스템은 이미 도입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시스템은 아날로그 영상을 별도의 자막장치에서 발생하는 영상신호와 합성하여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에 녹화하는 방식으로서, 관로 조사촬영 종료 후 기록영상을 재생하여 디지털 영상파일로 변환하고 개인용 컴퓨터(PC)에서 영상을 재생하면서 관로 결함 부분의 정지화면을 캡처하는 방식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식은 취득영상의 VCR 녹화, 녹화된 영상을 재생하여 디지털 영상파일로 변환, 변환 영상을 재탐색하면서 관로결함 부분의 정지화면 취득 등 다수의 단계를 거쳐야 작업이 완료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다수의 인력을 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고서 작성 종료 및 관로조사 발주자 및 감독관에게 보고서 제출시, 보고서 서면 출력본과 취득 원본 영상파일(AVI 혹은 MPEG 파일 포맷)을 제출하게 되는데, 발주자 및 감독관이 관로조사의 신빙성, 완성도를 확인하거나 결함 부분을 재검색하기 위하여 관로 조사시 취득한 동영상 원본 파일을 재생해야 하는 경우, 결함 부분을 빠른 시간에 찾을 수 있는 색인(INDEX) 기능이 없어 동영상 전체를 검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로조사 종료 후, 조사보고서 작성을 별도의 과정을 거쳐 수행해야 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관로조사 종료와 함께 관로조사 보고서 작성이 자동으로 이 뤄질 수 있는 시스템 제공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아날로그 카메라의 촬영영상과 별도의 자막장치에서 발생하는 자막정보를 합성하는 방법 및 합성된 영상정보를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에 저장하는 방식을 대신하여 아날로그 영상 또는 디지털 관로조사 영상, 두가지 영상방식 모두 디지털 파일 형식으로 직접 컴퓨터에 입력 저장하는 시스템 제공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셋째, 관로조사 수행 시, 관로조사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관로 결함부의 전방 및 측방 정지화면의 취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관로조사 도중 발견되는 관로결함을 조사자의 판단에 의하여 관로조사 파일에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 제공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넷째, 관로 조사 발주자 및 감독관이 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보고서 파일뷰어를 사용하여 관로조사의 신빙성, 완성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결함 부분을 재검색할 경우, 그리고 관로 조사시 취득한 동영상 원본 파일을 재생해야 하는 경우에 결함 부분을 빠른 시간에 찾을 수 있는 색인(INDEX)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관로의 내부를 주행하는 관로조사용자주차(10); 상기 관로조사용 자주차(10)에 조명장치와 함께 탑재되어 관로 내부의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입력장치(20); 및, 상기 영상입력장치(20)에서 취득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분석하고 조사보고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관로조사현장용프로그램 및 관로조사의 성과로 만들어진 해당 프로젝트파일을 불러와 원본 영상을 재생하여 결함 발생지점을 확인하는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30)에 내장된 관로조사현장용프로그램은, 관로조사 기초자료를 입력하고 상기 영상입력장치(20)의 종류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화면을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영상장치지정부; 상기 영상입력장치(20)가 전송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컴퓨터(3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상기 영상입력장치(20)가 전송한 영상을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그래픽표시부;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의하여 표시되는 관로 내부의 동영상에서 결함지점이 발견될 경우 결함의 등급판정 및 결함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등급판정및결함유형입력부; 동일한 관로에 대하여 시차를 두고 재조사하는 경우 기저장된 결합발생지점 및 결함유형에 관한 정보를 재조사시 새롭게 입력된 내용과 동기화하여 결합발생지점 각각에 대하여 종전의 결함유형과 새롭게 입력된 내용을 함께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결함편집부; 관로 조사가 종료하면 관로별 결함발생지점, 결함의 등급판정 및 결함유형을 집계하여 상기 컴퓨터(30)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결함분석부; 및, 관로별 결함발생지점, 결함의 등급판정 및 결함유형이 포함된 조사보고서파일을 생 성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로 보여주거나 또는 프린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30)에 내장된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은, 관로 조사가 완료되어 상기 컴퓨터(30)의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프로젝트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입력창을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파일입력부; 해당 프로젝트파일에 포함된 관로 내부에 관한 원본 영상을 재생하여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영상재생부; 원본 영상 가운데 관로의 결함 항목이 있는 지점의 영상을 선택하여 재생하거나, 원본 영상의 순방향 재생 또는 역방향 재생을 선택하는 인덱스를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색인부; 및 관로별 결함발생지점, 결함의 등급판정 및 결함유형이 포함된 조사보고서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로 보여주거나 또는 프린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로 조사 종료와 함께 조사보고서가 작성되므로 조사보고서 작성에 소요되는 별도의 인력,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기존의 관로조사 방식과 달리 별도의 자막발생장치 사용,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관로조사에 소요 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셋째, 아날로그 영상과 디지털 영상을 겸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아날로그 영상 해상도 보다 고해상도의 관로조사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넷째, 관로결함 정보를 조사자에 의하여 직접 시스템에 입력이 가능하므로, 조사자와 보고서 작성자로 나뉘어서 조사 및 보고서 작성 작업을 수행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보고서 작성 시간 및 정확성 제고에 효율적이다.
