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645A - 중계기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645A
KR20100040645A KR1020080130177A KR20080130177A KR20100040645A KR 20100040645 A KR20100040645 A KR 20100040645A KR 1020080130177 A KR1020080130177 A KR 1020080130177A KR 20080130177 A KR20080130177 A KR 20080130177A KR 20100040645 A KR20100040645 A KR 20100040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control channel
base station
downlink
downlin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016B1 (ko
Inventor
김은선
김기준
김학성
천병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57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41878A2/en
Priority to US13/002,056 priority patent/US8761059B2/en
Publication of KR20100040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대역으로 전송되는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공유 채널이 전송되는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주파수 분할 방식의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상기 나머지 영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일정한 서브 프레임 주기로,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시간 분할 방식의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중계기가 LTE-A 시스템에서 도입되는 경우,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기지국과 중계기의 운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GPP LTE, 3GPP LTE-A, Control Channel, RS structure for Relay Node

Description

중계기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of relay node}
본 발명은 3GPP LTE (Long Term Evolution)시스템을 기반으로 진화하는 LTE-A (LTE-Advanced) 시스템에서 시스템에서 중계기가 사용될 경우 중계기의 제어 정보 전송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계기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LTE의 하향 링크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기본 프레임 구조는 도 1의 LTE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컨트롤이 전송되는 PDCCH (P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영역과 데이터가 전송되는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영역이 매 서브 프레임마다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되는 것을 보여준다. 기지국이 하향 링크로 신호를 전송할 때, PDCCH를 먼저 전송한 후 PDSCH를 전송한다. PDCCH에는 PDSCH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들은 PDCCH를 디코딩해야 자신의 데이터가 어떤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로 어느 영역에 전송되는지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기지국이 PDCCH를 전송할 때, 여러 단말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하는데, 이때 기지국의 각 단말의 ID를 이용하여 PDCCH를 만든다. 물론 단말들도 각자의 단말 ID (Identification) 를 이용하여 PDCCH를 디코딩 하게 된다.
하나의 기지국이 다수의 단말을 제어하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여러개의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받아 제어를 받는다. 이때, 기지국이 한 시점에 전송할 수 있는 PDCCH의 수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 각 단말에게 서로 다른 PDCCH가 미리 할당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은 각 시점에서 임의의 단말에게 임의의 PDCCH를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은 PDCCH 내에 포함된 단말 구분자(단말 ID)를 통해 그 PDCCH를 통해 전송된 제어 정보가 자신에게 해당되는 것인지를 알게 된다. 이때 각 시점에서 단말은 복수의 PDCCH에 대하여(또는 복수의 가능한 PDCCH포맷에 대해) 디코딩해보고 그 PDCCH가 자신에게 해당되는 경우 PDCCH의 제어정보를 받아 동작을 한다.
한편, 중계기는 대개의 경우 사용자 처리율 향상과 서비스 영역확장에 사용된다. 각 시스템 종류, 적용환경,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 등에 따라 그 실시 예가 차별화되기 때문에 그 변형 또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새로운 시스템에서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기지국과 중계기의 운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대역으로 전송되는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공유 채널이 전송되는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상기 나머지 영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전송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중계기에 대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공유하는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미리 단말에 전 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일정한 서브 프레임 주기로,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구간에는 상기 중계기를 위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가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방식으로 공유하는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미리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동일한 시점에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공유 채널이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상기 나머지 영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전 송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과 인터리버를 공유하며 상기 중계기를 위해 상기 인터리버의 특정 영역이 예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과 제어 채널 요소를 공유하며 상기 중계기를 위해 상기 제어 채널 요소의 일부가 예약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공유 채널이 전송되는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서브프레임마다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전송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일정 영역을 제외한 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한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전송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수신 방법은 단말에서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시간 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멀티플렉싱된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며,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영역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영역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계기와 기지국이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심볼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영역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심볼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이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중계기가 LTE-A 시스템에서 도입되는 경우,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기지국과 중계기의 운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 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중계기가 공존할 때, 중계기는 기지국에 종속된 성격을 갖는다. 중계기는 그 기능에 따라서 중계기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데, 크게 L1(Layer 1), L2(Layer 2), L3(Layer 3)의 세 가지 중계기로 나눌 수 있다. L1, L2, L3 중계기의 구분 기준은 이들의 기능과 그에 따른 통신 계층(Layer)에 따른 것이다. 물론 구체적이고 정확한 기능과 계층에 대하여 아직 정의되지 않았으나, 적어도 중계기에 포함되어야 하는 기능 및 특성에 따라서 이들 중계기의 특징 및 성격을 하향 링크를 중심으로 아래에 정리한다.
L1 중계기는 중계기가 물리 계층만을 가지고 있으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단말에게 중계할 때 별다른 프로세스, 특히 수신 신호를 디코딩 하지 않은 채 신호의 전력만 증폭하여 중계하는 기능을 갖는다. 물론 상향 링크로 신호를 중계할 때에도, 단말로부터 받은 신호를 디코딩 하지 않고 기지국에 중계하되 적절히 전송 전력을 조절(즉, 증폭)하여 신호를 중계한다.
