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675A -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 Google Patents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675A
KR20100038675A KR1020080097727A KR20080097727A KR20100038675A KR 20100038675 A KR20100038675 A KR 20100038675A KR 1020080097727 A KR1020080097727 A KR 1020080097727A KR 20080097727 A KR20080097727 A KR 20080097727A KR 20100038675 A KR20100038675 A KR 20100038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ock
cassette
case
st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35189B1 (en
Inventor
박창호
정윤석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89B1/en
Publication of KR2010003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6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0Piling apparatus of which the discharge poin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to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PURPOSE: A cassette for an automatic teller machine is provided to prevent the paper medium inside a cassette from being tangled or mixed by limiting the movement of component inside the cassette. CONSTITUTION: In a cassette for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 case(20) is installed to a main body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 stack plate is moved inside of the case. A paper medium is loaded in the stack plate. An elevating mechanism transfers the stack plate up and down. A lock tool prevents the stack plate from being moved up and down. The lock mechanism limit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chanism. The lock mechanism increases the stack plate.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의 운반시 내부 부품의 임의 유동으로 인하여 카세트 내의 종이매체들이 헝클어지거나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sette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sette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that can prevent paper media in the cassette from being messed up or shuffled due to an arbitrary flow of internal components during transport of the cassette. .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 등에서 장소와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고객에게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매체를 입금 또는 출금시키거나, 잔액 확인 및 계좌 이체 등과 같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 모듈, 입금 모듈, 카드리더기, 통장정리기 등과 같이 다양한 모듈이 독립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모듈들은 메인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적절히 제어된다. In general, ATMs are devices that provide convenient financial services to customers regardless of location or time at banks or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and are used not only at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s, but also at convenience stores and public places. The trend is expanding. Such automatic teller machines may deposit or withdraw paper media such as banknotes or checks, or provide various financial services such as checking balances and transferring accounts. In additio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modules, such as withdrawal module, deposit module, card reader, bankbook organizer and the like independently, the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is properly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종이매체를 출금 모듈에 공급하거나 입금 모듈로부터 전달받아 적재하는 카세트를 포함한다. 즉, 출금 모듈은 카세트로부터 종이매체를 공급받아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부로 인출하고, 입금 모듈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부로부터 종이매체를 전달받아 카세트의 내부에 수납한다. 이러한 카세트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금융자동화기기에 종이매체를 보충하거나 회수하는 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다.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es a cassette for supplying a paper medium to a withdrawal module or receiving a stack from a deposit module. That is, the withdrawal module receives the paper medium from the cassette and withdraws it to the outsid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the deposit module receives the paper medium from the outsid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tores it inside the cassette. Such a cassette is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so that the operation of replenishing or recovering the paper medium 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그러나, 종래의 카세트는 종이매체들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운반이 이루어지나, 상기 카세트의 운반시 외부 충격, 흔들림, 구배 등으로 인하여 상기 카세트 내의 부품이 임의로 유동되면서 상기 종이매체들이 헝클어져 뒤섞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카세트를 장착하거나 또는 카세트로부터 종이매체들을 꺼내는 경우, 헝클어진 종이매체들을 정돈하는 작업이 반드시 선행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카세트의 사용 편의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정돈하기 위한 작업의 추가로 인건비가 상승될 수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ssette is carried in a state in which the paper media are accommodated therein, but the parts of the cassette are randomly flown due to external shock, shaking, and gradient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assette, and the paper media are mixed and mixed. Has a problem. Therefore, when the cassette is mounted inside the ATM or when the paper media are taken out of the cassette, the operation of arranging the matted paper media must necessarily be preceded. In addition, labor costs may rise.

본 발명은, 카세트의 운반시 카세트 내의 부품의 이동을 제한하여 카세트의 내부에 적재된 종이매체들의 헝클어짐과 뒤섞임을 방지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sette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capable of limiting the movement of parts in the cassette during transport of the cassette to prevent matting and mixing of the paper media loaded inside the cassette.

본 발명은 카세트의 운반 완료시 카세트의 내부에서 정돈된 상태의 종이매체들을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카세트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ed teller machine that can improve the ease of use of the cassette, since the paper media in the trimmed state can be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ssette when the cassette is completely transported.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종이매체가 적재되는 스택 플레이트,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상기 스택 플레이트와 연동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 기구, 및 상기 케이스의 탈거시 상기 스택 플레이트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을 제한하고,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 제한시 상기 스택 플레이트에 일정치 이상의 힘이 작용되면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락 기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 stack plate which is dispos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interior of the case is loaded with a paper medium, the case for moving the stack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mechanism provided to be interlockable with the stack plate, and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to prevent vertical flow of the stack plate when the case is removed,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is restricted, Provided is a cassette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ing a lock mechanism that raises the stack plate when an abnormal force is applied.

상기 락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을 제한하면, 상기 승강 기구와 연동되는 스택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도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 기구는 카세 트의 운반시 상기 스택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스택 플레이트의 임의 이동으로 인한 종이매체들의 헝클어짐과 뒤섞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일정치 이상의 힘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스택 플레이트가 상승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락 기구가 형성되므로, 상기 스택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종이매체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종이매체들이 잘 정돈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카세트의 운반이 완료된 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정돈된 상태의 종이매체들을 꺼낼 수 있다. When the lock mechanism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ack plate linked with the lifting mechanism may be limited. Thus, the locking mechanism can limit the movement of the stack plate during conveyance of the cassette, thereby preventing matting and mixing of the paper media due to any movement of the stack plate. In addition, since the lock mechanism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tack plate is lifted by lifting the stack plate with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paper media can be more stably stored between the stack plate and the case. Therefore, since the paper media are kept in a well-organized state inside the case,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ordered paper media in the case after the conveyance of the cassette is completed.

상기 락 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 기구와 연동되게 연결된 중계 기어, 상기 중계 기어와 치합하는 기어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락 기어, 및 상기 중계 기어와 상기 기어부를 선택적으로 치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락 기어에 연결된 락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 레버를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기어부가 상기 중계 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므로, 상기 락 기구의 작동을 원하는 시점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lock mechanism may include a relay gear rotatably disposed on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lifting mechanism, a gear unit engaged with the relay gear on one side, and a lock gear rotatab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 lock lever connected to the lock gear may be included to selectively engage the relay gear and the gear part. Therefore, since the gear part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relay gear only by a simple operation of operating the lock lever, the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can be easily and quickly controlled at a desired time.

상기 락 기어와 상기 락 레버는, 각각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작동 평면들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에 다양한 각도로 상기 락 기어와 상기 락 레버를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카세트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카세트의 설계 자유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ock gear and the lock lever may be disposed in the case such that the virtual working planes on which the respective operations are made cross each other. Therefore, since the lock gear and the lock lever can be arranged at various angles in the case, not only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cassette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design freedom of the cassette can be improved.

상기 케이스는 상기 락 기어 또는 상기 락 레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 하는 부위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 기어 또는 상기 락 레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홀부와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락 기어 또는 상기 락 레버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락 기어 또는 상기 락 레버의 회전 범위도 제한할 수 있다. The case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lock gear or the lock lever. The lock gear or the lock lever may include a guide hol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movably inserted. The guide hole and the guide protrusion as described above may not only guide the rotation of the lock gear or the lock lever, but also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lock gear or the lock lever.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에 장착시 상기 본체에 형성된 락 해제 돌기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락 레버는 상기 중계 기어와 상기 기어부의 탈거 방향으로 상기 락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락 해제 돌기와 간섭 가능하게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의 장착시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락 해제 돌기가 간섭되어 상기 락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을 제한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카세트의 탈거시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락 해제 돌기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락 해제 돌기와 상기 걸림부가 상기 카세트의 착탈시 상기 락 기구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카세트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ase may include a through hole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lock release protrusion formed in the main body when mounted to the main body. The lock lever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formed to interfere with the lock releas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n order to rotate the lock ge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lay gear and the gear portion are removed. That is, when the case is mounted, the locking portion and the lock release protrusion interfer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cking mechanism is rotated in a direction that does not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and when the cassette is removed, the locking portion and the lock release are performed. The interference of the projections is released and the lock mechanism is rotated in a direction that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Therefore, since the lock release protrusion and the locking portion automatically adjust the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when the cassette is attached or detached, the usability of the cassette can be improved.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덮는 케이스의 일측면 부위에는 상기 락 레버를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락 레버의 타측이 배치되는 레버 조작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 조작홀을 통해 상기 락 레버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락 기구의 작동을 수동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레버 조작홀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락 기구가 불필요하게 임의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ase may include a door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A lever operation hole may be formed at one side portion of the case covered by the door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lock lever is disposed to operate the lock lever. Therefore, since the lock lever can be operated through the lever operation hole, the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can be manually and conveniently adjusted. Further, since the door can block the lever operation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ck mechanism from being arbitrarily operated unnecessarily.