다섯째, 관로 조사 발주자 및 감독관이 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보고서 검사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함 부분을 재검색하거나, 관로 조사시 취득한 동영상 원본 파일을 재생해야 하는 경우에 결함 부분을 빠른 시간에 찾을 수 있는 색인(INDEX) 기능이 제공되므로 조사 성과의 신빙성 제고와 검색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도1은 관로조사 현장용 프로그램의 운영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2는 관로조사 및 보고서 작성이 완료되고 성과가 발주처에 납품된 이후에 감독관에 의하여 성과품 검사시, 색인에 의한 관로조사 영상 재생 및 조사보고서 검사프로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1과 도2로 이루어지는 본 시스템의 구동은 개인용 컴퓨터 내에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의 윈도우즈 OS(Windows Operating System) 상에서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관로조사 현장용 프로그램(도1)을 사용자 입출력 화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관로조사 현장용 프로그램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조사프로젝트 전반에 관한 기초자료의 작성과 조사작업에 필요한 영상 입력장치를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영상 입력장치는, 아날로그 조사카메라만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아날로그 및 디지털 조사카메라 장비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번호 별로 정리된 트리구조를 모니터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로번호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으며, 각 관로번호에 해당하는 관로제원에 관한 정보(공사명, 조사위치 등에 관한 작업 정보, 관로번호, 관경, 형태 등에 관한 관 정보, 맨홀 정보 등이 포함)를 미리 저장된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엑셀파일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불러들일 수 있게 하여 현장에서 관로에 관한 정보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관로영상 촬영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관로의 제원 정보와 함께, 입력 동영상의 표시, 저장으로 이루어진다.
관로 조사과정에서 조사카메라를 탑재한 탐사용 자주차의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 취득된 영상을 통하여 탐색불가 사유를 확인하고 도4에 도시된 관로결함 지정을 선택하고 도5에 도시된 결함메뉴 중 결함판정 등급 및 해당하는 결함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결함부위의 전방 정지화면과 조사카메라의 회전에 의하여 취득한 측방 정지화면을 거리정보가 포함된 결함정보와 동기화하여 저장한다. 탐사용 자주차를 시점맨홀의 반대편인 종점맨홀에서부터의 관로영상 촬영을 하는 역방향 조사영상은, 순방향 조사와 같은 방법으로 관로영상 및 관로결함 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영상에 관한 정보와 역방향 영상에 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한편, 순방향 촬영 혹은 역방향 촬영 중 탐사용 자주차의 주행이 불가능할 정도가 아닌 관로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도, 조사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킨 후 도5에 도시된 결함메뉴 중 결함판정 등급 및 해당하는 결함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결함부위의 전방 정지화면과 측방 정지화면을 거리정보가 포함된 결함정보와 동기화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 탐색불가사유가 발생한 지점의 전단에서 취득한 순방향 영상정보 및 결함정보와 후단에서 시작하여 역주행 과정에서 취득한 역방향 영상정보 및 결함정보는 일 개 관로에 대하여 저장한다.
일 개 관로의 조사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중지를 입력하여 관로촬영을 종료한다.