리피터(Repeater)라고 불리우는 L1 중계기의 특징은 중계기가 신호를 디코딩하지 않으므로 중계기를 통한 기지국과 단말간의 통신 시 시간 지연이 거의 없거나 매우 짧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중계기에 특별히 추가되는 기능이 없으므로, 단말 이 중계기를 거쳐서 기지국과 통신을 할 때, 추가적인 기능 및 시그널링이 거의 필요 없게 되므로, 기지국과 단말이 중계기에 대해서 투명(transparent)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중계기가 수신 받은 신호에는 실제 정보 신호와 잡음 신호가 섞여 있는데, 중계기가 수신 신호를 단순히 증폭해서 전송할 때 잡음 신호까지 증폭되어 오히려 중계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그런데, L1 중계기를 더 세분화 할 수 있는데, 그 중 수신한 모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와 수신한 신호를 선택적으로 중계하는 스마트 중계기가 있다. 이 중계기는 주파수 선택적으로 신호를 중계한다. 이런 중계의 경우, 적어도 한 OFDM 심볼의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L1 중계기가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될 때,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조절 및 타 셀간의 간섭 문제를 위한 장치가 필요하고, 스마트 중계기의 경우 시간 지연으로 인해 나타나는 채널 품질 정보 차이 발생 등으로 측정(measurement) 등을 위한 하향 링크 기준 신호를 추가로 정의하여야 한다.
L2 중계기는 OSI-7 계층에서 정의된 계층 중 물리 계층과 링크 계층, 특히 링크 계층 중에서도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기능을 가지는 중계기이다. L2 중계기는 수신 신호를 디코딩한 후 전송하는데, 이러한 기능의 특성으로 인해 DF(Decode-and-Forward) 중계기라고도 불리 운다. 이러한 DF 동작으로 인하여, 중계기가 수신 신호를 중계할 때 AF와는 달리 잡음 신호가 증폭되어 전송되지 않고, 중계기와 단말 사이에서도 AMC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중계기의 성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중계기의 디코딩 동작으로 인하여, 중계기를 통한 기지국 과 단말 간의 통신 시 시간 지연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L2 중계기는 HARQ 및 스케줄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중계기가 수신 신호를 디코딩한 후 신호를 중계할 때, 수신 신호를 재 조합하여 하게 되고, 중계기 고유의 컨트롤 채널을 생성해서 전송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중계기 고유의 기준 신호가 전송되어야 하고, 시간 지연 문제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중계기가 고유의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고유의 컨트롤 채널을 전송 할 때, 기존 LTE 단말이 무리 없이 동작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L2 중계기의 가장 큰 특징은, 중계기가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전송한다는 것이고, 스케줄링 및 HARQ 등의 기능은 셀 구성 및 시스템 구현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즉, 독립적인 스케줄러를 가지는 L2 중계기가 있을 수도 있지만, 스케줄러는 기지국이 갖고 중계기는 스케줄러를 갖지 않는 L2 중계기가 있을 수도 있다.
L3 중계기는 기지국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이다.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고유한 셀 식별자(Cell ID)를 가지므로, 단말 입장에서는 기지국과 L3 중계기를 거의 구분하지 못하는 형태의 중계기이다.
기지국과 중계기가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기지국의 하향 링크 주파수를 이용하여,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 받고, 중계기가 단말에게 하향 링크로 신호를 송신한다. 물론, 기지국의 상향 링크 주파수를 이용하여 중계기는 단말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 받고, 중계기가 기지국에게 상향 링크로 신호를 송신한다. 이렇게 동작하는 중계기를 인대역(In-Band) 중계기라고 한다.
기지국의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 주파수와는 별개로 중계기가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주파수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즉,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하향 링크 신호는 기지국의 하향 링크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하되 중계기가 단말로 전송할 때는 별도의 중계기의 하향 링크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중계기가 기지국으로 송신할 경우에는 기지국의 상향 링크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하되, 별도의 중계기의 상향 링크 주파수를 이용하여 단말이 중계기에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이렇게 동작하는 중계기를 아웃오브대역(Out-Of-Band) 중계기라고 명명한다.
추가적으로, 아웃오브대역 중계기와 비슷하게 동작하지만, 중계기와 기지국간의 링크가 별도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기지국과 중계기의 링크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중계기와 단말, 기지국과 단말 사이만 무선으로 운영되므로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무선 자원에 대해서는 고민할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는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가 무선일 경우, 인대역 중계기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중계기와 기지국이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신호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이 필요하다. 중계기와 기지국이 이 자원을 어떤 식으로 공유하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지에 따라서 중계기의 도입으로 인한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이룰 수 있다. 중계기와 기지국이 시간-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중계기와 기지국이 서비스 하는 시간을 달리하여 자원을 사용하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방식과 중계기와 기지국이 한 시간 단위에서 동시에 서비스를 하되 주파수 자원을 달리하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방식이다. 전자에 사용되는 중계기를 TD(Time Division)-중계기라 하고, 후자에 사용되는 중계기를 FD(Frequency Division)-중계기라고 한다.
도 2, 3a 및 3b에 도시된 시스템은 기지국(eNB)과 그에 종속된 하나의 중계기(RN)가 있는 시스템이다. UE1은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서비스를 받는 단말('원홉(one-hop) UE'라 한다)를 나타내고, UE2는 중계기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멀티홉(multi-hop) UE'라 한다)를 나타낸다. 중계기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간의 신호가 몇 개의 노드 혹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서 오느냐에 따라서 투홉(two-hop) UE, 쓰리홉(three-hop) UE 등으로 표현된다. 도 2, 3a 및 3b의 서브 프레임 구조는 중계기 셀 입장에서의 서브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중계기가 TD-중계기일 경우, 중계기와 기지국 간의 자원 할당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L2 및 스마트 L1 중계기에서는 중계기 자신의 송수신 서브 프레임뿐만 아니라,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중계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이 시간으로 구분된다.
