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008A -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 - Google Patents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008A
KR20100039008A KR1020080098200A KR20080098200A KR20100039008A KR 20100039008 A KR20100039008 A KR 20100039008A KR 1020080098200 A KR1020080098200 A KR 1020080098200A KR 20080098200 A KR20080098200 A KR 20080098200A KR 20100039008 A KR20100039008 A KR 20100039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striking
measurement
frame
penetration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근
Original Assignee
윤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근 filed Critical 윤재근
Priority to KR1020080098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9008A/ko
Publication of KR2010003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격별 관입 깊이를 계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타격체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을 포함하는 타격부; 및 상기 타격부와 이격 위치되며, 상기 타격프레임에 연결되는 측정줄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길이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은 지반이나 말뚝 등에 타격을 가하여 그 지지력을 측정할 때,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깊이를 외부에서 자동으로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하고, 계측장치의 사용 기간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이나 건축 시공에 있어서, 지반이나 말뚝 등에 타격을 가하여 그 지지력을 측정할 때,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깊이를 외부에서 자동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건설공사는 미지의 지반을 대상으로 실시하므로 경제성과 안정성 및 원활한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전 계획과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구조물은 실제로 상부구조물이 시공되면서부터 구조물을 지탱하는 지반과 기초에 하향의 연직하중으로서 작용하게 되므로, 침하가 시작되며 구조물이 완공된 후에도 지속적인 하중으로 작용하여 침하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구조물의 침하에 대한 예측 및 방지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며, 그 이 전에 지반조사의 정확한 수행과, 이에 따른 기초의 정밀시공이 선행되어야 한다.
건축 공사에서 지반조사는 건설하는 구조물과 지반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 된다. 건축 구조물을 건설하는 경우는 건축 확인 신청이 필요하고, 신청시 제출하는 구조계산서에는 표준관입시험에 의하는 N값을 명기한 토질 주상도를 첨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표준관입시험은 63.5kg의 해머를 높이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정해진 규격의 원통 분리형 시료채철기(split barrel sampler)를 시추공 내에서 30cm 관입시키는데 필요한 해머 타격 횟수(N 값)를 측정하여, 그 결과로서 지반을 분류하거나 연경도를 평가하고, 나아가 지반 강도, 상대밀도, 내부마찰각 등 지반정수를 추정하며, 또한 교란된 상태의 시료를 얻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수 있는 원위치 시험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표준관입시험은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동 계측으로 N값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측정 기사의 경험과 개인차에 의해 결과가 1~2cm나 달라질 수 있으며, 착오나 기록 실수가 종종 발생될 수 있고, 63.5kg 해머 바로 옆에서 자로 측정해야 하는 매우 위험한 작업이라는 점, 수기로 기록하므로 보고서에 오류가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타격 별 관입 깊이가 자동으로 측정되도록 하는 자동 계측 장치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한편,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구조물의 침하를 막기 위한 기초로 말뚝기초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말뚝시공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중 요한 공사이다.
말뚝기초의 시공방법은 크게 기성말뚝(강관말뚝, 콘크리트말뚝 등)을 현장에서 항타장비를 이용하여 지중에 타입시키는 항타공법과, 지반을 미리 굴착하고 그 속에 철근망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선굴착공법으로 구별된다.
항타공법과 선굴착공법은 각각 장, 단점이 있으나 근래에는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른 상재하중의 증가와 시공깊이의 제한과, 특히 도심지 부근에서의 소음 및 진동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선굴착공법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시공되는 말뚝의 지지력은 사전지반조사와 상부구조물의 재하하중을 조합하여 말뚝의 근입 깊이 및 직경 등을 이용하여 결정되며, 시공 전 현장에서 대표적인 위치를 선정하여 동재하시험을 수행하여 극한지지력이 결정되어진다.
