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852A - 정수기의 배수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배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852A
KR19990032852A KR1019970054025A KR19970054025A KR19990032852A KR 19990032852 A KR19990032852 A KR 19990032852A KR 1019970054025 A KR1019970054025 A KR 1019970054025A KR 19970054025 A KR19970054025 A KR 19970054025A KR 19990032852 A KR19990032852 A KR 19990032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age
flow sensor
stat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춘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852A/ko
Publication of KR1999003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85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수기의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정확하게 배출하도록 배수동작을 제어하며, 배수밸브불량, 호오스꺽임, 배수호스설치불량등을 감지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수기의 배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수기의 배수방법은,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2)와, 상기 저장탱크(22)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24)와, 상기 저장탱크(22)의 정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저장탱크(22)의 하부에 부착된 배수밸브(26)와, 상기 배수밸브(26)의 후단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플로우센서(34)와,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마이컴(28)을 구비하며, 마이컴(28)에서 배수동작을 감지하여 배수동작이 수행되면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이면 정상상태로 인식하며,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이면 저장탱크(22)의 수위를 수위센서부(24)를 사용하여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B"이상이면 배수밸브(26)의 "배수기능이상"으로 인식하고 에러표시 및 배수행정을 종료하며, 수위가 "B"이하이면 배수행정을 종료하는 제3단계; 마이컴(28)에서 배수동작을 감지하여 배수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감지된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이면 배수밸브(26)의 "누수불량"으로 인식하고 에러표시 및 경보를 수행하고,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이면 정상상태로 인식하는 제5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배수방법
본 발명은 정수기의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수기의저장탱크(22)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정확하게 배출하도록 배수동작을 제어하며, 배수밸브불량, 호오스꺽임, 배수호스설치불량등을 감지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수기의 배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수도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수기는 수도물이나 또는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라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수를 다양한 종류의 필터링 수단을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되는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중공사방식과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가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삼투압 정수기는 소위 역삼투압 필터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는 직경이 매우 작은 다수의 기공으로 형성되어서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사용되는 역삼투압 정수기의 일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를 바닥에 가라않혀 여과하기 위한 침전필터(2), 공급되는 원수의 단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단수감지스위치(4), 수도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 밸브(6)와, 공급되는 원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용의 펌프(8)와, 원수중의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선카본 필터(10)와, 상기 선카본 필터(10)를 통과한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압필터(12)와, 상기 역삼투압필터(12)를 통과하는 원수의 식수대 폐수 분리 비율을 조정하며 폐수를 방류하는 폐수밸브(14)와, 상기 역삼투압필터(12)를 통과한 식수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필터(16)와, 상기 후카본필터(16)를 통과한 원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등(18)와,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수를 방출하는 배수밸브(26)가 하부에 연결되고 측면에는 하부가 연통된 수위센서부(24)가 부착된 저장탱크(22)로 구성되어 있다. 배수밸브(26)의 하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수호스가 연결된다.
