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140A -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140A
KR20100042140A KR1020080101284A KR20080101284A KR20100042140A KR 20100042140 A KR20100042140 A KR 20100042140A KR 1020080101284 A KR1020080101284 A KR 1020080101284A KR 20080101284 A KR20080101284 A KR 20080101284A KR 20100042140 A KR20100042140 A KR 20100042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ight
fixing
belt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021B1 (ko
Inventor
김재한
Original Assignee
김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한 filed Critical 김재한
Priority to KR102008010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0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는, 침대 프레임; 벨트부로 사용자의 상체를 침대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하는 상체고정부; 무게조절이 가능한 무게부를 연결끈에 의해 사용자의 발과 연결하여, 무게부의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발에 인장력을 가하는 견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는, 수면 중 자연스럽게 신체를 스트레칭시키고, 성장기 청소년들의 성장판을 자극하여 키 성장을 촉진하는 장점이 있다.
키, 성장, 스트레칭, 성장판, 침대

Description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SUPPORT APPARATUS FOR HELPING GROWTH OF HEIGHT}
본 발명은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중 다리에 인장력을 가하는 장치가 설치된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키가 결정되는 요인으로는 유전, 영양, 환경, 정신적인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며, 이중 70% 이상이 후천적인 외적 요인에 속한다. 이러한 후천적인 외적 요인에 의해 다리 장골의 발육 및 척추의 발육이 저하되거나 인체의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정상적인 성장이 방해된다.
우리 인체는 뼈의 골단과 골단 사이에 있는 성장판에서 양쪽으로 성장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바르지 못한 생활자세와, 직립보행으로 인하여 하체가 중량의 상반신을 지탱함에 따라 허리와 등이 휘는 현상이 생긴다. 이로 인하여, 성장판이 압박을 받게 되어 성장촉진이 저해되는 것이다.
또한, 신체발육에 있어 잘못된 생활습관 및 자세로 인하여 다리가 휘어서 오다리나 안짱다리 등으로 불균형된 체형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신을 잡아 늘이듯이 하는 스트레칭 운동을 매일 일정 시간씩 꾸준히 하게 되면, 근육 및 골격의 신장 작용에 의해 체형도 바르게 교정될 수 있고, 성장판의 압박을 완화시켜 준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을 촉진시켜 줌으로써 키가 클 수 있도록 도와준다.
최근에는 스트레칭 운동을 물리적으로 보조하는 각종 운동기구들이 개발된 바 있다. 그 일예로, 탄성 밴드의 일단을 소정 고정체에 고정시키고 타단을 발목에 묶은 다음 손으로 탄성 밴드를 당기면서 바닥에 누워 몸무게와 늘어난 탄성 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발목을 당기는 작용을 하는 벨트 타입의 스트레칭 운동기구가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팔의 힘으로 탄성밴드를 당겨야 하는 것이므로 팔 힘이 약한 어린이 등에게는 완벽한 스트레칭 효과를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자신의 힘으로 스트레칭을 하게 함으로써 힘이 들어 쉽게 싫증이 나게 되어 중도에서 스트레칭 운동을 포기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좌우 팔 힘이 상이하여 한 쪽으로만 힘이 많이 작용하여 좌우 균일한 스트레칭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다른 일예로는, 등받침 프레임에 대해 발목 견인 프레임이 진퇴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등받침 프레임에 상체를 결박시키고 발목 견인 프레임에 발목을 결박시킨 상태에서 핸들조작으로 수나사봉의 수동 회전에 의한 암나사의 이동에 의해 발목 견인 프레임을 이동시킴으로써 발목을 견인시키는 작용을 하는 스크류 방식의 운동기구 등이 있다.