동재하시험은 말뚝에 병형률계와 가속도계를 부착하고, 항타분석기를 통하여 상기 변형률계와 가속도계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분석하고, 응력파를 산출하여, 말뚝의 지지력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말뚝에 계측 장치를 부착하고 타격을 가함으로써 말뚝의 정적 지지력을 추정할 수 있는 동재하 시험이 보급됨에 따라 말뚝 재하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동재하시험이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시험에 사용되는 변형률계와 가속도계가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들 게이지는 무게를 다는 저울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며, 만약 이 게이지가 적절한 상태를 벗어났다면, 시험 내용은 사실상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이 되기 때문에 적절한 게이지의 상태야말로 가장 중요한 요구조건이다.
그러나 항타라는 혹독한 조건하에 말뚝에 부착하여 게이지를 사용하다 보면, 그 게이지가 자체로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과도한 사용으로 게이지가 변형되면, 원래 제조할 때의 상수와는 상이한 거동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토목이나 건축 시공에 있어서, 지반이나 말뚝 등에 타격을 가하여 그 지지력을 측정할 때,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깊이를 외부에서 자동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깊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기록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깊이와, 관입되는 속도와, 관입되는 가속도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지반이나 말뚝의 지지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격별 관입 깊이를 계측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타격체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을 포함하는 타격부; 및 상기 타격부와 이격 위치되며, 상기 타격프레임에 연결되는 측정줄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길이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격체는 말뚝 또는 지반 또는 암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계측부는 모터부의 회전력을 벨트로 연결하여 상기 측정줄을 감도록 하기 위한 상기 측정줄텐션부; 상기 측정줄이 이동된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의 아날로그신호를 압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정줄텐션부는 상기 벨트가 감기는 풀리와 동력축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되는 동력회전판이 좌/우측지지대에 베어링으로 연결구성되고, 상기 동력회전판과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전달판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의 사이에 고강도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 간에 상기 고강도스프링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전달판과 연결고정된 축은 상기 동력축의 내부관통구에 위치되어 측정줄 감김뭉치부와 연결구성되며,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의 사이에 구성한 상기 고강도스프링의 밀착을 조절하도록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 사이의 간격 조절용 조절볼트를 케이스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정줄 감김뭉치부에 감기는 상기 측정줄은 텐션이 없고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와이어, 케이블, 피아노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별 관입 깊이를 계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타격체 또는, 상기 타격체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에 측정줄을 연결하는 연결 단계; 상기 타격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타격체가 타격되는 타격 단계; 상기 타격프레임과 이격 위치되는 계측부에 의하여 상기 측정줄의 이동거리가 감지되는 거리감지 단계; 및 상기 측정줄의 이동거리와, 상기 측정줄이 이동되는 시간에 의하여 상기 타격체의 관입되는 깊이가 계측되는 깊이계측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깊이계측 단계에서 계측되는 깊이가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은 지반이나 말뚝 등에 타격을 가하여 그 지지력을 측정할 때,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깊이를 외부에서 자동으로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하고, 계측장치의 사용 기간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은 지반이나 말뚝 등에 타격을 가하여 그 지지력을 측정할 때 또는, 지반이나 암반 등에 타격을 가하여 그 절삭깊이를 측정할 때,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2)이 관입되는 깊이를 외부에서 자동으로 정밀하게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격부(1), 측정줄(160) 및 계측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격부(1)는 타격프레임(2)과, 상기 타격프레임(2)을 지지하는 지지부(4)를 포함한다. 타격프레임(2)은 표준관입시험이나 동재하시험 등에 있어서, 지반이나 말뚝 등에 타격을 가하여 그 지지력을 측정할 때 또는, 지반이나 암반 등에 타격을 가하여 그 절삭깊이를 측정할 때, 타격체, 예를 들면, 암반, 시료채철기 또는 말뚝 등의 타격체에 타격을 가하는 해머 또는 굴착부 역할을 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그리고 지지부(4)는 타격프레임(2)의 일측에 위치되어, 타격프레임(2)이 승하강되도록 안내하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측정줄(160)은 텐션이 없고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와이어, 케이블, 피아노줄 등으로 구성되며, 그 일측은 타격프레임(2)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계측부(5)에 연결되어, 타격프레임(2)이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측정줄(160)이 이동되는 거리를 계 측부(5)가 계측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타격프레임(2)의 상단에 고리부(2a)를 구성하고, 상기 고리부(2a)에 측정줄(160)의 일측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부(4)의 하단에 연결 롤러부(4a)를 구성하여, 고리부(2a)에 고정된 측정줄(160)이 수직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연결 롤러부(4a)로 안내되도록 배열하고, 측정줄(160)의 타측은 계측부(5)에 연결되어, 측정줄(160)의 수직 이동거리가 계측되도록 한다.