상기 원수밸브(6)는 수도꼭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적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침전필터(2)는 얇은 철망과 같은 것이 사용되며, 커다란 찌꺼기를 여과하는데 이용된다. 선카본필터(10)와 후카본필터(16)는 탄소를 주원료로 하는 활성탄과 같은 것으로서, 원수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펌프(8)는 원수를 매우 큰 고압으로 원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카본필터(16)를 통과한 정수는 후에 정수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등(18)을 통과하여 저장탱크(22)에 저장된다. 저장탱크(22)의 측면에는 정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부(24)가 더 설치되며, 하부측에는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밸브(26)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0은 체크밸브로서 저장탱크(22)에 유입된 정수가 역류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배수밸브(26)의 후단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어지는 것으로서 정수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플로우센서(34)가 더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에서 배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저장탱크(22) 내부에 저장된 정수가 완전히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것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배수동작명령이 입력되면 마이컴(28)에서는 배수밸브(26)를 개방하여 저장탱크(22) 내부의 정수를 배출한다. 이러한 배출상태에서 수위센서부(24)의 수위감지스위치(242)에 의하여 수위가 "B"를 감지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배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무조건 배수동작을 종료하였다. 따라서 배수가 완료된 후에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나 배수동작을 종료하므로 배수동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배수호스(27)의 설치위치가 양호하지 못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배수동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더라도 저장탱크(22) 내부에 물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배수동작이 종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동작수행후에 2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수위가 "B"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배수불량으로 판단하므로 고장발견 및 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더욱이 배수밸브에 누수가 발생하면 정수탱크에 물이 저장되지 않는데 종래에는 이를 검지할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배수동작상태를 파악하고 배수완료시기를 정확히 감지하여 배수동작을 제어하고 배수밸브불량, 호오스꺽임, 배수호스설치불량등을 감지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정수기의 배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의 배수방법은,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2)와, 상기 저장탱크(22)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24)와, 상기 저장탱크(22)의 정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저장탱크(22)의 하부에 부착된 배수밸브(26)와, 상기 배수밸브(26)의 후단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플로우센서(34)와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마이컴(28)을 구비하며, 마이컴(28)에서 배수동작을 감지하여 배수동작이 수행되면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이면 정상상태로 인식하며,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이면 저장탱크(22)의 수위를 수위센서부(24)를 사용하여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B"이상이면 배수밸브(26)의 "배수기능이상"으로 인식하고 에러표시 및 배수행정을 종료하며, 수위가 "B"이하이면 배수행정을 종료하는 제3단계; 마이컴(28)에서 배수동작을 감지하여 배수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감지된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이면 배수밸브(26)의 "누수불량"으로 인식하고 에러표시 및 경보를 수행하고,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이면 정상상태로 인식하는 제5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역삼투압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역삼투압정수기의 회로도,
도 3은 도 1의 저장탱크와 수위센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침전필터, 4 : 단수감지스위치,
6 : 원수밸브, 8 : 펌프,
10: 선카본필터, 12: 역삼투압필터,
14: 폐수밸브, 16: 후카본필터,
18: 살균등, 20: 체크밸브,
22: 저장탱크, 24: 수위센서부,
26: 배수밸브, 27: 배수호스,
28: 마이컴, 30: 입력부,
32: 표시부, 34: 플로우센서(F/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의 배수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정수기의 배수방법으로서 배수상태를 플로우센서를 사용하여 감지함으로서 정확한 배수동작상태를 파악하고 해결함으로서 소비자의 불만요인을 감소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배수밸브(26)의 후단에 정수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동이 있으면 온상태, 없으면 오프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센서(34)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마이컴(28)에서 정수기의 동작상태가 배수행정인가 아닌가를 감지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배수동작이 수행중이면 마이컴(28)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배수밸브(26)를 온시켜 저장탱크(22)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배출한다.
이와 동시에 마이컴(28)에서는 플로우센서(34)로부터 입력되는 정수이동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하여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플로우센서(34)가 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온상태이면 이것은 배수밸브(26)를 통하여 정수가 배출되며, 플로우센서(34)에서 이것을 감지한 것으로서 정상적인 상태로 판단하고 배수동작을 계속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배수동작이 수행되면서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가 오프상태를 감지하면 마이컴(28)에서는 배수상태를 확실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수위센서부(24)로부터 저장탱크(22)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센서부(24)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B", "L", "H" 등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수위감지스위치(242,244,246,24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감지된 수위가 "B"이상이 되면 저장탱크(22) 내부의 정수가 배수밸브(26)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혀 배출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마이컴(28)에서는 배수기능이상으로 판단하고 표시부(32)를 통하여 에러발생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동시에 마이컴(28)에서는 배수밸브(26)를 오프시켜 배수행정을 종료한다.
만일 감지된 수위가 "B" 이하가 되면 이것은 저장탱크(22) 내부의 정수가 모수 배수된 상태이므로 마이컴(28)에서는 배수행정을 종료한다. 이 때 마이컴(28)에서는 종래와 같이 정수행정을 수행하여 저장탱크(22)에 새롭게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게 된다.