하지만, 핸들레버를 조작함에 있어서 많은 힘이 소요되고 발목의 견인시 쉽게 상체가 따라가지 못하도록 상체를 결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체결박에 따 른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장치들은 단순히 인체의 발목을 견인하는 정도로만 되어 있어 인체의 허리 및 척추 부분에 대한 유기적인 스트레칭 운동이 미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장치들은 사용자들이 일상생활 중 자연스럽게 스트레칭이 되는 것이 아니라, 따로 시간을 내서 운동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면 중 자연스럽게 신체를 스트레칭시키고, 성장기 청소년들의 성장판을 자극하여 키 성장을 촉진하는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도 허리 디스크 등으로 인한 요통이 있는 성인들에게도 척추교정용으로 사용가능한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은, 침대프레임; 벨트부로 사용자의 상체를 상기 침대프레임의 상측에 고정하는 상체고정부; 무게조절이 가능한 무게부를 연결끈에 의해 사용자의 발과 연결하여, 상기 무게부의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발에 인장력을 가하는 견인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브라켓; 상기 하부브라켓에 장착되며 내,외바퀴가 일체로 형성된 축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바퀴에는 상기 무게부가 상기 연결끈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바퀴에는 사용자의 발이 상기 연결끈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부는,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한 쌍의 발목고정양말과, 상기 한 쌍의 발목고정양말을 상호 연결하는 양말끈, 상기 양말끈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결끈이 결합되는 이동고리를 가지는 양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상체고정부는, 상기 침대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된 상부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부는 사용자의 가슴을 감싼 고정벨트와, 상기 고정벨트를 상기 상부브라켓에 연결하는 연결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는, 수면 중 성장기의 청소년의 발목을 견인하여 일상생활에서 보다 용이하게 스트레칭이 가능하며, 성장판을 자극하여 키 성장을 촉진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허리 디스크 등으로 인한 요통이 있는 성인들에게도 척추교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10)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10)의 상체고정부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1의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10)의 견인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10)의 무게부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1의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10)의 양말부의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10)는 크게 침대프레임(100)과, 상체고정부(200)와, 견인부(300)로 구성된다.
상체고정부(200)는 침대프레임(100)의 상측에 마련되어 벨트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견인부(300)는 침대프레임(100)의 하측에 마련되며 무게부(350)가 연결끈(340)에 의해 사용자의 발에 연결되어 무게부(350)의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발에 인장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침대프레임(100)은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와판(110)을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상측에 2개의 침대기둥(120)과, 하측에 2개의 침대기둥(1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와판(110)으로는 수면을 위한 침대매트리스, 매트, 온돌판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누워서 쉬거나 운동할 수 있는 헬스용 기기, 쇼파, 일정 높이를 지닌 직사각형 형태의 판체 등이 될 수 있다.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체고정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100)의 상측에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시키는 벨트부(230)를 포함하며, 침대프레임(100)의 상측에 장착되는 상부브라켓(210)도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부브라켓(210)은 금속재질의 막대로서 침대프레임(100)의 상측에 있는 2개의 침대기둥(120) 사이에 체결 고정된다.
벨트부(230)는 사용자의 가슴을 감싼 고정벨트(231)와, 고정벨트(231)를 침대프레임(100)에 연결하는 2개의 연결벨트(235)로 구성된다. 벨트부(230)는 사용자의 상체를 침대프레임(100)의 상측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벨트(231)와 연결 벨트(235)는 질기고 가볍고 얇은 천 또는 가죽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벨트(231)와 연결벨트(235)의 단부에는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착탈부재(232,236)를 갖도록 구성한다.
고정벨트(231)는 사용자의 가슴을 충분히 감쌀 수 있는 길이의 띠 형태로 마련된다. 연결벨트(235)와 고정벨트(231)는 박음질로 일체 형성되며, 연결벨트(235)의 끝단은 연결고리와 같은 걸림구(215)에 끼워져 상부브라켓(210)에 장착된다.
한편, 사용자의 발에 인장력을 가하는 견인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바퀴부(320)가 침대프레임(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무게부(350)와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양말부(360)가 연결끈(340)을 매개로 연결되고, 연결끈(340)에는 축바퀴부(320)가 개재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견인부(300)는 침대프레임(100)의 하측에 장착되는 하부브라켓(310)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축바퀴부(320)는 내,외바퀴(323,325)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브라켓(310)의 중앙측부에 축설치된다. 내,외바퀴(323,325)에는 바퀴홈이 형성되고, 각 바퀴홈에는 일단이 고정된 연결끈(340)이 권취된다. 내바퀴(323)에 감긴 연결끈(340)은 무게부(350)와 연결되며, 외바퀴(325)에 감긴 연결끈(340)은 링고리(341)을 통하여 양말부(360)와 연결된다. 양말부(360)와 축바퀴부(320) 사이의 연결끈(340)의 원활한 안내를 위해 안내롤러(330)가 하부브라켓(310)에 설치될 수 도 있다.
하부브라켓(310)은 금속재질의 판으로서 침대프레임(100)의 상측에 있는 2개의 침대기둥(120) 사이에 체결 고정된다. 하부브라켓(310)에는 축바퀴부(320)가 결합되는 축대(315)가 마련된다.