일 개 관로의 조사가 종료된 상태에서, 도6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거리에 따라 입력된 결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조사 수행중인 동일 관로에 대하여 조사 시간적 차이가 발생하거나 동일 관로의 관로결함 보수공사 부위를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 참조하고자 하는 기 저장된 관로 결함을 동기화 할 수 있는 관로결함 편집부
한편, 조사 수행중인 관로에 대하여 탐사 시간적 차이가 발생하여 비고하거 나 관로결함 보수공사가 시행된 후 관로 보수공사 결과를 보수 전후로 비교하여 조사보고서에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는 도6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이 종료된 참조관로(조사 수행중인 관로와 관로번호가 일치하는)를 불러온 후, 해당 지점 및 해당 결함항목을 연결하기 위하여 참조결함 항목을 선택한 후 조사 수행중인 해당 결함항목 쪽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을 하는 방식으로 지정할 수 있다.
관로 조사 영상 촬영, 관로결함 입력 및 편집이 종료된 이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고서 작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관로조사 보고서 작성은 보고서 작성 범위를 선택한 후, 인쇄장치로 즉시 출력, 한글(hwp)파일로 저장, MS-Word 파일로 저장, MS-Word 파일로 저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될 보고서를 미리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관로조사 현장용 프로그램(도1)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조사보고서 검사 프로그램(도2)을 사용자 입출력 화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조사보고서 검사프로그램(도2)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작성된 조사 프로젝트를 불러오며 관로조사 프로젝트 전반에 관한 사항을 표시한다.
조사보고서 검사프로그램(도2)의 관로영상 재생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조사 영상의 순방향 및 역방향 재생, 정지, 그리고 관로 결함항목 지점으로의 동영상 지점 이동이 가능한 관로결함 항목 색인으로 이루어진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결함 항목 색인기능은 보고서 조사자 혹은 감독 자가 해당 결함 항목을 선택하면 재생 진행중인 순방향 혹은 역방향 영상위치가 해당 결함 발생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하는 작동으로 이루어지며, 동시에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결함 정지영상을 함께 표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로결함 항목 색인기능을 이용함에 따라, 관로조사 프로젝트 발주자 혹은 조사 감독관은 조사성과의 원천영상을 조사함에 있어서 빠른 조사영상 색인이 가능하며, 보고서 조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조사보고서 검사프로그램(도2)에서도 관로조사 현장용 프로그램(도1)의 보고서 출력기능과 같은 원리로 작성 범위를 선택한 후, 인쇄장치로 즉시 출력, 한글(hwp)파일로 저장, MS-Word 파일로 저장, MS-Word 파일로 저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될 보고서를 미리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관로조사현장용프로그램의 운영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의 운여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관로조사 기초자료를 입력하고 영상입력장치(20)의 종류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컴퓨터(30) 모니터 상의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4는 관로 내부의 영상을 보여주는 컴퓨터(30) 모니터 상의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5는 컴퓨터(30)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관로의 결함항목을 입력하는 메뉴를 캡쳐한 것이다.
도6은 관로결함편집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7은 조사보고서 작성 화면을 캡쳐한 것인데 출려보고서를 미리보기를 통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8은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에서 해당 조사프로젝트 파일을 불러오는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9는 해당 조사프로젝트 파일에 포함된 관로 내부에 관한 원본 영상을 재생하는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10은 결함항목이 있는 부위의 전면 및 측명 정지영상을 보여주는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11은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에서 조사보고서를 작성하는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관로조사용자주차
20:영상입력장치
30:컴퓨터

Claims (4)

  1.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상태를 영상으로 취득하고 이를 분석하고 조사보고서를 작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로의 내부를 주행하는 관로조사용자주차(10);
    상기 관로조사용자주차(10)에 조명장치와 함께 탑재되어 관로 내부의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입력장치(20); 및,
    상기 영상입력장치(20)에서 취득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분석하고 조사보고서를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관로조사현장용프로그램 및 관로조사의 성과로 만들어진 해당 조사프로젝트 파일을 불러와 원본 영상을 재생하여 결함 발생지점을 확인하는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컴퓨터(30)에 내장된 관로조사현장용프로그램은,
    관로조사 기초자료를 입력하고 상기 영상입력장치(20)의 종류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화면을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영상장치지정부;
    상기 영상입력장치(20)가 전송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컴퓨터(3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상기 영상입력장치(20)가 전송한 영상을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그래픽표시부;