한편, 상기 중계 기어가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기어부와 상기 중계 기어의 접점을 중심으로 상기 접점과 상기 락 기어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연장선으로부터 상기 중계 기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접점에서의 중계 기어에 대한 접선까지의 각도가 0°보다는 크고 90°이하인 위치에 상기 기어부와 상기 중계 기어가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기어가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기어부와 상기 중계 기어의 접점을 중심으로 상기 접점에서의 중계 기어에 대한 접선으로부터 상기 중계 기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접점과 상기 락 기어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연장선까지의 각도가 90°보다는 크고 180°이하인 위치에 상기 기어부와 상기 중계 기어가 치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lay gea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lowering the stack plat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elay gear from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ntact point and the lock gear around the contact point of the gear portion and the relay gear Accordingly, the gear unit and the relay gear may be engaged at a position where the angle to the tangent to the relay gear at the contact point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90 °. Further, when the relay gea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stack plate, the contact point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elay gear from the tangent to the relay gear at the contact centered around the contact point of the gear portion and the relay gear. And the gear unit and the relay gear may be engaged at a position where an angle to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lock gear is greater than 90 ° and less than 180 °.

즉, 상기 중계 기어와 상기 기어부의 접점에서는 상기 접선의 법선 방향으로 상기 중계 기어가 상기 기어부에 힘을 전달하므로, 상기 연장선과 상기 접선의 각도가 0도 보다는 크고 90도 이하일 때 상기 중계 기어에 상기 기어부를 치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락 기어가 회전되며, 상기 연장선과 상기 접선의 각도가 90도 보다는 크고 180도 보다 작을 때 상기 중계 기어로부터 상기 기어부를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락 기어가 회전된다. 상기의 각도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 기어부와 중계 기어의 치합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중계 기어와 상기 기어부의 치합시 상기 중계 기어가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하지만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는 상기 스택 플레이트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작용시키면 가능할 수 있다. That is, at the contact point of the relay gear and the gear part, the relay gear transmits a force to the gear part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tangent, so that the angle of the extension line and the tangent is greater than 0 degrees and is less than 90 degrees to the relay gear. The lock gea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engaging the gear portion, and the lock gea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emoving the gear portion from the relay gear when the angle between the extension line and the tangent is greater than 90 degrees and smaller than 180 degrees. When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gear unit and the relay gear is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angle condition, the relay gear cannot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ack gear lowers the stack plate when the relay gear and the gear unit are engaged, but the stack plate is not rotated. It may be possible to apply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to the stack plate in the raising direction.

또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중계 기어와 상기 기어부의 치합 방향으로 상기 락 기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락 기어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중계 기어와 상기 기어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상기 락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계 기어에 상기 기어부를 치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락 기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락 기어의 회전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The lock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lock gear and the cas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ock gear in the engagement direction between the relay gear and the gear part. Therefore,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of the relay gear and the gear portion, the lock mechanism can more stably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ock ge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ear unit is meshed with the relay gear, and may also serve as 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during rotation of the lock gear.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스택 플레이트에 일측이 연결된 승강 벨트, 상기 승강 벨트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중계 기어에 적어도 하나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벨트 풀리들, 및 상기 벨트 풀리들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 풀리들에 구비된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풀리들 중에서 상기 중계 기어와 연동되는 벨트 풀리에는 상기 중계 기어와 상시 치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된 풀리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The elevating mechanism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 in the case, the elevating bel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ack plate, rotatably disposed in the cas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vating belt and at least one interlocked with the relay gear Possible belt pulleys,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provided on the belt pulleys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belt pulleys. Among the belt pulleys, a pulley gear connected to the relay gear in a manner that is always engaged with the relay gear may be formed in the belt pulley interlocked with the relay gear.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는, 락 기구에 의하여 스택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카세트의 운반시 스택 플레이트의 임의 이동으로 인한 종이매체들의 헝클어짐과 뒤섞임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카세트의 운반 성능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cassett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mited 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ack plate by the locking mechanism, the paper medi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uffled and mixed due to the random movement of the stack plate during transport of the cassette. Thereby, the carrying performance and the ease of use of the cassett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스택 플레이트의 이동을 락 기구로 제한한 상태에서 스택 플레이트에 일정 크기 이상의 상승력이 작용되면 스택 플레이트가 상승될 수 있기 때문에, 카세트의 운반시 스택 플레이트와 케이스 사이에 종이매체들을 안정적으로 보관하여 종이매체들을 잘 정돈된 상태로 운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stack plate can be raised when a certain amount of lifting force is applied to the stack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stack plate to the lock mechanism is limited, paper media between the stack plate and the case when the cassette is transported. Stable storage allows paper media to be transported in a well-ordered state.

또한, 본 발명은, 락 레버를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락 기구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락 기구를 원하는 시기에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스택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면,종이매체들을 매우 간편하게 꺼낼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adjust the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only by a simple operation of operating the lock lever, so that the lock mechanism can be easily adjusted and used at a desired time. In other words, when the stack plate is lowered, the paper media can be taken out very easily.

또한, 본 발명은, 카세트의 내부에서 종이매체들을 인출할 경우, 락 기구에 의한 승강 기구의 제한을 해제한 후 스택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카세트의 내부에서 종이매체들을 매우 간편하게 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세트의 내부에서 정돈된 상태로 종이매체들을 인출하기 때문에 종이매체들을 정리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withdrawing the paper medium from the inside of the cassette, release the restric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by the lock mechanism, and then lower the stack plate to take out the paper medium from the inside of the cassette very simply, as well as the cassette Since the paper media are pulled out in a neat manner inside, the work of arranging the paper media can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중계 기어에 기어부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락 기어에 제공되므로, 중계 기어와 기어부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락 기구의 잠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중계 기어에 기어부를 치합시키는 방향으로 락 기어를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to the lock gea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ear portion is mounted on the relay gear, the locking force of the lock mechanism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relay gear and the gear portion, and the gear to the relay gear. The lock gear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in the direction of engaging the part.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 다양한 각도로 락 기어와 락 레버가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카세트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세트의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ck gear and the lock lever can be arranged at various angles in the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improve the design freedom of the cassette but als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cassette's internal space.

또한, 본 발명은, 카세트의 장착시 금융자동화기기 본체의 락 해제 돌기와 락 레버의 걸림부가 간섭되어 중계 기어에서 기어부가 탈거되는 방향으로 락 기어가 회전되므로, 카세트의 장착시 락 기구의 잠금 상태와 풀림 상태를 자동적으로 설정하여 카세트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ck gear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ear part is removed from the relay gear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lock release protrusion of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the lock lever when the cassette is mounted, the lock mechanism of the lock mechanism and By setting the unlocked state automatically, the usability of the cassette can be impr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1)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매체를 입출금시키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고 종이매체가 내부에 수용된 카세트(10)(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paper media such as banknotes and checks, and a detachable interior of the main body 2 and having a paper media therein. Received cassettes 10 and 12.

상기 본체(2)는, 금융자동화기기(1)의 사용을 위한 각종 암호와 번호 등이 입력되는 조작부(3)와, 금융자동화기기(1)의 동작 및 조작부(3)의 입력값이 표시되는 표시부(4)와, 카드 또는 통장을 인식하는 인식부(5)와, 종이매체가 입금되는 입금부(6)와, 종이매체가 출금되는 출금부(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조작부(3), 표시부(4), 인식부(5), 입금부(6), 및 출금부(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고, 인식부(5)와 입금부(6) 및 출금부(7)의 기계적인 동작을 위하여 모터와 같은 동력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내 부에는 상기 카세트(10)(12)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카세트 수납부(11)(13)가 형성된다.The main body 2 includes an operation unit 3 for inputting various passwords and numbers for us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 an operation valu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 and an input value of the operation unit 3 to be displayed. The display unit 4 may include a display unit 4, a recognition unit 5 for recognizing a card or a bankbook, a deposit unit 6 into which a paper medium is deposited, and a withdrawal unit 7 from which a paper medium is withdrawn. In addi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operation unit 3, the display unit 4, the recognition unit 5, the depositing unit 6, and the withdrawal unit 7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2.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may be arranged for the mechanical operation of the recognition unit 5, the depositing unit 6, and the withdrawal unit 7. Inside the main body 2, there are formed cassette accommodating parts 11 and 13 in which the cassettes 10 and 12 are detachably received.