이하 하향 링크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UE2에 대해 신호가 기지국-중계기-단말(eNB-RN-UE2)의 단계를 거쳐 송수신 되므로, 이 단말은 투홉(two-hop) UE이다.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는 기지국이 중계기와 UE1에 전송하고, 또 다른 서브 프레임에서는 중계기가 UE2에 신호를 전송한다.
L2 중계기의 경우, 중계기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하면, RF 단에서 송신 신호가 수신 안테나로 흘러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수신 신호에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받는 서브 프레임과 UE2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을 구분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기지국과 중계기가 셀 식별자를 공유하므로 기지국이 UE1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중계기가 UE2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을 구분하는 TDM 방식이 적합하다.
L3 중계기 역시, 중계기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으므로, 중계기의 송 수신 서브 프레임을 시간으로 나누는 TDM 방식이 적합하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과 중계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을 서로 구분하는 방식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하 TD 중계기에 관하여는 L2 중계기를 위주로 설명한다. 중계기가 신호를 송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을 구분해야 한다는 점은 고려하지 않고 설명한다.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 중계기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중계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 기지국은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다만, 중계기와 기지국이 사용하는 서브 프레임을 구분할 때, LTE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MBSFN (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서브 프레임과 같이 PDCCH 영역의 기준 신호 및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자신의 해당 영역에 한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과 중계기가 하향 링크로 전송하는 시간을 어떻게 분배할 지는 이들이 하향 링크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반정적(semi-static)으로 일정 주기마다 분배 방식을 변경하거나 시스템에서 미리 할당해서 시그널링 해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향 링크에서도 기지국과 중계기가 서로 다른 시간 영역(예, 서브 프레임)에 상향 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도 3a 및 3b는 중계기가 FD 중계기일 경우, 중계기와 기지국 간의 자원 할당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3b에서는 하향 링크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특정 대역에서 기지국이 하향 링크로 신호를 전송하는 대역과 중계기가 하향 링크로 신호를 전송하는 대역이 구분된다. 도 3a는 특정 대역에서 기지국이 중계기와 UE1에게 신호를 전송하고, 중계기는 또 다른 대역에서 UE2에게 신호를 전송한다. 이 방식에서는 중계기가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일 시간에 서로 다른 자원 블록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게 한다. 도 3b에서는 중계기의 송신과 수신 타이밍을 구분하되, 기지국과 중계기가 서로 다른 대역에서 동시에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중계기가 송수신 대역을 달리 하더라도, 동시에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받으면서, 다른 대역으로는 UE2에게 신호를 보내는 방식이 중계기의 송수신 신호에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때, 기지국과 중계기가 FDM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을 어떻게 분배할 지는 중계기가 하향 링크로 전송하는 데이터 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반동적(semi-static)으로 일정 주기마다 분배 방식을 변경하거나 시스템에서 미리 할당하여 시그널링 해줄 수도 있다.
중계기가 사용하는 부대역은 동적 혹은 정적으로 할당될 수 있지만, 중계기 로부터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단말들이 중계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자원을 알아야 하므로 정적 할당 방식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중계기가 신호를 전송할 때, 기존의 기준 신호 및 제어 채널 정보 등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충족시키는 별도의 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한 셀에 기지국과 중계기가 공존할 때, 중계기의 하향링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는 그 목적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채널 정보 획득을 위한 공통 기준 신호와 데이터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가 있다. 전자는 단말이 하향 링크의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광대역으로 전송되어야 하고,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이라도 그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는 핸드 오버 등을 위한 측정에도 사용된다. 후자는 기지국이 하향링크를 보낼 때 해당 자원에 함께 보내는 기준 신호다. 단말은 해당 기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추정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게 된다. 이 기준 신호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에 전송되어야 한다.
중계기와 중계기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하 'R-UE' 라 한다) 사이의 채널 정보 획득 및 핸드 오버 등의 동작을 위하여 중계기는 하향 링크 기준 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더욱이 중계기가 중계기 고유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R-UE가 이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중계기 고유의 기준 신호가 반드시 필요하 다.
이하, 한 서브 프레임에 중계기와 기지국이 동시에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실시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는 기지국과 중계기가 한 서브 프레임에서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을 달리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로, 위에서 설명한 FD 중계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3a 및 3b의 경우)에 해당한다.
