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439A -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 Google Patents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439A
KR20100042439A KR1020080101587A KR20080101587A KR20100042439A KR 20100042439 A KR20100042439 A KR 20100042439A KR 1020080101587 A KR1020080101587 A KR 1020080101587A KR 20080101587 A KR20080101587 A KR 20080101587A KR 20100042439 A KR20100042439 A KR 2010004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sensor
leak
leak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한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439A/ko
Publication of KR2010004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는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로 배출하는 필터본체(200); 및 상기 필터본체(200)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필터본체(200)에서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서의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수필터에서의 누수발생시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되는 원수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정수필터가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완전하게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고 정수필터가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완전하게 연결된 경우에만 원수가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정수, 정수필터, 필터본체, 누수, 누수감지

Description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WATER PURIFYING FILTER BEING ABLE TO SENSE WATER LEAKAGE}
본 발명은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정수필터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만드는 장치이다.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는 여러 종류의 정수필터가 사용되어서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된 원수를 여러번 여과함으로써 유입된 원수를 정수로 만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정수필터가 사용된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누수가 발생하면 이에 구비된 전기회로 등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는 누수가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고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의 여러 곳 중 정수탱크에는 이에 저장된 정수가 넘치거나 정수탱크의 결함 또는 연결부위의 결함 등에 의해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정수탱크에는 이와 같은 누수의 감지를 위해서 누수감지용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누수감지용 센서는 정수탱크에서 정수가 넘치는 것을 감지하거나 정수탱크의 결함에 의해서 발생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정수탱크 이외에도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의 다른 곳에서도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정수 또는 원수가 흐르는 유로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정수필터에서도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유로관에서의 누수는 유로관의 누수에 의한 압력강하를 감지하는 센서를 유로관에 구비하여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정수필터에서의 누수는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정수필터의 누수를 감지하고자 유로관에 구비된 압력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정수필터의 누수에 의한 유로관에서의 압력강하 뿐만 아니라 유로관에서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저항에 따른 압력강하 등 정수필터의 누수에 의한 것 이외에도 다른 원인에 의한 압력강하도 감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수필터의 누수에 의한 영향, 즉 누수에 의한 정수필터에서의 압력강하가 유로관에 늦게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수필터에서 누수가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가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완전히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지 못하고 정수필터와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수필터에서의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정수필터에서 누수발생시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되는 원수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정수필터가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완전하게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고 정수필터가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완전하게 연결된 경우에만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원수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누수감지용 센서를 정수필터에 구비토록 하여 정수필터에서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는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로 배출하는 필터본체; 및 필터본체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필터본체에서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누수감지부는 필터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센서지지부에 결합되는 감지부몸체; 및 일측은 감지부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필터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센서삽입부를 통해서 필터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접촉하는 누수감지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부는 센서삽입부에 설치되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본체에는 누수감지부와 결합되는 센서지지부와, 누수감지부에 포함되는 누수감지센서가 삽입되는 센서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수감지센서는 전자식 압력센서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필터에서의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필터에서의 누수발생시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되는 원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필터가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완전하게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고 정수필터가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완전하게 연결된 경우에만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에 원수가 유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선 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누수감지용 센서를 정수필터에 구비토록 하여 정수필터에서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는 도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터본체(200)와, 필터본체(200)에 설치된 누수감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본체(200)는 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누수감지부(3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필터본체(20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접촉하도록 필터본체(200)에 설치되어 필터본체(200)에서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터본체(200)의 외부에는 누수감지부(300)와 결합되는 센서지지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지지부(21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터본체(200)의 외부에 2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지지부(2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 결합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 결합구멍(211)은 후술할 바와 같이 누수감지부(300)의 감지부몸체(310)에 형성될 수 있는 체결구 삽입구멍(311)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체결구 결합구멍(211)에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구 삽입구멍(311)에 삽입되는 체결구(313)에 형성될 수 있는 수나산에 대응하는 암나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구(313)가 감지부몸체(310)의 체결구 삽입구멍(311)에 삽입되고 체결구 결합구멍(211)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감지부몸체(310)가 필터본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필터본체(200)의 외부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술할 누수감지부(300)에 포함되는 누수감지센서(320)가 삽입되는 센서삽입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삽입부(220)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센서지지부(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삽입부(220)에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술할 누수감지센서(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센서삽입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센서삽입구멍(221)은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터본체(20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삽입구멍(221)에 삽입된 누수감지센서(320)는 필터본체(20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필터본체(200)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센서삽입부(220)에는 센서삽입구멍(221) 이외에도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술할 밀봉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는 밀봉부재 삽입부(222)가 또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센서지지부(210)와 센서삽입부(220)의 형상과 필터본체(200)에서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누수감지부(300)를 용이하게 필터본체(200)에 설치할 수 있으며 누수감지부(300)의 누수감지센서(320)를 필터본체(200)에 형성된 유로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과 위치라면 어떠한 형상과 위치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필터본체(200)는 정수필터의 하나인 침전필터의 필터본체(200)를 예로 하였으나, 침전필터 이외에도 프리 카본 필터나 멤브레인 필터 또는 포스트 카본 필터 등과 같은 다른 정수필터의 필터본체(200)도 또한 가능하다.