상기 카세트(10)(12)는, 상기 입금부(6)와 연결되어 종이매체가 수납되는 입금용 카세트(10)와, 상기 출금부(7)에 연결되어 종이매체가 공급되는 출금용 카세트(12)를 포함한다. 상기 입금용 카세트(10)는 입금부(6)에 연결되도록 카세트 수납부(11)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출금용 카세트(12)는 출금부(7)에 연결되도록 카세트 수납부(13)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금용 카세트(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입금용 카세트(10)에 한정되지 않고 출금용 카세트(12) 또는 입출금이 모두 가능한 입출금용 카세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cassettes 10 and 12 are connected to the depositing unit 6, the cassette 10 for receiving a paper medium, and the cassette for withdrawal connected to the withdrawal unit 7 to supply a paper medium ( 12). The deposit cassette 10 is mounted inside the cassette accommodating part 1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eposit part 6, and the cassette cassette 12 is connected to the withdrawal part 7. It is mounted inside of.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eposit cassette 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posit cassette 10, but may also be applied to the withdrawal cassette 12 or withdrawal and withdrawal cassettes capable of both withdrawal and withdrawa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세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세트의 내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스택 가이드와 스택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카세트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sett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2 from another direction, and FIG. 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5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ack guide and the stack plate in FIG. 4,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2.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10)는, 종이매체를 수용하는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이 내부에 형성되고 종이매체를 출입시키는 출입부(24)가 상부에 구비된 케이스(20)와, 상기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의 내부에 배치되어 종이매체가 적재되는 스택 플레이트(30)(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택 플레이트(30)(40)는, 상기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의 내부에 배치된 스택 가이드(30)와, 상기 스택 가이드(30)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스택 플레이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cassette 10 may include a case having a paper medium accommodating space 22 accommodating a paper medium therein and having an entrance part 24 for accessing the paper medium. 20) and stack plates 30 and 40 disposed inside the paper medium receiving space 22, on which paper media are loaded. In addition, the stack plates 30 and 40 may be disposed on the stack guide 30 disposed inside the paper medium accommodating space 22 and may be lifted up and down under the stack guide 30. Stack plate 40 may be included.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에는 종이매체가 출입되는 출입구(20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출입구(20a)에는 상기 출입부(24)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입부(24)는 종이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종이매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촉되는 두 개의 롤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부(24)는 본체(2)의 동력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카세트(10)의 장착시 본체(2)의 제 1 본체 커플러(52)에 결합되는 제 1 카세트 커플러(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카세트 커플러(50)는 상기 두 개의 롤러 부재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본체 커플러(52)는 본체(2)의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같은 동력원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0 may be formed with an entrance (20a) through which the paper medium enters, and the entrance (20a) may be arrang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ntrance (24). The entrance part 24 may include two roller members which respectively contac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per medium to move the paper medium. In addition, the access part 24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coupler 52 of the main body 2 when the cassette 10 is mounted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power source of the main body 2. It includes. The first cassette coupler 50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two roller members, and the first body coupler 52 is operative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provided in the body 2.

또한, 상기 케이스(20)의 일측면에는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을 개폐하는 도어(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6)의 일측은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6)를 회전시켜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을 개방한 다음에, 종이매체 수용공간(22)에 종이매체를 넣거나 또는 종이매체 수용공간(22)으로부터 종이매체를 꺼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6)의 타측과 상기 케이스(20)의 사이에는 도어(26)를 케이스(20)에 잠금시키는 잠금부(27)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door 26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se 20 to open and close the paper medium accommodation space 22. One side of the door 2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20. Accordingly, the paper medium accommodating space 22 may be opened by rotating the door 26, and then the paper medium may be placed in the paper medium accommodating space 22 or the paper medium may be taken out of the paper medium accommodating space 22. . In addition, a lock part 27 for locking the door 26 to the case 20 is provid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door 26 and the case 20.

상기 스택 가이드(30)는 스택 플레이트(40)의 상면에 출입부(24)로부터 들어오는 종이매체를 안내하기 위하여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의 상측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택 가이드(30)는 상기 출입부(24)와 인접한 단부로부터 소 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스택 가이드(30)의 출입부(24) 측의 단부는 케이스(20)에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택 가이드(30)는 출입부(24) 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stack guide 30 may be inclined at an upper side of the paper medium accommodating space 22 to guide the paper medium coming from the entry and exit portion 24 on the top surface of the stack plate 40. That is, the stack guide 30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an end adjacent to the access part 24, and an end portion of the stack guide 30 at the entrance part 24 side of the stack guide 30 is located on the case 20. Rotatably connected. Therefore, the stack guide 30 may be rotat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end portion of the entrance part 24 side.

상기 스택 플레이트(40)는 스택 가이드(30)의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2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택 플레이트(40)는 가이드 레일(28)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커넥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8)과 상기 레일 커넥터(42)는 스택 플레이트(4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케이스(20)와 스택 플레이트(40)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레일(28)과 레일 커넥터(42)가 서로 대응되게 두 개가 각각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The stack plate 40 is disposed horizontally below the stack guide 30, and is disposed in the paper medium accommodation space 22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The case 20 may include a guide rail 28 formed in the paper medium accommodating space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tack plate 40 may include a rail connector 42 connected to the guide rail 28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guide rail 28 and the rail connector 4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case 20 and the stack plate 40 to more stably support the stack plate 40. Hereinafter, the guide rail 28 and the rail connector 42 will be described as two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10)는, 스택 플레이트(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케이스(20)에 구비된 승강 기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기구(60)는 종이매체 수용공간(22)에 적재되는 종이매체의 양에 따라 스택 플레이트(40)를 적절히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택 플레이트(40)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4 to 6, the cassette 10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mechanism 60 provided in the case 20 to move the stack plate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lifting mechanism 60 is operatively connected with the stack plate 40 in order to properly operate the stack plate 40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per medium loaded in the paper medium accommodation space 22.

즉, 상기 승강 기구(60)는 스택 플레이트(40)에 적재되는 종이매체의 적재량이 증가됨에 따라 스택 플레이트(40)를 일정 거리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이매체 수용공간(22)으로 유입되는 종이매체의 수량에 따라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 사이의 적재 공간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기구(60)는 종이매체의 적재시 일정 시점마다 스택 플레이트(40)를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의 최고점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게 되면, 상기 스택 가이드(30)는 스택 플레이트(40)와의 간섭에 의하여 상측으로 회전되고,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의 사이에 종이매체들이 압착된다. 따라서,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 사이에 적재된 종이매체의 높이가 감소되어 종이매체 수용공간(22)에 적재되는 종이매체의 적재량이 증가될 수 있다. That is, the lifting mechanism 60 may lower the stack plate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the loading amount of the paper medium loaded on the stack plate 40 increases. Therefore, the loading space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may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per media flowing into the paper medium receiving space 22. In addition, the elevating mechanism 60 may raise the stack plate 40 to the highest point of the paper medium accommodating space 22 every time a paper medium is loaded. Then, the stack guide 30 is rotated upward by the interference with the stack plate 40, the paper medium is compressed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paper medium loaded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may be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loading amount of the paper medium loaded in the paper medium accommodation space 22.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 기구(60)는, 케이스(2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스택 플레이트(40)의 레일 커넥터(42)들에 대응되게 연결된 제 1,2 승강 벨트(61)(62), 상기 제 1,2 승강 벨트(61)(62)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도록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1,2 벨트 풀리(63)(64)들, 및 상기 제 1,2 벨트 풀리(63)(64)들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제 1,2 벨트 풀리(63)(64)들에 구비된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6, the elevating mechanism 60 is disposed in the case 2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rail connectors 42 of the stack plate 40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belts. (61) (62),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63) (64) rotatably disposed in the case (20)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belts (61, 62)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63 and 64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63 and 64.