먼저 중계기가 L1 중계기일 경우,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그대로 R-UE에게 전송하기만 하면 된다.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얼마만큼의 전력으로 중계할 것인지, 그리고 타 셀에 대한 간섭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등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 중계기의 경우,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받은 후 적어도 한 심볼 시간 지연 후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중계기가 R-UE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타이밍은 적어도 한 서브프레임 이후에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받은 타이밍과 R-UE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타이밍이 다르므로, 이전 서브 프레임에서의 채널 정보와 이후 서브 프레임에서의 채널 정보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요인 등으로 인하여, L1 중계기의 경우에도, 중계기 고유의 하향 링크 기준 신호가 필요하다. 그런데, 중계기가 중계기 고유의 기준 신호를 전송할 때, 기존의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송해야 한다. 현재 LTE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의 제어 정보 채널 전송 영역(PDCCH)과 데이터 정보 채널 전송 영역(PDSCH)이 시간 상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특히 PDCCH는 전 대역에 걸쳐서 전송되어야 한다. 그런데, FD 중계기는 기지국과 중계기가 한 서브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자원을 활용하는 중계기이므로, 기존 LTE 단말에게 영향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중계기는 PDCCH 영역에서 중계기 고유의 어떤 신호도 전송해서는 안 된다. 또는, 상기 영역에서 기존 LTE 단말들에게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중계기 고유의 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동시에, 중계기가 할당 받은 데이터 영역에서, 기지국을 위해 할당 되어 있는 기준 신호 영역으로 기지국의 기준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도 결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계기가 전송한 데이터를 R-UE이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도 해당 데이터 영역에 중계기의 기준 신호가 필요하다. 이때는 중계기가 전용 기준 신호(Dedicated RS)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의 데이터 영역에 대하여 복수 개의 전용 기준 신호 시그널링이 정의 되어야 한다. LTE 시스템에서 전용 기준 신호는 가상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시그널링으로 정의되어 있지만, 실제로 중계기가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 개의 가상의 안테나 포트로 이를 시그널링 해 줄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중계기가 L2 중계기일 경우, 중계기는 반드시 중계기 고유의 기준 신호를 전송해야 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중계기와 R-UE 사이의 채널 상태, 할당 받은 자원의 양,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양 등을 고려하여 중계기 고유의 PDCCH를 생성하여 R-UE에게 PDCCH와 PDSCH를 정해진 영역에 전송한다. 이 경우, 중계기는 중계기가 할당 받은 특정 대역에서 해당 대역 전체에 걸쳐서 PDCCH를 전송해야 하고, 기지국의 기준 신호 구조나 PDCCH 전송 구조를 해치지 말아야 한다.
동시에, 중계기가 할당 받은 데이터 영역에, 기지국의 기준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도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 구조가 결정된다.
L3 중계기는 고유의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므로, 기지국과 동일한 대역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L3 중계기의 경우에도 ICIC (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등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기지국과 중계기가 주파수를 분할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L2 중계기와 마찬가지로, 중계기는 자신이 할당 받은 특정 대역에서 해당 대역 전체에 걸쳐서 PDCCH를 전송해야 하고, 기지국의 기준 신호 구조나 PDCCH 전송 구조를 해치지 말아야 한다.
동시에, 중계기가 할당 받은 데이터 영역에 기지국의 기준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 구조가 결정된다.
이하 FD 중계기의 경우, L1, L2 또는 L3 중계기에 적용될 수 있는 기법으로서, 도 4 내지 6을 실시 예로 하여 기지국과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 관계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은 중계기 셀 입장에서 바라본 서브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PDCCH 전송 이후의 구간이 PDSCH구간이다. 기지국이 전 대역으로 PDCCH를 전송하는 경우, PDCCH 영역은 기지국이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영역이지만, 중계기의 기준 신호 디자인 및 중계기의 종류에 따라서 중계기도 기준 신호 및 PDCCH 전송이 가능한 영역이다. 중계기가 기지국이 전송하는 PDCCH를 수신해야 한다면 중계기는 해당 PDCCH영역에서 자신의 PDCCH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그러나, 중계기가 기지국의 PDCCH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중계기가 해당 PDCCH영역에서 자신 의 PDCCH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PDCCH가 전송되는 심볼 구간에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가 PDCCH 및 기준 신호를 전 대역으로 전송하는 것은 기존 LTE 단말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도 4 내지 6의 방식은 PDSCH 영역을 기지국과 중계기가 FDM으로 공유하는 방식이다. PDSCH 영역의 서로 다른 부대역에서, 기지국은 PDSCH를 전송하고, 중계기는 자신의 PDCCH 및 PDSCH를 전송한다.
도 4는 PDSCH 영역에서 기지국과 중계기 모두 전대역에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과 중계기가 전 대역의 채널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중계기간, 기지국과 중계기간 핸드오버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기준 신호 오버헤드가 너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도 5는 기지국은 전 대역에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만, 중계기는 자신의 PDCCH 및 PDSCH 전송 할당 부대역에만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이고, 도 6은 기지국과 중계기 모두 자신의 하향 링크 신호 전송 할당 영역에만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이다.
도 4와 5과 같이 중계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역에서 기지국과 중계기 모두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기와 기지국이 모두 공용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면 중계기가 할당받은 영역에서의 기준 신호 오버헤드가 너무 커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중계기가 전송하는 데이터 수신을 위한 기준 신호는 전용(dedicated) 기준 신호형태로 전송되어야 하며, 중계기의 안테나 포트 개수에 따라서 복수 개의 전용 기준 신호가 전송되어야 한다. 복수 개의 가상 안테나 포트로 이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다.
다른 대안으로, 도 4와 같이 중계기와 기지국이 FDM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기지국만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중계기가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으로 나누어져 있고, 중계기와 기지국이 전 대역으로 공용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기와 기지국이 다른 방식으로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중계기와 기지국이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는, 기지국이 전체 안테나 포트 중 일부 안테나 포트에 대해서만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중계기가 기지국의 나머지 안테나 포트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을 빌려 중계기 안테나 포트의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만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중계기가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기지국이 전체 안테나 포트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반면, 도 5과 같이 기지국이 전 대역으로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만 중계기는 할당 받은 주파수 대역에서만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부대역에서 기지국은 전체 안테나 포트의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중계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당되어 있는 부대역에서는 기지국이 전체 안테나 포트 중 일부 안테나 포트에 대해서만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기지국의 나머지 안테나 포트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을 중계기가 빌려서 중계기 안테나 포트의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중계기와 기지국이 한 서브 프레임에서 FDM되어 있으면서 기준 신호 전송 영역도 FDM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영역에서 전체 안테나 포트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중계기는 전체 안테나 포트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 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도 6의 경우, 기지국과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 대역이 PDCCH와 PDSCH 영역에서 달라지므로 이에 대하여 단말에게 별도의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다.