누수감지부(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술된 센서지지부(210)에 결합되는 감지부몸체(310)와 감지부몸체(310)에 연결된 누수감지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누수감지부(300)는 전술한 센서삽입부(220)에 삽입되는 밀봉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몸체(31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센서지지부(210)의 체결구 결합구멍(211)에 대응하는 체결구 삽입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본체(200)에 2개의 센서지지부(2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몸체(310)에 2개의 체결구 삽입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구 삽입구멍(311)에는 도시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체결 구(313)가 삽입되고, 삽입된 체결구(313)에 형성된 수나산과 센서지지부(210)의 체결구 결합구멍(211)에 형성된 암나사산이 나사결합됨으로써, 감지부몸체(310)가 센서지지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감지부몸체(310)를 필터본체(200)의 센서지지부(210)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부몸체(310)를 센서지지부(210)에 설치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부몸체(310)를 센서지지부(2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감지부몸체(310)에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술할 누수감지센서(320)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는 센서연결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연결부(312)는 누수감지센서(320)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누수감지센서(320)의 일측은 감지부몸체(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고 전술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누수감지센서(320)의 일측은 감지부몸체(310)에 형성될 수 있는 센서연결부(31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누수감지센서(320)의 일측을 센서연결부(312)에 연결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았으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다른 연결기구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센서연결부(312)에 형성된 연결구멍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누수감지센서(320)의 일측을 감지부몸체(310)에 연결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센서연결부(312)를 통해서 연결하는 방법 이외에도 누수감지센서(320)의 일측을 감지부몸체(310)에 연결하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술되고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감지센서(320)의 일측은 감지부몸체(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누수감지센서(320)의 타측은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터본체(200)의 센서삽입부(220)에 형성된 센서삽입구멍(22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삽입구멍(221)은 필터본체(200)에 형성된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삽입구멍(221)에 삽입된 누수감지센서(320)의 타측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본체(200)에 형성된 유로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본체(200)에서의 누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삽입부(220)에는 밀봉부재(33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센서삽입부(2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 삽입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33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삽입구멍(331)이 형성될 수 있어서 누수감지센서(320)의 타측이 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누수감지센서(320)는 예컨대 압전소자를 이용한 전자식 압력센서를 예로 하였다. 그러나, 누수감지센서(320)는 본 실시예서와 같이 전자식 압력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본체(2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본체(200)에서의 누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누수감지센서(320)의 일측을 전술된 바와 같이 감지부몸체(310)의 센서연결 부(312)에 연결한 상태에서 누수감지센서(320)의 타측을 밀봉부재(330)의 센서삽입구멍(331)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330)에 삽입된 누수감지센서(320)의 타측을 밀봉부재(330)와 함께 필터본체(200)의 센서삽입부(220)에 삽입한다. 이때, 누수감지센서(320)의 타측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삽입부(220)의 센서삽입구멍(221)을 통해 필터본체(200)에 형성된 유로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구(313)를 이용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감지부몸체(310)를 센서지지부(210)에 결합하면 누수감지부(300)를 필터본체(2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가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는 도4에 일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시스템(1)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는 원수압이 많이 걸리는 침전필터의 필터본체(200)에 누수감지부(300)를 설치하여 완성한 것이다. 그러나, 침전필터 이외에도 프리 카본 필터나 멤브레인 필터 또는 포스트 카본 필터 등 정수필터의 필터본체(200)에 누수감지부(300)를 설치하여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침전필터 하나에만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를 적용하였으나 둘 이상의 정수필터에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4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정수시스템(1)에서 원수(A)는 침전필터인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용 정수필터(100)에 유입되고 여과되어 1차 정수(B)로 된다. 1차 정수(B)는 원수차단 밸브(7)와 펌프(8)를 거쳐서 멤브레인 필터(2)에 유입되고 여 과되어 일부는 2차 정수(C)로 되고 나머지는 생활용수(D)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의 누수감지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6)에 의해서 원수차단 밸브(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2)에서 여과된 2차 정수(C)는 포스트 카본 필터(3)에 유입되고 여과되어 최종 정수(E)가 되어 정수탱크(4)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정수탱크(4)에 저장된 최종 정수(E)는 콕크(5)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이러한 정수시스템(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에 누수가 발생하면 필터본체(200) 내부의 유로의 압력이 강하된다. 이러한 누수에 의한 압력강하는 누수감지부(300)의 누수감지센서(320)에 의해서 감지되고, 누수감지센서(320)에서는 필터본체(200)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압력이 강하되었다는 것을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기(6)에 보낸다. 누수에 의한 압력강하에 대한 전기신호를 제어기(6)가 받으면, 제어기(6)는 원수차단 밸브(7)를 작동시켜 정수시스템(1)에 유입되는 원수(A)를 차단한다. 도4에 도시된 정수시스템(1)의 실시예에서는 원수차단 밸브(7)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의 다음에 설치되어 원수(A)가 정수시스템(1)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원수차단 밸브(7)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의 앞에 설치되어 원수(A)가 정수시스템(1)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원수(A)가 정수시스템(1)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라면 원수차단 밸브(7)의 정수시스템(1)에서의 위치는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를 정수기 또는 정 수시스템(1)에 적용하면, 필터본체(200)에서의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1)에서의 누수 발생시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1)에 유입되는 원수(A)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가 정수시스템(1)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나 완전히 연결되지 않은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의 누수감지부(300)에 정상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1)에 유입되는 원수(A)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가 정수시스템(1)에 완전히 연결된 경우에만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100)의 누수감지부(300)에 정상 압력이 가해져서 원수(A)를 정수기 또는 정수시스템(1)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에서 누수감지부를 분해한 것을 확대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종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의 일실시예를 사용한 정수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수시스템 2 : 멤브레인 필터
3 : 포스트 카본 필터 4 : 정수탱크
5 : 콕크 6 : 제어기
7 : 원수차단 밸브 8 : 펌프
100 :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200 : 필터본체
210 : 센서지지부 211: 체결구 결합구멍
220 : 센서삽입부 221,331 : 센서삽입구멍
222 : 밀봉부재 삽입부 300 : 누수감지부
310 : 감지부몸체 311 : 체결구 삽입구멍
312 : 센서연결부 313 : 체결구
320 : 누수감지센서 330 : 밀봉부재
A : 원수 B : 1차 정수
C : 2차 정수 D : 생활용수
E : 최종 정수