상기 제 1 승강 벨트(61)는 스택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두 개의 레일 커넥터(4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승강 벨트(62)는 스택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두 개의 레일 커넥터(42)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된다.The first elevating belt 61 is connected to any one of two rail connectors 42 formed on the stack plate 40, and the second elevating belt 62 is two rail connectors formed on the stack plate 40. Connected with the other of 42.

상기 제 1,2 벨트 풀리(63)(64)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술하는 락 기구(70)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2 벨트 풀리(63)(64)들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는 풀리 기어(65)가 구비되고, 상기 풀리 기어(65)는 후술하는 락 기구(70)의 중계 기어(72)와 상시 치합되는 구조로 연결된다. 이하 에서는 제 1 벨트 풀리(63)들 중에서 하측에 배치된 제 1 벨트 풀리(63)에 풀리 기어(65)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제 1,2 벨트 풀리(63)(64)들 중 복수개가 락 기구(70)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벨트 풀리()와 중계 기어(72)가 기어 방식 이외의 다양한 동력 전달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63 and 64 is connected to the lock mechanism 7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63 and 64 is provided with a pulley gear 65 sharing a central axis of rotation, and the pulley gear 65 is a relay of the lock mechanism 70 described later. It is connected to the structure that is always engaged with the gear (72). Hereinafter, the pulley gear 65 is formed in the first belt pulley 63 disposed below the first belt pulley 63. However, not only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63 and 64 may be connected to the lock mechanism 70 so as to be interlockable, but the belt pulley and the relay gear 72 may have various powers other than the gear type. It may also be connected in a delivery manner.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제 1,2 벨트 풀리(63)(64)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카세트(10)의 장착시 본체(2)의 제 2 본체 커플러(68)와 결합되는 제 2 카세트 커플러(66)와, 제 2 카세트 커플러(66)가 구비된 벨트 풀리(63)와 연결되지 않은 승강 벨트(62)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63 and 64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coupler 68 of the body 2 when the cassette 10 is mounted. It may include a coupler 66,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69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lifting belt 62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belt pulley 63 provided with the second cassette coupler 66.

이하에서는, 제 1 벨트 풀리(63)들 중에서 상측에 배치된 제 1 벨트 풀리(63)에 제 2 카세트 커플러(66)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2 본체 커플러(68)는 본체(2)의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같은 동력원과 연결된다. 따라서, 카세트(10)의 장착시 제 2 본체 커플러(68)와 제 2 카세트 커플러(66)를 통하여 본체(2)의 동력이 제 1 벨트 풀리(63)로 전달된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second cassette coupler 66 is formed on the first belt pulley 63 disposed above the first belt pulley 63. The second body coupler 68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provided inside the body 2. Therefore, when the cassette 10 is mounted, power of the main body 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elt pulley 63 through the second main body coupler 68 and the second cassette coupler 66.

상기 동력전달부(69)는, 제 1 벨트 풀리(63)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축 상에 연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 1 동력전달용 풀리(69a)와, 제 2 벨트 풀리(64)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축 상에 연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 2 동력전달용 풀리(69b)와, 제 1 동력전달용 풀리(69a)와 제 2 동력전달용 풀리(69b)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용 벨트(69c)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동력전달용 풀리(69a)는 제 1,2 벨트 풀리(63)들 중에서 상측에 배치된 제 1 벨트 풀리(63)와 연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2 동력전달용 풀리(69b)는 제 2 벨트 풀리(64)들 중에서 상측에 배치된 제 2 벨트 풀리(64)와 연동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상기 동력전달부(69)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과 다른 동력 전달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69 may include a first power transmission pulley 69a and a second belt pulley 64 tha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on the same axis as at least one of the first belt pulleys 63. A power transmission belt connecting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pulley 69b arranged on the same axis as at least one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pulley 69a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pulley 69b; 69c). Hereinafter,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pulley 69a is dispos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belt pulley 63 dispos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6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pulley 69b. )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terlocked with the second belt pulley 64 disposed above the second belt pulley 64. However,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9 may transmit power in various configurations and other power transmission methods as necessary.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락 기구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락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락 기구의 풀림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카세트의 스택 플레이트가 강제로 상승될 때 락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FIG. 7 is a left side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of the lock mechanism shown in FIG. 6,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7, and FIG.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lock mechanism illustrated in FIG. 7. 10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n unlocked state of the lock mechanism shown in FIG. 6, and FIG. 11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 mechanism when the stack plate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6 is forcibly raised.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10)는, 승강 기구(60)의 작동을 필요시 제한하기 위하여 승강 기구(60)와 케이스(20) 사이에 구비된 락 기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기구(60)의 작동이 제한된 경우라도, 상기 스택 플레이트(40)에 일정치 이상의 상승력이 작용되면 스택 플레이트(4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승강 기구(60)가 작동될 수 있는 구조로 락 기구(70)가 형성될 수 있다. 6 to 11, the cassette 10 further includes a lock mechanism 70 provided between the lifting mechanism 60 and the case 20 to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60 if necessary. It may include. In addition,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chanism 60 is limited, a structure in which the elevating mechanism 60 can be operated in a direction of raising the stack plate 40 when a predetermined or more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stack plate 40. The lock mechanism 70 may be formed.

즉, 상기 락 기구(70)는, 승강 기구(60)의 제 1 벨트 풀리(63)와 연동되도록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중계 기어(72), 상기 중계 기어(72)와 치합하는 기어부(80)가 일측에 구비되고 케이스(20)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락 기어(74), 상기 기어부(80)의 착탈 동작을 조절하기 위하여 락 기어(74)에 일측이 연결된 락 레버(76), 및 락 기어(7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락 기어(74)와 케이스(20)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78)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lock mechanism 70 is a relay gear 72 and the relay gear 72 that are rotatably disposed in the case 20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belt pulley 63 of the lifting mechanism 60. The lock gear 74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case 20, and one side of the lock gear 74 is configured to adjust a detachable operation of the gear unit 80. It may include a connected lock lever 76, and an elastic member 78 provided between the lock gear 74 and the case 20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 gear 74.

상기 중계 기어(72)는 제 1 벨트 풀리(63)의 풀리 기어(65)와 상시 치합되도록 케이스(20)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계 기어(72)는 스택 플레이트(40)의 승강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하에서는, 스택 플레이트(40)의 상승시 중계 기어(7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스택 플레이트(40)의 하강시 중계 기어(7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The relay gear 72 may be disposed in the case 20 so that the relay gear 72 is always engaged with the pulley gear 65 of the first belt pulley 63. The relay gear 72 is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tack plate 40 moves up and dow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relay gear 72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tack plate 40 rises and the relay gear 72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tack plate 40 descends.

상기 락 기어(74)의 일측은 중계 기어(72)의 상부에 기어부(80)가 치합되도록 중계 기어(7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80)는 중계 기어(72)에 치합되는 랙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락 기어(74)의 타측에는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기어 힌지부(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힌지부(82)는 기어부(80)와 중계 기어(72)의 결합 부위에서 중계 기어(72)의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하지만, 락 기어(74)는 중계 기어(72)에 기어부(80)를 착탈시키는 위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One side of the lock gear 74 may be disposed above the relay gear 72 such that the gear unit 80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elay gear 72. The gear unit 80 is formed in a rack gear shape that is engaged with the relay gear 72. The other side of the lock gear 74 may be provided with a gear hinge portion 82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20. The gear hinge portion 82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relay gear 72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gear portion 80 and the relay gear 72. However, the lock gear 74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at a position where the gear unit 80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relay gear 72.