도 4의 경우, 중계기와 기지국이 FDM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은 시그널링으로 모든 단말에게 알려줘야 하고, 중계기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 수 및 데이터 양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의 빈도는 결정된다. 그런데, 상기 서브 프레임의 주기가 매우 길 경우 즉, 한 번 기지국과 중계기가 FDM되는 서브 프레임 이후 다음 서브 프레임까지의 시간이 매우 길 경우, 별도의 기준 신호가 필요하다. 기지국이 전 대역으로 PDSCH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 중계기가 채널 측정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중계기의 광대역 기준 신호 전송을 허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중계기의 광대역 기준 신호를 전송 주기와 기지국과 중계기가 FDM되는 주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어야 하고, 이에 대한 시그널링도 각각 정의되어야 한다. 이때, 기지국이 전 대역으로 PDSCH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 중계기가 기준 신호를 전송할 때, 중계기가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를 위해 디자인 되어 있는 일부 기준 신호를 빌려서 중계기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기준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기준 신호를 실제 전송하는 자원 요소 영역에 중계기는 어떤 신호도 전송하지 않고, 이에 대하여 중계기로부터 서비스 받는 단말들에게 시그널링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번째로 중계기와 기지국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링크를 고려한다. 이 경우, 중계기와 기지국 간의 정보 전달은 별도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기지국과 중계기를 마치 하나의 구성 요소처럼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중계기와 R-UE간 링크의 채널 정보이다. 중계기는 자신의 고유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만 고유의 PDCCH는 전송하지 않는 방식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기지국과 중계기간 전송 지연은 거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모든 단말은 기지국이 생성한 PDCCH를 디코딩하여 자신의 제어 정보를 얻는다. 중계기가 PDCCH를 전혀 전송하지 않고 자신의 기준 신호만 전송하거나, 중계기가 기지국이 생성한 PDCCH를 중계하면서 자신의 기준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때, 기지국이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영역에 중계기는 어떤 신호도 전송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데이터 복조를 위한 기준 신호는 전용 기준 신호로 전송되어야 하며, 중계기의 안테나 포트 개수에 따라서 복수 개의 전용 기준 신호가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복수 개의 가상 안테나 포트로 이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측정을 위한 광대역 기준 신호는 기존의 구조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전송되어야 한다. 이때, PDCCH 영역의 null-CCE를 사용하는 방식, 한 서브 프레임에서 하나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L2 이하의 중계기에서 TD 중계기가 도입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L2 이하의 중계기에서 TD 중계기가 도입되면, 기지국과 중계기는 동일한 셀 식별자(ID)를 가지므로 서브 프레임은 중계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으로 나누어 진다. 물론,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야 하는 서브 프레임에 대한 고려는 하지 않는다. 기지국과 중계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 구조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질 수 있다. 매 서브 프레임마다 기지국이 기지국의 기준 신호 및/또는 PDCCH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는 중계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에서는 중계기는 기지국의 기준 신호 및 PDCCH 등을 수신할 필요가 없지만, 중계기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매 서브 프레임마다 기지국의 기준 신호 및 PDCCH를 수신해야 하는 경우(L1, L2, 유선 중계기의 경우)도 있다. 중계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의 신호를 들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중계기가 PDCCH 영역에 자신의 기준 신호 및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PDSCH 영역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은 시그널링 및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서브 프레임을 중계기가 전용으로 사용하는 서브 프레임과 기지국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서브 프레임으로 구분하는 방식, 또는 LTE 서브 프레임과 LTE-A 서브프레임으로 구분하는 방식 등이 있다. 전자의 방식에서 LTE 단말은 모든 서브 프레임에서 측정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치 LTE 시스템에서 MBSFN과 같은 동작을 하는 것이다. 후자의 방식은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LTE 단말은 서비스를 받을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먼저, 전자의 방식에서 기지국의 기준 신호 및 PDCCH 전송 구조를 설명한다. 기지국은 PDCCH 영역에서만큼은 매 서브 프레임마다 기준 신호 및 PDCCH를 전송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모든 단말은 이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할 수 있 고, 이를 이용하여 측정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자신의 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받은 특정 서브 프레임에 PDCCH와 PDSCH를 전송하면서 중계기를 위해 할당받은 서브 프레임에서 PDCCH 및 PDCCH 영역에서의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는 있다. 그러나, PDSCH 영역에서는 기준 신호를 포함한 어떤 신호도 전송할 수 없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서비스를 받는 단말은 모든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나, 중계기를 위해 할당된 서브 프레임에서만큼은 데이터 영역에서 기준 신호를 측정 및 수신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는 달리, 중계기를 위해 할당된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이 아무 신호도 전송하지 않도록 서브 프레임 구조를 디자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계기가 주어진 서브 프레임 내에서 신호를 전송할 때, 중계기가 기지국이 전송하는 신호 구조 등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가 L2 중계기일 경우에는 중계기가 고유의 PDCCH를 생성하여 기존 LTE 시스템과 비슷한 형태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후자의 방식은 전체 서브 프레임을 기지국과 중계기의 관점으로 시분할 하는 것이 아니라,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으로 시분할하는 방법이다. 이에 대한 시그널링도 상술한 중계기의 서브 프레임 시그널링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LTE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서브 프레임과 LTE-A 단말이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부터 서비스받는 서브 프레임을 나누되, 이에 대한 시그널링을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패턴으로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프레임을 구분하는 방식에 의하면, 중계기가 LTE 단말을 지원해야 한다는 제약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울 수 있다. LTE-A 단말은 중계기를 인식하도록 새로 디자인하면 되는 것이고, 중계기는 LTE-A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된 서브 프레임에서만 서비스를 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 7과 8은 TD 중계기가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과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 및 제어 정보 전송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중계기와 기지국이 TDM 형태로 신호를 전송하되, 중계기의 서브 프레임에서도 기지국이 최소한의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기지국은 모든 서브 프레임에서 PDCCH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만, 중계기는 중계기에 할당된 서브 프레임에서만 PDCCH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중계기가 중계기 서브 프레임에서만 PDCCH 및 광대역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PDCCH 및 기준 신호와 충돌이 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송해야 하며, 이를 위한 디자인이 필요하다. 다만, PDSCH 영역에서의 공용 기준 신호는 기지국 안테나 포트를 위한 기준 신호 전송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중계기가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와 기지국이 동일한 기준 신호 시퀀스를 공유하면서 서브 프레임을 달리하여 공용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는 동일 서브 프레임 내에서 기준 신호 시퀀스를 공유하지만 PDCCH 영역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와 PDSCH 영역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가 달라지는 것이다.