배수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마이컴(28)은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이 때 감지된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가 온상태이면 배수밸브(26)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정수가 배출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마이컴(28)에서는 배수밸브(26)에 누수발생으로 판단하고 표시부(32)를 통하여 에러표시 및 경보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에러표시 및 경보발생등은 모두 표시부(32)를 통하여 수행되며, 이외에도 다양한 경보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또한 배수동작의 미수행상태에서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가 오프상태로 감지되면 마이컴(28)에서는 배수밸브(26)가 폐쇄된 상태에서 정수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음으로 정상적인 동작상태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의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정확하게 배출하도록 배수동작을 제어하며, 배수밸브불량, 호오스꺽임, 배수호스설치불량등을 감지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2)와, 상기 저장탱크(22)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24)와, 상기 저장탱크(22)의 정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저장탱크(22)의 하부에 부착된 배수밸브(26)와, 상기 배수밸브(26)의 후단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플로우센서(34)와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마이컴(28)을 구비하며,
    마이컴(28)에서 배수동작을 감지하여 배수동작이 수행되면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이면 정상상태로 인식하며,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이면 저장탱크(22)의 수위를 수위센서부(24)를 사용하여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B"이상이면 배수밸브(26)의 "배수기능이상"으로 인식하고 에러표시 및 배수행정을 종료하며, 수위가 "B"이하이면 배수행정을 종료하는 제3단계;
    마이컴(28)에서 배수동작을 감지하여 배수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감지된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이면 배수밸브(26)의 "누수불량"으로 인식하고 에러표시 및 경보를 수행하고,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이면 정상상태로 인식하는 제5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배수방법.
KR1019970054025A 1997-10-21 1997-10-21 정수기의 배수방법 KR19990032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025A KR19990032852A (ko) 1997-10-21 1997-10-21 정수기의 배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025A KR19990032852A (ko) 1997-10-21 1997-10-21 정수기의 배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852A true KR19990032852A (ko) 1999-05-15

Family

ID=6604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025A KR19990032852A (ko) 1997-10-21 1997-10-21 정수기의 배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8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505B1 (ko) * 2000-09-15 2003-07-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탈착식 저장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KR101351275B1 (ko) * 2013-03-19 2014-01-16 코웨이 주식회사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9088A (ko) * 2013-12-05 2014-01-22 코웨이 주식회사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1928A (ko) * 2015-12-16 2017-06-2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505B1 (ko) * 2000-09-15 2003-07-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탈착식 저장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KR101351275B1 (ko) * 2013-03-19 2014-01-16 코웨이 주식회사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9088A (ko) * 2013-12-05 2014-01-22 코웨이 주식회사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1928A (ko) * 2015-12-16 2017-06-2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5624B (zh) 净水器中的薄膜过滤器的自动冲洗设备
KR0175886B1 (ko) 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100235682B1 (ko) 역삼투압 순환여과방식 정수시스템
KR19990032852A (ko) 정수기의 배수방법
KR20100033109A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9980016045A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77111A (ko) 정수기필터의 막힘감지방법
KR0137769Y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원수밸브 불량감지장치
KR19990032851A (ko) 정수기의 원수밸브 불량감지방법
KR19990032853A (ko)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KR200292228Y1 (ko)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KR0167325B1 (ko) 정전발생시의 정수기 배수제어방법
KR0161641B1 (ko) 냉온정수기의 수위센서 불량감지방법
KR200203570Y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폐수재활용장치
KR100207314B1 (ko) 역삼투압정수기의 역삼투압필터 보호방법
KR0172704B1 (ko) 수압변동에 따른 정수기 제어방법
KR0150573B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불량감지장치 및 방법
KR19990012485A (ko) 정수기의 원수밸브 불량감지방법
KR0172705B1 (ko) 원수공급용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배수장치
KR0150574B1 (ko) 정수기의 정수배출장치 및 방법
KR19990012487A (ko) 냉온정수탱크를 가진 정수기의 수위제어방법
KR0178473B1 (ko) 2개의 물탱크를 가진 정수기의 수위제어방법
KR100218237B1 (ko) 역삼투압정수기의 폐수재사용방법
KR19990012486A (ko) 정수기의 배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