Claims (5)

  1.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로 배출하는 필터본체(200); 및
    상기 필터본체(200)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필터본체(200)에서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부(300)는
    상기 필터본체(200)의 외부에 형성된 센서지지부(210)에 결합되는 감지부몸체(310); 및
    일측은 상기 감지부몸체(3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필터본체(200)의 외부에 형성된 센서삽입부(220)를 통해서 상기 필터본체(20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접촉하는 누수감지센서(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부(300)는
    상기 센서삽입부(220)에 설치되는 밀봉부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200)에는 상기 누수감지부(300)와 결합되는 센서지지부(210)와,
    상기 누수감지부(300)에 포함되는 누수감지센서(320)가 삽입되는 센서삽입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320)는 전자식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KR1020080101587A 2008-10-16 2008-10-16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KR20100042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587A KR20100042439A (ko) 2008-10-16 2008-10-16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587A KR20100042439A (ko) 2008-10-16 2008-10-16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439A true KR20100042439A (ko) 2010-04-26

Family

ID=4221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587A KR20100042439A (ko) 2008-10-16 2008-10-16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24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120A1 (ko) * 2016-05-12 2017-11-16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120A1 (ko) * 2016-05-12 2017-11-16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2206C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reverse osmosis membrane
US20110138936A1 (en) Means for testing filter integrity in a liquid purification system
US20220001313A1 (en) Fuel filter device
US8836523B2 (en) Fault gas alarm system
CN109276938A (zh) 净水机及其ro膜滤芯寿命的判断方法
KR20100042439A (ko)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KR19990018165A (ko) 역삼투압 순환여과방식 정수시스템
US20070045160A1 (en) Flow directing and monitoring apparatus for use with filter system
CN213596015U (zh) 净水器的水路板及净水器
CN209027736U (zh) 一种净水器
KR20140078520A (ko) 수위감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위감지방법
CN208135971U (zh) 一种带水质传感器的过滤结构
WO2021062935A1 (zh) 一种净水机
KR20100001100U (ko) 필터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정수기
KR100794132B1 (ko) 정수기의 누수 감지 장치
KR20080095682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정수기 모니터링 장치
CN101101145A (zh) 具有安全装置的暖水管的结构
KR101700932B1 (ko) 씽크대 수전 연결형 정수기
JP4096753B2 (ja) 漏水センサー付水機器
CN116789228A (zh) 净水器和检测方法
CN220405002U (zh) 一种具备自动切换功能的反冲洗装置
KR19990032852A (ko) 정수기의 배수방법
CN217756968U (zh) 具有用于快速诊断故障部件的位置的模块的净水器装置
CN215049145U (zh) 一种净水机管路堵塞检测装置
KR100668060B1 (ko) 출수표시부가 장착된 이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