도 9를 참조하면, 락 기어(74)와 락 레버(76)는 작동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작동면(B-B)(C-C)이 서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케이스(2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20)에 다양한 각도로 락 기어(74)와 락 레버(76)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기구(60)의 벨트 풀리(63)(64)들이 배치된 케이스(20)의 좌측면에 락 기어(74)가 배치되고, 케이스(20)의 전면에 락 레버(76)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락 기어(74)와 락 레버(76)는 서로 직교되는 형상으로 케이스(20)의 전방 좌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그러나, 락 기어(74)와 락 레버(76)는 카세트(10)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각도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lock gear 74 and the lock lever 76 may be disposed in the case 20 in a shape in which virtual operating surfaces B-B and C-C on which the operation is performed cross each other. That is, the lock gear 74 and the lock lever 76 may be arranged at various angles in the case 20.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 gear 74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ase 20 in which the belt pulleys 63 and 64 of the elevating mechanism 60 are disposed, and the lock lever () on the front of the case 20. It will be described that 76 is dispos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the lock gear 74 and the lock lever 76 are disposed at the front left corner of the case 20 in a shape orthogonal to each other. However, the lock gear 74 and the lock lever 76 may be arranged to cross at various angles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cassette 10.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락 레버(76)는 락 기어(74)의 회전 동작을 조작하기 위하여 락 기어(74)에 일측이 연결됨과 아울러 케이스(20)의 외측에 타측이 조작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락 레버(76)의 일측에는 락 기어(74)에 형성된 연결홀(84)에 삽입되는 연결 돌기(9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락 레버(76)의 타측에는 케이스(20)에 형성된 레버 조작홀(20b)에 배치되는 조작 돌기(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 레버(76)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힌지부(92)가 구비될 수 있다. 6 to 11, the lock lever 76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ck gear 74 and the other side may be operat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20 to manipulate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lock gear 74. Is placed. That is, one side of the lock lever 76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rotrusion 94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84 formed in the lock gear 74, the case 20 on the other side of the lock lever 76 An operation protrusion 90 disposed in the lever operation hole 20b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 lever hinge portion 92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20 may be provid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ck lever 76.

상기 연결홀(84)은 락 레버(76)와 락 기어(74)의 작동시 전후방향으로 연결 돌기(94)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 돌기(94)보다 전후방향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돌기(94)는 락 레버(76)와 락 기어(74)의 작동시 연결홀(8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hole 84 may be formed larg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connection protrusion 94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on protrusion 94 does not occur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lock lever 76 and the lock gear 74 are operated. . In addition, the connection protrusion 94 may be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hole 84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ock lever 76 and the lock gear 74.

상기 레버 조작홀(20b)은 케이스(20)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데, 도어(26)가 덮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6)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락 레버(76)의 조작이 불가능하고, 도어(26)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락 레버(76)의 조작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 돌기(90)는 레버 조작홀(20b)의 안쪽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조작홀(20b)은 조작 돌기(90)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ver manipulation hole 20b is formed at the left side of the case 20, and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vered by the door 26. Therefore, operation of the lock lever 76 is impossible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6 is closed, and operation of the lock lever 76 is possible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6 is opened. The manipulation protrusion 90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lever manipulation hole 20b. The lever manipulation hole 20b may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moothly operate the manipulation protrusion 90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락 기어(74)와 락 레버(76)에는 가이드 홀부(86)(96)가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20)에는 가이드 홀부(86)(96)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87)(97)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부(86)(96)는 락 기어(74)와 락 레버(76)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는 호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87)(97)는 락 기구(70)의 작동시 가이드 홀부(86)(96)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홀부(86)(96)에 관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87)(97)는 락 기어(74)와 락 레버(76)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홀부(86)(96)를 관통한 단부에 와셔(100)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 홀부(86)(96)와 가이드 돌기(87)(97)는 락 기어(74)와 락 레버(76)의 회전 동작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락 기어(74)와 락 레버(76)의 동작 범위도 제한할 수 있다. Meanwhile, guide holes 86 and 96 may be formed in the lock gear 74 and the lock lever 76, and guide protrusions 87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86 and 96 in the case 20. 97) can be formed. The guide holes 86 and 96 are elongat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lock gear 74 and the lock lever 76. The guide protrusions 87 and 97 are disposed to penetrate the guide hole portions 86 and 96 so that the guide protrusions 87 and 97 can move along the guide hole portions 86 and 96 when the lock mechanism 70 is operated. The guide protrusions 87 and 97 are provided with washers 100 at ends penetrating through the guide holes 86 and 96 to prevent any separation of the lock gear 74 and the lock lever 76. The guide holes 86 and 96 and the guide protrusions 87 and 97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not only guide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lock gear 74 and the lock lever 76, but also the lock gear 74 and The operating range of the lock lever 76 can also be limited.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의 좌측면에는 락 레버(76)와 대응하는 부위에 관통홀(20c)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2)의 카세트 수납부(11)에는 카세트(10)의 장착시 관통홀(20c)에 삽입되는 락 해제 돌기(10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 레버(76)는 카세트(10)의 장착시 락 해제 돌기(102)와 간섭될 수 있도록 관통홀(20c)과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걸림부(9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부(98)는 락 레버(76)에서 관통홀(20c)과 대응되는 부위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카세트(10)의 장착시 락 해제 돌기(102)와 걸림부(98)의 간섭에 의하여 레버 힌지부(92)를 중심으로 락 레버(76)가 시계 방향으로 강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의 카세트 수납부(11)에 카세트(10)가 장착되면, 락 해제 돌기(102)와 걸림부(98)의 간섭으로 인하여 중계 기어(72)에서 기어부(80)를 탈거시키는 시계 방향으로 락 기어(74)가 회전된다.1 to 7, a through hole 20c may b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 lever 76 on the left side of the case 20, and the cassette accommodating portion 11 of the main body 2 may be formed. It may be provided with a lock release projection 10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c when the cassette 10 is mounted. In addition, the lock lever 76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98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0c so that the lock lever 76 may interfere with the lock release protrusion 102 when the cassette 10 is mounted. The locking portion 98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ck lever 76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0c. When the cassette 10 is mounted, the lock lever 76 may be forcibly rotated clockwise about the lever hinge portion 92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ock release protrusion 102 and the locking portion 98. Therefore, when the cassette 10 is mounted on the cassette accommodating portion 11 of the main body 2, the gear unit 80 may be removed from the relay gear 72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ock release protrusion 102 and the locking portion 98. The lock gear 74 is rotated clockwise to remove.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78)는 중계 기어(72)에 기어 부(80)를 장착시키는 시계 방향으로 락 기어(74)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탄성부재(78)는 다양한 재질과 구조로 형성된 탄성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8)는 중계 기어에 기어부를 치합시키는 방향으로 락 기어(74)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중계 기어(72)와 기어부(80)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락 기구(70)의 잠금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락 기어(74)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의 역할도 수행될 수 있다. 6 to 11, the elastic member 78 may include a coil spring that supports the lock gear 74 in a clockwise direction in which the gear part 80 is mounted on the relay gear 72. However, the elastic member 78 may include an elastic body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structures. Therefore, since the elastic member 78 provides the elastic force to the lock gear 7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ear portion is meshed with the relay gear,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relay gear 72 and the gear portion 80 is increased to lock mechanism 70.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locking performance, the role of the return spring providing the return force to the lock gear 74 can also be performed.

도 8을 참조하면, 락 기어(74)의 기어부(80)가 중계 기어(72)에 치합되면, 중계 기어(72)와 기어부(80)의 치합된 부위에 접점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에서는 중계 기어(72)의 치형에 대한 접선(E-E)(E′-E′)의 법선 방향으로 중계 기어(72)가 기어부(80)에 소정의 힘을 전달한다. 접점과 기어 힌지부(82)를 연결한 선분이 연장선(D-D)(D′-D′)이고, 연장선(D-D)(D′-D′)과 접선(E-E)(E′-E′)의 중간에 끼인 각도가 설정각도(θ)(θ′)라고 하면, 상기 설정각도(θ)(θ′)에 따라 기어부(80)와 중계 기어(72)의 치합 위치가 결정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gear part 80 of the lock gear 74 is engaged with the relay gear 72, a contact point is formed at the engaged part of the relay gear 72 and the gear part 80. At the contact point, the relay gear 72 transmits a predetermined force to the gear unit 80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tangent E-E (E'-E ') with respect to the teeth of the relay gear 72.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ontact and the gear hinge portion 82 is the extension line DD (D′-D ′), and the extension line DD (D′-D ′) and the tangent EE (E′-E ′). If the angle sandwiched in the middle is the set angle θ (θ ′),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gear unit 80 and the relay gear 7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angle θ (θ ').

