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853A -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853A
KR19990032853A KR1019970054026A KR19970054026A KR19990032853A KR 19990032853 A KR19990032853 A KR 19990032853A KR 1019970054026 A KR1019970054026 A KR 1019970054026A KR 19970054026 A KR19970054026 A KR 19970054026A KR 19990032853 A KR19990032853 A KR 19990032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ate
detecting
flow senso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춘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853A/ko
Publication of KR1999003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853A/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수기에서 정수행정이 수행되어도 전장품의 고장이나 필터의 막힘등으로 인하여 여과된 정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 이것을 감지하여 2차불량발생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고장에 대처함으로서 소비자의 불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은, 원수공급을 제어하는 원수밸브(6)와,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는 역삼투압필터(12)와, 상기 역삼투압필터(12)의 후단에 설치되어서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플로우센서(34)와,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마이컴(28)을 구비하며, 마이컴(28)에서 정수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정수동작중이면 플로우센서(34)의 온/오프상태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이면 정상동작으로 인식하고 정수동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이면 마이컴(28)에서 정수생성불량으로 판단하고 표시부(32)를 통하여 에러상태를 표시하는 제3단계; 및 정수동작을 중지하기 위하여 마이컴(28)에서 펌프(8)에 오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원수밸브(6)를 폐쇄하는 제4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수기에서 정수행정이 수행되어도 전장품의 고장이나 필터의 막힘등으로 인하여 여과된 정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 이것을 감지하여 2차불량발생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고장에 대처함으로서 소비자의 불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수도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수기는 수도물이나 또는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라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수를 다양한 종류의 필터링 수단을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되는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중공사방식 또는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가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삼투압 정수기는 소위 역삼투압 필터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는 직경이 매우 작은 다수의 기공으로 형성되어서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사용되는 역삼투압 정수기의 일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를 바닥에 가라앉혀 여과하기 위한 침전필터(2)와, 공급되는 원수의 단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단수감지스위치(4), 수도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 밸브(6)와, 공급되는 원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용의 펌프(8)와, 원수중의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선카본 필터(10)와, 상기 선카본 필터(10)를 통과한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압필터(12)와, 상기 역삼투압필터(12)를 통과하는 원수의 식수대 폐수 분리 비율을 조정하며 폐수를 방류하는 폐수밸브(14)와, 상기 역삼투압필터(12)를 통과한 식수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필터(16)와, 상기 후카본필터(16)를 통과한 원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등(18)과,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수를 방출하는 배수밸브(26)가 하부에 연결되고 측면에는 하부가 연통된 수위센서부(24)가 부착된 저장탱크(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수밸브(6)는 수도꼭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적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침전필터(2)는 얇은 철망과 같은 것이 사용되며, 커다란 찌꺼기를 여과하는데 이용된다. 선카본필터(10)와 후카본필터(16)는 탄소를 주원료로 하는 활성탄과 같은 것으로서, 원수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펌프(8)는 원수를 소정압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역삼투압필터는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5∼40℃의 온도 범위를 이탈하면 필터가 손상된다.
후카본필터(16)를 통과한 정수는 후에 정수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등(18)를 통과하여 정수 저장탱크(22)에 저장된다. 저장탱크(22)의 측면에는 정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부(24)가 더 설치되며, 하부측에는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밸브(26)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0은 체크밸브로서 저장탱크(22)에 유입된 정수가 역류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미설명부호 34는 플로우센서(F/S)로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기 위하여 더 추가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정수기에서는 정수동작을 수행하라는 명령이 전달되어서 전장품, 예를 들어서 원수밸브(6), 펌프(8), 폐수밸브(14)등에 전원이 인가됨에도 불구하고 여과된 정수가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원수밸브(6)가 열리지 않는 불량이 발생하거나 또는 각종 필터가 막히는 경우 또는 폐수밸브(14)가 역삼투압필터(12)를 청소하기 위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서 역삼투압필터(12)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탱크(22)로 이동되지 않고 배수되는 경우에 발생되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가 발생되면 정수행정이 수행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정수가 저장되지 않으며 또한 정수불량발생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이것을 발견하고 수동으로 정수기동작을 중지시킬 때 까지 전장품이 계속하여 작동되므로 2차적인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에서 정수행정이 수행되어도 전장품의 고장이나 필터의 막힘등으로 인하여 여과된 정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 이것을 감지하여 2차불량발생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고장에 대처함으로서 소비자의 불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은, 원수공급을 제어하는 원수밸브(6)와,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는 역삼투압필터(12)와, 상기 역삼투압필터(12)의 후단에 설치되어서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플로우센서(34)와,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마이컴(28)을 구비하며, 마이컴(28)에서 정수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정수동작중이면 플로우센서(34)의 온/오프상태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이면 정상동작으로 인식하고 정수동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이면 마이컴(28)에서 정수생성불량으로 판단하고 표시부(32)를 통하여 에러상태를 표시하는 제3단계; 및 정수동작을 중지하기 위하여 마이컴(28)에서 펌프(8)에 오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원수밸브(6)를 폐쇄하는 제4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플로우센서가 더 설치된 역삼투압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역삼투압정수기의 개락적인 블록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침전필터, 4 : 단수감지스위치,
6 : 원수밸브, 8 : 펌프,
10: 선카본필터, 12: 역삼투압필터,
14: 폐수밸브, 16: 후카본필터,
18: 살균등, 20: 체크밸브,
22: 저장탱크, 24: 수위센서부,
26: 배수밸브, 28: 마이컴,
30: 입력부, 32: 표시부,
34: 플로우센서(F/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정수기에서 여과된 정수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 이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과된 정수가 토출되는 역삼투압필터의 후단에 정수토출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플로우센서를 설치하여서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면, 먼저 마이컴(28)에서 정수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서 시작된다. 마이컴(28)에서는 정수기가 내부프로그램에 의하여 정수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면 이것을 감지한다. 정수동작은 사용자가 입력부(30)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저장탱크(22)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부(24)에 의하여 정수가 소정수위이하가 되면 정수보충을 위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정수동작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28)에서는 역삼투압필터(12)의 후단에 설치된 플로우센서(34)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플로우센서(34)는 물의 이동을 감지하면 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오프되는 온/오프스위치역할을 한다.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로 감지되면 이것은 원수밸브(6), 역삼투압필터(12)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가 배출되는 것이므로 정상적인 정수동작이 수행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마이컴(28)에서는 정상적인 동작상태로 감지하고 에러발생기록을 클리어(clear)시키고 정수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수동작은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정수동작이 중지되거나 또는 저장탱크(22)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중지된다.