도 8에서는 중계기와 기지국이 TDM으로 신호를 전송하되, 도 7과는 달리 중계기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은 어떤 신호도 전송하지 않는다. 이 경우, 중계기는 기존 중계기의 PDCCH 및 기준 신호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중계기와 기지국이 동일한 기준 신호 시퀀스를 공유하면서, 서브 프레임만 달리하여 공용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중계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의 주기가 매우 길 경우 즉, 한 번 기지국과 중계기가 FDM되는 서브 프레임 이후 다음 서브 프레임까지의 시간이 매우 길 경우에는 별도의 기준 신호가 필요하다. 기지국이 전 대역으로 PDSCH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 중계기가 채널 측정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중계기의 광대역 기준 신호 전송을 허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기지국이 PDSCH를 전송하도록 할당된 서브 프레임에서 중계기가 기준 신호를 전송할 때, 중계기가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를 위해 디자인 되어 있는 일부 기준 신호를 빌려서 중계기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기준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식은 L2 중계기인 경우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중계기가 고유의 PDCCH를 생성하여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하향 링크로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할 때,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링크와 동일한 링크와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여 중계기에도 PDCCH 및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 ID와 마찬가지로 중계기의 ID를 이용하여 중계기를 하나의 단말처럼 인식하여 기지국이 PDCCH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런 방식으로 기지국이 PDCCH를 전송하면,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PDCCH를 수신 디코딩하여 해당 중계기에 할당된 하향 링크 데이터 영역을 알 수 있다. 중계기는 이를 통해서 자신 이 서비스를 해야 하는 단말의 제어 및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중계기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및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 한 후 일정 서브프레임 이후에 해당 단말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는 자신이 서비스 하는 단말를 위한 제어 정보를 재구성하여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중계기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위한 제어 정보를 미리 수신하므로, 중계기가 하향 링크로 전송해야 하는 단말들의 데이터의 양에 대해서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중계기는 미리 수신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 영역이 부족하면 기지국에게 미리 자원 요청하고, 자원 영역이 많아지면 이를 기지국에게 시그널링 하여 자원을 반납할 수 있다. 이 같은 자원 요청 및 반납은 반정적(semi-static)으로 수행하는 것이 중계기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중계기가 하향 링크로 신호를 전송할 때 기지국이 전송하는 PDCCH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중계기의 하향 링크 전송이 기지국의 PDCCH 전송이 끝나는 시점에 시작되도록 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이 방식은 중계기가 TD 중계기라면, 중계기에 할당된 서브 프레임에서도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즉, 중계기와 기지국간 서브 프레임의 구분이 마치 MBSFN과 같은 방식으로 시그널링이 될 경우에 필요한 방식이다.
도 9는 T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지국은 MBSFN 서브 프레임에도 기준 신호 등을 전송해야 하므로 중계기에 할당된 서브 프레임에도 기지국이 몇 심볼 구간 동안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신호 전송을 끝낸 직후부터 중계기는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도 10는 F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D 중계기의 경우,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이 PDCCH전송을 마친 이후 중계기가 자신의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즉, 기지국이 전 대역에 PDCCH 전송을 마친 직후, 중계기는 자신이 할당 받은 대역에서의 하향 링크 신호 전송을 시작한다. 이때, 중계기는 중계기의 PDCCH 및 PDSCH를 전송한다.
FD 중계기가 PDCCH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PDCCH를 수신 및 디코딩 한 후 다시 PDCCH를 생성하여 전송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중계기가 현재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한 PDCCH 정보는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된다.
상술한 방식이 시스템에서 지원되기 위해서는 중계기가 하향 링크 전송을 시작하는 시점(중계기의 PDCCH 전송 시작 시점), 즉 기지국이 PDCCH전송을 마치는 시점(기지국이 PDCCH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OFDM 심볼 개수)을 중계기와 단말들이 알아야 한다. 단말들이 중계기로부터 오는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중계기의 PDCCH 전송은 기지국이 PDCCH 전송을 끝낸 시점부터 시작한다. 그러나 기지국이 몇 개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PDCCH 를 전송하는 지에 관한 정보는 물리 제어 포맷 지시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로 전송되며, 이 정보는 매 서브프레임마다 달라진다.
따라서 중계기의 하향 링크 전송 시점을 단말이 알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을 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시스템에서 미리 정의된 내용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후자는 중계기와 기지국이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는 PDCCH를 몇 개의 심볼 구간 동안 전송할지 여부를 미리 결정하고, 이를 중계기와 단말에 미리 알려주는 방식이다.