상기 설정각도(θ)(θ′)는 접점을 중심으로 연장선(D-D)(D′-D′)에서 중계 기어(7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접선(E-E)(E′-E′)까지의 각도이다. The set angle θ (θ ′) is a distance from the extension line DD (D′-D ′) to the tangent EE (E′-E ′)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elay gear 72 around the contact point. Angle.

즉, 상기 스택 플레이트(40)를 하강시키는 시계 방향으로 중계 기어(72)가 정회전되는 경우, 상기 설정각도(θ)는 접점을 중심으로 연장선(D-D)에서 중계 기어(72)의 회전 방향, 즉 시계 방향을 따라 접선(E-E)까지 이격된 각도이다. 상기 설정각도(θ)가 0°보다는 크고 90°이하이면 상기 락 기어(74)에 의해 상기 중계 기어(72)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왜냐하면, 중계 기어(72)와 기어부(80)에 의하 여 락 기어(74)는 기어 힌지부(8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나, 가이드 홀부(86)와 가이드 돌기(87)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되기 때문이다. That is, when the relay gear 72 is rotated forwar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lowering the stack plate 40, the set angle θ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elay gear 72 at the extension line DD around the contact point, That is, the angle is spaced apart to the tangent EE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et angle θ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90 °, rotation of the relay gear 72 may be restricted by the lock gear 74. The lock gear 74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gear hinge 82 by the relay gear 72 and the gear portion 80, but the guide hole portion 86 and the guide protrusion 87 This is because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constrained.

반면에, 상기 스택 플레이트(40)를 상승시키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중계 기어(72)가 역회전되는 경우, 상기 설정각도(θ′)는 접점을 중심으로 접선(E′-E′)에서 중계 기어(72)의 회전 방향, 즉 반시계 방향을 따라 연장선(D′-D′)까지 이격된 각도이다. 상기 설정각도(θ′)가 9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으면 락 기어(7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중계 기어(72)와 기어부(80)의 치합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중계 기어(7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중계 기어(72)와 기어부(80)에 의하여 락 기어(74)는 기어 힌지부(8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고, 가이드 홀부(86)와 가이드 돌기(87)는 락 기어(74)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lay gear 7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which the stack plate 40 is raised, the set angle θ 'is relayed at a tangent (E'-E') around the contact point. It is an angle spaced to the extension line D'-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gear 72, that is, counterclockwise. If the set angle θ 'is greater than 90 ° and smaller than 180 °, the lock gear 7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relay gear 72 and the gear unit 80. 72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lock gear 7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gear hinge 82 by the relay gear 72 and the gear portion 80, and the guide hole portion 86 and the guide protrusion 87 are rotated. This is because the rotation of the lock gear 74 is not restrain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한편, 상기 탄성부재(78)의 탄성력이 중계 기어(72)에 기어부(80)를 장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되므로, 락 기어(74)는 중계 기어(72)의 치형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탄성부재(7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중계 기어(72)와 기어부(80)가 재결합된다. 상기 중계 기어(72)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78)의 탄성 복원력 및 기어부(80)와 중계 기어(72)의 결합력을 합친 것보다 큰 힘으로 중계 기어(72)를 계속 회전시켜 주어야 가능하다. 따라서, 카세트(10)의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하여 기어부(80)가 중계 기어(72)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못하고, 스택 플레이트(40)를 일 정 크기 이상의 힘으로 강제로 들어올릴 경우에만 기어부(80)와 중계 기어(7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8 acts in the direction of mounting the gear unit 80 to the relay gear 72, the lock gear 74 rotates counterclockwise along the teeth of the relay gear 72. After that, the relay gear 72 and the gear unit 80 are recombined while being rotated clockwis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8. In order for the relay gear 72 to continue t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relay gear 72 may have a greater force than the combined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8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gear unit 80 and the relay gear 72. You can continue to rotate. Therefore, the gear unit 80 cannot be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relay gear 72 due to an impact or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cassette 10 moves, and only when the stack plate 40 is forcibly lifted by a force of a certain size or more. Coupling of the gear unit 80 and the relay gear 72 may be releas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1)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금융자동화기기(1)의 본체(2)에 종이매체가 부족하거나 너무 많으면, 금융자동화기기(1)의 작동을 정지하고, 본체(2)의 카세트 수납부(11)(13)를 열어 카세트(10)(12)를 교환한 후 카세트 수납부(11)(13)를 닫는다. 이때, 상기 카세트(10)의 제 1,2 카세트 커플러(50)(66)는 카세트 수납부(11)(13)의 제 1,2 본체 커플러(52)(68)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를 재동작시키면, 제 1,2 본체 커플러(52)(68)가 회전하고, 제 1,2 본체 커플러(52)(68)와 결합된 제 1,2 카세트 커플러(50)(66)도 함께 회전한다. 즉, 제 1 본체 커플러(52)와 제 1 카세트 커플러(50)를 통하여 본체(2)의 동력이 카세트(10)(12)의 출입부(24)에 전달되고, 제 2 본체 커플러(68)와 제 2 카세트 커플러(66)를 통하여 본체(2)의 동력이 카세트(10)(12)의 승강 기구(60)로 전달된다. If the main body 2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 lacks or has too much pap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 is stopped, and the cassette compartments 11 and 13 of the main body 2 are opened to open the cassette ( 10) After replacing the 12, the cassette compartments 11 and 13 are closed.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assette couplers 50 and 66 of the cassette 10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y couplers 52 and 68 of the cassette accommodating parts 11 and 13. Then, whe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 is operated again,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y couplers 52 and 68 ro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cassettes coupled with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y couplers 52 and 68. Couplers 50 and 66 also rotate together. That is, the power of the main body 2 is transmitted to the entrance part 24 of the cassettes 10 and 12 through the first main body coupler 52 and the first cassette coupler 50, and the second main body coupler 68. The power of the main body 2 is transmitted to the lifting mechanism 60 of the cassettes 10 and 12 through the second cassette coupler 66.

구체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1)에 종이매체가 입금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입금부(6)로 종이매체를 입금할 경우, 제 1 본체 커플러(52)에 동력이 인가되어 출입부(24)가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입금부(6)로 입금된 종이매체가 카세트(10)의 출입부(24)에 전달되면, 출입부(24)에 의해 케이스(20) 내의 스택 가이드(30)로 이송되고, 스택 가이드(30)의 하면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된 후 스택 플레이 트(40)의 상면에 적재된다. Specifically, when the paper medium is deposited 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when the paper medium is deposited by the depositing unit 6,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body coupler 52 so that the entrance part 24 is driven. do. Therefore, when the paper medium deposited by the depositing portion 6 is transferred to the access portion 24 of the cassette 10, the paper medium is transferred to the stack guide 30 in the case 20 by the access portion 24, and is stacked. After being inclined downwar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30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ck plate (40).