연결끈(340)에 의해 내바퀴(323)에 연결된 무게부(3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판형 무게추(351)와, 복수개의 무게추(351)에 삽입 관통되는 체결봉(354)과, 체결봉(354)과 무게추(351)를 고정시키는 조절핀(3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게추(351)는 적재가 용이하도록 직사각형의 판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무게조절이 가능하도록 단위무게를 갖는다. 무게추(351)는 정사각형이나, 원형, 다른 다각형의 판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무게추(351)에는 체결봉(354)이 삽입 관통되는 삽입공(353)과, 조절핀(357)이 끼워지는 끼움공(352)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봉(354)은 내바퀴(323)에 연결된 연결끈(340)에 결합되어 있다. 체결봉(354)은 복수개의 무게추(351)의 삽입공(353)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무게추(351)를 연결끈(34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봉(354)은 끼움공(352)에 대응되는 체결공(355)을 가진다. 조절핀(357)은 끼움공(352)과 체결공(355)에 끼워져 무게추(351)와 체결봉(354)을 고정시킨다.
연결끈(340)에 의해 외바퀴(325)에 연결된 양말부(3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한 쌍의 발목고정양말(361)과, 한 쌍의 발목고정양말(361)을 상호 연결하는 양말끈(363), 양말끈(363)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된 이동고리(365)로 구성된다.
발목고정양말(361)은 수면 중 벗겨지는 일 없이 일정한 인장력을 발을 통하여 몸 전체로 전달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발목고정양말(361)은 질기고, 가벼운 얇은 천 또는 가죽으로 마련된다. 발목고정양말(361)은 보통의 양말 모양에서 발뒤꿈 치 부분과 발등 앞부위를 잘라낸 모양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목고정양말(361)은 발목을 감쌀 수 있는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발목고정양말(361)은 발목에서 발등에 걸쳐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착탈부재(362)를 장착하여 착용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적합하게 조정가능하다. 발목고정양말(361)의 발바닥부위에는 이동고리(365)가 장착된 양말끈(363)이 결합된다.
양말끈(363)과 이동고리(365)는 사용자가 수면 중 발을 움직여 발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양쪽 발에 인장력이 고르게 전달되게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양말끈(363)은 질기고 가벼우며 매끄러운 천 또는 가죽으로 마련된다. 이동고리(365)에 양말끈(363)이 끼워져 이동고리(365)는 양말끈(363)사이를 이동가능하다. 이동고리(365)는 연결끈(340)의 끝단에 장착된 링고리(341)에 끼워져 양말부(360)를 외바퀴(325)에 연결한다.
이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를 이용한 키 성장 촉진을 위한 착용 및 사용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무게추(351)를 자신의 신체에 맞게 적절하게 체결봉(354)을 삽입 적재하고, 조절핀(357)을 끼워 고정한다. 다음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한 고정벨트(231)로 겨드랑이에 걸쳐 가슴부위를 둘러싼 후 선단의 착탈부재(232)로 결착한다. 연결벨트(235)도 일단을 상부브라켓(210)의 걸림구(215)에 끼워 자신의 체형에 맞게 길이 조정을 한 후 착탈부재(236)로 결착한다. 그리고, 발에는 무게부(350)와 연결된 발목고정양말(361)을 착용 후 수면상태에 들어간다. 사용자의 상 체는 침대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있고, 발에는 무게부(350)가 연결끈(340)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면 중 자연스럽게 지속적인 인장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스트레칭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수면 중 몸부림을 치거나 웅크리더라도 연결끈(340)이 충분히 딸려오므로 신체를 크게 속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10)는 수면 중 성장기의 청소년의 발목을 견인하여 일상생활에서 보다 용이하게 스트레칭이 가능하며, 성장판을 자극하여 키 성장을 촉진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침대에 10㎝ 정도의 추가공간을 이용하여 일반침대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키 성장을 촉진하는 기능을 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허리 디스크 등으로 인한 요통이 있는 성인들에게도 척추교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의 상체고정부의 상세도,
도 3은 도 1의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의 견인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의 무게부의 상세도,
도 5는 도 1의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의 양말부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대프레임 200 : 상체고정부
210 : 상부브라켓 230 : 벨트부
231 : 고정벨트 235 : 연결벨트
300 : 견인부 310 : 하부브라켓
320 : 축바퀴부 330 : 안내롤러
340 : 연결끈 350 : 무게부
360 : 양말부 361 : 발목고정양말

Claims (6)

  1. 침대프레임;
    벨트로 사용자의 상체를 상기 침대프레임의 상측에 고정하는 상체고정부;
    무게조절이 가능한 무게부를 연결끈에 의해 사용자의 발과 연결하여, 상기 무게부의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발에 인장력을 가하는 견인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브라켓;