정수동작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로 감지되면, 이것은 원수밸브(6)가 개방되어서 원수가 정상적으로 유입되며, 필터들을 통과하여 원수기 여과되는 상태이지만 최종적으로는 역삼투압필터(12)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토출이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수밸브(6)가 개방되지 않아서 원수공급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필터들이 이물질의 축적에 의하여 막힌 상태이거나 또는 폐수밸브(14)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탱크(22)로 이동하지 않고 직접 배출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수생성불능상태가 감지되면 마이컴(28)에서는 표시부(3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수생성불능"상태로 통보한다. 동시에 전장품에 계속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원수밸브(6), 펌프(8), 폐수밸브(14)등에 인가되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고장발생시에도 종래와 같이 전장품이 작동되어서 2차불량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에서 정수행정이 수행되어도 전장품의 고장이나 필터의 막힘등으로 인하여 여과된 정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 이것을 감지하여 2차불량발생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고장에 대처함으로서 소비자의 불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원수공급을 제어하는 원수밸브(6)와,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는 역삼투압필터(12)와, 상기 역삼투압필터(12)의 후단에 설치되어서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플로우센서(34)와,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마이컴(28)을 구비하며, 마이컴(28)에서 정수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정수동작중이면 플로우센서(34)의 온/오프상태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플로우센서(34)가 온상태이면 정상동작으로 인식하고 정수동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플로우센서(34)가 오프상태이면 마이컴(28)에서 정수생성불량으로 판단하고 표시부(32)를 통하여 에러상태를 표시하는 제3단계; 및
    정수동작을 중지하기 위하여 마이컴(28)에서 펌프(8)에 오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원수밸브(6)를 폐쇄하는 제4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KR1019970054026A 1997-10-21 1997-10-21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KR19990032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026A KR19990032853A (ko) 1997-10-21 1997-10-21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026A KR19990032853A (ko) 1997-10-21 1997-10-21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853A true KR19990032853A (ko) 1999-05-15

Family

ID=6604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026A KR19990032853A (ko) 1997-10-21 1997-10-21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8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5624B (zh) 净水器中的薄膜过滤器的自动冲洗设备
KR0175886B1 (ko) 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100235682B1 (ko) 역삼투압 순환여과방식 정수시스템
KR19990032853A (ko) 정수기의 정수불량 감지방법
KR19990032852A (ko) 정수기의 배수방법
KR19980077111A (ko) 정수기필터의 막힘감지방법
KR0137769Y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원수밸브 불량감지장치
KR0167325B1 (ko) 정전발생시의 정수기 배수제어방법
KR19990032851A (ko) 정수기의 원수밸브 불량감지방법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KR200292228Y1 (ko)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KR0172705B1 (ko) 원수공급용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배수장치
KR0172704B1 (ko) 수압변동에 따른 정수기 제어방법
KR100204291B1 (ko) 정수기의 정수동작 제어방법
KR100207314B1 (ko) 역삼투압정수기의 역삼투압필터 보호방법
KR100218237B1 (ko) 역삼투압정수기의 폐수재사용방법
KR0150574B1 (ko) 정수기의 정수배출장치 및 방법
KR0135331Y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스위치
KR19990012487A (ko) 냉온정수탱크를 가진 정수기의 수위제어방법
KR0168318B1 (ko) 정수기의 폐수처리시 소음감소장치
KR19990012485A (ko) 정수기의 원수밸브 불량감지방법
KR19990016977U (ko)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KR19980030380A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동파방지방법
KR200145020Y1 (ko) 정수탱크의 수위편차 방지장치
KR0170609B1 (ko) 정수기의 맴브레인필터 보존액 배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