계측부(5)는 측정줄(160)의 이동거리를 계측하는 것으로서, 타격부(1) 또는 타격부(1)에서 이격 위치된 실험실 등에 설치되며, 그 구성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줄텐션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줄텐션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계측부(5)는 작업자가 타격의 진행과 동시에 타격 깊이를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하여 알 수 있도록 하되, 비트의 진행방향을 알 수 있도록 타격프레임(2)에 측정줄(160)을 연결하여 이동되는 거리를 실시간적으로 엔코더(300)를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엔코더(300)는 측정줄(160)의 이동 등에 의해 구동된 구동축(230)의 구동속도를 검출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광학 엔코더(Optical Encoder)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엔코더(300)에서 측정된 아날로그신호는 유무선으로 디스플레이부(310: 도 2 도시)로 입력되며, 디스플레이부(310)에서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0)는 실험실 등에 설치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300)를 이용하여 깊이를 측정시에 발생이 되는 모터의 손상 및 기계장치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측정줄텐션부(290)는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사이에 고강도스프링(50)을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측정줄텐션부(290)는 모터부(200)와 엔코더(300)의 사이에 구성되어 특정 상황에서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클러치역할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측정줄텐션부(290)는 풀리(120)와 동력축(70)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되는 동력회전판(40)이 좌/우측지지대(90,100)에 베어링(60,130)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모터부(200)의 회전 동력은 풀리(120)에 감긴 벨트(110)를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풀리(120)는 클러치인 동력회전판(40)과 동력축(70)을 통해 고정되어 같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동력회전판(40)과 전달판(190)의 사이에 고강도스프링(50)을 구비하고, 접촉시켜, 두 개의 판의 동력을 고강도스프링(5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달판(190)에 고정된 축(180)은 동력축(70)의 내부관통구 내에 독립적으로 위치되며, 측정줄이 감기는 감김뭉치부(150)와 연결구성되며, 고정링(140)과 고정너트(170)로 조여 고정한다.
전달판(190)의 후면에는 동력회전판(40)과의 사이에 구성한 고강도스프 링(50)의 압착 및 밀착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스(30)를 구성하고 케이스(30)에는 조절볼트(10)와 락크 너트(20)를 구비하고 좌측지지대(90)에 볼트(80)로 고정한다.
상기 고강도스프링(50)은 전달판(190)과 동력회전판(40)의 사이에 구비되어, 두 판 사이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이러한 회전력은 스프링의 탄성력과 압착력에 의해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계측부(5)는 측정줄(160)을 일정한 토크(TORQUE)로 감으면 감긴 위치, 즉, 이동된 거리를 엔코더(300)에서 측정하도록 한다. 측정줄(160)에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동력회전판(40)과 전달판(190) 사이에 개재된 고강도스프링(50)에 의해 모터부(200)의 회전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측정줄(160)이 감기는 감김뭉치부(150)가 헛돌도록 동작한다.