기지국은 중계기를 하나의 단말처럼 인식하여 중계기의 ID를 이용하여 중계기에 PDCCH를 전송하고, 중계기는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PDCCH및 PDSCH를 이용하여 중계기가 서비스 하는 단말들을 위한 PDCCH 및 PDSCH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중계기는 서브 프레임의 타이밍을 쉬프트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들의 데이터 수신 타이밍을 n 심볼 쉬프트 하고, 마지막 n 개의 심볼에는 아무 신호도 전송하지 않음을 시그널링해주면 된다. 이 경우, 중계기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은 마지막 n개의 심볼을 수신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수신 복조할 필요가 있다.
중계기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주파수 영역은 중계기가 하향 링크로 제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허락된 구간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계기에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은 기지국이 하향 링크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PDSCH 영역에서 정의되며, 이 영역은 상위 시그널링에 의해서 동적으로 또는 정 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 방식은 상술한 FD 중계기의 경우의 기준 신호 전송 예와 같은 방식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중계기가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중계기와 기지국이 같은 타이밍에 PDCCH를 전송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즉, 기지국과 중계기가 주어진 대역 내에서 PDSCH 영역은 물론이고 PDCCH 영역까지 서로 FDM 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기지국은 PDCCH를 전 대역에 걸쳐 전송하지 않고 기지국이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대역에 한정하여 전송한다.
도 11은 F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지국과 중계기는 데이터 영역과 제어 영역에 대해 주파수 대역을 달리한다. 기지국은 먼저 중계기 ID를 이용하여 PDCCH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중계기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PDCCH를 디코딩하여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PDSCH를 수신하고 디코딩한다.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중계기는 자신이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중계기가 서비스 해야 하는 단말을 위해서 PDCCH를 새로 만들어서 전송한다. 이때, 중계기가 PDCCH 및 PDSCH를 전송하는 대역은 기지국이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대역과 완전히 구분된다.
도 11을 기지국과 중계기가 신호 전송하는 영역을 논리적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PDCCH를 전송하는 영역에서, 기지국과 중계기 모두 전 대역에 걸쳐서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상위에서 내려오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때, 기지국은 주파수 상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인터리버를 사용하여 연 속적인 제어 정보를 전 대역에 퍼트린다. 이때, 기지국과 중계기가 인터리버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전체 인터리버 중 특정 영역을 중계기를 위해 예약해 두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인터리버를 통과하기 전에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를 공유할 수도 있다. 즉, LTE의 PDCCH는 CCE로 구성되는데, 제어 정보의 양에 따라 PDCCH는 1, 2, 4, 또는 8개의 CCE로 구성된다. PDCCH는 인터리버를 통과하여 물리적 주파수에 매핑이 되어 전송되는데, 이 CCE중 일부를 중계기를 위해 예약해 둘 수 있다. 즉, N개의 CCE가 존재할 때 중계기의 PDCCH를 전송하기 위한 CCE의 개수를 예약해 두고 해당 CCE에 중계기가 PDCCH를 전송하면, R-UE들은 해당 영역의 CCE 인덱스를 디코딩함으로써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방식은 기지국과 중계기가 각각의 PDCCH 전송 대역을 물리적으로 구분하지 않고도 기지국과 중계기가 전 대역으로 PDCCH를 전송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경우, 단말이 중계기의 PDCCH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중계기도 기준 신호를 전송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null-CCE를 이용할 수도 있다.
LTE-A 시스템에서는 최대 100MHz의 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연속적인 100MHz를 얻기는 물리적으로 어려우므로,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주파수 대역을 모아서 100MHz의 대역을 만들어 하향 링크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러한 개념을 반송파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라고 한다. 중계기에도 이러한 개념을 도입하는 경우, 중계기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기존 기지국이 단말에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역과 달리하는 경우도 고려해야 한다. 아웃오브밴 드 중계기는 중계기가 하향 링크로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반송파 주파수를 기존 대역과 달리하는 경우이다. 도 11은 이러한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와 기지국은 각각 서비스해야 하는 단말의 데이터 양에 따라 동적/정적으로 전송대역을 가변시키길 수 있다.
상술한 방식과 달리, PDCCH 전송 대역과 PDSCH 전송 대역을 달리할 수도 있다.