상기 스택 플레이트(40)에 적재되는 종이매체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스택 플레이트(40)에 일정량의 종이매체가 적재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제 2 본체 커플러(68)에 동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 2 본체 커플러(68)에서 제 2 카세트 커플러(66)를 통하여 승강 기구(60)로 동력이 전달되고, 승강 기구(60)의 작동에 의하여 스택 플레이트(40)가 일정 거리로 낙하된다. 상기와 같이 스택 플레이트(4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의 사이에 종이매체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The paper medium loaded on the stack plate 40 is detected by a sensor (not shown).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paper medium is loaded on the stack plate 40,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body coupler 68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Therefore,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in body coupler 68 to the lifting mechanism 60 through the second cassette coupler 66, and the stack plate 40 falls by a certain distanc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60.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ck plate 40 is moved downward, a space in which the paper medium can be loaded may be sufficiently secured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의 입금이 완료되면, 제 2 본체 커플러(68)에서 제 2 카세트 커플러(66)를 통해 승강 기구(60)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스택 가이드(30)에 밀착될 때까지 스택 플레이트(40)를 강제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승강 기구(60)가 작동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택 가이드(30)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수평한 상태가 되고,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들은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에 의해 압착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승강 기구(60)는 스택 플레이트(40)를 하측으로 하강시킨 후 다시 강제 상승시키는 동작을 소정 횟수로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스택 플레이트(40)의 승강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스택 플레이트(40) 상에 종이매체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When the deposit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 is completed, when the close contact with the stack guide 30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ody coupler 68 to the lifting mechanism 60 through the second cassette coupler 66. The lifting mechanism 60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forcibly raising the stack plate 40. Referring to FIG. 5, the stack guide 30 is rotated upward to become a horizontal state, and the paper media disposed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is a stack guide 30 and a stack plate 40. It is compressed by). Then, the lifting mechanism 60 repeats the operation of forcibly raising the stack plate 40 downward and then forcibly raising it agai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e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tack plate 40 as described above, paper media may be stacked on the stack plate 4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본체(2)의 카세트 수납부(11)에 카세트(10)가 착탈 과정에서 카세트(10)의 락 기구(70), 승강 기구(60), 및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ssette 10 is attached to the cassette storage unit 11 of the main body 2 in the detachment process, the locking mechanism 70, the lifting mechanism 60 of the cassette 10,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와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10)가 본체(2)의 카세트 수납부(11)에 장착될 경우, 카세트 수납부(11)의 락 해제 돌기(102)가 카세트(10)의 케이스(20)에 형성된 관통홀(20c)에 삽입된다. 상기 락 해제 돌기(102)는 락 기구(70)의 락 레버(76)에 형성된 걸림부(98)에 간섭되고, 상기 락 레버(76)는 락 해제 돌기(102)와 걸림부(98)의 간섭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락 레버(7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락 기어(7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기어부(80)가 중계 기어(72)에서 탈거된다. 2, 6, and 10, when the cassette 10 is mounted on the cassette housing 11 of the main body 2, the lock release protrusion 102 of the cassette housing 11 is connected to the cassette ( I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c formed in the case 20 of 10. The lock release protrusion 102 interferes with the locking portion 98 formed on the lock lever 76 of the lock mechanism 70, and the lock lever 76 is connected to the lock release protrusion 102 and the locking portion 98. Rotate clockwise by interference force. When the lock lever 76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lock gear 7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gear portion 80 is removed from the relay gear 72.

상기와 같은 락 기구(70)의 풀림 상태에서는, 중계 기어(72)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중계 기어(72)와 연동되는 승강 기구(60)의 제 1 벨트 풀리(63)도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락 기구(70)가 승강 기구(60)의 작동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카세트 커플러(66)로 입력되는 동력에 의하여 승강 기구(60)가 작동되고, 승강 기구(60)의 작동에 의하여 스택 플레이트(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the unlocked state of the lock mechanism 7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lay gear 72 is rotatable freely, the first belt pulley 63 of the lifting mechanism 60 that interlocks with the relay gear 72 also rotates freely. It becomes possible state. Therefore, since the lock mechanism 70 does not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60, the lifting mechanism 60 is operated by the power input to the second cassette coupler 66, and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60 is performed. By the stack plate 40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2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10)가 본체(2)의 카세트 수납부(11)로부터 탈거될 경우, 락 해제 돌기(102)가 관통홀(20c)로부터 이탈되어 락 해제 돌기(102)와 걸림부(98)의 간섭이 해제된다. 상기 락 해제 돌기(102)와 걸림부(98)의 간섭이 해제되면, 락 기어(74)가 탄성부재(78)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락 레버(76)는 락 기어(7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락 기어(74)의 기어부(80)가 중계 기어(72)에 장착되어 중계 기어(72)가 구속된다. 2, 6, and 7, when the cassette 10 is removed from the cassette accommodating portion 11 of the main body 2, the lock release protrusion 102 is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20c and locked. Interference between the release protrusion 102 and the locking portion 98 is released. Whe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ock release protrusion 102 and the locking portion 98 is released, the lock gear 74 is rotated clockwis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8, and the lock lever 76 is locked by the lock gear 74.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the gear part 80 of the lock gear 74 is attached to the relay gear 72, and the relay gear 72 is restrained.

상기와 같은 락 기구(70)의 잠금 상태에서는, 중계 기어(72)가 회전 불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중계 기어(72)와 연동되는 승강 기구(60)의 제 1 벨트 풀리(63)도 구속되고, 승강 기구(60)와 연동되는 스택 플레이트(40)도 구속된다. 따라서, 카세트(10)의 운반시 락 기어(74)가 스택 플레이트(40)를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카세트(10)의 흔들림과 기울어짐 및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스택 플레이트(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택 플레이트(40)의 상하 이동이 방지되면, 카세트(10)의 운반시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의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들이 마구 헝클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세트(10)의 내부에 종이매체들을 잘 정돈된 상태로 운반할 수 있다. In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mechanism 7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lay gear 72 is in a non-rotable state, the first belt pulley 63 of the lifting mechanism 60 that interlocks with the relay gear 72 is also restrained, The stack plate 40 interlocked with the elevating mechanism 60 is also restrained. Therefore, since the lock gear 74 restrains the stack plate 40 when the cassette 10 is transported, the stack plate 40 moves upward and downward due to shaking, tilting and external impact of the cassette 10. Movement phenomen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ack plate 40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per media disposed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when the cassette 10 is transported. In the cassette 10, the paper media can be transported in a well-organized state.

한편, 상기 카세트(10)의 운반시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의 사이에 종이매체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하여 스택 플레이트(40)를 강제로 상승시킬 수도 있다. 도 3과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카세트(10)의 잠금부(27)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도어(26)를 열어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을 개방하고, 스택 플레이트(4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기어부(80)와 중계 기어(72)의 결합력 및 탄성부재(78)의 탄성력보다 스택 플레이트(40)에 작용되는 상승력이 크게 되면, 중계 기어(72)가 기어부(80)에서 강제 이탈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기어부(80)는 중계 기어(72)의 기어치를 타고 넘어가 다른 기어치와 치합된다. In the meantime, the stack plate 40 may be forcibly lifted in order to more stably place the paper medium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when the cassette 10 is transported. 3, 6, and 11, afte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art 27 of the cassette 10, the door 26 is opened to open the paper medium receiving space 22, and the stack plate 40 is opened. ) To the upper side. At this time, when the coupling force of the gear unit 80 and the relay gear 72 and the lift force applied to the stack plate 40 ar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8, the relay gear 72 is forced by the gear unit 80. Rotated counterclockwise while being separated, the gear unit 80 rides over the gear teeth of the relay gear 72 and engages with other gear teeth.

상기와 같이 기어부(80)가 중계 기어(72)의 기어치들을 타고 넘어가면, 락 기어(74)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반복 회전되고, 중계 기어(72)와 함께 승강 기구(60)가 작동되어 스택 플레이트(40)가 상측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 사이의 공간이 더욱 협소하게 형성되므로, 종이매체들이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의 중간에 더욱 압착되어 카세트(10)의 운반시 종이매체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When the gear unit 80 rides over the gear teeth of the relay gear 72 as described above, the lock gear 74 is repeated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is elevated with the relay gear 72. The mechanism 60 is actuated to raise the stack plate 40 upwards. Therefore, since the space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is narrower, the paper medium is further compressed in the middle of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to convey the cassette 10. Paper media are supported stably.

또한, 상기 카세트(10)의 운반이 완료되면 카세트(10)의 내부로부터 종이매체들이 인출된다. 도 3과 도 6 및 도 10을 참조로 하여 종이매체의 인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카세트(10)의 잠금부(27)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도어(26)를 열어 종이매체 수용공간(22)을 개방한다. 그리고, 종이매체 수용공간(22)과 함께 개방된 레버 조작홀(20b)을 통하여 락 기구(7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락 레버(76)의 조작 돌기(90)를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락 레버(7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락 기어(7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중계 기어(72)에서 기어부(80)가 이탈되며, 중계 기어(72)와 승강 기구(60) 및 스택 플레이트(40)는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스택 플레이트(40)를 강제로 하강시키면,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의 사이가 상하방향으로 넓게 벌어지기 때문에, 스택 가이드(30)와 스택 플레이트(40)의 사이에서 종이매체들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port of the cassette 10 is completed, the paper media ar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ssette 10. Referring to Figures 3, 6 and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drawal process of the paper medium. First, afte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27 of the cassette 10, the door 26 is opened to open the paper medium receiving space 22. Then, the operating projection 90 of the lock lever 76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mechanism 70 through the lever operating hole 20b opened together with the paper medium containing space 22. Then, the lock lever 76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lock gear 7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gear portion 80 is released from the relay gear 72, and the relay gear 72 and the lifting mechanism 60 and the stack plate 40 are in an operable state. At this time, when the stack plate 40 is forcibly lowered, the gap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is wid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aper is between the stack guide 30 and the stack plate 40. The media can be easily withdraw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assett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Of course this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가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sett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세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세트의 내부를 나타낸 우측면도,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2;