전달판(190)의 후면에 위치한 조절볼트(10)를 조이면 동력회전판(40)과 전달판(190)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서, 고강도스프링(50)의 가압력, 밀착력이 커져, 측정줄(160)의 토크값이 커지고, 조절볼트(10)를 풀어주면 반대로 토크값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강도 스프링(50)를 배치하여, 토크값의 범위를 넓게하여 미세한 부분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말뚝 등의 타격체에 타격을 가하여 그 관입되는 깊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말뚝 등의 타격체에 타격부(1)의 타격프레임(2)을 위치시킨 후, 타격프레임(2)에 측정줄(160)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측정줄(160)의 타측은 지지부(4)의 하단에 구비되는 연결 롤러부(4a)를 거치면서, 계측부(5)로 안내되도록 배열한다.(S110)
그리고 계측부(5)는 타격부(1)의 운전실 또는 실험실에 배치시키고, 작업자는 타격부(1)를 작동시켜서, 타격프레임(2)이 타격체를 타격시키도록 한다.(S120)
그러면 타격체는 타격프레임(2)의 압력을 받은 만큼, 하부로 관입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타격프레임(2) 또한, 타격체를 타격시키기 직전의 위치에서, 타격체가 관입되는 위치만큼, 하부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타격프레임(2)의 위치가 이동되면, 타격프레임(2)에 고정된 측정줄(160) 또한, 이동되며, 이때, 엔코더(300)에 의하여 측정줄(160)의 이동되는 거리가 실시간으로 측정된다.(S130)
그리고 엔코더(300)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줄(160)이 이동되는 거리 및 측정줄(160)이 이동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타격체가 이동되는 거리 및 타격체가 이동되는데 걸리는 시간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치에너지 보존 이론을 적용한 하기 수학식1 및 수학식2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로 출력되게 된다.(S140)
[수학식1]
Figure 112008069977538-PAT00001
여기서,
W : 타격프레임 중량
H : 타격프레임의 낙하 높이
Rd: 지지지반 지지력
S: 타격프레임의 최종 이동 거리
이다.
[수학식2]
Figure 112008069977538-PAT00002
여기서,
G: 중력가속도
Figure 112008069977538-PAT00003
: 타격프레임 중량
Figure 112008069977538-PAT00004
: 타격체 중량
Rd: 지지지반 지지력
Figure 112008069977538-PAT00005
: 타격프레임 낙하속도
Figure 112008069977538-PAT00006
: 타격체의 지반관입 속도
이다.
이렇게 출력되는 결과값은 디스플레이부(310) 등으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작업자가 말뚝의 최종 관입량을 ㎜ 단위로 용이하게 분석하도록 구성된다.(S150)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은 지반이나 말뚝 등에 타격을 가하여 그 지지력을 측정할 때,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깊이를 외부에서 자동으로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하고, 계측장치의 사용 기간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줄텐션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줄텐션부를 분해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입 깊이 자동 계측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타격부 2: 타격프레임
2a: 고리부 4: 지지부
4a: 연결 롤러부 5: 계측부
10: 조절볼트 20: 락크 너트
30: 케이스 40: 동력회전판
50: 고강도스프링 60: 베어링
70: 동력축 80: 볼트
90: 좌측지지대 100: 우측지지대
110: 밸트 120: 풀리
130: 베어링 140: 고정링
150: 감김뭉치부 160: 측정줄
170: 고정너트 180: 축
190: 전달판 200: 모터부
230: 구동축 290: 측정줄텐션부
300: 엔코더 310: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타격별 관입 깊이를 계측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타격체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을 포함하는 타격부; 및
    상기 타격부와 이격 위치되며, 상기 타격프레임에 연결되는 측정줄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타격프레임이 관입되는 길이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는 말뚝 또는 지반 또는 암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
    모터부의 회전력을 벨트로 연결하여 상기 측정줄을 감도록 하기 위한 상기 측정줄텐션부;
    상기 측정줄이 이동된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의 아날로그신호를 압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줄텐션부는:
    상기 벨트가 감기는 풀리와 동력축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되는 동력회전판이 좌/우측지지대에 베어링으로 연결구성되고,
    상기 동력회전판과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전달판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의 사이에 고강도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 간에 상기 고강도스프링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전달판과 연결고정된 축은 상기 동력축의 내부관통구에 위치되어 측정줄 감김뭉치부와 연결구성되며,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의 사이에 구성한 상기 고강도스프링의 밀착을 조절하도록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 사이의 간격 조절용 조절볼트를 케이스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줄 감김뭉치부에 감기는 상기 측정줄은:
    텐션이 없고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와이어, 케이블, 피아노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6. 타격별 관입 깊이를 계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타격체 또는, 상기 타격체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프레임에 측정줄을 연결하는 연결 단계;
    상기 타격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타격체가 타격되는 타격 단계;
    상기 타격프레임과 이격 위치되는 계측부에 의하여 상기 측정줄의 이동거리가 감지되는 거리감지 단계; 및
    상기 측정줄의 이동거리와, 상기 측정줄이 이동되는 시간에 의하여 상기 타격체의 관입되는 깊이가 계측되는 깊이계측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계측 단계에서 계측되는 깊이가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입 깊이 자동 계측 방법.