    상기 하부브라켓에 장착되며 내,외바퀴가 일체로 형성된 축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바퀴에는 상기 무게부가 상기 연결끈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바퀴에는 사용자의 발이 상기 연결끈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한 쌍의 발목고정양말과, 상기 한 쌍의 발목고정양말을 상호 연결하는 양말끈, 상기 양말끈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결끈이 결합되는 이동고리를 가지는 양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하부브라켓에 장착되는 안내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고리에 결합된 상기 연결끈은 상기 안내롤러를 거쳐 상기 외바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고정부는,
    상기 침대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된 상부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사용자의 가슴을 감싼 고정벨트와, 상기 고정벨트를 상기 상부브라켓에 연결하는 연결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부는,
    복수개로 쌓아 무게조절을 하며 끼움공을 가진 무게추,
    상기 복수개의 무게추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내바퀴에 감긴 상기 연결끈과 상기 복수개의 무게추를 결합하며 상기 끼움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을 가지는 체결봉,
    상기 끼움공과 상기 체결공에 관통되어 상기 체결봉과 상기 무게추를 고정하는 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KR1020080101284A 2008-10-15 2008-10-15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KR10110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284A KR101106021B1 (ko) 2008-10-15 2008-10-15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284A KR101106021B1 (ko) 2008-10-15 2008-10-15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140A true KR20100042140A (ko) 2010-04-23
KR101106021B1 KR101106021B1 (ko) 2012-01-17

Family

ID=4221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284A KR101106021B1 (ko) 2008-10-15 2008-10-15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602B1 (ko) 2014-12-04 2017-04-12 이승호 성장촉진 및 관절과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침대
KR101666527B1 (ko) 2015-12-14 2016-10-24 권용원 뼈 성장 촉진용 임플란트 장치
KR102084013B1 (ko) 2018-11-20 2020-03-04 주식회사 지엔브이 전동식 척추 스트레칭기구
KR200493230Y1 (ko) * 2019-09-23 2021-02-22 채용수 키 성장용 보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206A (ja) * 1991-04-16 1993-10-26 Kaadeinaru Kk 伸長健康器
JPH0515970A (ja) * 1991-07-11 1993-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ツソリフロー装置
KR100603746B1 (ko) * 2003-02-10 2006-07-28 정재호 신체를 상하 양측으로 동시 견인하는 스트레칭운동 및 물리치료용 장치
KR100838059B1 (ko) * 2007-05-11 2008-06-13 임송규 자동 스트레칭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021B1 (ko)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104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US8142336B1 (en) Leg rehabilitation strap
ES2742294T3 (es) Sistema médico de apoyo para la pierna adaptado para aumentar la amplitud del movimiento de una pierna para ayudar en la curación y en el fortalecimiento de huesos, músculos y/u otros tejidos dañados, heridos y/o substituidos de la pierna
JP3180637U (ja) ストレッチャー
US20130143723A1 (en)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nd method for persons with injuries causing limited ranges of motion to one or more limbs
US20080077066A1 (en) Lewis lift AFO device
US20120123310A1 (en) Garment with lumbar traction device
US20200197743A1 (en)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retching
KR101106021B1 (ko)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JP2013523288A (ja) 脊椎牽引装置
US20090018478A1 (en) Toe lift strap
KR200460098Y1 (ko) 허리지지 벨트를 구비하는 거꾸리 운동장치
KR101297399B1 (ko)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US20230201018A1 (en) Orthopedic brac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9226844B2 (en) Apparatus for sacro-lumbar back support, reduction of load on vertebrae discs and stimulation of circulation and muscles through axial tensioning exercises
KR200493230Y1 (ko) 키 성장용 보조구
JPH08103458A (ja) 身体装着用バンド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KR200443319Y1 (ko) 바디 슬림 벨트
JP2003126295A (ja) 下半身エキスパンダー
KR200443470Y1 (ko) 자세교정기
KR101244838B1 (ko)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JP2015009133A (ja) 重力を利用する腰痛又は配隋損傷痛改善具
US20040073148A1 (en) Leg sling
US20100248914A1 (en) Exerci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