도 12는 F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말이 PDCCH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PDCCH가 전송되는 정확한 주파수 대역을 알아야 한다. 즉, PDCCH는 전 대역에 걸쳐 퍼져서 전송되기 때문에 단말은 해당 대역 전체에 걸쳐서 PDCCH를 디코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PDCCH가 전송되는 영역의 주파수 대역은 가변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반면, PDSCH는 단말의 데이터 양 및 채널 상황 등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에게 할당하는 자원의 양이 매 서브 프레임마다 변하므로 PDSCH 영역은 매 서브 프레임마다 고정적으로 운영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기지국과 중계기가 PDCCH를 전송할 때, 기지국과 중계기가 PDCCH를 전송하는 영역(주파수 대역)은 고정적으로 운영하되, 중계기의 PDSCH 영역 크기를 가변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중계기가 중계해야 하는 데이터 양에 따라서 중계기가 하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원을 기지국이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중계기가 보내는 PDCCH 수신할 때 고정적인 대역을 통해 수신하지만, 중계기가 데이터를 보낼 경우에는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자원을 효과 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과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은 각각의 PDCCH 전송 대역에 한하여 공용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PDSCH 전송에 있어서는 전용 기준 신호를 데이터 복조를 위한 기준 신호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도 13은 F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지국이 전송하는 PDCCH는 연속적인 대역에서 전송되어야 하지만, 중계기가 전송하는 PDCCH는 여러 대역에 걸쳐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반송파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는 연속 대역을 통해 전송하되 중계기는 복수의 대역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에서 중계기가 사용하는 PDSCH 영역도 양쪽 끝 대역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단말의 PDCCH 포맷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LTE 단말은 한 쪽 대역에 전송되는 PDSCH만 수신할 수 있지만, 새로 디자인 되는 LTE-A 단말은 양쪽 대역으로 전송되는 PDSCH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계기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 릴레이 스테이션(Relay Station), 리피터(Repeater) 등을 포함한다. 또한, 중계기는 기지국과 연결된 일종의 원격 무선 요소(Remote Radio Element)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형 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서비스가 충분하지 않거나 불가능한 영역을 보완 또는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기술에 관한 것으로, 3GPP LTE, 3GPP LTE-A 등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LTE (Long Term Evolution)의 하향 링크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중계기가 TD-중계기일 경우, 중계기와 기지국 간의 자원 할당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3b는 중계기가 FD 중계기일 경우, 중계기와 기지국 간의 자원 할당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기지국과 중계기 모두 전대역에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기지국은 전 대역에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만, 중계기는 자신의 PDCCH 및 PDSCH 전송 할당 부대역에만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기지국과 중계기 모두 자신의 하향 링크 신호 전송 할당 영역에만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8은 TD 중계기가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과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 및 제어 정보 전송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T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는 F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F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F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FD 중계기의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9)

  1. 주파수 분할(Frequency Division) 방식의 중계기가 하향링크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대역으로 전송되는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공유 채널이 전송되는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상기 나머지 영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전송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중계기에 대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공유하는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미리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5. 주파수 분할(Frequency Division) 방식의 중계기가 하향링크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동일한 시점에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공유 채널이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상기 나머지 영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전송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과 인터리버를 공유하며 상기 중계기를 위해 상기 인터리버의 특정 영역이 예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과 제어 채널 요소를 공유하며 상기 중계기를 위해 상기 제어 채널 요소의 일부가 예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9. 주파수 분할(Frequency Division) 방식의 중계기가 하향링크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공유 채널이 전송되는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서브프레임마다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전송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11. 주파수 분할(Frequency Division) 방식의 중계기가 하향링크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일정 영역을 제외한 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한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일정 서브 프레임 이후에 전송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13. 시간 분할(Time Division) 방식의 중계기가 하향링크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서브 프레임 주기로,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구간에는
    상기 중계기를 위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가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방식으로 공유하는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미리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16. 단말에서 중계기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를 위한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시간 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멀티플렉싱된 상기 기지국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끝나는 시점에 상기 중계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수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는,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을 이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수신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와 기지국이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심볼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수신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심볼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이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를 위한 제어 채널의 수신 방법.
KR1020080130177A 2008-10-10 2008-12-19 중계기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 KR101527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5749 WO2010041878A2 (en) 2008-10-10 2009-10-08 Method for transmitting relay node-specific control channel
US13/002,056 US8761059B2 (en) 2008-10-10 2009-10-08 Method for transmitting relay node-specific control ch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26908P 2008-10-10 2008-10-10
US61/104,269 2008-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645A true KR20100040645A (ko) 2010-04-20
KR101527016B1 KR101527016B1 (ko) 2015-06-09

Family

ID=4221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177A KR101527016B1 (ko) 2008-10-10 2008-12-19 중계기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85A3 (ko) * 2010-06-09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Harq 프로세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315A1 (en) * 2006-01-03 2007-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relaying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WO2008115020A1 (en) * 2007-03-21 200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pp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to resource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mapp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85A3 (ko) * 2010-06-09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Harq 프로세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8948066B2 (en) 2010-06-09 2015-02-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HARQ process and apparatus using same
US9281923B2 (en) 2010-06-09 2016-03-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HARQ process and apparatus using same
US9621329B2 (en) 2010-06-09 2017-04-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HARQ process and apparatus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016B1 (ko)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91B1 (ko)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 방법
US876105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relay node-specific control channel
JP6692641B2 (ja) マシンタイプ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対応したセル間干渉制御
CA27878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29258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内の中継動作におけるリソース共有
JP6456828B2 (ja) 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及び狭帯域epdcchによるマシンタイプ通信のための仮想キャリア上のリソース割当方法
KR101887064B1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전송 방법과, 사용자기기 및 기지국
US20130343340A1 (en)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ame, and device for receiving same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ame
KR20110014101A (ko) 릴레이 백홀 자원 할당
CN102056316B (zh) 一种信道资源分配的方法、基站和中继节点
KR20110095060A (ko) 중계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심볼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083096B (zh) 回程链路上的控制信令发送及信令检测方法、系统和设备
JP622474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方法およびノード
CN101908955A (zh) 一种回程链路下行信息传输方法及设备
JP5315286B2 (ja) 無線基地局装置、無線中継局装置及び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US20120106502A1 (en) Direct Communications in Wireless Networks
CN102457910B (zh) 一种中继节点的公共搜索空间的映射方法及装置
EP19625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088312A (zh) 一种中继链路下行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CN102201857B (zh) 中继链路的控制信令发送方法、系统及装置
US201201210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for a relay backhaul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27016B1 (ko) 중계기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
KR20120000540A (ko) 릴레이 시스템의 채널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WO2010041878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relay node-specific control channel
KR20130054105A (ko) 제어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