KR1020080098200A 2008-10-07 2008-10-07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 KR20100039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00A KR20100039008A (ko) 2008-10-07 2008-10-07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00A KR20100039008A (ko) 2008-10-07 2008-10-07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008A true KR20100039008A (ko) 2010-04-15

Family

ID=4221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200A KR20100039008A (ko) 2008-10-07 2008-10-07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90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06B1 (ko) * 2013-05-03 2015-01-02 박광수 표준관입시험 자동 측정 장치
CN106638548A (zh) * 2016-10-24 2017-05-10 中国民航机场建设集团公司 一种沉管碎石桩机
KR20210143533A (ko) * 2020-05-20 2021-11-29 (주)지오뱅크 현장 조립이 가능한 지반 표준관입시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06B1 (ko) * 2013-05-03 2015-01-02 박광수 표준관입시험 자동 측정 장치
CN106638548A (zh) * 2016-10-24 2017-05-10 中国民航机场建设集团公司 一种沉管碎石桩机
KR20210143533A (ko) * 2020-05-20 2021-11-29 (주)지오뱅크 현장 조립이 가능한 지반 표준관입시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3502B2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 of piles
US7650962B2 (en) Rotary actuated seismic source and methods for continuous direct-push downhole seismic testing
KR102081802B1 (ko) 산지 내 자동 토층심도 및 강도 측정장치
CN106759318B (zh) 适用于岩质边坡支护与全程监测的智能锚索体系及其固定方法
US60821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le driving
CN207749499U (zh) 一种动力触探仪
US63495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load bearing capacity of piles
KR102024676B1 (ko) 동적 콘 관입시험기 및 지반의 강성 측정 방법
KR20100039008A (ko) 관입 깊이 자동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
JP7436321B2 (ja) 杭打設施工管理方法
CN206319317U (zh) 适用于岩质边坡支护与全程监测的智能锚索体系
KR100755351B1 (ko) 구동모터의 전류 측정값을 이용한 표준관입시험 타격수n값 도출방법 및 n값 산출장치
JPS63156110A (ja) 地盤調査方法
Cavalcante et al. Measurement of drop height and impact velocity in the Brazilian SPT system
CN110306606B (zh) 用于施工过程的桩基质量监测方法及装置
JP2015232221A (ja) 地盤調査方法および地盤調査装置
JP2022132996A (ja) 杭打設施工管理方法
CN110952602B (zh) 利用护壁套管估算桩基土的极限侧阻力的方法
Beim et al. Dynamic testing of enlarged base Franki piles
KR20080061213A (ko) 지중천공기의 운동량 측정장치와 동관입지수 측정 및적용방법
CN216474921U (zh) 饱和土地基力学性能参数测量设备
CN110306604B (zh) 用于施工过程的最优夯击参数选择方法及装置
KR20200015873A (ko) 연직배수재 시공장비의 관입력 측정장치
KR20080072773A (ko) 지중천공기의 관입 마찰력과 관입 효율의 측정장치
Rausche et al. Dynamic loading tests: a state of the art of prevention and detection of deep foundation fail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