도 5는 도 4에서 스택 가이드와 스택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FIG. 5 is a right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ack guide and the stack plate of FIG. 4;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카세트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락 기구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7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lock mechanism shown in FIG. 6;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를 확대한 도면,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7,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락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ck mechanism shown in FIG.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락 기구의 풀림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10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n unlocked state of the lock mechanism shown in FIG. 6;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카세트의 스택 플레이트가 강제로 상승될 때 락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11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 mechanism when the stack plate of the cassette shown in FIG. 6 is forcibly rais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금융자동화기기 10,12: 카세트1: automatic teller machine 10, 12: cassette

20: 케이스 30: 스택 가이드20: Case 30: Stack Guide

40: 스택 플레이트 60: 승강 기구40: stack plate 60: lifting mechanism

70: 락 기구 72: 중계 기어70: lock mechanism 72: relay gear

74: 락 기어 76: 락 레버74: lock gear 76: lock lever

78: 탄성부재 80: 기어부78: elastic member 80: gear portion

Claims (11)

금융자동화기기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A case detachably mounted to a main body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종이매체가 적재되는 스택 플레이트;A stack plate disposed in the case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loaded with a paper medium;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상기 스택 플레이트와 연동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 기구; 및 A lift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case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stack plate to move the stack plat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상기 케이스의 탈거시 상기 스택 플레이트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을 제한하고,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 제한시 상기 스택 플레이트에 일정치 이상의 힘이 작용되면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락 기구;Locking mechanism for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chanism in order to prevent the vertical flow of the stack plate when removing the case, and raising the stack plate when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orce is applied to the stack plate when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chanism is limited ;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Cassett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락 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 기구와 연동되게 연결된 중계 기어; 상기 중계 기어와 치합하는 기어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락 기어; 및 상기 중계 기어와 상기 기어부를 선택적으로 치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락 기어에 연결된 락 레버;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The lock mechanism may include a relay gear rotatably disposed in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lifting mechanism; A lock gear provided at one side to mesh with the relay gear, the lock gear having the other side rotatably disposed at the case; And a lock lever connected to the lock gear to selectively engage the relay gear and the gear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락 기어와 상기 락 레버는, 각각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작동 평면들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And the lock gear and the lock lever are disposed in the case such that virtual operating planes on which the respective operations are made cross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케이스는 상기 락 기어 또는 상기 락 레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부위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The case includes a guide protrusion provid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lock gear or the lock lever, 상기 락 기어 또는 상기 락 레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홀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The lock gear or the lock lever cassett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ing a guide hole for inserting the guide projection to be movabl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에 장착시 상기 본체에 형성된 락 해제 돌기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The case has a through hole that is inserted into the lock release projection formed in the main body when the mounting, 상기 락 레버는 상기 중계 기어와 상기 기어부의 탈거 방향으로 상기 락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락 해제 돌기와 간섭 가능하게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And the lock lev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formed to interfere with the lock releas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rotate the lock ge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lay gear and the gear portion are removed.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도어를 포함하고, The case includes a door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상기 도어가 덮는 케이스의 일측면 부위에는 상기 락 레버를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락 레버의 타측이 배치되는 레버 조작홀이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And a lever operating hole in which one side of the lock lever is disposed to operate the lock lever in one side portion of the case covered by the door.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중계 기어가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기어부와 상기 중계 기어의 접점을 중심으로 상기 접점과 상기 락 기어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연장선으로부터 상기 중계 기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접점에서의 중계 기어에 대한 접선까지의 각도가 0°보다는 크고 90°이하인 위치에 상기 기어부와 상기 중계 기어가 치합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When the relay gea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lowering the stack plate, alo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elay gear from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contact center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lock gear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int of the gear portion and the relay gear. And the gear unit and the relay gea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 position where the angle to the tangent to the relay gear at the contact point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90 °.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중계 기어가 상기 스택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기어부와 상기 중계 기어의 접점을 중심으로 상기 접점에서의 중계 기어에 대한 접선으로부터 상기 중계 기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접점과 상기 락 기 어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연장선까지의 각도가 90°보다는 크고 180°이하인 위치에 상기 기어부와 상기 중계 기어가 치합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When the relay gea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stack plate, the contact point and the contact point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elay gear from a tangent to the relay gear at the contact point centering on the contact point of the gear portion and the relay gear. A cassette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wherein the gear part and the relay gear are engaged at a position where the angle of extension of the lock gear to the extension line is greater than 90 ° and less than 180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8, 상기 락 기구는, 상기 중계 기어와 상기 기어부의 치합 방향으로 상기 락 기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락 기어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The lock mechanism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lock gear and the case in ord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ock gear in the engagement direction between the relay gear and the gear portion.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스택 플레이트에 일측이 연결된 승강 벨트; 상기 승강 벨트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중계 기어에 적어도 하나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벨트 풀리들; 및 상기 벨트 풀리들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 풀리들에 구비된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The elevating mechanism includes: an elevating belt disposed longitudinally in the case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ack plate; Belt pulleys rotatably disposed in the case so as to be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vating belt, and at least on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lay gear to be interlockable;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provided in the belt pulleys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belt pulleys.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벨트 풀리들 중에서 상기 중계 기어와 연동되는 벨트 풀리에는 상기 중 계 기어와 상시 치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된 풀리 기어가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Cassett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s formed in the belt pulley interlocked with the relay gear among the belt pulleys are formed in the pulley gear connected to the relay gear at all times.
KR1020080097727A 2008-10-06 2008-10-06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035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27A KR101035189B1 (en) 2008-10-06 2008-10-06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27A KR101035189B1 (en) 2008-10-06 2008-10-06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675A true KR20100038675A (en) 2010-04-15
KR101035189B1 KR101035189B1 (en) 2011-05-17

Family

ID=4221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727A KR101035189B1 (en) 2008-10-06 2008-10-06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8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54B1 (en) * 2015-03-13 2016-07-14 아주하이텍(주) Apparatus for laser direct image process of module case
CN106373259A (en) * 2016-09-08 2017-02-0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Banknote box, self-service financial device and banknote process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387A (en) 2019-06-12 2020-12-22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Cassette apparatus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168468B1 (en) 2019-06-12 2020-10-2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Cassette apparatus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0787A (en) 1998-06-29 2000-01-21 Fuji Electric Co Ltd Paper sheets storage
TW592920B (en) * 2001-06-29 2004-06-21 Mitsubishi Materials Corp Boring tool, boring device and boring method
KR20060127478A (en) * 2005-06-07 2006-12-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movement of push plate in recyclebox
KR200412967Y1 (en) 2005-10-17 2006-04-05 조복천 apparatus for paper mone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54B1 (en) * 2015-03-13 2016-07-14 아주하이텍(주) Apparatus for laser direct image process of module case
CN106373259A (en) * 2016-09-08 2017-02-0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Banknote box, self-service financial device and banknote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189B1 (en)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0322B1 (en) Medium storage box
KR101035189B1 (en)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US6843409B2 (en) Media container module
US8360224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171460B1 (en) Push plate up and down structure in bill stacking box
US7520501B2 (en) Media cassette for media dispenser
KR101046821B1 (en) Locking structure for descending movement of pushplate
KR101001689B1 (en) Power source connecting apparatus for cassette and power source connecting method
KR100980150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4586771B2 (en) Emergency unlocking device
KR20100022874A (en)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638128B1 (en) Medium cassette
KR20140148139A (en)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cassette i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268131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tray unit thereof
KR101281316B1 (en) media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077293B1 (en) Cassette used in cash transaction machine
WO2022049852A1 (en) Paper sheet storage handling device
WO2022049853A1 (en) Locking/unlocking device
KR101426589B1 (en)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688917B1 (en) Medium cassette
KR20230013368A (en) Massive temporary storage part
KR20160045416A (en) Medium cassette
JP2017090986A (en) Paper sheet storing cassette, and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2094435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9