    상기 그래픽표시부에 의하여 표시되는 관로 내부의 동영상에서 결함지점이 발견될 경우 결함의 등급판정 및 결함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등급판정및결함유형입력부;
    동일한 관로에 대하여 시차를 두고 재조사하는 경우 기저장된 결합발생지점 및 결함유형에 관한 정보를 재조사시 새롭게 입력된 내용과 동기화하여 결합발생지점 각각에 대하여 종전의 결함유형과 새롭게 입력된 내용을 함께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결함편집부;
    관로 조사가 종료하면 관로별 결함발생지점, 결함의 등급판정 및 결함유형을 집계하여 상기 컴퓨터(30)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결함분석부; 및,
    관로별 결함발생지점, 결함의 등급판정 및 결함유형이 포함된 조사보고서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로 보여주거나 또는 프린터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컴퓨터(30)에 내장된 조사보고서검사프로그램은,
    관로 조사가 완료되어 상기 컴퓨터(30)의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조사프로젝트 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입력창을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파일입력부;
    해당 조사프로젝트 파일에 포함된 관로 내부에 관한 원본 영상을 재생하여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영상재생부;
    원본 영상 가운데 관로의 결함 항목이 있는 지점의 영상을 선택하여 재생하거나, 원본 영상의 순방향 재생 또는 역방향 재생을 선택하는 인덱스를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색인부; 및
    관로별 결함발생지점, 결함의 등급판정 및 결함유형이 포함된 조사보고서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상기 컴퓨터(30)의 모니터로 보여주거나 또는 프린터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영상입력장치(20)는 아날로그카메라 또는 디지털카메라가 사용되고, 상기 관로조사용자주차(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관로의 전방 영상 및 측면 영상을 선택적으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KR1020080102058A 2008-10-17 2008-10-17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KR20100042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58A KR20100042866A (ko) 2008-10-17 2008-10-17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58A KR20100042866A (ko) 2008-10-17 2008-10-17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866A true KR20100042866A (ko) 2010-04-27

Family

ID=4221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058A KR20100042866A (ko) 2008-10-17 2008-10-17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28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448B1 (ko) * 2018-11-29 2019-09-11 주식회사 파슬리 인공지능 기반 이상항목 감지 및 보고서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210049B1 (ko) * 2020-03-10 2021-02-01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관로 내부 조사와 디펙트 판독을 통한 관로 애널라이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448B1 (ko) * 2018-11-29 2019-09-11 주식회사 파슬리 인공지능 기반 이상항목 감지 및 보고서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210049B1 (ko) * 2020-03-10 2021-02-01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관로 내부 조사와 디펙트 판독을 통한 관로 애널라이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0592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KR100326400B1 (ko) 자막지향 탐색정보 생성 및 탐색방법과, 이를 사용하는 재생장치
US9118818B2 (en) Endoscope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displaying method and inspection report generating apparatus
US11817131B2 (en) Interface for indicating video editing decisions
US7916170B2 (en) CCTV pipeline inspection system data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based monitoring/action application
JP5751899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US8698883B2 (en) Endoscopic image reproducing apparatus
CN101815193A (zh) 再现装置和再现方法
JP2006345489A5 (ko)
US6272279B1 (en) Editing method of moving images, edi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its editing method program
KR20100042866A (ko) 관로 조사보고서 작성 시스템
KR20060046638A (ko) 편집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2009200601A (ja) ビデオ編集装置及びビデオ編集方法
JP2010147509A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配信システム
JP2009250792A (ja) データ検査システム
JP2009222508A (ja) データ検査システム
JP5690124B2 (ja) 内視鏡装置、内視鏡画像再生装置及びデータ構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00209077A1 (en) Method for calculating file size of video data
GB2495289A (en) Multimedia editing by string manipulation
JPS589428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20119368A (ja) 映像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映像情報管理方法
TWI240579B (en) Method and related interface system for facilitating advertisings detection through visual interface
JP4446311B2 (ja) 記録再生装置
JPS63293445A (ja) 機器内部診断装置
KR20120139019A (ko) 편집 가능한 플래시 파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